맨위로가기

갈등 (이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등은 문학에서 등장인물이나 힘 사이의 대립을 의미하며, 이야기의 긴장감을 조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내적 갈등과 외적 갈등으로 나뉘며, 주로 주인공과 반대자 간에 발생하지만, 자연력과도 갈등을 겪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 대 인간, 인간 대 자연, 인간 대 자기 자신, 인간 대 사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이 외에도 인간 대 기계, 인간 대 운명 등 다양한 갈등 유형이 존재한다.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갈등은 비극의 핵심 요소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영웅의 단일 갈등을 통해 드라마를 창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사학 -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시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한 책으로, 시의 본질과 창작 원리를 탐구하며 미메시스, 카타르시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비극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서구 문예 비평에 영향을 미쳤다.
  • 서사학 - 파스티슈
    파스티슈는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기존 스타일이나 작품을 모방하거나 혼합하여 새로운 작품을 창조하는 기법으로, 창작자의 독창적인 해석과 재치가 더해져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갈등 (이야기)
이야기 속 갈등
갈등 유형개인 대 개인
개인 대 자아
개인 대 사회
개인 대 자연
개인 대 초자연
개요
설명갈등은 등장인물이 원하는 것을 달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장애물이다.
기능독자의 관심을 사로잡고, 서스펜스를 유발하며, 주제를 탐구하고, 등장인물의 성격을 드러낸다.
갈등 해결갈등이 해결되면 이야기는 해상도로 이어진다.
갈등의 종류
내적 갈등등장인물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갈등이다.
외적 갈등등장인물과 외부 힘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이다.
예시
문학 작품햄릿
로미오와 줄리엣
앵무새 죽이기
영화스타워즈
반지의 제왕
다크 나이트

2. 갈등의 기본 성격

갈등은 문학에서 관련된 등장인물이나 힘의 서로 다른 동기를 의미한다. 갈등은 내적일 수도 있고 외적일 수도 있는데, 즉 등장인물의 마음속에서 발생하거나 등장인물과 외부의 힘 (또는 관점)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갈등은 둘 이상의 등장인물, 보통 주인공과 반대자//악당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지지만,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등장인물은 동물이나 허리케인과 같은 기상 현상과 같은 자연력과도 쉽게 갈등을 겪을 수 있다. 갈등의 문학적 목적은 이야기 속에 긴장감을 조성하여 독자들이 등장인물이나 힘 중 어느 쪽이 승리할지 불확실하게 만들어 더욱 흥미를 느끼게 하는 것이다.

하나의 이야기 안에 여러 갈등 지점이 있을 수 있으며, 등장인물은 하나 이상의 욕망을 가질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대립하는 힘과 싸울 수 있다. 갈등이 해결되고 독자가 어떤 힘이나 등장인물이 성공하는지 알게 되면 종결감을 느끼게 된다. 갈등은 이야기의 어느 시점에서든 해결될 수 있으며, 특히 여러 갈등이 존재할 경우 더욱 그렇지만, 이야기가 모든 갈등을 항상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이야기의 주요 갈등이 해결되지 않고 끝나면 "열린" 결말을 갖는다고 한다. 독자에게 갈등을 더 개인적으로 고려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열린 결말은 독자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지만, 명백한 갈등 해결 또한 독자가 이야기에 실망하게 할 수 있다.

3. 갈등의 유형

문학에서 갈등은 이야기 속 등장인물이나 여러 힘 사이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동기나 목표의 충돌을 의미한다. 갈등은 등장인물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내적 갈등일 수도 있고, 등장인물과 외부의 힘(다른 인물, 자연, 사회 등) 사이에서 발생하는 외적 갈등일 수도 있다. 가장 흔하게는 주인공과 그에 맞서는 반대자나 악당 사이에서 갈등이 두드러지지만, 등장인물이 동물이나 자연재해와 같은 자연의 힘과 맞서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문학에서 갈등은 이야기에 긴장감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독자들은 어떤 인물이나 힘이 결국 승리할지 예측하기 어려워 이야기에 더욱 몰입하게 된다.

하나의 이야기 안에는 여러 갈등 지점이 존재할 수 있으며, 등장인물은 여러 욕망을 동시에 가지거나 다양한 대립하는 힘과 싸울 수도 있다. 갈등이 해결되면 독자는 어떤 힘이나 등장인물이 성공했는지 알게 되면서 이야기의 종결감을 느낀다. 갈등은 이야기의 어느 시점에서든 해결될 수 있으며, 때로는 모든 갈등이 해결되지 않은 채 이야기가 끝나기도 한다. 이러한 결말을 "열린 결말"이라고 하며, 독자에게 갈등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할 여지를 남기지만, 때로는 불만족스러움을 줄 수도 있다. 반대로 명확한 갈등 해결 역시 독자를 실망시킬 수도 있다.

소설 속 갈등의 기본적인 유형은 전통적으로 "인간 대 인간", "인간 대 자연", "인간 대 자기 자신"으로 분류되어 왔다.[6] 하지만 이 세 가지 분류가 모든 경우에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가 아인 랜드는 자연에는 자유 의지가 없어 선택을 할 수 없으므로 "인간 대 자연"은 진정한 의미의 갈등이 아니라고 주장하기도 했다.[7] 때로는 "인간 대 사회"가 네 번째 기본 갈등 유형으로 추가되기도 한다.[8][9] 그 외에도 "인간 대 기계"(''터미네이터'', ''멋진 신세계''), "인간 대 운명"(''오이디푸스 왕''), "인간 대 초자연"(''샤이닝''), "인간 대 신"(''리보위츠를 위한 찬가'') 등 다양한 갈등 유형이 언급된다.[10][11]

3. 1. 인간 대 인간

"인간 대 인간" 갈등은 등장인물들이 서로 대립하는 이야기를 포함한다.[6][8] 이는 외부 갈등에 해당한다. 이러한 갈등은 총격전이나 강도 사건처럼 직접적인 대립일 수도 있고, 로맨스나 가족 서사시처럼 두 명 이상의 등장인물 간의 욕망 사이의 미묘한 갈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갈등은 전통 문학, 동화, 신화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12]

"인간 대 인간" 갈등의 한 예로는, This Boy's Life에서 주인공과 적대적인 계부 사이의 관계적 갈등이 있다.[13] 다른 예시로는 도로시오즈의 마법사에서 서쪽 마녀와 겪는 갈등, 그리고 톰 소여톰 소여의 모험에서 인디언 조와 대립하는 상황 등이 있다.[12]

3. 2. 인간 대 자연

"인간 대 자연" 갈등은 등장인물이 동물이나 자연의 힘(폭풍, 토네이도, 눈 등)에 맞서는 외부적인 갈등이다.[6][8] 이 유형의 갈등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 ''노인과 바다''에서 주인공이 거대한 황새치와 벌이는 사투를 중심으로 잘 나타난다.[14] 또한, ''로빈슨 크루소''와 같은 모험 이야기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는 갈등 구조이다.[12] 텔레비전 프로그램 ''인간 vs 야생''(Man vs. Wild)은 베어 그릴스가 극한의 자연 환경에서 생존하려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 갈등 유형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3. 3. 인간 대 자신

소설 속 갈등의 기본 유형 중 하나로 분류되는 '인간 대 자신' 갈등은 등장인물의 내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의미한다.[6][8] 이 유형의 갈등에서 등장인물은 자신의 본성을 극복하려 하거나, 선과 악, 논리와 감정처럼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 사이에서 고민하며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인간 대 자신' 갈등의 예시는 여러 문학 작품에서 찾아볼 수 있다. 휴버트 셀비 주니어의 1978년 소설 레퀴엠은 중독이라는 심각한 내면의 문제와 싸우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15] 척 팔라닉의 1994년 소설 파이트 클럽과 이를 각색한 1999년 영화에서는, 이름 없는 주인공이 해리성 정체 장애로 인해 분열된 자신의 또 다른 자아와 대립한다.[16] 브리짓 존스의 일기 역시 주인공 브리짓 존스가 자신의 신경증과 끊임없는 자기 의심을 극복하려는 내면적 갈등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15]

3. 4. 인간 대 사회

때로는 네 번째 기본적인 갈등 유형으로 "인간 대 사회"가 언급되기도 한다.[8][9] 이 유형은 개인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제도, 관습, 혹은 규범과 맞서는 상황을 다룬다. 예를 들어, 노예제집단 따돌림과 같이 인간이 만든 부조리한 제도나 관행에 저항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하며, 이는 "인간 대 인간" 갈등이 확장된 형태로 볼 수도 있다.[10]

"인간 대 사회" 갈등을 다루는 이야기에서 등장인물은 종종 사회적 규칙이나 압력 때문에 어려운 도덕적 선택에 직면하거나, 자신의 목표를 이루는 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12] 이는 개인이 사회 구조나 통념에 도전하며 겪는 고뇌와 저항을 보여준다.

이러한 갈등 구조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는 마거릿 애트우드시녀 이야기, 필립 K. 딕높은 성의 사나이, 레이 브래드버리화씨 451 등이 있다.[10] 또한, E. B. 화이트의 샬롯의 거미줄에서 돼지 윌버가 식용으로 사육되는 사회적 관행에 맞서 생존을 위해 투쟁하는 모습 역시 "인간 대 사회" 갈등의 한 예로 볼 수 있다.[12]

3. 5. 기타 갈등

일반적으로 알려진 갈등 유형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갈등이 이야기 속에서 다루어진다.[10][11]

  • 인간 대 기계: 터미네이터 시리즈나 멋진 신세계와 같은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이 자신이 만든 기계나 기술과 대립하는 갈등이다.
  • 인간 대 운명: 오이디푸스 왕처럼, 개인이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이나 예언에 맞서 싸우는 갈등이다.
  • 인간 대 초자연: 샤이닝과 같이, 유령, 괴물 등 초자연적인 존재나 현상과 인간이 대립하는 갈등이다.
  • 인간 대 신: 리보위츠를 위한 찬가 등의 작품에서 나타나듯, 인간이 신이나 절대적인 존재의 의지에 맞서거나 질문을 던지는 갈등이다.

4. 갈등의 역사

다른 문학 용어처럼 갈등이라는 개념 역시 일반적인 서사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생겨났다. 갈등은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 비극의 핵심 요소인 아곤(agon)으로 처음 묘사되었다.[2] 아리스토텔레스는 독자의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 영웅이 단일한 갈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곤, 즉 갈등 행위는 주인공("첫 번째 투사")과 그에 맞서는 반대자(antagonist)를 포함하며, 이는 영웅과 악당의 구도로 나타난다. 갈등의 결과는 예측 불가능해야 하며, 플루타르크와 같은 후대의 비평가들은 영웅의 투쟁이 고결하게 그려져야 한다고 보았다.

현대의 비극이 아닌 문학에서도 비평가들은 아곤, 즉 갈등이 줄거리의 중심 단위임을 확인했다. 주인공이 너무 쉽게 승리할수록 드라마의 가치는 떨어진다고 여겨진다. 내적 갈등과 외적 갈등 모두에서 반대자는 주인공에게 영향을 미치며, 처음에는 주인공을 압도하는 것처럼 보여야 한다. 예를 들어, 윌리엄 포크너의 소설 ''곰''에서는 자연 그 자체가 반대자가 될 수 있다. 자연은 추상적인 개념이지만, 그 안의 생물과 풍경은 주인공에게 맞서고 저항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같은 이야기에서 어린 소년이 겪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심은 그를 압도하는 것처럼 보이는 내적 갈등을 만들어낸다.

마찬가지로, 슈퍼맨처럼 신과 같은 강력한 능력을 지닌 등장인물이 나올 경우, 이야기에 극적인 긴장감을 부여하기 위해 그에 걸맞은 강력한 악당을 설정하거나, 극복해야 할 약점을 만들어낸다. 또는 등장인물의 강력한 힘이 특정 규약이나 반대자에 의해 제약을 받는 상황을 설정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Literature: An Introduction to Reading and Writing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2] 서적 The Cambridge Introduction to Narra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문서 Abbott (2008), 55–56
[4] 간행물 Playwriting Seminars 2.0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2013-02-26
[5] 웹사이트 Some conclusions about endings https://www.theguard[...] 2010-02-10
[6] 서적 Write Now Barnes & Noble Publishing
[7] 서적 The Art of Fiction: A Guide for Writers and Readers Penguin
[8] 서적 The Art And Craft Of Storytelling: A Comprehensive Guide To Classic Writing Techniques F+W Media, Inc.
[9] 서적 Children's Literature Macmillan Education AU
[10] 서적 Thanks, But This Isn't for Us: A (Sort Of) Compassionate Guide to Why Your Writing Is Being Rejected https://archive.org/[...] Penguin 2012-09-18
[11] 서적 The Crucible: Study Guide and Student Workbook (Enhanced Ebook) https://books.google[...] BMI Educational Services 2012-09-18
[12] 서적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Scarecrow Press
[13] 서적 Breathing Life Into Your Characters Writer's Digest Books
[14] 문서 Ballon (2011), p. 135
[15] 문서 Ballon (2011), p. 133
[16] 뉴스 'Fight Club' Has A Bunch Of Hidden Clues That Give Away The Film's Big Twist Ending 2014-05-20
[17] 서적 Aesthetic Approaches to Children's Literature: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2005-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