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페타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페타민은 화학식 C9H13N을 갖는 페네틸아민의 메틸 동족체로, 1887년 처음 합성되었다. 중추신경 자극제로, 덱스트로암페타민과 레보암페타민의 라세미 혼합물 형태로 존재하며,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된다. ADHD, 기면증, 비만 치료에 사용되지만, 오락용으로 남용되기도 하며, 스포츠 경기에서는 금지 약물로 지정되어 있다. 암페타민은 뇌의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에 작용하며, 약물 상호작용 및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법적으로는 엄격하게 규제되며, 불법 합성 및 판매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와 약물 - 혈액 도핑
    혈액 도핑은 운동선수가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 혈액이나 혈액 구성 요소를 인위적으로 늘리는 불법 행위로, 수혈, 적혈구 생성 촉진제, 혈액 대체제 등의 방법을 통해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향상시켜 운동 능력을 개선하려 하지만 심각한 건강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스포츠계에서 금지된다.
  • 스포츠와 약물 - 경기력 향상 약물
    경기력 향상 약물은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흥분제 등이 있으며 근력, 지구력, 집중력 향상 효과가 있지만 윤리적 문제와 부작용 위험으로 인해 규제된다.
  • 기관지 확장제 - 아드레날린
    아드레날린(에피네프린)은 부신 수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자 신경전달물질로, 스트레스 반응인 '투쟁-도피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심박수 증가, 혈압 상승, 기관지 확장, 혈당 증가 등의 효과를 통해 신체가 위협에 대응하도록 돕고 아나필락시스나 심정지 치료에 사용된다.
  • 기관지 확장제 - 기관지확장제
    기관지확장제는 호흡기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기관지를 확장시켜 호흡을 용이하게 하며, 속효성과 지속성 제형 및 다양한 투여 경로가 존재한다.
  • 심장혈관계통에 작용하는 약 - 아데노신
    아데노신은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는 내인성 퓨린 뉴클레오사이드로, 심실상 빈맥 치료, 심장 스트레스 검사 보조제, 혈관 확장,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과 연구 등에 사용되며, 뇌에서 수면을 유도하고 주름 개선 화장품 성분으로도 활용된다.
  • 심장혈관계통에 작용하는 약 - 카티논
    카티논은 카트 식물에서 발견되는 각성 효과의 주요 알칼로이드로, 암페타민과 유사하게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도파민 방출을 촉진하며, 일부 지역에서 문화적 중요성을 갖지만 많은 국가에서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다.
암페타민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암페타민 화합물의 이미지
암페타민 화합물
D-암페타민 화합물의 3D 이미지
D-암페타민 화합물 3D 이미지
상품명Evekeo, Adderall, 기타
MedlinePlusa616004
DailyMed IDAmphetamine
의존성신체적: 없음
심리적: 중간
중독성중간
투여 경로의료용: 경구 투여, 정맥 주사
오락용: 경구 투여, 비강 내 투여, 좌약, 정맥 주사, 근육 주사
분류흥분제
식욕 억제제
ATC 코드N06BA01
ATC 보조 코드
법적 규제
오스트레일리아스케줄 8
브라질A3
캐나다스케줄 I
독일Anlage III
뉴질랜드클래스 B
영국클래스 B
미국스케줄 II
유엔향정신성 물질 스케줄 II
약리학적 정보
수용체TAAR1, VMAT2, 5HT1A
약동학적 정보
생체 이용률경구: ~90%
단백질 결합~20%
대사CYP2D6, DBH, FMO3
대사물4-하이드록시아암페타민, 4-하이드록시노르에페드린,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톤, 벤조산, 마뇨산, 노르에페드린, 페닐아세톤
작용 개시즉시 방출 제형: 30–60분
서방형 제형: 1.5–2시간
반감기덱스트로암페타민: 9–11시간
레보암페타민: 11–14시간
pH 의존적: 7–34시간
작용 시간즉시 방출 제형: 3–6시간
서방형 제형: 8–12시간
배설주로 신장; pH 의존적 범위: 1–75%
화학적 정보
IUPAC 이름(RS)-1-페닐프로판-2-아민
동의어α-메틸페네틸아민
CAS 등록 번호300-62-9
PubChem3007
IUPHAR 리간드4804
DrugBankDB00182
ChemSpider ID13852819
UNIICK833KGX7E
KEGGD07445
ChEBI2679
ChEMBL405
NIAID ChemDB018564
원소 구성C=9, H=13, N=1
키랄성라세미 혼합물
밀도0.936 (25 °C에서)
녹는점146
끓는점203 (760 mmHg에서)
SMILESNC(C)Cc1ccccc1
StdInChI1S/C9H13N/c1-8(10)7-9-5-3-2-4-6-9/h2-6,8H,7,10H2,1H3
StdInChIKeyKWTSXDURSIMDCE-UHFFFAOYSA-N
기타 정보
다른 이름1-페닐프로판-2-아민 (IUPAC 이름)
α-메틸페네틸아민
암페타민 (INN)
β-페닐이소프로필아민
티라민
스피드
거울상 이성질체레보암페타민과 덱스트로암페타민은 각각 L-암프 또는 레밤페타민 (INN) 및 D-암프 또는 덱삼페타민 (INN)으로도 알려져 있음
관련 정보암페타민은 광범위한 화학적 화합물과 약리학적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음
N-메틸페네틸아민
일본어 위키백과 정보
IUPAC 이름(±)-1-페닐프로판-2-아민
CAS 등록 번호300-62-9
ATC 코드N06BA01
PubChem3007
DrugBankAPRD00480
KEGGD07445
화학식C9H13N
분자량135.2084
생체 이용률4 L/kg; 혈장 단백질에 낮은 결합 (20%)
대사
반감기10–13시간
배설신장; 상당 부분이 변하지 않음
임신 범주C (미국)
법적 규제DEA 스케줄 II (미국)
클래스 B (영국)
스케줄 III (캐나다)
투여 경로경구, 정맥 내 투여, 기화, 흡입, 좌약
한국어 위키백과 정보
상품명Adderall, Adzenys XR-ODT, Dyanavel XR, Evekeo, 기타
임신 범주(미국)C
의존성신체적 의존성: 없음
정신적 의존성: 보통
투여 경로경구
분류흥분제, 식욕 억제제
ATC 코드N06BA01
법적 규제(오스트레일리아)스케줄 8
법적 규제(브라질)A3
법적 규제(캐나다)스케줄 I
법적 규제(독일)Anlage III
법적 규제(뉴질랜드)클래스 B
법적 규제(영국)클래스 B
법적 규제(미국)스케줄 II
법적 규제(유엔)향정신성 물질 스케줄 II
생체 이용률경구: 75–100%
단백질 결합15–40%
대사CYP2D6, DBH, FMO3
대사물4-하이드록시아암페타민, 4-하이드록시노르에페드린,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톤, 벤조산, 마뇨산, 노르에페드린, 페닐아세톤
작용 개시즉시 방출 제형: 30–60분
서방형 제형: 1.5–2시간
반감기덱스트로암페타민: 9–11시간
레보암페타민: 11–14시간
pH 의존적: 7–34시간
작용 시간즉시 방출 제형: 3–6시간
서방형 제형: 8–12시간
배설주로 신장; pH 의존적 범위: 1–75%
IUPAC 이름(RS)-1-페닐프로판-2-아민
동의어α-메틸페네틸아민
CAS 등록 번호300-62-9
PubChem3007
IUPHAR 리간드4804
DrugBankDB00182
ChemSpider ID13852819
UNIICK833KGX7E
KEGGD07445
ChEBI2679
ChEMBL405
NIAID ChemDB018564
원소 구성C=9, H=13, N=1
분자량135.20622 g/mol
키랄성라세미 혼합물
밀도0.936 (25 °C에서)
녹는점11.3 (예측)
끓는점203 (760 mmHg에서)
SMILESNC(CC1=CC=CC=C1)C
StdInChI1S/C9H13N/c1-8(10)7-9-5-3-2-4-6-9/h2-6,8H,7,10H2,1H3
StdInChIKeyKWTSXDURSIMDCE-UHFFFAOYSA-N

2. 합성

1887년 처음 합성된 이후,[239] 암페타민의 다양한 합성 경로가 개발되었다.[216][217] 합법적, 불법적 암페타민 합성에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로이카트 반응을 이용한 비금속 환원이다.[13][225]
로이카트 반응을 이용한 합성 과정:1. 페닐아세톤과 폼아마이드를 반응시킨다. 이때 포름산을 추가하거나 폼아마이드 자체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N''-포르밀암페타민|N-포르밀암페타민영어을 만든다.

2. 생성된 중간체를 염산으로 가수분해한 후 염기화한다.

3. 유기 용매로 추출, 농축, 증류하여 유리 염기를 얻는다.

4. 유리 염기를 유기 용매에 녹이고 황산을 가하면 암페타민이 황산염 형태로 침전된다.

암페타민의 두 이성질체 분리에는 여러 키랄 분할 방법이 사용된다.[8] 예를 들어, 라세미 암페타민을 d-주석산|d-주석산영어으로 처리하여 입체 이성질체 염을 만들고, 이를 분별 결정화하여 덱스트로암페타민을 얻을 수 있다.[219] 키랄 분할은 광학적으로 순수한 암페타민을 대량으로 얻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8]
입체 선택적 합성: 광학 순수 (''R'')-1-페닐-에탄아민|(''R'')-1-페닐-에탄아민영어을 페닐아세톤과 축합하여 키랄 쉬프 염기를 만든다. 이 중간체를 촉매 수소 첨가 반응으로 환원시켜 아미노기 옆 탄소 원자에 키랄성을 부여한다. 벤질 아민 결합을 수소 첨가 반응으로 절단하면 광학적으로 순수한 덱스트로암페타민이 생성된다.[220]
기타 합성 경로:고전적인 유기 반응을 이용한 다양한 암페타민 합성법이 개발되었다.[216][217]


  • 프리델-크래프츠 알킬화: 벤젠을 알릴 클로라이드로 알킬화하여 베타 클로로프로필벤젠을 만들고, 암모니아와 반응시켜 라세미 암페타민을 얻는다.[221]
  • 리터 반응: 알릴벤젠을 아세토니트릴과 황산에서 반응시켜 아세트아미드 중간체를 거쳐 암페타민을 만든다.[222][223]
  • 호프만 재배열 또는 쿠르티우스 재배열: 에틸 3-옥소부타노에이트영어를 메틸 아이오다이드와 벤질 클로라이드로 이중 알킬화하여 2-메틸-3-페닐-프로판산|2-메틸-3-페닐-프로판산영어을 만들고, 이를 재배열하여 암페타민을 합성한다.[224]


암페타민 합성에는 환원 반응이 많이 사용되며, 니트로기, 이민, 옥심 등 질소 함유 작용기가 관여한다.[8]

  • 크뇌베나겔 축합: 벤즈알데히드와 니트로에탄을 축합하여 페닐-2-니트로프로펜|페닐-2-니트로프로펜영어을 만들고, 이중 결합과 니트로기를 유기 산화 환원 반응으로 환원시킨다 (촉매 수소 첨가 반응 또는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 사용).[225][226]
  • 페닐아세톤과 암모니아 반응: 페닐아세톤과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이민 중간체를 만들고, 팔라듐 촉매 또는 수소화 알루미늄 리튬으로 수소화하여 1차 아민으로 환원시킨다.[225]


암페타민 합성 경로
방법반응 종류설명이미지
방법 1로이카트 반응페닐아세톤과 폼아미드를 반응시켜 N-포르밀암페타민을 생성한 후 가수분해--
방법 2프리델-크래프츠 알킬화벤젠을 알릴 클로라이드로 알킬화하여 베타 클로로프로필벤젠을 생성한 후 암모니아와 반응--
방법 3리터 반응알릴벤젠을 아세토니트릴과 황산에서 반응시켜 아세트아미드 중간체를 통해 암페타민 생성--
방법 4호프만 재배열 또는 쿠르티우스 재배열에틸 3-옥소부타노에이트를 이중 알킬화하여 2-메틸-3-페닐-프로판산으로 변환 후 재배열--
방법 5크뇌베나겔 축합벤즈알데히드와 니트로에탄을 축합하여 페닐-2-니트로프로펜을 생성한 후 환원--
방법 6페닐아세톤과 암모니아 반응페닐아세톤과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이민 중간체를 생성한 후 환원--
--


3. 약품명

현재 암페타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다양한 약품이 판매되고 있다. 대표적인 약품은 다음과 같다.[87][81][85]

암페타민 의약품
약품명성분특징
벤제드린(Benzedrine)라세미 암페타민 유리 염기과거 판매
이브케오(Evekeo)황산 암페타민라세미 암페타민(1:1) 함유
아데랄(Adderall)덱스트로암페타민, 레보암페타민덱스트로암페타민과 레보암페타민 3:1 비율
덱세드린(Dexedrine)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덱스트로암페타민(1:0) 함유, 에난티오머 순수 암페타민 제품
젠제디(Zenzedi)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덱스트로암페타민(1:0) 함유, 에난티오머 순수 암페타민 제품
비반스(Vyvanse)리스덱스암페타민덱스트로암페타민의 프로드럭



이 외에도 아데랄 XR, 마이다이시스, 아젠이스 ER, 아젠이스 XR-ODT, 다이아나벨 XR, 이베코 ODT 등이 있다. 이 중 이브케오는 황산 암페타민만을 함유하여 "암페타민"으로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는 유일한 제품이다.[87][81][85]

과거에는 벤제드린, 사이케드린(Psychedrine), 심파테드린(Sympatedrine) 등의 이름으로 라세미 암페타민 유리 염기가 판매되었고,[274] 레보암페타민은 시드릴(Cydril)로 판매되었다.[274]

4. 용도

암페타민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기면증(수면 장애), 비만, 그리고 리스덱스암페타민 형태로 폭식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87][81][34] 과거에는 우울증과 만성 통증에 대해 오프라벨영어 처방되기도 했다.[87][243] 미국에서의 주요 적응증은 ADHD, 기면증 및 비만이지만, 기면증과 비만에 대해서는 처방되는 경우가 드물다.

실험 의학에서는 1920년대(다이쇼 시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1935년경부터 서구에서 상품명 '''벤제드린'''으로 본격적으로 도입되었고, 미국에서는 1937년에 부작용이 없는 훌륭한 약으로 도입되어 '경이의 약'(wonder drug)이라고 불렸다.[287] 일본에서는 1941년경(태평양 전쟁 중)부터 '''제드린'''(다케다 제약), '''아고친'''(토야마 화학 공업)으로 도입되었다. 이 외에도 메스암페타민의 히로폰(다이니폰 제약)이나 호스피탄(산텐도) 등 20개 이상의 제약 회사가 당시 용어로 제권각성제를 판매하고 있었다.

암페타민이나 메스암페타민과 같은 각성제에는 "피로감 방지, 졸음 제거, 기력 앙양"과 같은 효능이 적혀 있었고, 병역에 사용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일의 능률 향상을 정신과 의사가 선전했다. 이러한 각성제는 야전의 병사나 군수 공장의 공원에게 능률 향상을 위해 사용되었다.[289] 한편, 1938년에는 암페타민으로 유발된 망상 상태가 보고되었고, 1958년에는 42례의 암페타민 정신병이 보고되어 각성 아민 정신병이라는 임상 단위가 확립되었다.[290]

1945년 종전 후, 일본 군부가 보유한 각성제 의약품이 민간에 방출되어 비행 청소년이나 매춘부에게 남용되었다. 남용자가 증가하면서 중독자 입원도 증가했고, 효능 표시가 취소되어 제조가 중단되는 등 단계적으로 취급이 엄격해졌지만, 밀조품도 유통되었다. 1951년에는 각성제 단속법이 제정되었다.

영화 『버로우즈의 아내』의 첫 장면에서도 1944년 뉴욕의 약국에서 벤제드린을 구입하는 장면이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959년(쇼와 34년)에 벤제드린 흡입기를 금지하고 암페타민 처방을 제한했지만, 불법적인 사용은 확산되었다.

사카구치 안고의 「도박사」에 따르면, 1947년(쇼와 22년) 쇼기 대국에서 기무라 요시오 전 명인과 마스다 고조 팔단의 대국 당시, 관전기를 담당한 안고가 술을 마시지 않는 기무라 전 명인에게 졸음을 쫓는 데 도움이 된다며 제드린을 권했고, 기무라가 이를 복용하고 대국에 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당시에는 암페타민의 부작용이 알려지지 않아 대국용 피로 억제제로 사용되었지만, 1년 뒤인 1948년에 일반 판매가 금지되었다.

군대에서는 조종사에게 피로 억제제 및 경계 태세 유지를 위해 암페타민을 투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과거 미국 공군덱스트로암페타민(아데랄, 덱세드린)을 파일럿의 자극제로 사용하여 'go-pills'라고 불렀다. 작전 후에는 파일럿이 잠들 수 있도록 'no-go pill'이라고 불리는 항불안제이자 수면 유도제(졸피뎀 또는 벤조디아제핀 계열 수면제인 테마제팜)이 제공되었다. 최근에는 모다피닐 등 암파킨 계열 약물의 발전으로 덱스트로암페타민에 의한 망상증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고 경계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암페타민은 장거리 트럭 운전사, 건설업 관련 노동자, 공장 작업자 등 노동 시간이 길거나 불규칙한 교대 근무자나 단조로운 반복 작업을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태국에서는 통조림 공장 노동자에게 생산성을 높일 목적으로 강제로 암페타민을 투여한 사례가 보고되었다.[291] 화이트칼라 역시 장시간의 과밀한 스케줄 동안 주의력을 유지하거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암페타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머리 좋아지는 약"으로 남용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292]

전후, 암페타민은 스포츠 세계에도 퍼졌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암페타민을 투여받은 덴마크의 자전거 선수 누트 에네마르크 옌센이 경기 후 사망한 이후 도핑 방지책이 추진되기 시작했고, 1974년 암페타민은 금지 약물로 지정되었다. 2014년 현재 세계 반도핑 기구(WADA)의 "금지 목록"에서 "흥분제"로 분류되어 있다.[293] 만년의 역도산도 쇠퇴한 힘을 감추기 위해 복용하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다쓰루하마 히로시의 입에서 나왔다.

4. 1. 의료

암페타민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기면증(수면 장애), 비만, 리스덱스암페타민 형태로 폭식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87][81][34] 과거에는 우울증과 만성 통증에 대해 처방되기도 했다.[87][243]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 콘서타 등)와 함께 ADHD의 표준 치료제로 사용된다. ADHD 치료제인 아데랄은 4종의 암페타민 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데랄 XR은 동일한 염의 서방성 제제 버전이다. 적절한 용법 및 용량을 준수하면 식욕 감퇴 등의 부작용은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된다. 그러나 메틸페니데이트보다 체내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어 식욕 및 수면에 관한 부작용이 더 심한 경향이 있다. 암페타민의 유익한 효과로는 충동 억제력, 집중력 증가, 감각 기관에 대한 과잉 자극 및 피자극성 감소 등이 있다.

기면증 등의 수면 장애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21세기에는 모다피닐과 같은 새로운 약제도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습관성이나 신체 의존성을 유발하지 않고 장기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난치성 항우울 치료에도 사용되기도 한다.

약리학적으로 유사한 약물인 마진돌은 비만의 체중 감량 용도로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사노렉스가 승인되었다.

Diagram of TAAR1 organ-specific expression and function
370px


장기간의 고용량 암페타민 노출은 일부 동물 종에서 비정상적인 도파민 수용체 발달 또는 신경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14][15] ADHD를 앓고 있는 인간의 경우, 치료 용량의 제약 암페타민을 장기간 사용하면 뇌 발달과 신경 성장이 개선되는 것으로 보인다.[16][17][18] 자기 공명 영상(MRI) 연구에 대한 검토 결과, 암페타민을 장기간 치료하면 ADHD 환자에게서 발견되는 뇌 구조와 기능의 이상이 감소하고, 기저핵의 오른쪽 꼬리 핵과 같은 뇌의 여러 부분에서 기능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6][17][18]

임상 자극제 연구에 대한 검토에서는 ADHD 치료를 위한 장기간의 지속적인 암페타민 사용의 안전성과 효과가 확립되었다.[19][21][20] ADHD 치료를 위한 2년간의 지속적인 자극제 요법에 대한 무작위 대조 시험은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19][21] 두 건의 검토 결과에 따르면 ADHD에 대한 장기간의 지속적인 자극제 요법은 ADHD의 핵심 증상(예: 과잉 행동, 부주의, 충동성)을 줄이고, 삶의 질과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며, 학업, 반사회적 행동, 운전, 비의학적 약물 사용, 비만, 직업, 자존감, 서비스 사용(예: 학업, 직업, 건강, 재정, 법률 서비스), 사회 기능 등 9가지 결과 범주에서 개선을 가져오는 데 효과적이다.[19][20] 한 검토에서는 어린이의 ADHD에 대한 9개월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 암페타민 치료를 통해 평균 4.5 지능 지수 포인트가 증가하고, 주의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파괴적인 행동과 과잉 행동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1] 또 다른 검토에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가장 긴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기에 시작하는 평생 자극제 요법이 ADHD 증상을 지속적으로 제어하는 데 효과적이며 성인이 되어 물질 사용 장애가 발생할 위험을 줄인다고 밝혔다.[19]

현재 ADHD 모델은 ADHD가 뇌의 일부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기능적 손상과 관련이 있다고 시사한다;[22] 이러한 기능적 손상은 중변연계 투사에서 손상된 도파민 신경 전달과 청반핵에서 전전두피질로의 노르아드레날린성 투사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신경 전달을 포함한다.[22] 메틸페니데이트 및 암페타민과 같은 자극제는 이러한 시스템의 신경 전달 물질 활동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ADHD 치료에 효과적이다.[58][22][23] 이러한 자극제를 사용하는 사람의 약 80%가 ADHD 증상이 개선된다.[24] 자극제 약물을 사용하는 ADHD 어린이는 일반적으로 동료 및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가 더 좋고, 학교 성적이 더 좋고, 덜 산만하고 충동적이며, 주의 지속 시간이 더 길다.[25][26] 코크란 리뷰는 제약 암페타민으로 아동, 청소년 및 성인의 ADHD 치료에 대한 단기 연구에서 이러한 약물이 증상의 심각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작용으로 인해 비자극성 약물보다 중단률이 더 높다고 밝혔다.[28][29] 뚜렛 증후군과 같은 틱 장애가 있는 어린이의 ADHD 치료에 대한 코크란 리뷰는 일반적으로 자극제가 을 악화시키지 않지만, 덱스트로암페타민의 고용량은 일부 개인의 틱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30]

폭식 장애(BED)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강박적인 폭식 에피소드로 특징지어진다.[31] 이러한 에피소드는 종종 뚜렷한 고통과 식사에 대한 통제력 상실감을 동반한다.[31] BED의 병태생리학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피질-선조체-시상-피질 고리를 따라 기능 장애적인 도파민성 보상 회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32][33] 2024년 7월 현재, 리스덱스암페타민은 BED에 대해 USFDA 및 TGA의 승인을 받은 유일한 약물 요법이다.[34][35] 증거에 따르면 리스덱스암페타민의 BED 치료 효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BED와 ADHD 간의 정신 병리적 중첩에 의해 뒷받침되며, 후자는 또한 리스덱스암페타민으로 치료받는 데 도움이 되는 인지 통제 장애로 개념화된다.[32][33]

BED에 대한 리스덱스암페타민의 치료 효과는 주로 약리학적으로 활성 대사산물인 덱스트로암페타민으로 전환된 후 중추 신경계에서 직접적인 작용을 포함한다.[35] 덱스트로암페타민은 행동의 인지 조절을 조절하는 전전두피질 부위에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신경전달물질 활동을 증가시킨다.[32][35] ADHD에서의 치료 효과와 유사하게, 덱스트로암페타민은 인지 통제를 향상시키고 지배적인 식사 반응을 무효화하는 데 책임이 있는 인지 과정을 향상시킴으로써 BED 환자의 충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폭식 에피소드에 선행한다.[32][36][37] 또한, 덱스트로암페타민의 중추 신경계 외부에서의 작용 또한 BED에서의 치료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덱스트로암페타민은 지방 세포에서 노르아드레날린성 신호를 통해 지방 분해를 유발하여 트리글리세리드를 혈장으로 방출하여 연료 기질로 사용하게 한다.[33][38]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또한 음식 섭취 및 체중 조절과 관련된 위장관을 따라 말초 기관에서 TAAR1을 활성화시킨다.[39] 이러한 작용은 함께 식사에 대한 식욕 억제 효과를 부여하여 식사에 대한 포만감을 촉진하고, 이차적인 효과로 폭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37][39]

무작위 대조 시험에 대한 의학 검토에 따르면 50–70 mg 사이의 용량에서 리스덱스암페타민은 성인의 중등도-중증 BED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이러한 검토는 리스덱스암페타민이 BED 치료에 지속적으로 효과적이며 주당 폭식 일수 및 폭식 에피소드의 상당한 감소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메타 분석적 체계적 검토는 연구 기간 동안 폭식 일수를 줄이는 데 리스덱스암페타민이 효과적인 상태로 유지되었음을 보고하는 개방 표지, 12개월 연장 안전성 및 내약성 연구를 강조했다.[37] 검토와 메타 분석적 체계적 검토 모두 리스덱스암페타민이 지속적인 폭식 중단, 강박 관련 폭식 증상 감소, 체중 감소 및 트리글리세리드 감소를 포함한 여러 이차 결과 측정에서 위약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했다.[33][37] 모든 제약 암페타민과 마찬가지로 리스덱스암페타민은 BED 및 공존 질환 모두에 치료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식욕 억제 효과가 있다.[34][37] BED 진단을 받은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신경 영상 연구 검토에 따르면 리스덱스암페타민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신경 가소성이 도파민 및 노르아드레날린 경로에서 약물 중단 후에도 관찰되는 식사 행동 조절의 지속적인 개선에 관여할 수 있다.[34][35][37]

기면증은 과도한 주간 졸음, 탈력 발작, 수면 마비와 관련된 만성적인 수면-각성 장애이다.[41] 기면증 환자는 1형 또는 2형으로 진단되며, 1형에서만 탈력 발작 증상이 나타난다.[42] 1형 기면증은 약 70,000개의 오렉신 분비 뉴런이 외측 시상하부에서 손실되어 뇌척수액 오렉신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여 발생한다.[43][44] 이러한 감소는 1형 기면증의 진단적 생체 지표이다.[42] 외측 시상하부 오렉신 뉴런은 상행성 망상 활성 시스템(ARAS)의 모든 구성 요소, 즉 노르에피네프린성, 도파민성, 히스타민성 및 세로토닌성 핵을 지배하며, 이들은 각성을 촉진한다.[44][45]

암페타민의 기면증 치료 작용 기전은 주로 ARAS에서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43][46][47] 여기에는 청반핵의 노르에피네프린성 뉴런, 복측 피개 영역의 도파민성 뉴런, 유두체 핵의 히스타민성 뉴런, 배측 솔기 핵의 세로토닌성 뉴런이 포함된다.[45][47] 암페타민의 더 도파민성 이성질체인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도파민 방출이 다른 모노아민에 비해 피질 활성화와 인지적 각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성을 촉진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43] 반대로, 레보암페타민은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영향에 더 민감한 증상인 탈력 발작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43] ARAS의 노르에피네프린성 및 세로토닌성 핵은 REM 수면 주기를 조절하는 데 관여하며 "REM-off" 세포로 작용하며, 암페타민이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에 미치는 영향은 REM 수면 억제에 기여하고 고용량에서 탈력 발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43][42][45]

미국 수면 의학회(AASM) 2021년 임상 진료 지침은 1형 및 2형 기면증 치료에 덱스트로암페타민을 조건부로 권장한다.[48] 제약 암페타민을 사용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다른 자극제(예: 모다피닐)보다 선호도가 낮으며 3차 치료 옵션으로 간주된다.[49][50][51] 의학적 검토에 따르면 암페타민은 기면증 치료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다.[43][49][48] 암페타민은 과다 수면과 관련된 증상을 개선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3건의 검토에서 기면증 환자에서 졸음이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3][49][48] 또한, 이러한 검토에 따르면 암페타민은 용량 의존적으로 탈력 발작 증상을 개선할 수 있다.[43][49][48]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 대한 증거의 질은 낮고, 결과적으로 AASM의 기면증 치료 옵션으로 덱스트로암페타민을 조건부로 권장하는 데 반영되어 있다.[48]

4. 2. 능력 향상

2015년, 여러 임상 시험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 결과, 암페타민을 저용량(치료 용량)으로 사용하면 건강한 성인의 작업 기억, 장기 일화 기억, 억제 제어 및 일부 주의력 측면에서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52][53] 이러한 효과는 전전두피질에서 도파민 D1 수용체와 α2-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간접 활성화를 통해 나타난다.[58][52] 2014년의 체계적 문헌 고찰에서는 저용량 암페타민이 기억 고정을 개선하여 정보 회상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했다.[54] 치료 용량의 암페타민은 피질 네트워크 효율성을 향상시켜 작업 기억 개선을 돕는다.[58][55]

암페타민과 같은 ADHD 자극제는 과제 샐리언스(과제 수행 동기)를 개선하고 각성을 증가시켜 목표 지향적 행동을 촉진한다.[58][56][57] 어렵고 지루한 과제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일부 학생들은 학습 및 시험 준비 보조제로 사용한다.[58][57][59] 대학생의 5–35%가 전용된 ADHD 자극제를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해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다.[60][61][62] 그러나 치료 범위를 초과하는 고용량의 암페타민은 작업 기억 및 인지 제어의 다른 측면을 방해할 수 있다.[58][57]

수학자 에르되시은 암페타민을 상용했으며, 복용을 중단했을 때 연구가 잘 되지 않았다고 한다. 미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머리 좋아지는 약"으로 남용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292]

4. 3. 오락

암페타민, 특히 도파민 작용이 더 강한 덱스트로암페타민(d-암페타민)은 쾌락제 및 최음제로 오락용으로 사용된다.[73][74] 덱스트로암페타민은 개인이 약물 복용 후 일반적으로 행복감, 민첩성, 활력 증가를 보고하기 때문에 오용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77]

1960년대 영국 모드 하위 문화에서는 암페타민을 오락용으로 사용했으며, 트위스티드 휠 클럽과 같은 클럽에서 밤새도록 춤을 추는 데 사용되었다.[75] 모드는 술, 다른 약물로 인한 약물 중독과는 다른 자극과 경계심을 위해 암페타민을 사용했다.[75] 앤드루 윌슨 박사는 암페타민이 "똑똑하고, 재치 있고, 쿨한 이미지를 상징"했으며, "취기가 아닌 자극 [...] 더 나은 인식, 도피가 아닌" 그리고 "이전 세대의 음주] 난동]보다는

5. 금기

화학 물질 안전 국제 프로그램(IPCS)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약물 남용 병력이 있거나 심혈관 질환, 심한 흥분 또는 불안이 있는 사람은 암페타민 사용이 금기이다.[81][71][92] 또한 진행된 동맥경화(동맥 경화), 녹내장(안압 증가),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도한 갑상선 호르몬 생산), 중등도에서 중증의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도 금기이다.[81][71][92]

다른 자극제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였거나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MAOI)를 복용하는 사람도 암페타민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81][71][92] 다만, 암페타민과 MAOI의 안전한 병용이 보고된 사례는 있다.[82][83]

신경성 식욕 부진증, 양극성 장애, 우울증, 고혈압, 간 또는 신장 문제, 조증, 정신병, 레이노 현상, 발작, 갑상선 문제, 또는 뚜렛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암페타민 복용 시 증상을 관찰해야 한다.[71][92]

사람 대상 연구에 따르면 치료 목적의 암페타민 사용은 태아나 신생아에게 발달 이상을 유발하지 않지만(즉, 기형 발생 물질이 아님), 암페타민 남용은 태아에게 위험하다.[92] 암페타민은 모유로도 분비되므로 IPCS와 FDA는 수유 중 암페타민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71][92] FDA는 암페타민 제제를 처방받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키와 몸무게를 관찰하여 가역적인 성장 손상 가능성에 대비할 것을 권고한다.[71]

6. 부작용

암페타민의 부작용은 사용량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71][64] 애더럴, 덱세드린 등 치료 목적의 암페타민 제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 장기 사용이 가능하지만,[12][71] 오락적 사용은 다량을 사용하므로 심각한 부작용 위험이 더 크다.[64]

암페타민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방출을 촉진하고 재흡수를 억제한다.[286]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 콘서타 등)와 함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및 기면증 치료에 쓰이며,[286] 충동 억제, 집중력 증가 등 유익한 효과가 있지만 식욕 감퇴 등 부작용도 있다.

과거 미국 공군은 파일럿에게 덱스트로암페타민을 'go-pills'로 지급해 각성 상태를 유지하게 했고, 작전 후에는 'no-go pill' (항불안제 및 수면 유도제)을 제공했다.[286] 최근에는 모다피닐 등 약물이 개발되어 덱스트로암페타민 부작용 없이 경계 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장거리 트럭 운전사, 건설 노동자, 공장 작업자 등도 암페타민을 사용하며, 화이트칼라나 대학생들도 학업 능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291][292] 수학자 에르되시도 암페타민을 사용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암페타민을 투여받은 덴마크 선수가 사망한 후 도핑 방지책이 강화되었고, 1974년 암페타민은 금지 약물로 지정되었다.[293]

단기적 생리적 효과는 식욕 감퇴, 신체 능력 향상, 성욕 증가, 발한 증가, 활동 항진, 빈맥, 혈압 상승, 두통 등이다. 장기 복용 시 떨림, 불안, 수면 장애, 피부 트러블, 반사 항진, 과호흡, 소화기 문제, 면역 약화, 심장 손상, 뇌졸중, 간/신장/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급성 중독 시 정신병, 지남력 상실, 조현병 유사 증상, 공격성 증가, 망상, 고체온증,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열사병에는 냉각 담요, 벤조디아제핀안정제로 불안감을 억제하고, 할로페리돌로 운동량 항진 및 망상에 대처하며, 고혈압부정맥에도 대처해야 한다.

암페타민은 내성이 빠르게 나타나 의존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불안, 우울증, 불면증, 자살 충동 등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반복 사용 시 정신병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 중단 후에도 재발하기 쉽다.[295]

6. 1. 신체적 부작용

심혈관 부작용으로는 미주신경 반응에 의한 고혈압 또는 저혈압, 레이노 현상(손발의 혈류 감소), 빈맥(심박수 증가) 등이 있다.[71][64][84] 남성의 성적 부작용으로는 발기 부전, 잦은 발기 또는 지속 발기가 있을 수 있다.[71] 복통, 변비, 설사, 구역질은 위장관계 부작용에 해당한다.[87][71][85]

기타 잠재적인 신체적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87][71][64][84][85][86]

  • 식욕 부진
  • 흐린 시야
  • 구강 건조
  • 과도한 이갈이
  • 코피
  • 과도한 발한
  • 약물성 비염(약물 유발성 코 막힘)
  • 감소된 발작 역치
  • (일종의 운동 장애)
  • 체중 감소


일반적인 제약 용량에서는 위험한 신체적 부작용은 드물다.[64]

암페타민은 호흡 중추를 자극하여 더 빠르고 깊은 호흡을 유발한다.[64] 치료 용량에서 정상적인 사람에게는 이 효과가 일반적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호흡이 이미 손상된 경우에는 나타날 수 있다.[64] 암페타민은 또한 배뇨를 조절하는 근육인 방광 방광 괄약근의 근육 수축을 유도하여 배뇨 곤란을 초래할 수 있는데,[64] 이러한 효과는 야뇨증 및 방광 조절 상실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64] 암페타민이 위장관에 미치는 영향은 예측 불가능하다.[64] 장 활동이 높으면 암페타민은 위장 운동성(내용물이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는 속도)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64] 암페타민은 소화관의 평활근이 이완되면 운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64] 암페타민은 또한 약간의 진통 효과가 있으며 오피오이드의 진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87][64]

2011년 FDA가 의뢰한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 청소년, 성인에서 심각한 심혈관 부작용(급사, 심근 경색, 뇌졸중)과 암페타민 또는 기타 ADHD 자극제의 의학적 사용 사이에는 관련이 없다.[88][89][90][91] 그러나 암페타민 제제는 심혈관 질환이 있는 개인에게 금기이다.[71][92][88][90]

단기적인 생리적 효과로는 식욕 감퇴, 지구력 및 신체 능력 향상, 성욕·성감 증가, 불수의 운동, 발한량 증가, 활동 항진, 신경 과민, 구토, 가려움증, 종기·기름진 피부, 빈맥, 부정맥, 혈압 상승, 두통이 있다. 효과가 사라진 후에는 피로감이 나타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장기적(습관적) 복용 또는 과량 복용으로 인한 효과로는 떨림, 불안정한 상태, 수면 시간대 변동, 피부 트러블, 반사 항진, 과호흡, 소화기 계통의 협착, 면역 약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흥분기 후에는 피로·우울 상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장기간 사용하면 발기 부전, 심장 손상, 뇌졸중, 간장·신장·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흡입하면 비강 내부가 헐기도 한다.

6. 2. 심리적 부작용

정상적인 치료 용량에서 암페타민의 가장 흔한 심리적 부작용으로는 경계, 불안, 집중력, 진취성, 자신감 및 사교성 증가, 기분 변화(고조된 기분 뒤에 약간의 우울한 기분 동반), 불면증 또는 각성, 피로 감소 등이 있다.[71][64] 덜 흔한 부작용으로는 불안, 성욕 변화, 과대망상, 과민성, 반복적이거나 강박적인 행동, 안절부절못함 등이 있다.[71][64] 이러한 영향은 사용자의 성격과 현재 정신 상태에 따라 다르다.[64]

암페타민 정신증(예: 망상편집증)은 과다 복용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71][95][96] 매우 드물지만, 이 정신증은 장기 치료 중 치료 용량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71][96][97]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자극제가 공격적인 행동이나 적대감을 유발한다는 "체계적인 증거는 없다".[71]

암페타민은 또한 치료 용량의 인간에게서 조건적 장소 선호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28][98] 이는 개인이 이전에 암페타민을 사용했던 장소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98]

단기적인 정신적 작용으로는 주의력 항진, 다행감, 집중력 증가, 다변, 타인에 대한 신뢰감 증대, 사교성 향상, 안진, 환각, 복용 후의 렘 수면 소실이 나타날 수 있다.

장기적인 정신적 영향으로는 불면,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정신 상태, 공격성 증가(정신 분열증에는 수반되지 않음), 금단 증상을 동반하는 습관성 획득 및 의존증 발병, 과민성 증가, 혼란, 공황이 있다. 만성적으로 또는 상당히 장기간 복용하면 각성제 정신병에 빠져 망상과 파라노이아가 일어나지만, 처방된 용량을 지키면 가능성은 낮다. 암페타민은 정신적 의존성이 매우 강하고, 만성적인 복용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매우 빠르게 내성이 획득된다. 암페타민 금단은 생명에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는 알코올 등에 비해 어렵지 않지만, 불쾌한 경험을 동반한다. 파라노이아, 우울, 호흡 곤란, 불안, 위 운동・위통, 기면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 있다. 이 때문에 상용자는 빈번하게 금단에 실패하는데, 이는 내성 획득 및 의존증으로 이어지기 쉬움을 보여준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유해 사례 보고 시스템(AERS)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살인이나 폭력 등 타해 행위 보고를 조사한 결과, 암페타민은 4위로 9.6배였다. 내성이 빠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양이 증가한다. 암페타민 의존증 환자에게는 불안, 불안, 우울증, 불면증, 자살 충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많은 상용자는 금단 증상 중에 더 많은 양의 암페타민을 섭취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는 매우 위험한 상태이며, 금단을 돕기 위해 다른 약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반복적인 사용으로 정신병 증상(조현병과 유사)을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각성 작용이 소량의 사용으로도 강해지는 역내성(감작)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시 남용하면 정신병 증상이 재발하기 쉽다.[295]

소변 검사로 암페타민의 존재가 확인되는 환자에게는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지지 치료가 중요하다.

일단 의존증에 걸리면 장기간 약물에서 벗어나 있어도 사소한 계기로 다시 원래의 의존증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7. 강화 장애

암페타민의 장기적인 정신적 영향으로는 불면,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정신 상태, 공격성 증가, 습관성 획득 및 의존증 발병, 과민성 증가, 혼란, 공황 등이 있다. 만성적으로 또는 상당히 장기간 복용하면 각성제 정신병에 빠져 망상과 파라노이아가 나타날 수 있지만, 처방된 용량을 지키면 가능성은 낮다.[295]

암페타민은 정신적 의존성이 매우 강하며, 만성적인 복용은 내성의 빠른 획득으로 이어진다. 암페타민 금단은 알코올 등에 비해 생명에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불쾌한 경험을 동반한다. 파라노이아, 우울, 호흡 곤란, 불안, 위 운동・위통, 기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 때문에 상용자는 빈번하게 금단에 실패하는데, 이는 내성 획득 및 의존증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유해 사례 보고 시스템(AERS) 데이터를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암페타민은 살인이나 폭력 등 타해 행위 보고에서 4위를 차지했다. 암페타민 의존증 환자에게는 불안, 우울증, 불면증, 자살 충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많은 상용자는 금단 증상 중에 더 많은 양의 암페타민을 섭취하는 악순환을 반복한다.

반복적인 암페타민 사용은 정신병 증상(조현병과 유사)을 유발할 수 있으며, 사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각성 작용이 소량의 사용으로도 강해지는 역내성(감작)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시 남용하면 정신병 증상이 재발하기 쉽다. 소변 검사로 암페타민의 존재가 확인되는 환자에게는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으며, 지지 치료가 중요하다. 일단 의존증에 걸리면 장기간 약물에서 벗어나 있어도 사소한 계기로 다시 원래의 의존증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7. 1. 중독

중독은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암페타민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심각한 위험이 있지만, 치료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99][100][49] 실제로, 소아기에 시작하는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에 대한 평생 자극제 치료는 성인이 되었을 때 물질 사용 장애가 발생할 위험을 줄여준다.[19] 복측 피개 영역에서 nucleus accumbens로 연결되는 도파민 경로인 중변연계 경로의 병적인 과활성화는 암페타민 중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02][123]

고용량으로 암페타민을 자주 자가 투여하는 개인은 암페타민 중독에 걸릴 위험이 높다. 고용량으로 만성적으로 사용하면 중독의 "분자 스위치"이자 "마스터 제어 단백질"인 accumbal ΔFosB의 수준이 점차 증가하기 때문이다.[103][114] 일단 nucleus accumbens ΔFosB가 충분히 과발현되면, 더 많은 발현 증가와 함께 중독 행동(예: 강박적인 약물 탐닉)의 심각성을 증가시키기 시작한다.[103][129]

현재 암페타민 중독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은 없지만, 규칙적으로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은 그러한 중독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126][104] 운동 치료는 임상 치료 결과를 개선하며, 중독에 대한 행동 치료와 함께 보조 치료로 사용될 수 있다.[126][127]

과도한 용량의 암페타민을 만성적으로 사용하면 전사 및 후성 유전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하는 중뇌변연계 투사에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일으킨다.[114][105][117]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전사 인자는 ''델타 FBJ 마우스 골육종 바이러스 종양 유전자 동족체 B''(ΔFosB),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CREB), ''핵 인자 카파 B''(NF-κB)이다.[114]

ΔFosB는 중독에서 가장 중요한 생체 분자 메커니즘으로, 핵의 측좌핵의 D1형 중형 가시 뉴런에서 ΔFosB의 과발현은 중독과 관련된 많은 신경 적응에 필수적이고 충분하며, 여러 행동 효과(예: 보상 민감화 및 약물 자가 투여 증가)를 조절한다.[103][114] ΔFosB가 충분히 과발현되면 중독 상태를 유도하고, ΔFosB 발현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심각해진다.[103] 이는 알코올 중독, 칸나비노이드, 코카인, 메틸페니데이트, 니코틴, 아편유사제, 펜시클리딘, 프로포폴, 대체 암페타민 등의 중독과 관련이 있다.[103][129][114][107][108]

ΔJunD는 전사 인자이고, G9a는 히스톤 메틸전달효소 효소로, 둘 다 ΔFosB의 기능을 억제하고 발현 증가를 억제한다.[114][109]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핵의 측좌핵에서 ΔJunD를 충분히 과발현시키면 만성적인 약물 남용에서 나타나는 많은 신경 및 행동 변화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114] 마찬가지로, 측좌핵 G9a 과발현은 현저하게 증가된 히스톤 3 라이신 잔기 9 후성 유전적 메틸화 (H3K9me2)를 유발하고 만성적인 약물 사용에 의한 ΔFosB 매개 신경 가소성 및 행동 가소성을 차단한다.[114][110][111][112] 이는 ΔFosB 및 H3K9me2 매개 다양한 ΔFosB 전사 표적(예: CDK5)에 대한 유전자 억제를 통해 발생한다.[114][109][110]

ΔFosB는 자연적 보상에 대한 행동 반응을 조절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기에는 맛있는 음식, 성행위, 운동 등이 포함된다.[129][114][113] 자연적 보상과 중독성 약물 모두 ΔFosB의 발현을 유도하므로, 이러한 보상을 만성적으로 획득하면 유사한 병리학적 중독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129][114] 결과적으로, ΔFosB는 암페타민 중독과 암페타민 유도 성 중독 모두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이는 과도한 성적 활동과 암페타민 사용으로 인한 강박적인 성적 행동이다.[129][115][116] 이러한 성 중독은 도파민 조절 장애 증후군과 관련이 있으며, 도파민성 약물을 복용하는 일부 환자에게서 발생한다.[129][113]

암페타민이 유전자 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용량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117] 유전자 조절 및 중독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매우 높은 용량의 정맥 내 암페타민 투여를 사용한 동물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117] 동등한 (체중 조절) 인체 치료 용량과 경구 투여를 사용한 몇몇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는 발생하는 경우 비교적 미미하다.[117] 이는 암페타민의 의학적 사용이 유전자 조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한다.[117]

장기적인 정신적 영향으로는 불면, 정신 분열증과 유사한 정신 상태, 공격성 증가(정신 분열증에는 수반되지 않음), 금단 증상을 동반하는 습관성 획득 및 의존증 발병, 과민성 증가, 혼란, 공황이 있다. 만성적으로 또는 상당히 장기간 복용하면 각성제 정신병에 빠져 망상과 파라노이아가 일어나지만, 처방된 용량을 지키면 가능성은 낮다.

암페타민은 정신적 의존성이 매우 강하고, 만성적인 복용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매우 빠르게 내성이 획득된다. 암페타민 금단은 생명에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는 알코올 등에 비해 어렵지 않지만, 불쾌한 경험을 동반한다. 파라노이아, 우울, 호흡 곤란, 불안, 위 운동・위통, 기면 등. 이 때문에 상용자는 빈번하게 금단에 실패하는데, 이는 내성 획득 및 의존증으로 이어지기 쉬움을 보여준다.

내성이 빠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양이 증가한다. 암페타민 의존증 환자에게는 불안, 불안, 우울증, 불면증, 자살 충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많은 상용자는 금단 증상 중에 더 많은 양의 암페타민을 섭취하는 사이클을 반복한다. 이는 매우 위험한 상태이며, 금단을 돕기 위해 다른 약물이 사용되기도 한다.

반복적인 사용으로 정신병 증상(조현병과 유사)을 나타낼 수 있으며, 사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각성 작용이 소량의 사용으로도 강해지는 역내성(감작)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다시 남용하면 정신병 증상이 재발하기 쉽다[295]

소변 검사로 암페타민의 존재가 확인되는 환자에게는 입원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지지 치료가 중요하다.

일단 의존증에 걸리면 장기간 약물에서 벗어나 있어도 사소한 계기로 다시 원래의 의존증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7. 2. 의존성 및 금단

중독은 레크리에이션 목적으로 암페타민을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심각한 위험이 따르지만, 치료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99][100][49]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에 대한 평생 자극제 치료는 소아기에 시작하면 성인이 되었을 때 물질 사용 장애 발생 위험을 줄여준다.[19] 복측 피개 영역에서 nucleus accumbens로 연결되는 도파민 경로인 중변연계 경로의 병적인 과활성화는 암페타민 중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02][123]

암페타민을 고용량으로 자주 자가 투여하는 개인은 암페타민 중독에 걸릴 위험이 높다. 고용량으로 만성적으로 사용하면 중독의 "분자 스위치"이자 "마스터 제어 단백질"인 accumbal ΔFosB의 수준이 점차 증가하기 때문이다.[103][114] 일단 nucleus accumbens ΔFosB가 충분히 과발현되면, 더 많은 발현 증가와 함께 중독 행동(예: 강박적인 약물 탐닉)의 심각성을 증가시키기 시작한다.[103][129] 현재 암페타민 중독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은 없지만,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은 그러한 중독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보인다.[126][104]

약물 내성은 암페타민 남용 시 빠르게 나타나며, 장기간 남용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약물의 용량을 점차 늘려야 한다.[130][131]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암페타민과 메스암페타민을 강박적으로 사용하는 개인의 금단 현상에 대해 "만성적으로 약물을 과다 복용한 사용자가 갑자기 암페타민 사용을 중단하면, 마지막 복용 후 24시간 이내에 일시적인 금단 증후군을 겪는 경우가 많다."라고 설명한다.[132] 이 리뷰에서는 만성적이고 고용량 사용자에게서 금단 증상이 자주 나타나며, 대략 88%의 경우에서 발생하고 3~4주 동안 지속되며, 첫 주 동안 현저한 "붕괴" 단계가 나타난다고 언급했다.[132] 암페타민 금단 증상으로는 불안, 약물 갈망, 우울한 기분, 피로, 식욕 증가, 움직임 증가 또는 움직임 감소, 의욕 부족, 불면 또는 졸음, 자각몽 등이 있을 수 있다.[132] 금단 증상의 심각성은 개인의 나이와 의존 정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132] 치료 용량으로 암페타민 치료를 중단하여 나타나는 경미한 금단 증상은 용량을 점차 줄여 복용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87]

암페타민 의존증 환자에게는 불안, 불안, 우울증, 불면증, 자살 충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많은 상용자는 금단 증상 중에 더 많은 양의 암페타민을 섭취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8. 과다 복용

암페타민 과다 복용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치명적인 경우는 드물다.[87][92][133] 과다 복용 증상의 심각성은 복용량에 따라 증가하고 암페타민에 대한 약물 내성에 따라 감소한다.[64][92] 내성이 있는 사람들은 하루에 최대 5g의 암페타민을 복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최대 일일 치료 용량의 약 100배에 해당한다.[92]

치명적인 암페타민 중독은 대개 경련 및 혼수를 동반한다.[71][64] 2013년에는 "암페타민 사용 장애"와 관련된 암페타민, 메스암페타민 및 기타 화합물의 과다 복용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3,788명(3,425~4,145명, 95% 신뢰 구간)이 사망했다.[134]

체계별 과다 복용 증상
체계경미하거나 보통 정도의 과다 복용[71][64][92]심각한 과다 복용
심혈관
중추 신경
계통
근골격
호흡
비뇨기
기타



급성 중독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정신병, 지남력 상실, 일시적인 조현병 유사 증상, 공격성 증가, 망상, 개구 장애, 설사, 심계항진, 부정맥, 실신, 고체온증, 경련을 일으켜 혼수에 이르는 반사 항진 등이 있다.

열사병이 발생했을 때는 냉각 담요가 효과적이다. 로라제팜이나 디아제팜과 같은 벤조디아제핀안정제로 불안감을 억제할 수 있다. 할로페리돌(항정신병 약물의 일종)은 운동량 항진 및 망상에 효과를 보인다. 또한 고혈압이나 부정맥에도 대처해야 한다.

9. 약물 상호 작용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암페타민과 상호 작용하여 암페타민, 상호 작용하는 물질 또는 둘 다의 약물 작용 또는 약물 대사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1] 암페타민을 대사하는 효소 저해제 (예: CYP2D6 및 FMO3)는 암페타민의 제거 반감기를 연장시켜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도록 한다.[71] 암페타민은 또한 모노아민 산화 효소 억제제, 특히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억제제와 상호 작용한다. MAOI와 암페타민 모두 혈장 카테콜아민(즉,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71] 따라서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71]

암페타민은 대부분의 정신 활성 약물의 활성을 조절한다. 특히 암페타민은 진정제억제제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흥분제 및 항우울제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71] 암페타민은 혈압 및 도파민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항고혈압제 및 항정신병제의 효과도 감소시킬 수 있다.[71] 아연 보충은 ADHD 치료에 사용될 때 암페타민의 최소 유효 용량을 줄일 수 있다.[148]

일반적으로, 암페타민을 음식과 함께 섭취할 때 유의미한 상호 작용은 없지만, 위장 내용물과 소변의 pH는 각각 암페타민의 흡수 및 배설에 영향을 미친다.[71] 산성 물질은 암페타민의 흡수를 감소시키고 소변 배설을 증가시키며, 알칼리성 물질은 그 반대이다.[71] pH가 흡수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암페타민은 위장 pH를 증가시키는(즉, 산성도를 낮추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 및 H2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위산 감소제와도 상호 작용한다.[71]

10. 약리학

암페타민은 뇌의 보상 및 집행 기능 경로에서 신경 신호로 사용되는 모노아민의 작용 방식을 변화시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149][23] 특히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는 암페타민이 모노아민 수송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크게 증가한다.[149][23][150]

이러한 복합 작용에 의해 시냅스 내 신경 전달 물질의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고, 뉴런에서 대응하는 수용체로의 신경 임펄스 전달을 촉진한다.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레보암페타민보다 TAAR1에 더 강력하게 작용한다.[175] 그 결과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레보암페타민보다 중추신경계 자극을 더 크게 유발하지만, 레보암페타민은 심혈관 및 말초 효과가 약간 더 강하다.[64][175]

2017년 12월, 암페타민과 인간 탄산 탈수 효소의 상호 작용을 평가한 첫 번째 연구가 발표되었다.[184] 조사한 11개의 탄산 탈수 효소 중 암페타민은 7개를 활성화시켰으며, 그중 4개는 인간 뇌에서 많이 발현되며, 낮은 나노몰에서 낮은 마이크로몰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184]

인간 탄산 탈수 효소 활성 효능
효소KA (nM)
hCA494
hCA5A810
hCA5B2560
hCA7910
hCA12640
hCA1324100
hCA149150


10. 1. 약력학

암페타민은 주로 뇌의 보상 및 집행 기능 경로에서 카테콜아민 뉴런을 포함한 뇌의 모노아민을 신경 신호로 사용하는 방식을 변경하여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149][23] 보상 회로 및 집행 기능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는 암페타민이 모노아민 수송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용량 의존적으로 크게 증가한다.[149][23][150] 암페타민의 강화 및 동기 부여적 현저성 촉진 효과는 주로 중변연계 경로에서 도파민성 활성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58] 암페타민의 행복감 및 운동 자극 효과는 선조체에서 시냅스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농도를 증가시키는 정도와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274]

암페타민은 2001년에 발견된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GPCR)인 트레이스 아민 관련 수용체 1 (TAAR1)의 강력한 완전 효능제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뇌 모노아민 조절에 중요하다.[149][156] TAAR1을 활성화하면 아데닐릴 사이클레이스 활성화를 통해 사이클릭 아데노신 일인산 생산이 증가하고 모노아민 수송체 기능이 억제된다.[149][157] 모노아민 자가수용체 (예: D2 short, 시냅스 전 α2, 및 시냅스 전 5-HT1A)는 TAAR1과 반대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수용체는 함께 모노아민을 위한 조절 시스템을 제공한다.[149][120] 특히, 암페타민과 트레이스 아민은 TAAR1에 대한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갖지만, 모노아민 자가수용체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149][120] 영상 연구에 따르면 암페타민과 트레이스 아민에 의한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는 부위 특이적이며 관련 모노아민 뉴런에서 TAAR1의 존재에 따라 달라진다.[149]

암페타민은 신경 모노아민 수송체 외에도 소포 모노아민 수송체인 VMAT1 및 VMAT2와 SLC1A1, SLC22A3, 및 SLC22A5를 모두 억제한다. SLC1A1은 뉴런에 위치한 글루탐산 수송체인 흥분성 아미노산 수송체 3 (EAAT3)이고, SLC22A3은 별세포에 존재하는 신경 외 모노아민 수송체이며, SLC22A5는 고친화성 카르니틴 수송체이다. 암페타민은 식욕, 스트레스, 보상에 관여하는 신경 펩타이드인 코카인 및 암페타민 조절 전사체 (CART) 유전자 발현을 강력하게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91][164] 이는 ''생체 외''에서 뉴런 발달 및 생존의 관찰 가능한 증가를 유도한다.[191][165][166] CART 수용체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CART가 Gi/Go 결합 GPCR에 결합한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166][167] 암페타민은 또한 매우 높은 용량에서 모노아민 산화 효소를 억제하여 모노아민 및 트레이스 아민 대사를 줄이고 그 결과 시냅스 모노아민 농도를 높입니다.[168][169] 인간에서 암페타민이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시냅스 후 수용체는 5-HT1A 수용체이며, 여기서 낮은 마이크로몰 친화도로 작용제 역할을 한다.[182][183]

인간에서 암페타민의 단기 약물 효과는 주로 도파민,[170] 세로토닌,[149] 노르에피네프린,[149] 에피네프린,[171] 히스타민,[150] CART 펩타이드,[191][164] 내인성 오피오이드,[172][173][174] 부신피질자극 호르몬,[186][187] 코르티코스테로이드,[186][187]글루탐산,[154][160]의 증가된 세포 간 소통 또는 신경 전달을 통해 파생되며, 이는 CART, 5-HT1A, EAAT3, TAAR1, VMAT1, VMAT2 및 기타 생물학적 표적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영향을 미친다.[149][150][159][160][164][182] 암페타민은 또한 일곱 개의 인간 탄산 무수화 효소 효소를 활성화하며, 그 중 몇몇은 인간 뇌에서 발현된다.[184]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레보암페타민보다 TAAR1의 더 강력한 효능제이다.[175] 결과적으로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레보암페타민보다 더 큰 CNS 자극을 생성하며, 약 3~4배 더 크지만, 레보암페타민은 심혈관 및 말초 효과가 약간 더 강하다.[64][175]

특정 뇌 영역에서 암페타민은 시냅스 틈새의 도파민 농도를 증가시킨다.[149] 암페타민은 DAT를 통하거나 신경 세포막을 직접 확산하여 시냅스 전 뉴런에 들어갈 수 있다.[149] DAT 섭취의 결과로, 암페타민은 수송체에서 경쟁적 재흡수 억제를 생성한다.[149] 시냅스 전 뉴런에 들어가면, 암페타민은 단백질 키나아제 A (PKA) 및 단백질 키나아제 C (PKC) 신호를 통해 DAT 인산화를 유발하는 TAAR1을 활성화한다.[149] 두 단백질 키나아제에 의한 인산화는 DAT 세포내이입 (비경쟁적 재흡수 억제)을 유발할 수 있지만, PKC 매개 인산화만으로 DAT를 통한 도파민 수송의 역전을 유도한다(즉, 도파민 유출).[149][176] 암페타민은 또한 세포내 칼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확인되지 않은 Ca2+/칼모듈린 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 (CAMK) 의존성 경로를 통해 DAT 인산화와 관련되어 도파민 유출을 생성한다.[156][154][177] G 단백질 연결 내향성 정류 칼륨 채널을 직접 활성화하여, TAAR1은 도파민 뉴런의 발화율을 감소시켜 과도한 도파민 상태를 방지한다.[178][179][180]

암페타민은 또한 시냅스 전 소포성 모노아민 수송체, VMAT2의 기질이다.[150][181] VMAT2에서 암페타민 섭취 후, 암페타민은 소포 pH 기울기의 붕괴를 유도하여, VMAT2를 통한 도파민 유출을 통해 시냅스 소포에서 세포질로 도파민 분자를 방출한다.[150][151] 그 후, 세포질 도파민 분자는 DAT에서의 역수송을 통해 시냅스 전 뉴런에서 시냅스 틈새로 방출된다.[149][150][151]

도파민과 유사하게, 암페타민은 용량 의존적으로 시냅스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를 증가시키며, 이는 에피네프린의 직접적인 전구체이다.[206][23] 뉴런의 TAAR1 메신저 RNA 발현에 기초하여, 암페타민은 도파민과 유사하게 노르에피네프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149][150][176] 즉, 암페타민은 TAAR1 매개 유출 및 비경쟁적 재흡수 억제를 인산화된 NET에서 유도하고, 경쟁적 NET 재흡수 억제 및 VMAT2로부터 노르에피네프린 방출을 유도한다.[149][150]

암페타민은 도파민노르에피네프린에 미치는 효과와 유사하지만 덜 두드러진 효과를 세로토닌에 미친다.[149][23] 암페타민은 VMAT2를 통해 세로토닌에 영향을 미치며, 노르에피네프린과 마찬가지로 TAAR1을 통해 SERT를 인산화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49][150] 도파민과 마찬가지로 암페타민은 인간 5-HT1A 수용체에 낮은 마이크로몰 농도의 친화력을 갖는다.[182][183]

인간 탄산 탈수 효소 활성 효능
효소KA (nM)
hCA494
hCA5A810
hCA5B2560
hCA7910
hCA12640
hCA1324100
hCA149150



급성 암페타민 투여는 인간의 보상 회로의 여러 뇌 구조에서 내인성 오피오이드 방출을 증가시킨다.[172][173][174] 뇌의 주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염의 세포외 수준은 암페타민에 노출된 후 선조체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4] 이러한 세포외 글루탐산염의 증가는 아마도 도파민 뉴런에서 글루탐산염 재흡수 수송체인 EAAT3의 암페타민 유도 내재화를 통해 발생한다.[154][160] 암페타민은 또한 VMAT2를 통해 비만 세포로부터 히스타민의 선택적 방출과 유두체 핵에서 방출을 유도한다.[150] 급성 암페타민 투여는 또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을 자극하여 혈장 내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다.[81][186][187]

2017년 12월, 암페타민과 인간 탄산 탈수 효소의 상호 작용을 평가한 첫 번째 연구가 발표되었다.[184] 조사한 11개의 탄산 탈수 효소 중 암페타민은 7개를 강력하게 활성화시키고 그중 4개는 인간 뇌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낮은 나노몰에서 낮은 마이크로몰 활성화 효과를 나타냈다.[184] 전임상 연구에 따르면 뇌 탄산 탈수 효소 활성화는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탄산 탈수 효소 억제제의 임상적 사용에 따르면 다른 조직에서 탄산 탈수 효소 활성화는 녹내장을 악화시키는 안구 활성화와 같은 부작용과 관련될 수 있다.[189]

분자 수송체를 개구 채널로 하여 노르아드레날린과 도파민의 저장소를 신경 종말에서 방출한다. 또한, 시냅스 소포로부터 세로토닌의 저장소를 방출한다. 메틸페니데이트와 마찬가지로 암페타민은 도파민 및 노르아드레날린에 대응하는 모노아민 수송체를 억제하여 이들의 재순환을 방해한다. 이는 재흡수 억제 작용이라고 불리며, 그 결과 시냅스로의 도파민, 노르아드레날린의 축적을 이끈다.

10. 2. 약동학

암페타민의 경구 생체이용률은 위장관 pH에 따라 달라진다.[71] 암페타민은 장에서 잘 흡수되며 생체이용률은 일반적으로 90%이다.[190] 암페타민은 p''K''a가 9.9인 약산이다. 결과적으로 pH가 염기성일 때 약물의 더 많은 부분이 지질 용해성 유리 염기 형태로 존재하며, 지질이 풍부한 장 상피세포막을 통해 더 많이 흡수된다.[71] 반대로 산성 pH는 약물이 주로 수용성 양이온 (염) 형태로 존재하며 흡수가 덜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혈류에서 순환하는 암페타민의 약 20%는 혈장 단백질에 결합한다.[191] 흡수 후, 암페타민은 체내 대부분의 조직으로 쉽게 분포되며, 뇌척수액과 뇌 조직에 높은 농도로 나타난다.[192]

암페타민 반감기는 이성질체에 따라 다르며, 소변 pH에 따라 달라진다. 정상적인 소변 pH에서 덱스트로암페타민과 레보암페타민의 반감기는 각각 9–11시간과 11–14시간이다. 고도로 산성인 소변은 이성질체의 반감기를 7시간으로 줄인다.[192] 고도로 알칼리성인 소변은 반감기를 최대 34시간까지 증가시킨다.[192] 즉시 방출 및 서방형 제제의 두 이성질체 염은 각각 투여 후 3시간 및 7시간에 최대 혈장 농도에 도달한다. 암페타민 배설은 신장을 통해 이루어지며, 정상적인 소변 pH에서 약 30–40%가 변화 없이 배설된다. 소변 pH가 염기성일 경우 암페타민은 유리 염기 형태이므로 배설량이 적다. 소변 pH가 비정상적일 경우, 암페타민의 소변 회수율은 소변이 너무 염기성인지 산성인지에 따라 각각 1%에서 75%까지 다양할 수 있다. 경구 투여 후, 암페타민은 3시간 이내에 소변에 나타난다.[192] 섭취한 암페타민의 약 90%는 마지막 경구 투여 후 3일 이내에 배설된다.[192]

CYP2D6, 도파민 β-수산화 효소 (DBH), 플라빈 함유 모노옥시게나제 3 (FMO3), 부티르산-CoA 리가아제 (XM-리가아제), 글리신 ''N''-아실트랜스퍼라제 (GLYAT)는 인간에서 암페타민 또는 그 대사 산물을 약물 대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효소이다. 암페타민은 4-하이드록시암페타민, 4-하이드록시노르에페드린, 4-하이드록시페닐아세톤, 벤조산, 히푸르산, 노르에페드린, 페닐아세톤을 포함한 다양한 배설 대사 산물을 갖는다. 이러한 대사 산물 중 활성 교감신경 흥분제는 4-하이드록시암페타민,[196] 4-하이드록시노르에페드린,[197] 및 노르에페드린이다.[198] 주요 대사 경로는 방향족 파라-수산화, 지방족 알파 및 베타-수산화, ''N''-산화, ''N''-탈알킬화 및 탈아미노화가 포함된다.[199]

2019년에는 인간 장에서 흔히 발견되는 대장균 (''E. coli'') 균주의 티라민 산화 효소가 최초의 암페타민 대사 미생물 효소로 확인되었다.[203] 이 효소는 암페타민, 티라민, 페네틸아민을 세 가지 화합물 모두에 대해 거의 동일한 결합 친화도로 대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03]

10. 3. 관련 내인성 화합물

암페타민은 인체와 뇌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신경 조절 물질 분자인 내인성 트레이스 아민과 매우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149][206][204] 이 그룹 중에서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화합물은 암페타민의 모 화합물인 페네틸아민과 암페타민의 구조적 이성질체인 N-메틸페네틸아민이다.[149][206][205]

인간의 경우, 페네틸아민은 L-페닐알라닌에서 직접 생성되며, 이는 L-DOPA를 도파민으로 변환하는 방향족 아미노산 탈탄산효소(AADC) 효소에 의해 생성된다.[206][205] N-메틸페네틸아민은 노르에피네프린을 에피네프린으로 대사하는 것과 동일한 효소인 페닐에탄올아민 N-메틸전이효소에 의해 페네틸아민으로부터 대사된다.[206][205]

암페타민과 마찬가지로 페네틸아민과 N-메틸페네틸아민 모두 트레이스 아민 관련 수용체 1을 통해 모노아민 신경 전달을 조절한다.[149][204][205] 암페타민과 달리 이 두 물질은 모두 모노아민 산화 효소 B에 의해 분해되므로 암페타민보다 반감기가 짧다.[206][205]

11. 화학

암페타민은 화학식 C9H13N을 갖는 페네틸아민의 메틸 동족체이다. 1차 아민에 인접한 탄소 원자는 입체 중심이며, 암페타민은 레보암페타민과 덱스트로암페타민 두 거울상 이성질체의 라세미 1:1 혼합물로 구성된다.[191] 실온에서 순수한 암페타민 유리 염기는 특유의 강한 아민 냄새와 매운맛, 타는 듯한 맛을 지닌 이동성, 무색, 휘발성 액체이다.[207]

L-암페타민(levoamphetamine)과 D-암페타민(dextroamphetamine)의 골격 구조


흔히 제조되는 암페타민 고체 염에는 아디페이트,[208] 아스파르테이트,[71] 염산염,[209] 인산염,[210] 사카레이트,[71] 황산염,[71] 및 타네이트가 있다.[211] 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은 가장 흔한 순수 거울상 이성질체 염이다.[13] 암페타민은 여러 가지 정신 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치환된 암페타민 구조적 부류의 모 화합물이며,[191] 유기 화학에서는 의 입체 선택적 합성을 위한 훌륭한 키랄 리간드이다.[212]

1887년 첫 합성이 보고된 후,[239] 암페타민의 수많은 합성 경로가 개발되었다.[216][217] 합법적, 불법적 암페타민의 가장 일반적인 경로는 로이카트 반응(Leuckart reaction)으로 알려진 비금속 환원을 사용한다(방법 1).[13][225] 암페타민의 두 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해 여러 키랄 분할이 개발되었는데,[8] 예를 들어 라세미 암페타민을 d-주석산으로 처리하여 입체 이성질체 염을 형성하고, 이를 분별 결정화하여 덱스트로암페타민을 얻을 수 있다.[219] 키랄 분할은 광학적으로 순수한 암페타민을 대규모로 얻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8] 또한, 암페타민의 여러 입체 선택적 합성이 개발되었다.

고전적인 유기 반응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암페타민 대체 합성 경로가 개발되었으며,[216][217] 이들 중 상당수는 환원을 특징으로 하고 니트로기, 이민, 옥심 또는 기타 질소를 함유하는 작용기를 포함한다.[8]

'''암페타민 합성 경로'''
방법반응 종류이미지
방법 1로이카트 반응--
방법 2프리델-크래프츠 알킬화--
방법 3리터 반응--
방법 4호프만 재배열 및 쿠르티우스 재배열--
방법 5크뇌베나겔 축합--
방법 6페닐아세톤과 암모니아 사용--
기타암페타민의 키랄 분할 및 입체 선택적 합성--


11. 1. 치환된 유도체

암페타민의 치환 유도체 또는 "치환 암페타민"은 "골격"으로 암페타민을 함유하는 광범위한 화학 물질이다.[213][214] 구체적으로, 이 화학 계열에는 암페타민 핵심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치환기로 대체하여 형성된 유도체 화합물이 포함된다.[213] 이 계열에는 암페타민 자체, 메스암페타민과 같은 흥분제, MDMA와 같은 세로토닌성 공감각제, 에페드린과 같은 충혈 완화제와 기타 하위 그룹이 포함된다.[213][214]

1887년 루마니아의 화학자 라자르 에데레아누(Lazăr Edeleanu|라저르 에델레아누ro)가 베를린 대학교에서 처음으로 합성했다. 암페타민은 광학 이성질체를 가지며, 레보암페타민(L체)과 덱스트로암페타민(D체)으로 광학 분할할 수 있다. 암페타민은 많은 향정신성 의약품의 모체 골격이며, MDMA(엑스터시)나 메스암페타민(N-메틸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화합물군을 구성한다. 암페타민 자체는 페네틸아민의 유도체이다.

과거에는 황산 ''rac''-암페타민(''rac''는 라세미체를 나타냄)으로 합성되었다. 미국에서는 ''rac''-암페타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는 더 이상 제조되지 않는다. 오늘날에는 대부분 황산 덱스트로암페타민 형태로 사용된다.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에는 아데랄(Adderall), 덱세드린(Dexedrine) 또는 후발 의약품이 종종 사용되며, 여기에는 ''rac''-암페타민과 D-암페타민이 황산염과 사카레이트 형태로 D체와 L체가 3:1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다.

효과는 주로 D-암페타민에 의해 나타나며, L-암페타민은 이러한 작용이 사라진 후에 메스꺼움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11. 2. 체액에서의 검출

암페타민은 스포츠, 고용, 중독 진단 및 법의학적 목적을 위해 소변이나 혈액에서 자주 측정된다.[63][227][228][229] 암페타민 검사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면역 분석법은 여러 교감신경 흥분제와 교차 반응할 수 있다.[237] 이러한 위양성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암페타민에 특정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이 사용된다.[232]

처방 암페타민, 셀레길린 등의 처방 암페타민 프로드럭, 일반 의약품에 포함된 레보메탐페타민,[230][231] 또는 불법적으로 얻은 치환 암페타민의 출처를 구별하기 위해 키랄 분리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232][233][234] 벤즈페타민, 클로벤조렉스, 팜프로파존, 펜프로렉스, 리스덱스암페타민, 메소카브, 메스암페타민, 프레닐라민, 셀레길린 등 여러 처방약은 대사 물질로 암페타민을 생성하여 약물 검사에서 암페타민에 대해 양성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274][235][236]

암페타민은 일반적으로 표준 약물 검사로 약 24시간 동안만 검출되지만, 고용량의 경우 2~4일 동안 검출될 수 있다.[237]

한 연구에 따르면 암페타민 및 메스암페타민에 대한 효소 증폭 면역 분석법(EMIT) 분석법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탠덤 질량 분석법보다 더 많은 위양성을 생성할 수 있다.[233] (''S'')-(−)-trifluoroacetylprolyl영어 클로라이드를 유도체화제로 사용한 암페타민 및 메스암페타민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GC–MS)을 통해 소변에서 메스암페타민을 검출할 수 있다.[232] 모셔산 클로라이드를 키랄 유도체화제로 사용한 암페타민 및 메스암페타민의 GC–MS를 통해 소변에서 덱스트로암페타민과 덱스트로메탐페타민을 모두 검출할 수 있다.[232] 따라서 후자의 방법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양성 반응을 보이는 샘플에 대해 약물의 다양한 출처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32]

12. 역사, 사회, 문화

암페타민은 1887년 루마니아의 화학자 라자르 에델레아누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으며, '페닐이소프로필아민'으로 명명되었다.[239][240][241] 1927년 고든 앨리스가 이 물질의 흥분 효과와 교감신경 흥분제 특성을 보고하기 전까지는 그 효과가 알려지지 않았다.[241]

1933년 스미스, 클라인 앤 프렌치가 암페타민을 벤제드린이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흡입기 형태로 판매하면서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42] 3년 후 벤제드린 황산염이 출시되어 기면증, 비만, 저혈압, 성욕 감퇴, 만성 통증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었다.[243][24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암페타민과 메스암페타민은 연합군과 추축국 양측에서 흥분 및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널리 사용되었다.[239][244][245]

일본에서는 1941년경(태평양 전쟁 중)부터 '''제드린'''(다케다 제약), '''아고친'''(토야마 화학 공업) 등의 암페타민이 도입되었다.[288] 메스암페타민의 히로폰(다이니폰 제약), 호스피탄(산텐도) 등 20개 이상의 제약 회사도 각성제를 판매했다. "피로감 방지, 졸음 제거, 기력 앙양" 효능으로 선전되어 병사나 군수 공장 노동자들의 능률 향상을 위해 사용되었다.[289]

1945년 종전 후 군부의 각성제가 민간에 방출되어 비행 청소년, 매춘부 등이 남용했다.[289] 중독자 입원이 증가하고 제조가 중단되는 등 단계적으로 규제가 강화되었지만, 밀조품이 유통되기도 했다. 1951년 각성제 단속법이 제정되었다.

암페타민의 중독성이 알려지면서 각국 정부는 판매를 엄격히 통제하기 시작했다.[239] 1970년대 초 미국에서는 일정 II 통제 물질로 지정되었다.[246]

엄격한 통제에도 불구하고 암페타민은 작가,[247] 음악가,[248] 수학자,[249] 운동선수[63] 등 다양한 사람들이 합법적 또는 불법적으로 사용해왔다. 사카구치 안고의 「도박사」에는 쇼기 대국 중 졸음 방지를 위해 제드린을 권하는 이야기가 나온다. 당시에는 부작용이 알려지지 않아 대국용 피로 억제제로 사용되었으나, 1948년 일반 판매가 금지되었다.

과거 미국 공군은 파일럿의 자극제로 덱스트로암페타민을 사용했다. 최근에는 모다피닐 등 암파킨 계열 약물 덕분에 덱스트로암페타민의 부작용 없이 경계 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암페타민은 장거리 트럭 운전사, 건설 노동자, 공장 작업자 등 교대 근무자나 단조로운 반복 작업자, 그리고 화이트칼라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수학자 에르되시는 암페타민을 상용했으며, 복용 중단 시 연구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전후 암페타민은 스포츠계에도 퍼졌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암페타민을 투여받은 덴마크의 자전거 선수 누트 에네마르크 옌센 사망 이후 도핑 방지책이 추진되었고, 1974년 암페타민은 금지 약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세계 반도핑 기구 (WADA)의 "금지 목록"에서 "흥분제"로 분류된다.[293]

오늘날에도 암페타민은 은밀한 실험실에서 불법 합성되어 주로 유럽 암시장에서 판매된다.[250] 2012년 EU 회원국 내에서 약 5.9 미터톤의 불법 암페타민이 압수되었다.[252] 유럽 외 지역에서는 암페타민 불법 시장 규모가 메스암페타민 및 MDMA 시장보다 훨씬 작다.[250]

2016년 약물 사용자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2016년 약물 사용자 추정치 (백만 명)
물질최고
추정치
최저
추정치
암페타민-
유사 자극제
55.2413.42
대마초234.06165.76
코카인22.8513.87
엑스터시32.348.99
아편26.1513.80
오피오이드44.5427.01


12. 1. 법적 지위

국제 연합의 1971년 향정신성 물질에 관한 협약에 따라, 암페타민은 183개 모든 가입국에서 일정 II 통제 물질로 지정되었다.[253] 그 결과, 대부분의 국가에서 암페타민은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254][255] 대한민국일본[256][257]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의료 목적의 치환된 암페타민 사용도 금지하고 있다.

다른 국가들의 경우, 암페타민은 의료 목적으로 사용을 허용하는 제한적인 국가 약물 일정에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국가법적 지위
브라질클래스 A3[258]
캐나다일정 I 약물[259]
네덜란드리스트 I 약물[260]
미국일정 II 약물[246]
호주일정 8[261]
태국카테고리 1 마약[262]
영국클래스 B 약물[250][264]



국제적으로는 향정신성 의약품에 관한 조약 부표 II로 지정되어 있다.[296]

일본에서는 암페타민(페닐아미노프로판)이 각성제 단속법상 각성제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의료용으로 승인된 암페타민 제제는 없으며, 불법 소지 및 사용 시 10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다만,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요청에 따라 2020년 도쿄 올림픽 참가 선수에 한해 ADHD 치료제 반입을 허용하는 특별 조치법이 2021년 6월 9일 제정되었다.[297]

영국은 1964년 약물(오용 방지)법을 시작으로 규제를 시작했고, 1971년 약물 남용법 및 개정법을 통해 클래스 B 약물로 지정했다. 불법 소지 시 5년 이하(주사기 사용 시 7년 이하)의 금고형과 상한 없는 벌금형에 처해진다.[298]

미국에서 암페타민과 메스암페타민은 규제 물질법에 따라 스케줄 II 약물·정신 자극제로 분류된다. 스케줄 II는 남용 위험이 높고, 엄격한 제한 하에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심각한 생리적·심리적 의존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큰 약물에 해당한다.

12. 2. 의약품

현재 시판 중인 암페타민 제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여기에는 아데랄, 아데랄 XR, 마이다이시스, 아젠이스 ER, 아젠이스 XR-ODT, 다이아나벨 XR, 이베코, 이베코 ODT 등이 포함된다.[87][81][85] 이 중 이베코(이베코 ODT 포함)는 라세미 암페타민(황산 암페타민)만을 함유하는 유일한 제품으로, "암페타민"이라고 정확하게 지칭할 수 있다.[87][81][85] 덱스트로암페타민은 덱세드린과 젠제디라는 브랜드로 판매되며, 현재 시판 중인 유일한 에난티오머 순수 암페타민 제품이다. 덱스트로암페타민의 프로드럭 형태인 리스덱스암페타민도 시판되고 있으며, 비반스라는 브랜드로 판매된다. 리스덱스암페타민은 덱스트로암페타민으로 대사되기 전까지는 비활성 상태이다.[12][193]

암페타민 의약품은 대부분 염 형태이지만,[274][12][13] 2015년과 2016년에 유리 염기로 구성된 경구 현탁액 및 구강붕해정(ODT) 투여 형태가 도입되었다.[85][270][268]

다음은 현재 브랜드 중 일부와 해당 제네릭 의약품을 나열한 표이다.

암페타민 의약품
브랜드
이름
미국
채택
이름
(D:L) 비율투여
형태
판매
시작일
출처
아데랄3:1 (염)정제1996[274][12]
아데랄 XR3:1 (염)캡슐2001[274][12]
마이다이시스3:1 (염)캡슐2017[265][266]
아젠이스 ER암페타민3:1 (유리 염기)현탁액2017[267]
아젠이스 XR-ODT암페타민3:1 (유리 염기)ODT2016[268][269]
다이아나벨 XR암페타민3.2:1 (유리 염기)현탁액2015[85][270]
이베코황산 암페타민1:1 (염)정제2012[81][271]
이베코 ODT황산 암페타민1:1 (염)ODT2019[272]
덱세드린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1:0 (염)캡슐1976[274][12]
젠제디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1:0 (염)정제2013[12][273]
비반스리스덱스암페타민 디메실레이트1:0 (프로드럭)캡슐2007[274][193][275]
정제
젤스트림덱스트로암페타민1:0 (유리 염기)패치2022[276]



다음 표는 시판되는 암페타민 제제의 암페타민 유리 염기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시판 암페타민 제제 내 암페타민 유리 염기
약물분자식몰 질량암페타민 유리 염기동일 용량의
암페타민 유리 염기 함량
동일한 유리 염기
함량을 가진 용량
(g/mol)(백분율)(30 mg 용량)
유리 염기덱스트로-레보-덱스트로-레보-
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C9H13N)2•H2SO4368.49270.4173.38%73.38%22.0 mg30.0 mg
암페타민 황산염(C9H13N)2•H2SO4368.49270.4173.38%36.69%36.69%11.0 mg11.0 mg30.0 mg
아데랄62.57%47.49%15.08%14.2 mg4.5 mg35.2 mg
25%덱스트로암페타민 황산염(C9H13N)2•H2SO4368.49270.4173.38%73.38%
25%암페타민 황산염(C9H13N)2•H2SO4368.49270.4173.38%36.69%36.69%
25%덱스트로암페타민 사카레이트(C9H13N)2•C6H10O8480.55270.4156.27%56.27%
25%암페타민 아스파테이트 일수화물(C9H13N)•C4H7NO4•H2O286.32135.2147.22%23.61%23.61%
리스덱스암페타민 디메실레이트C15H25N3O•(CH4O3S)2455.49135.2129.68%29.68%8.9 mg74.2 mg
암페타민 유리 염기 현탁액C9H13N135.21135.21100%76.19%23.81%22.9 mg7.1 mg22.0 mg


참조

[1] 백과사전 amphetamine/dextroamphetamine http://reference.med[...] Medscape - WebMD 2016-01-21
[2] 서적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ndbook: A Physician's Guide to ADHD Springer
[3] 학술지 Onset of efficacy of long-acting psychostimulants in pediatric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8-09-00
[4] 웹사이트 Adderall- dextroamphetamine saccharate, amphetamine aspartate, dextroamphetamine sulfate, and amphetamine sulfate tablet https://dailymed.nlm[...] Teva Pharmaceuticals USA, Inc. 2019-11-08
[5]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s://pubchem.ncbi[...]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2016-11-05
[6]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s://commonchemis[...] American Chemical Society. CAS Common Chemistry
[7] 서적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 Goldbook
[8] 학술지 Amphetamine-Type Stimulants: The Early History of Their Medical and Non-Medical Uses Academic Press 2015-01-00
[9] 서적 Amphetamine Misuse: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urrent Trends https://archive.org/[...] Harwood Academic Publishers 1997
[10] 웹사이트 Amphetamine https://www.nlm.nih.[...]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11] 웹사이트 Guidelines on the Use of 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s (INNS) for Pharmaceutical Substance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7
[12] 웹사이트 National Drug Code Amphetamine Search Results https://www.accessda[...]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3] 웹사이트 Amphetamine http://www.emcdda.eu[...]
[14] 학술지 Toxicity of amphetamines: an update 2012-08-00
[15] 학술지 Abuse of amphetamines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in the brain 2008-10-00
[16] 학술지 Meta-analysis of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of inhibition and attention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xploring task-specific, stimulant medication, and age effects 2013-02-00
[17] 학술지 Effect of psychostimulants on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in ADHD: a qualitative literature review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based neuroimaging studies 2013-09-00
[18] 학술지 Meta-analysis of structural MRI studies in children and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dicates treatment effects 2012-02-00
[19] 학술지 Long-term outcomes with medication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urrent status of knowledge 2011-07-00
[20] 학술지 Effect of treatment modality on long-term outcomes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2015-02-00
[21] 서적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ndbook: A Physician's Guide to ADHD Springer
[22]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23] 학술지 Cognitive enhancers for the treatment of ADHD 2011-08-00
[24] 학술지 The long-term outcomes of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013-09-00
[25] 서적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ndbook: A Physician's Guide to ADHD Springer
[26] 웹사이트 Stimulant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ttp://www.webmd.com[...] Healthwise 2010-04-12
[27] 학술지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05-08-00
[28] 학술지 Amphetamin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adults 2018-08-00
[29] 학술지 Amphetamine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2016-02-00
[30] 학술지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with comorbid tic disorders 2018-06-00
[31] 학술지 Binge eating disorder 2022-03-00
[32] 학술지 Prospects for new drugs to treat binge-eating disorder: Insights from psychopathology and neuropharmacology 2022-06-00
[33] 학술지 Pharmacologic Treatments for Binge-Eating Disorder 2017-00-00
[34] 학술지 Pharmacotherapy, alternative and adjunctive therapies for eating disorders: findings from a rapid review 2023-07-00
[35] 학술지 The Neurobiology of Binge-eating Disorder Compared with Obesity: Implications for Differential Therapeutics 2021-01-00
[36]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37] 학술지 Lisdexamfetamine and binge-eating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preclinical and clinical data with a focus on mechanism of drug action in treating the disorder http://pure-oai.bham[...] 2021-12-00
[38] 학술지 Amphetamine-Like Analogues in Diabetes: Speeding towards Ketogenesis 2015-00-00
[39] 학술지 Pharmacology of human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Therapeutic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2017-12-00
[40] 학술지 Psychopharmacologic Management of Eating Disorders 2022-07-00
[41] 학술지 The autoimmune basis of narcolepsy 2013-10-00
[42] 학술지 Narcolepsy 2022-08-00
[43] 학술지 A practical guide to the therapy of narcolepsy and hypersomnia syndromes 2012-10-00
[44]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45]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46] 서적 Sleep medicine a guide to sleep and its disord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9-00-00
[47] 학술지 Neurophysiology of sleep and wakefulness: basic scie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48] 학술지 Treatment of central disorders of hypersomnolence: an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21-09-00
[49] 학술지 Management of Narcolepsy 2016-10-00
[50] 학술지 Narcolepsy and Other Central Hypersomnias 2017-08-00
[51] 학술지 Update on the pharmacologic management of narcolepsy: mechanisms of action and clinical implications 2020-04-00
[52] 학술지 The Cognition-Enhancing Effects of Psychostimulants Involve Direct Action in the Prefrontal Cortex https://rdw.rowan.ed[...] 2015-06-00
[53] 학술지 Prescription Stimulants' Effects on Healthy Inhibitory Control, Working Memory, and Episodic Memory: A Meta-analysis https://repository.u[...] 2015-06-00
[54] 학술지 Efficacy of stimulants for cognitive enhancement in non-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youth: a systematic review 2014-04-00
[55] 학술지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esponse to oral amphetamine challenge in healthy volunteers 2001-04-00
[56]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57] 학술지 Psychostimulants and cognition: a continuum of behavioral and cognitive activation 2014-01-00
[58]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59] 웹사이트 Pills become an addictive study aid http://www.jsonline.[...] 2006-03-26
[60] 학술지 Illicit use of specific prescription stimulants among college students: prevalence, motives, and routes of administration 2006-10-00
[61] 학술지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DHD: stimulant and nonstimulant medications and misuse of prescription stimulants 2014-09-00
[62] 학술지 The potential for misuse and abuse of medications in ADHD: a review 2014-09-00
[63] 학술지 Nutritional supplements and ergogenic AIDS 2013-06-00
[64] 서적 Goodman & Gilman's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McGraw-Hill
[65] 웹사이트 National Study of Substance Use Trends Among NCAA College Student-Athletes http://www.ncaapubli[...]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2012-01-00
[66] 학술지 Pharmacology of stimulants prohibited by the World Anti-Doping Agency (WADA) 2008-06-00
[67] 학술지 Neurophysiological determinants of theoretical concepts and mechanisms involved in pacing 2013-05-00
[68] 학술지 Executive dys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and timing deficits 2013-10-00
[69] 학술지 Is it time to turn our attention toward central mechanisms for post
[71] 웹사이트 Adderall XR- dextroamphetamine sulfate, dextroamphetamine saccharate, amphetamine sulfate and amphetamine aspartate capsule,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Shire US Inc. 2019-07-17
[72] 논문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athlete: new advances and understanding 2011-07-01
[73] 웹사이트 Commonly Abused Prescription Drugs Chart http://www.drugabuse[...]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2012-05-07
[74] 웹사이트 Stimulant ADHD Medications – Methylphenidate and Amphetamines http://www.drugabuse[...]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2012-05-07
[75] 논문 Mixing the Medicine: The Unintended Consequence of Amphetamine Control on the Northern Soul Scene http://www.internetj[...]
[76] 논문 Neuronal reward and decision signals: from theories to data
[77] 웹사이트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2009. Stimulant ADHD Medications – Methylphenidate and Amphetamines http://www.drugabuse[...] National Institute on Drug Abuse 2013-02-27
[78] 서적 Canadian ADHD Practice Guidelines https://www.caddra.c[...] Canadian ADHD Resource Alliance 2018-02-01
[79] 논문 Abuse of medications employed for the treatment of ADHD: results from a large-scale community survey 2008-05-01
[80] 논문 Drug therapy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1996-01-01
[81] 웹사이트 Evekeo- amphetamine sulfate tablet https://dailymed.nlm[...] Arbor Pharmaceuticals, LLC 2019-08-14
[82] 논문 Combining stimulants with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a review of uses and one possible additional indication 2004-11-01
[83] 논문 How treatable is refractory depression? 2014-06-01
[84] 논문 Understanding the risk of using medications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with respect to physical growth and cardiovascular function 2008-04-01
[85] 웹사이트 Dyanavel XR- amphetamine suspension,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Tris Pharma, Inc. 2019-02-06
[86] 논문 Rhinitis medicamentosa http://www.jiaci.org[...]
[87] 서적 Prescriber's Guide: Stah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3-01
[88] 웹사이트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Safety Review Update of Medications used to trea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https://www.fda.gov/[...] 2011-11-01
[89] 논문 ADHD drugs and serious cardiovascular event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2011-11-01
[90] 웹사이트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Safety Review Update of Medications used to trea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adults https://www.fda.gov/[...] 2011-12-12
[91] 논문 ADHD medications and risk of serious cardiovascular events in young and middle-aged adults 2011-12-01
[92] 웹사이트 Amphetamine (PIM 934) http://www.inchem.or[...]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93] 논문 Sexual desire disorders 2008-06-01
[94] 웹사이트 Amphetamines http://www.merckmanu[...] Merck 2012-02-01
[95] 논문 Treatment for amphetamine psychosis 2009-01-01
[96] 논문 Amphetamine-induced psychosis—a separate diagnostic entity or primary psychosis triggered in the vulnerable? 2012-12-01
[97] Review Article Stimulant Misuse: Strategies to Manage a Growing Problem http://www.acha.org/[...] ACH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98] 논문 Amphetamine-induced place preference in humans 2009-05-01
[99]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00] 논문 A qualitative review of issues arising in the use of psycho-stimulant medications in patients with ADHD and co-morbid substance use disorders 2008-05-01
[101]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the safety of lisdexamfetamine dimesylate 2014-06-01
[102] 웹사이트 Amphetamine – Homo sapiens (human) http://www.genome.jp[...] 2014-10-10
[103] 논문 Molecular neurobiology of addiction: what's all the (Δ)FosB about? 2014-11-01
[104] 논문 Sex differences in drug addiction and response to exercise intervention: From human to animal studies 2015-07-01
[105] 논문 Neural mechanisms of addiction: the role of reward-related learning and memory https://pdfs.semanti[...] 2006-07-01
[106]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07] 웹사이트 Alcoholism – Homo sapiens (human) http://www.genome.jp[...] 2014-10-31
[108] 논문 Methylphenidate-induced dendritic spine formation and DeltaFosB expression in nucleus accumbens 2009-02-01
[109] 논문 Epigenetic mechanisms of drug addiction 2014-01-01
[110] 논문 Epigenetic regulation in drug addiction http://www.aaem.pl/E[...]
[111] 논문 Class I HDAC inhibition blocks cocaine-induced plasticity by targeted changes in histone methylation 2013-04-01
[112] 논문 Psychiatric disorders: a feat of epigenetic engineering 2014-12-01
[113] 논문 Sex, drugs, and rock 'n' roll: hypothesizing common mesolimbic activation as a function of reward gene polymorphisms 2012-03-01
[114] 논문 Transcriptional and epigenetic mechanisms of addiction 2011-11-01
[115] 논문 Natural and drug rewards act on common neural plasticity mechanisms with ΔFosB as a key mediator 2013-02-01
[116] 논문 Nucleus accumbens NMDA receptor activation regulates amphetamine cross-sensitization and deltaFosB expression following sexual experience in male rats 2016-02-01
[117] 논문 Addiction-related gene regulation: risks of exposure to cognitive enhancers vs. other psychostimulants 2013-01-01
[118]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19] 논문 Combination pharmacotherapies for stimulant use disorder: a review of clinical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2014-05-01
[120] 논문 "TAARgeting Addiction"-The Alamo Bears Witness to Another Revolution: An Overview of the Plenary Symposium of the 2015 Behavior, Biology and Chemistry Conference 2016-02-01
[121] 논문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A promising target for the treatment of psychostimulant addiction 2015-08-01
[122]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23] 논문 Magnesium in drug dependences https://www.jle.com/[...] 2008-03-01
[124] 논문 Pharmacotherapy for methamphetamine/amphetamine use disorder-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2-01
[125] 논문 Comparative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cocaine and amphetamine addi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network meta-analysis 2018-12-01
[126] 논문 Exercise as a novel treatment for drug addiction: a neurobiological and stage-dependent hypothesis 2013-09-01
[127] 논문 Exercise-based treatments for substance use disorders: evidence, theory, and practicality 2015-01-01
[128] 논문 Sex Differences in Behavioral Dyscontrol: Role in Drug Addiction and Novel Treatments 2016-02-01
[129] 논문 Natural rewards, neuroplasticity, and non-drug addictions 2011-12-01
[130] 논문 Efficacy of psychostimulant drugs for amphetamine abuse or dependence 2013-09-01
[131] 웹사이트 Amphetamines: Drug Use and Abuse http://www.merckmanu[...] Merck 2007-02-28
[132] 논문 Treatment for amphetamine withdrawal 2009-04-01
[133] 논문 Overdose of drug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linical presentation, mechanisms of toxicity, and management 2013-06-01
[134] 논문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age-sex specific all-cause and cause-specific mortality for 240 causes of death, 1990–2013: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3
[135] 논문 Review article: amphetamines and related drugs of abuse 2008-10-01
[136] 서적 Poisoning & Drug Overdose McGraw-Hill Medical
[137] 논문 Update on amphetamine neurotoxicity and its relevance to the treatment of ADHD 2007-07-01
[138] 웹사이트 Amphetamine http://toxnet.nlm.ni[...]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2017-10-02
[139]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140] 논문 Intraneuronal dopamine-quinone synthesis: a review 2000-02-01
[141] 논문 Dopaminergic neuron-specific oxidative stress caused by dopamine itself http://ousar.lib.oka[...] 2008-06-00
[142] 논문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induced hyperthermia: Implications of the effects produced in brain vasculature and peripheral organs to forebrain neurotoxicity 2014-11-00
[143] 서적 A Handbook on Drug and Alcohol Abuse: The Biomedical Aspect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44] 논문 Functional Selectivity and Partial Efficacy at the Monoamine Transporters: A Unified Model of Allosteric Modulation and Amphetamine-Induced Substrate Release 2019-03-00
[145] 논문 SPECT and PET of the dopamine transporter in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8-04-00
[146] 논문 The role of zinc ions in reverse transport mediated by monoamine transporters 2002-06-00
[147] 논문 Regulation of dopamine transporter trafficking by intracellular amphetamine 2006-08-00
[148] 논문 Biomarkers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2012-10-00
[149]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in the functional regulation of monoamine transporters and dopaminergic activity 2011-01-00
[150] 논문 VMAT2: a dynamic regulator of brain monoaminergic neuronal function interacting with drugs of abuse 2011-01-00
[151] 논문 Striatal dopamine neurotransmission: regulation of release and uptake 2016-08-00
[152] 논문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trace amines on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2011-07-00
[153] 웹사이트 TAAR1 http://genatlas.mede[...] University of Paris 2012-01-28
[154] 논문 Amphetamine modulates excitatory neurotransmission through endocytosis of the glutamate transporter EAAT3 in dopamine neurons 2014-07-00
[155] 논문 Mechanisms of dopamine transporter regulation in normal and disease states 2013-09-00
[156] 웹사이트 TA1 receptor http://www.iuphar-db[...]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2014-12-02
[157] 논문 Trace amines: identification of a family of mammalian G protein-coupled receptors 2001-07-00
[158] 논문 Amphetamine modulates excitatory neurotransmission through endocytosis of the glutamate transporter EAAT3 in dopamine neurons 2014-07-00
[159] 웹사이트 SLC18 family of vesicular amine transporters http://www.guidetoph[...]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160] 웹사이트 SLC1A1 solute carrier family 1 (neuronal/epithelial high affinity glutamate transporter, system Xag), member 1 [ Homo sapiens (human) ] https://www.ncbi.nlm[...]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61] 논문 Interaction of organic cation transporter 3 (SLC22A3) and amphetamine 2010-07-00
[162] 논문 Novel organic cation transporter 2-mediated carnitine uptake in placental choriocarcinoma (BeWo) cells 2005-01-00
[163] 논문 [The role of glial monoamine transporte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2003-08-00
[164] 논문 The CART (cocaine- and amphetamine-regulated transcript) system in appetite and drug addiction 2007-02-00
[165] 논문 Roles of cocaine- and amphetamine-regulated transcrip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2012-06-00
[166] 논문 CART peptides: regulators of body weight, reward and other functions 2008-10-00
[167] 논문 CART peptide stimulation of G protein-mediated signaling in differentiated PC12 cells: identification of PACAP 6–38 as a CART receptor antagonist 2011-10-00
[168] 백과사전 Amphetamin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2015-04-11
[169] 백과사전 Monoamine oxidase (Homo sapiens) http://www.brenda-en[...]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BRENDA 2014-01-01
[170] 논문 The emerging role of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in the functional regulation of monoamine transporters and dopaminergic activity 2011-01-00
[171] 논문 VMAT2: a dynamic regulator of brain monoaminergic neuronal function interacting with drugs of abuse 2011-01-00
[172] 논문 Application of cross-species PET imaging to assess neurotransmitter release in brain 2015-11-00
[173] 논문 State-dependent μ-opioid modulation of social motivation 2014-12-00
[174] 논문 Endogenous opioid release in the human brain reward system induced by acute amphetamine administration 2012-09-00
[175] 논문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1 is a stereoselective binding site for compounds in the amphetamine class 2011-12-00
[176]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XXII. Recommendations for trace amine receptor nomenclature 2009-03-01
[177] 논문 Mechanisms of dopamine transporter regulation in normal and disease states 2013-09-01
[178] 논문 Electrophysiological effects of trace amines on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2011-07-01
[179] 웹사이트 TAAR1 http://genatlas.mede[...] University of Paris 2012-01-28
[180] 논문 TAAR1 activation modulates monoaminergic neurotransmission, preventing hyperdopaminergic and hypoglutamatergic activity 2011-05-01
[181] 논문 Striatal dopamine neurotransmission: regulation of release and uptake 2016-08-01
[182]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www.t3db.ca/t[...] University of Alberta: T3DB
[183] 논문 Standard binding and functional assays related to medications development division testing for potential cocaine and opiate narcotic treatment medications 1998-03-01
[184] 논문 Psychoactive substances belonging to the amphetamine class potently activate brain carbonic anhydrase isoforms VA, VB, VII, and XII 2017-12-01
[185] 웹사이트 Amphetamine: Biological activity https://www.guidetop[...]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186] 서적 Drug Addiction II: Amphetamine, Psychotogen, and Marihuana Dependence Springer 2013
[187] 논문 Relationships among ventral striatal dopamine release, cortisol secretion, and subjective responses to amphetamine 2005-04-01
[188] 논문 Preclinical pharmacology of amphetamine: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2014-09-01
[189] 논문 State of the Art on Carbonic Anhydrase Modulators for Biomedical Purposes 2019
[190] 서적 Handbook of Substance Misuse and Addiction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91] DrugBank
[192]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toxnet.nlm.ni[...]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Toxicology Data Network
[193] 웹사이트 Vyvanse- lisdexamfetamine dimesylate capsule Vyvanse- lisdexamfetamine dimesylate tablet, chewable https://dailymed.nlm[...] Shire US Inc. 2019-10-30
[194] 논문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Lisdexamfetamine Compared with D-Amphetamine in Healthy Subjects 2017
[195] 논문 Lisdexamfetamine Dimesylate: Prodrug Delivery, Amphetamine Exposure and Duration of Efficacy 2016-05-01
[196] 백과사전 p-Hydroxyamphetamine. PubChem Compound Databas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97] 백과사전 p-Hydroxynorephedrine. PubChem Compound Databas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98] 백과사전 Phenylpropanolamine. PubChem Compound Databas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99] 백과사전 Amphetamine. Pubchem Compound Databas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0] 논문 Pharmacomicrobiomics: the impact of human microbiome variations on systems pharmacology and personalized therapeutics 2014-07-01
[201] 논문 The human microbiome: at the interface of health and disease 2012-03-01
[202] 논문 Being human is a gut feeling
[203] 논문 Mechanistic elucidation of amphetamine metabolism by tyramine oxidase from human gut microbiota using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2019-01-01
[204] 논문 The emerging roles of human trace amines and human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s (hTAARs) in central nervous system 2016-10-01
[205] 논문 A renaissance in trace amines inspired by a novel GPCR family 2005-05-01
[206] 논문 The vascular effects of trace amines and amphetamines 2010-03-01
[207] 백과사전 Amphetamin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208] 웹사이트 Determination That Delcobese (Amphetamine Adipate, Amphetamine Sulfate, Dextroamphetamine Adipate, Dextroamphetamine Sulfate) Tablets and Capsules Were Not Withdrawn From Sale for Reasons of Safety or Effectiveness https://www.federalr[...] 2003-11-10
[209] 백과사전 Amphetamine Hydrochloride https://pubchem.ncbi[...]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210] 백과사전 Amphetamine Phosphate https://pubchem.ncbi[...]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211] 논문 Amphetamine Tannate. Patent Application No. 2,950,309. https://patentimages[...] 1960-08-23
[212] 논문 A highly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s(−)-[1,1'-binaphthalene]-2,2'-diol 1983-05-01
[213] 논문 Biosynthesis of amphetamine analogs in plants 2012-01-01
[214] 논문 The clinical toxicology of metamfetamine 2010-08-01
[215] 논문 Determination of ring- and ''N''-substituted amphetamines as heptafluorobutyryl derivatives 1991-03-01
[216] 논문 Review: Synthetic Methods for Amphetamine http://www.nwafs.org[...] Northwest Association of Forensic Scientists 2009-04-01
[217] 논문 Synthetic reductions in clandestine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laboratories: A review 1989-08-01
[218] 논문 The Mechanism of the Leuckart Reaction 1951-05-01
[219] 특허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optically active alpha-methylphenethylamine
[220] 서적 The Art of Drug Synthesis Wiley-Interscience
[221] 논문 Synthesis of arylpropylamines; from allyl chloride 1946-06-01
[222] 논문 A new reaction of nitriles; synthesis of t-carbinamines 1948-12-01
[223] 서적 Organic Reactions 2011-03-01
[224] 특허 Synthesis of isomer-free benzyl methyl acetoacetic methyl ester
[225] 웹사이트 Recommended methods of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their ring-substituted analogues in seized materials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226] 논문 δ13C and δ2H isotope ratios in amphetamine synthesized from benzaldehyde and nitroethane 2010-06-01
[227] 논문 Determination of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amphetamine-derived designer drugs or medicaments in blood and urine 1998-08-01
[228] 논문 Bioanalytical procedures for determination of drugs of abuse in blood 2007-08-01
[229] 논문 Confirmatory tests for drugs in the workplac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1994-07-01
[230] 백과사전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Subchapter D – Drugs for human us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9-04-01
[231] 백과사전 Levomethamphetamine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Pubchem Compound Database
[232] 논문 Enantiomeric separation and quantitation of (±)-amphetamine, (±)-methamphetamine, (±)-MDA, (±)-MDMA, and (±)-MDEA in urine specimens by GC-EI-MS after derivatization with (''R'')-(−)- or (''S'')-(+)-α-methoxy-α-(trifluoromethyl)phenylacetyl chloride (MTPA) 2004-09-01
[233] 논문 Comparison of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ix immunoassays for the detection of amphetamines in urine 2005-08-01
[234] 서적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Biomedical Publications
[235] 논문 Illegal or legitimate use? Precursor compounds to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2000-02-01
[236] 논문 Precursor medications as a source of methamphetamine and/or amphetamine positive drug testing results 2002-05-01
[237] 웹사이트 Clinical Drug Testing in Primary Care http://www.ucdenve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Substance Abuse and Mental Health Services Administration
[238] 웹사이트 World Drug Report 2018 https://www.unodc.or[...] United Nations Office on Drugs and Crime 2018-01-01
[239]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of methamphetamine http://healthvermont[...] Government of Vermont
[240] 서적 Alcohol and Drug Misuse: A Handbook for Students and Health Professionals Routledge
[241] 논문 Mechanisms of neurotransmitter release by amphetamines: a review 2005-04-01
[242] 논문 Making the first anti-depressant: amphetamine in American medicine, 1929–1950 2006-07-01
[243] 논문 Benzedrine sulphate in clinical medicine; a survey of the literature 1946-08-01
[244] 논문 Medical science and the military: the Allies' use of amphetamine during World War II 2011-08-01
[245] 논문 Methamphetamine for Hitler's Germany: 1937 to 1945 2011-04-01
[246] 웹사이트 Amphetamine, Methamphetamine, and Optical Isomers https://archives.fed[...] Bureau of Narcotics and Dangerous Drugs 1971-07-07
[247] 웹사이트 Forty Years of ''On the Road'' 1957–1997 http://www.wordsarei[...] DHARMA beat
[248] 논문 Mixing the Medicine: The unintended consequence of amphetamine control on the Northern Soul Scene http://www.internetj[...]
[249] 웹사이트 Paul Erdos, Mathematical Genius, Human (In That Order) http://www.untruth.o[...] 2004-06-04
[250] 웹사이트 World Drug Report 2014 https://www.unodc.or[...] 2014-06-01
[251] 웹사이트 Statistical Bulletin 2018 − prevalence of drug use http://www.emcdda.eu[...]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252] 보고서 European drug report 2014: Trends and developments http://www.emcdda.eu[...] European Monitoring Centre for Drugs and Drug Addiction 2014-05-01
[253] 웹사이트 Convention on psychotropic substances http://treaties.un.o[...] United Nations
[254] 서적 Preventing Amphetamine-type Stimulant Use Among Young People: A Policy and Programming Guide http://www.unodc.org[...] United Nations
[255] 웹사이트 List of psychotropic substances under international control http://www.incb.org/[...] United Nations 2003-08-01
[256] 뉴스 Moving to Korea brings medical, social changes https://www.koreatim[...] 2012-05-25
[257] 웹사이트 Importing or Bringing Medication into Japan for Personal Use http://www.mhlw.go.j[...] 2004-04-01
[258] 웹사이트 RDC Nº 784 - Listas de Substâncias Entorpecentes, Psicotrópicas, Precursoras e Outras sob Controle Especial https://www.in.gov.b[...] Diário Oficial da União 2023-03-31
[259] 웹사이트 Controlled Drugs and Substances Act http://laws-lois.jus[...] Government of Canada
[260] 웹사이트 Opiumwet http://wetten.overhe[...]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261] 백과사전 Poisons Standard https://www.comlaw.g[...]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2015-10-01
[262] 웹사이트 Table of controlled Narcotic Drugs under the Thai Narcotics Act http://narcotic.fda.[...] 2013-05-22
[263] 웹사이트 Class A, B and C drugs http://www.homeoffic[...]
[264] 논문 Misuse and diversion of stimulants prescribed for ADH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08-01-01
[265] 웹사이트 Mydayis- dextroamphetamine sulfate, dextroamphetamine saccharate, amphetamine aspartate monohydrate, and amphetamine sulfate capsule,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Shire US Inc. 2019-10-11
[266]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Mydayis (mixed salts of a single-entity amphetamine product) https://www.accessda[...] 2018-06-06
[267] 웹사이트 Adzenys ER- amphetamine suspension,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Neos Therapeutics, Inc. 2017-12-08
[268] 웹사이트 Adzenys XR-ODT- amphetamine tablet, orally disintegrating https://dailymed.nlm[...] Neos Therapeutics, Inc. 2018-02-09
[269]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Adzenys XR-ODT (amphetamine) https://www.accessda[...]
[270]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Amphetamine (Amphetamine) https://www.accessda[...]
[271] 웹사이트 Evekeo https://www.accessda[...]
[272] 웹사이트 Evekeo ODT- amphetamine sulfate tablet, orally disintegrating https://dailymed.nlm[...] Arbor Pharmaceuticals, LLC 2019-06-07
[273] 웹사이트 Zenzedi- dextroamphetamine sulfate tablet https://dailymed.nlm[...] Arbor Pharmaceuticals, LLC 2019-08-14
[274] 논문 Amphetamine, past and present – a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erspective 2013-06-01
[275]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Vyvanse (Lisdexamfetamine Dimesylate) NDA #021977 https://www.accessda[...] 1999-12-24
[276] 웹사이트 Xelstrym- dextroamphetamine patch, extended release https://dailymed.nlm[...] 2023-03-28
[277] 웹사이트 Molecular Weight Calculator http://www.lenntech.[...] Lenntech
[278] 웹사이트 Dextroamphetamine Sulfate USP http://www2.mallinck[...]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2014-03-01
[279] 웹사이트 D-amphetamine sulfate http://www.tocris.co[...] Tocris 2015-01-01
[280] 웹사이트 Amphetamine Sulfate USP http://www2.mallinck[...]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2014-03-01
[281] 웹사이트 Dextroamphetamine Saccharate http://www2.mallinck[...]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2015-08-19
[282] 웹사이트 Amphetamine Aspartate http://www2.mallinck[...] Mallinckrodt Pharmaceuticals 2015-08-19
[283] 웹사이트 Vyvanse Prescribing Information https://www.accessda[...] Shire US Inc. 2017-07-10
[284] 웹사이트 Dyanavel XR Prescribing Information https://www.accessda[...] Tris Pharma, Inc. 2017-08-04
[285] 서적 最新基礎薬理学[第3版] 廣川書店
[286] 논문 Mechanisms of neurotransmitter release by amphetamines: a review
[287] 저널 世界における覚せい剤の乱用の現状と問題点 https://doi.org/10.1[...] 1990
[288] 웹사이트 ぶらりらいぶらりぃ ~図書室にはこんな本があります~ No.116 https://www.showakan[...] 昭和館 図書室
[289] 서적 日本近代精神科薬物療法史 アークメディア 2008
[290] 저널 Paranoid Psychosis in Narcolepsy and the Possible Danger of Benzedrine Treatment
[291] 서적 In the Cities of the South:scenes from a developing world. Verso
[292] 뉴스 米大学生の間で「頭の良くなる薬」が流行、将来は試験前にドーピング検査? https://www.afpbb.co[...] AFP 2009-10-03
[293] 웹사이트 S6. 興奮薬 | 禁止表 http://list.wada-ama[...]
[294] 저널 Prescription Drugs Associated with Reports of Violence Towards Others http://www.plosone.o[...]
[295] 저널 薬物の反復投与による行動効果の修飾 https://doi.org/10.1[...]
[296] 웹사이트 List of psychotropic substances under international control http://www.incb.org/[...] International Narcotics Control Board 2005-11-19
[297] 웹사이트 五輪選手の治療用覚せい剤許可 改正特措法が成立 https://web.archive.[...] 時事通信社 2021-06-09
[298] 웹사이트 Class A, B and C Drugs http://www.homeoffic[...] Home Office 2008-05-28
[299] 보도자료 第十二改正日本薬局方の制定等について 薬発第348号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1991-03-25
[300] 뉴스 覚せい剤密造 暴力団にも流す 朝日新聞 1972-06-07
[301]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302] 서적 Prescriber's Guide: Stahl's Essential Psychopharma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3
[303] 백과사전 Dextroamphetamine University of Alberta 2013-02-08
[304] 백과사전 Amphetamine University of Alberta 2013-02-08
[305] 웹인용 Adderall XR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Shire US Inc 2013-12-30
[306]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Wolters Kluwer Health/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
[307] 저널 Dopamine-beta-hydroxylase. Stereochemical course of the reaction http://www.jbc.org/c[...] 1974-01
[308] 저널 Mammali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s: structure/function, genetic polymorphisms and role in drug metabolism 2005-06
[309] 저널 N-oxygenation of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 by the human flavin-containing monooxygenase (form 3): role in bioactivation and detoxication 1999-03
[310] 백과사전 amphetamine/dextroamphetamine WebMD
[311] 서적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andbook: A Physician's Guide to ADHD Springer
[312] 저널 Onset of efficacy of long-acting psychostimulants in pediatric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08-09
[313] 웹인용 Adderall IR Prescribing Information http://www.accessdat[...] Teva Pharmaceuticals USA, Inc. 2016-05-18
[314]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toxnet.nlm.ni[...]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315] 저널 A practical guide to the therapy of narcolepsy and hypersomnia syndromes 2012-10
[316]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s://pubchem.ncbi[...]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5-04-11
[317]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s://pubchem.ncbi[...]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6-11-05
[318]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www.chemspide[...] Royal Society of Chemistry
[319] 백과사전 Amphetamine https://pubchem.ncbi[...] United Stat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320] 저널 Amphetamine, past and present – a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erspective
[321] 저널 Making the first anti-depressant: amphetamine in American medicine, 1929–1950
[322] 웹인용 Methamphetamine facts http://www.drugpolic[...]
[323] 웹인용 Convention on psychotropic substances http://treaties.un.o[...] United N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