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불은 부식토를 먹는 부식동물로, 모래나 펄 속에서 U자형 굴을 파고 산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식용으로 사용되며, 낚시 미끼로도 쓰인다. 한국에서는 개의 고환 또는 음경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불리며, 회, 볶음, 조림 등 다양한 요리로 먹는다. 낚시에서는 벵에돔이나 참돔 낚시에 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개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Urechis unicinctus |
학명 명명자 | von Drasche, 1881 |
분류 | 환형동물문 유선형동물 의충동물 유선형동물강 유선형동물목 개불과 개불속 |
크기 | 10–30 cm |
기타 명칭 | |
일본어 | ユムシ (Yumushi) |
영어 | fat innkeeper worm (뚱뚱한 여관 주인 벌레) penis fish (페니스 물고기) |
라틴어 | Urechis unicinctus |
생태 및 특징 | |
서식지 | 얕은 바다 모래 또는 진흙 속 |
식성 | 퇴적물 섭취 |
특징 | 몸은 원통형이며, 굵고 둔하며, 분홍색 또는 황갈색을 띤다. 자극을 받으면 수축한다. |
활용 | |
식용 | 한국, 일본 등에서 식용으로 섭취함. |
효능 | 섬유소 용해 효소 함유 |
유전 정보 | |
유전자 및 단백질 정보 | UFE - 섬유소 용해 효소 - Urechis unicinctus (개불) - UFE 유전자 & 단백질 |
2. 생태
개불은 몸길이가 10~30cm이며[10], 일본, 러시아, 한반도, 산둥반도의 갯벌이나[10] 얕은 바다의 모래 진흙 속에 깊이 50cm에 달하는 U자형 굴을 파서 산다[11]. 북일본산은 더 크다[11]. 간조 시에는 굴 속에 숨는다. 몸은 가늘고 긴 원통형이며, 앞 끝에 주둥이가 있고, 그 주둥이 기부에 입이 있다. 부속지나 육발은 없지만, 약간의 강모가 있다. 뇌 (두부 신경절)는 없다[10]. 불가사리나 해삼과 마찬가지로 데트리투스를 먹이로 한다.
2. 1. 번식
이 갯지렁이는 부식토를 먹는 부식동물로, 다른 ''Urechis'' 종과 마찬가지로 모래나 펄 속에서 살고 굴을 판다. 부드러운 해저 퇴적물 속에 U자형 굴을 만든다. 주둥이 앞쪽에 있는 림 모양의 샘에서 점액을 분비하여 굴 벽에 붙게 한다. 벌레는 굴 속에서 뒤로 이동하면서 계속 점액을 분비하여 점액 그물을 만든다. 벌레는 몸의 연동 운동을 통해 굴 속으로 물을 끌어들이고 음식 입자는 그물에 달라붙는다. 충분한 음식이 모이면 벌레는 굴 속에서 앞으로 이동하여 그물과 얽힌 음식을 삼킨다. 이 과정이 반복되며, 부식토가 풍부한 지역에서는 단 몇 분 만에 완료될 수 있다.[6]일본에서는 많은 수가 해변에 좌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이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원래의 이론은 해상 폭풍으로 인해 좌초되었다는 것이었지만, 과학자들은 또한 밤에 헤엄쳐 번식하기 때문에 좌초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이론화한다.[7]
3. 이용
한국에서는 개불(개불한국어)이라고 불리며, 이는 개의 고환 또는 음경을 의미한다.[8] 중국 요리에서는 채소와 함께 볶거나, 말려서 감칠맛을 내는 조미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넙치나 도미와 같은 물고기를 잡는 낚시 미끼로도 사용된다.[8]
3. 1. 식용
개불(개불한국어)은 한국에서 개의 고환 또는 음경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불린다.[8] 주로 소금, 참기름 또는 고추장과 함께 날것으로 먹는다. 한국, 홋카이도, 그리고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모래 바닥의 해저에서 갈고리 모양의 어구를 끌어 채취하며, "개불"이라고 칭하며 연안 지역에서 회, 꼬치구이, 호일구이 등으로 먹는다. 글리신이나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단맛이 있으며, 꼬들꼬들한 식감으로 말조개와 비슷한 맛이 난다.
중국 요리에서는 채소와 함께 볶거나, 말려서 감칠맛을 내는 조미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의 다롄 시나 칭다오 시 등에서는 "하이창(海腸, 海腸|hǎicháng중국어)"이라고 칭하며, 부추 등과 함께 볶음 요리로 하거나, 삶아서 무쳐 먹는다.
일본에서도 홋카이도 이시카리 시 등에서 회, 초고추장 무침, 조림, 건어물 등으로 식용으로 한다.[12]
넙치나 도미와 같은 물고기를 잡는 낚시 미끼로도 사용된다.[8]
3. 2. 낚시 미끼
개불은 넙치나 도미와 같은 물고기를 잡는 낚시 미끼로 사용된다.[8] 벵에돔 낚시의 미끼로도 사용되며, 벵에돔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1]
간행물
"''Urechis unicinctus'' (Drasche, 1880)"
2012-11-12
[2]
학술지
Zur Kenntnis des Baues der Segmentalorgane bei Echiuren
https://www.biodiver[...]
VEB Gustav Fischer Verlag
1880
[3]
웹사이트
UFE - Fibrinolytic enzyme - Urechis unicinctus (Fat innkeeper worm) - UFE gene & protein
https://www.uniprot.[...]
2019-12-16
[4]
학술지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penis fish (Urechis unicinctus)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markers.
https://figshare.com[...]
[5]
웹사이트
"''Urechis caupo'' Fisher and MacGinitie, 1928"
https://inverts.wall[...]
Rosario Beach Marine Laboratory (a campus of [[Walla Walla University]], Washington)
2019-01-25
[6]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Marine Invertebrates
https://archive.org/[...]
TFH Publications
[7]
학술지
Swimming behavior of the spoon worm Urechis unicinctus (Annelida, Echiura)
http://dx.doi.org/10[...]
2014-06
[8]
백과사전
개불
http://terms.naver.c[...]
2018-03-17
[9]
웹사이트
珍味「ルッツ」、その魅惑の味 「こりこり、ほのかな甘み」 北海道石狩市が名産地: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12-28
[10]
웹사이트
ユムシ目ユムシ
https://www.sci.hoku[...]
北海道大学 水波研究室
2023-04
[11]
문서
その他の無脊椎動物 ユムシ(PDF)
https://www.kankyo.p[...]
ひょうごの環境(兵庫県環境部水大気課審査情報班)
2023-04
[12]
웹사이트
『めったに食べられない幻の逸品“ルッツ”』北海道石狩市
https://www.city.ish[...]
[13]
간행물
"Studies on the commercial scale production of Urechis unicinctus (von Drasche) in southern Korea"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