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듭 행렬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정의 및 기본 성질
불가역 행렬은 결함이 없는 행렬이며, 각 고유값은 ±1과 같다. 불가역 행렬은 부호 행렬로 대각화된다. [4]정규 불가역 행렬은 에르미트 행렬 (복소수) 또는 대칭(실수)이며, 유니타리 행렬(복소수) 또는 직교(실수)이다. 어떤 체 에서 불가역 행렬의 행렬식 은 ±1이다. [4] 만약 '''A'''가 ''n'' × ''n'' 행렬이면, '''A'''가 불가역 행렬인 것은 \bold P_+ = (\bold I + \bold A)/2 가 멱등 행렬일 때와 같고, 마찬가지로 \bold P_- = (\bold I - \bold A)/2 가 멱등 행렬일 때와 같다. 이 두 연산자는 벡터 v = v_+ + v_- 의 대칭 및 반대칭 투영 v_\pm = \bold P_\pm v 을 형성하며, 불가역 행렬 '''A'''에 관하여 \bold Av_\pm = \pm v_\pm 또는 \bold{A P}_\pm = \pm \bold P_\pm 의 의미를 갖는다. [4] 만약 '''A'''가 실수 에 대한 행렬 대수인 M(''n'', R )의 불가역 행렬이고, '''A'''가 '''I'''의 스칼라 배수가 아니면, '''A'''에 의해 생성된 부분 대수 {''x'' '''I''' + ''y'' '''A''': ''x'', ''y'' ∈ R }는 분할 복소수에 동형이다. 만약 '''A'''와 '''B'''가 서로 교환 하는 두 개의 불가역 행렬(즉, '''AB''' = '''BA''')이면 '''AB'''도 불가역 행렬이다. 만약 '''A'''가 불가역 행렬이면 '''A'''의 모든 정수 거듭제곱은 불가역 행렬이다.
2. 1. 정의
2. 2. 기본 성질
거듭행렬의 고윳값은 ±1이다. [4] 거듭행렬은 가역행렬 이며, 역행렬은 자기 자신이다. (A-1 = A) 거듭행렬의 행렬식 은 ±1이다. [4] 만약 A 가 불가역 행렬이면, A 의 모든 정수 거듭제곱은 불가역 행렬이다. n이 홀수이면 A n 는 A 와 같고, n이 짝수이면 I (단위행렬)와 같다. 정규 거듭행렬은 에르미트 행렬 (복소수) 또는 대칭 (실수)이며, 또한 유니타리 행렬(복소수) 또는 직교 (실수)이다. 만약 A 가 실수에 대한 행렬 대수 M(n, R)의 불가역 행렬이고, A 가 I 의 스칼라 배수가 아니면, A 에 의해 생성된 부분 대수 {xI + yA : x, y ∈ R}는 분할 복소수에 동형이다. 만약 A 와 B 가 서로 교환하는 두 개의 불가역 행렬(즉, AB = BA )이면, AB 도 불가역 행렬이다.
3. 예시
기본행렬 (elementary matrix)에서 행 교환 기본 행렬은 거듭 행렬이다. [6] 또 다른 종류의 기본 행렬의 특수한 경우로, 행 또는 열에 -1을 곱하는 것을 나타내는 행렬도 거듭 행렬이며, 부호 행렬 의 예시이다. [2] : \mathbf{I}=\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mathbf{I}^{-1}=\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mathbf{R}=\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end{pmatrix} \;,\; \mathbf{R}^{-1}=\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end{pmatrix} : \mathbf{S}=\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mathbf{S}^{-1}=\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위 행렬에서
'''I'''는 단위행렬 이다. '''R'''은 단위행렬 에 대한 순열 행렬의 특수한 경우이다. '''S'''는 부호 행렬 이다. 2\times2 실수 행렬 \begin{pmatrix}a & b \\ c & -a \end{pmatrix} 는 a^2 + bc = 1 일 때 거듭 행렬이다. [2]파울리 행렬 은 거듭 행렬이다. :\begin{align} \sigma_1 = \sigma_x &= \begin{pmatrix} 0 & 1 \\ 1 & 0 \end{pmatrix}, \\ \sigma_2 = \sigma_y &= \begin{pmatrix} 0 & -i \\ i & 0 \end{pmatrix}, \\ \sigma_3 = \sigma_z &= \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 \end{align} 거듭 행렬로 구성된 모든 블록 대각 행렬은 블록의 선형 독립성의 결과로 거듭 행렬이 된다.
3. 1. 기본 행렬
기본행렬 (elementary matrix)에서 행 교환 기본 행렬은 거듭 행렬이다. [6] 또 다른 종류의 기본 행렬의 특수한 경우로, 행 또는 열에 -1을 곱하는 것을 나타내는 행렬도 거듭 행렬이며, 부호 행렬 의 예시이다. [2] \mathbf{I}=\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mathbf{I}^{-1}=\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mathbf{R}=\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end{pmatrix} \;,\; \mathbf{R}^{-1}=\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end{pmatrix} \mathbf{S}=\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mathbf{S}^{-1}=\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위 행렬에서'''I'''는 단위행렬 이다. '''R'''은 단위행렬 에 대한 순열 행렬의 특수한 경우이다. '''S'''는 부호 행렬 이다. 2\times2 실수 행렬 \begin{pmatrix}a & b \\ c & -a \end{pmatrix} 는 a^2 + bc = 1 일 때 거듭 행렬이다.파울리 행렬 은 거듭 행렬이다.\begin{align} \sigma_1 = \sigma_x &= \begin{pmatrix} 0 & 1 \\ 1 & 0 \end{pmatrix}, \\ \sigma_2 = \sigma_y &= \begin{pmatrix} 0 & -i \\ i & 0 \end{pmatrix}, \\ \sigma_3 = \sigma_z &= \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 \end{align}
3. 2. 파울리 행렬
파울리 행렬 은 에서의 거듭 행렬이다. [2] 파울리 행렬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sigma_1 = \sigma_x &= \begin{pmatrix} 0 & 1 \\ 1 & 0 \end{pmatrix}, \\ \sigma_2 = \sigma_y &= \begin{pmatrix} 0 & -i \\ i & 0 \end{pmatrix}, \\ \sigma_3 = \sigma_z &= \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 \end{align} 세 종류의 기본 행렬 중 하나인 행 교환 기본 행렬은 거듭 행렬이다. 행 또는 열에 -1을 곱하는 것을 나타내는 행렬도 거듭 행렬이며, 부호 행렬 의 간단한 예시이다. [2]
3. 3. 2x2 실수 행렬
2\times 2 실수 행렬 \begin{pmatrix}a & b \\ c & -a \end{pmatrix} 는 a^2 + bc = 1 일 때 거듭 행렬이다. [2]파울리 행렬 은 거듭 행렬의 한 예시이다.\begin{align} \sigma_1 = \sigma_x &= \begin{pmatrix} 0 & 1 \\ 1 & 0 \end{pmatrix}, \\ \sigma_2 = \sigma_y &= \begin{pmatrix} 0 & -i \\ i & 0 \end{pmatrix}, \\ \sigma_3 = \sigma_z &= \begin{pmatrix} 1 & 0 \\ 0 & -1 \end{pmatrix}. \end{align} 세 종류의 기본 행렬 중 하나인 행 교환 기본 행렬은 거듭 행렬이다. 행 또는 열에 -1을 곱하는 것을 나타내는 행렬도 거듭 행렬이며, 이는 부호 행렬 의 한 예시이다. 몇 가지 거듭 행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begin{array}{cc} \mathbf{I}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 \mathbf{I}^{-1}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 \mathbf{R} = \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end{pmatrix} ; & \mathbf{R}^{-1} = \begin{pmatrix} 1 & 0 & 0 \\ 0 & 0 & 1 \\ 0 & 1 & 0 \end{pmatrix} \\ \\ \mathbf{S}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 \mathbf{S}^{-1}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end{array}'''I'''는 3 × 3 단위 행렬이다. '''R'''은 3 × 3 단위 행렬에서 두 개의 행이 교환된 행렬이다. '''S'''는 부호 행렬 이다. 거듭 행렬로 구성된 블록 대각 행렬은 블록의 선형 독립성에 의해 거듭 행렬이 된다.
3. 4. 블록 대각 행렬
거듭 행렬로 구성된 모든 블록 대각 행렬은 블록의 선형 독립성의 결과로 거듭 행렬이 된다. [2]
4. 대칭성 및 직교성
대칭 행렬이면서 대합 행렬인 행렬은 직교 행렬이며, 등거리 변환(유클리드 거리 를 보존하는 선형 변환 )을 나타낸다. 반대로 모든 직교 거듭행렬은 대칭 행렬이다. [3] 이의 특별한 경우로, 모든 반사와 180° 회전 행렬은 거듭행렬이다.
4. 1. 대칭 거듭행렬
대칭 행렬이면서 대합 행렬인 행렬은 직교 행렬이며, 등거리 변환(유클리드 거리 를 보존하는 선형 변환 )을 나타낸다. 반대로 모든 직교 거듭행렬은 대칭 행렬이다. [3] 이의 특별한 경우로, 모든 반사와 180° 회전 행렬은 거듭행렬이다.
4. 2. 반사 및 회전
대칭 행렬이면서 대합 행렬인 행렬은 직교 행렬이며, 등거리 변환(유클리드 거리 를 보존하는 선형 변환 )을 나타낸다. 반대로 모든 직교 대합 행렬은 대칭 행렬이다. [3] 모든 반사와 180° 회전 행렬은 이러한 대합 행렬의 특수한 경우에 해당한다.
5. 추가 성질 및 관련 개념
5. 1. 결함 없음
거듭행렬은 결함이 없는 행렬이며, 각 고유값은 \pm 1 과 같다. 따라서 거듭 행렬은 부호 행렬로 대각화된다. [4] 정규 거듭 행렬은 에르미트 행렬 (복소수) 또는 대칭(실수)이며, 또한 유니타리 행렬(복소수) 또는 직교(실수)이다. 어떤 체 에서 거듭 행렬의 행렬식 은 ±1이다. [4] 만약 가 행렬이면, \bold P_+ = (\bold I + \bold A)/2 가 멱등 행렬일 때와, \bold P_- = (\bold I - \bold A)/2 가 멱등 행렬일 때, 는 거듭 행렬이 된다. 이 두 연산자는 벡터 v = v_+ + v_- 의 대칭 및 반대칭 투영 v_\pm = \bold P_\pm v 을 형성하며, 거듭 행렬 에 관하여 \bold Av_\pm = \pm v_\pm 또는 \bold{A P}_\pm = \pm \bold P_\pm 의 의미를 갖는다. 만약 가 실수 에 대한 행렬 대수인 의 거듭 행렬이고, 가 의 스칼라 배수가 아니면, 에 의해 생성된 부분 대수 \{x \bold I + y \bold A: x y \in \R\} 는 분할 복소수에 동형이다. 만약 와 가 서로 교환 하는 두 개의 거듭 행렬 (즉, )이면 도 거듭 행렬이다. 만약 가 거듭 행렬이면 의 모든 정수 거듭제곱은 거듭 행렬이다.
5. 2. 에르미트 및 유니타리 행렬
5. 3. 멱등 행렬과의 관계
5. 4. 생성된 부분 대수
5. 5. 교환 법칙
두 거듭행렬 A와 B가 교환 법칙 을 만족하면(AB=BA) AB도 거듭행렬이다. [4]
6. 교환행렬의 특수한 멱 성질 (별도 섹션)
반대각선 이 교환행렬인 거듭행렬은 제곱했을 때 교번 특성을 갖는다.
Jn = I (n은 짝수) Jn = J (n은 홀수) JT = J (□T 는 전치) 거듭행렬 간에는 교환법칙 이 성립한다.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qquad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거듭행렬 간에는 교환법칙 이 성립한다.
6. 1. 교번 특성
반대각선 이 교환행렬인 거듭행렬은 제곱했을 때 교번 특성을 갖는다.Jn = I (n은 짝수) Jn = J (n은 홀수) JT = J (□T 는 전치) 거듭행렬 간에는 교환법칙 이 성립한다.
6. 2. 예시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0 & 0 & 1 \\ 0 & 1 & 0 \\ 1& 0 & 0 \end{pmatrix} \begin{pmatrix} 1 & 0 & 0 \\ 0 & 1 & 0 \\ 0 & 0 & 1 \end{pmatrix} 거듭행렬 간에는 교환법칙 이 성립한다.
참조
[1]
서적
Functions of Matrices: Theory and Computation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SIAM)
[2]
서적
The Theory of Matrices
Academic Press
[3]
서적
Numerical methods for bifurcations of dynamical equilibria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SIAM)
[4]
서적
Matrix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Schaum's Outline of Theory and Problems of Matrices
Schaum
[6]
서적
The Theory of Matrices
Academi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