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머리딱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은머리딱새(Phoenicurus ochruros)는 딱새과의 조류로, 1774년 사무엘 고틀리프 멜린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다. 유라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수컷은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 깃털과 붉은색 꼬리를 가지며, 암컷은 회색 또는 회갈색을 띤다. 원래는 산악 지역에 서식했으나,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건물이나 인공 구조물에 둥지를 짓기도 한다. 검은머리딱새는 곤충을 주로 먹으며, 번식기에는 4~6개의 알을 낳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의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네팔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유라시아의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유라시아의 새 - 쇠물닭
쇠물닭은 전 세계 습지에 서식하며 녹색빛 발과 붉은색 이마판을 가진 물닭속의 새로,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로 일부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검은머리딱새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참새목 |
과 | 솔딱새과 |
속 | 조우비타키속 |
종 | 검은조우비타키 |
학명 | |
학명 | Phoenicurus ochruros |
명명자 | 사무엘 고틀리프 그멜린, 1774년 |
보전 상태 | |
IUCN | LC |
상태_기준 | IUCN3.1 |
상태_참조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22710051/155610899 |
이미지 | |
![]() | |
![]() | |
사운드 | |
아종 | |
아종 | 5–7, 본문 참조 |
동의어 | |
동의어 | Ruticilla titys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 |
분포도 | |
![]() |
2. 분류 및 계통
검은머리딱새는 1774년 독일의 박물학자 사무엘 고틀리프 멜린에 의해 ''Mottacilla ochruros''라는 이명법에 따른 공식적인 기술이 이루어졌다. 1817년 영국의 박물학자 토마스 이그나티우스 마리아 포스터가 도입한 속 ''Phoenicurus''에 속한다. 속명 ''Phoenicurus''는 "붉은색"을 의미하는 ''phoinix''와 "꼬리"를 의미하는 ''-ouros''에서 유래되었으며, 종명 ''ochruros''는 "옅은 노란색"을 의미하는 ''okhros''와 ''-ouros''에서 유래되었다.
검은머리딱새는 검은머리울새, 호지슨붉은꼬리, 흰날개붉은꼬리, 프르제발스키붉은꼬리를 포함하는 온대 유라시아 분지군의 일원이다. 현재 종의 조상은 약 300만 년 전 (후기 플리오세)부터 분화되어 150만 년 전부터 구북구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붉은꼬리와는 다른 행동과 생태학적 요구사항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수정 장벽이 진화하지 않아 두 유럽 종은 겉보기에 비옥하고 생존 가능한 잡종을 낳을 수 있다.[3]
검은머리딱새는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일부 권위자들은 5~7개의 아종을 인정한다. 형태학, 생물지리학, mtDNA 사이토크롬 b DNA 염기서열 데이터에 따라 세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2. 1. P. o. phoenicuroides 그룹
- ''Phoenicurus ochruros phoenicuroides'' (톈산산맥에서 동쪽으로 몽골까지). 작음; 성체 수컷은 가슴 아래, 배, 옆구리가 짙은 적갈색이고, 옅은 날개 반점이 없으며, 이따금 흰 이마가 있다. 전체적으로 훨씬 더 어두운 붉은꼬리와 매우 유사하며 검은색 가슴을 가지고 있다. 암컷과 어린 새는 붉은꼬리와 유사하지만, 전반적으로 모래색에 가까우며, 더 옅은 색상을 띠고, 종종 뚜렷한 황갈색 눈테를 가지고 있다.[3]
- ''Phoenicurus ochruros murinus'' (Fedorenko, 2018) – 알타이, 투바, 북부 중국 및 서부 몽골. 앞선 투르케스탄 아종과 구별되는 점은 머리, 목덜미, 등이 모두 같은 색의 짙은 회색으로, 색상 대비가 없다는 것이다.[5]
- ''Phoenicurus ochruros rufiventris'' (비에이요, 1818) –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파미르 산맥과 알라이 산맥을 거쳐 히말라야 산맥까지. 보통 큼; 성체 수컷은 ''P. o. phoenicuroides''와 유사하지만 전반적으로 더 어둡고, 검은색 등과 적갈색-밤색 아랫부분을 가지고 있다. 암컷은 아랫부분에 적갈색을 띤다. ''P. o. phoenicuroides''와의 정확한 경계는 해결되지 않았다.
- ''Phoenicurus ochruros xerophilus'' (중국). 앞의 두 종 사이와 동쪽에 있다. 큼; 색상 패턴은 ''P. o. phoenicuroides''와 유사하지만 더 옅다. 많은 권위자들에 의해 ''P. o. rufiventris''에 포함된다.
2. 2. P. o. ochruros 그룹
- ''Phoenicurus ochruros ochruros'' (멜린, SG, 1774) – 터키 동부, 알보르즈 산맥, 코카서스에 분포한다. 크기가 작으며, ''P. o. phoenicuroides''와 ''P. o. gibraltariensis'' 사이의 중간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후자와 유사하지만, 적갈색 아랫부분과 옅은 날개 반점이 약하게 발달했다.
- ''Phoenicurus ochruros semirufus'' (Hemprich & Ehrenberg, 1833) – 레반트에 분포한다. 크기가 작으며, 성체 수컷은 크기를 제외하고 ''rufiventris''와 다소 유사하다. 검은색 부분이 넓다.
2. 3. P. o. gibraltariensis 그룹
유럽 서부에서 발견되는 ''Phoenicurus ochruros gibraltariensis'' (JF 멜린, 1789) 아종은 동쪽으로는 크림반도와 서부 터키까지 분포한다. 성체 수컷은 목, 등 위, 어깨가 짙은 슬레이트 회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얼굴과 목보다는 밝은 색을 띤다. 또한, 옅은 날개 반점이 강하게 발달했다.이베리아반도와 모로코에서 발견되는 ''Phoenicurus ochruros aterrimus'' 아종의 경우, 성체 수컷의 목, 등 위, 어깨가 검은색이다. 이 아종은 ''P. o. gibraltariensis''와 널리 교배되며, 많은 학자들은 이 두 아종을 동일한 아종으로 간주한다.
3. 형태
검은머리딱새는 몸길이가 13cm에서 14.5cm이고 몸무게는 12g에서 20g으로 붉은꼬리울새와 비슷하다. 수컷 성조는 등 부분과 가슴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색에서 검은색이며, 하부 허리와 꼬리는 주황색-빨강색이고, 꼬리 깃털 두 개는 어두운 적갈색이다. 배와 하부 꼬리는 검은색-회색(서부 아종, 분류 및 계통 참조) 또는 주황색-빨강색(동부 아종)이며, 날개는 검은색-회색이고 부날개에 옅은 가장자리가 있어 흰색 패널을 형성한다(서부 아종). 동부 아종의 경우 날개는 전체가 검은색이다. 암컷은 주황색-빨강색 하부 허리와 꼬리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회색(서부 아종)에서 회색-갈색(동부 아종)이며, 붉은꼬리울새보다 더 회색이다. 어느 나이에서든 회색 액스라리와 날개 아래 덮깃도 붉은꼬리울새와 구별된다(붉은꼬리울새의 경우 이러한 부분은 황갈색에서 주황색-빨강색이다). 첫 번째 달력 연도 수컷의 경우 서부 아종에서 최소 두 가지 뚜렷한 형태가 있는데, 첫 번째('carei')는 암컷과 유사하고 두 번째('paradoxus')는 성체 수컷에 접근하지만 두 번째 달력 연도에 날개 깃털의 번식 후 털갈이 동안에만 발달하는 흰색 날개 패널이 없다. 이 두 번째 형태는 첫 번째 형태보다 훨씬 드물다.
4. 분포 및 서식지
검은머리딱새는 영국과 아일랜드 (지역적으로 분포)에서 모로코까지, 동쪽으로는 중국 중부까지, 남부 및 중앙 유럽, 아시아, 북서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번식한다. 기후가 온화한 지역에서는 텃새로 살지만, 북동부 지역의 검은머리딱새는 철새로서 겨울을 나기 위해 남부 및 서부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로 이동한다.
영국에서는 통과 이동 시기나 겨울철에 가장 흔하게 관찰되며, 번식하는 개체는 20~50쌍에 불과하다. 이동 시에는 동부 및 남부 해안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되며, 겨울철에는 웨일스, 서부 및 잉글랜드 남부 해안에서 관찰된다. 내륙 지역에서도 소수가 관찰된다. 이동하는 검은머리딱새는 10월이나 11월에 영국에 도착하여 이동하거나 겨울을 나며, 3월이나 4월에 동쪽으로 돌아간다. 아일랜드의 남부 및 동부 해안에서도 겨울을 난다.
원래 이 종은 산의 돌이 많은 땅, 특히 절벽에 서식했지만, 1900년경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리고 이후 폭격 피해 지역을 포함한 유사한 도시 환경과 이 종이 선호하는 노출된 지역과 절벽과 같은 건물이 있는 대규모 산업 단지로 서식지를 확장했다. 영국에서는 소수의 번식 개체군이 이러한 산업 지역에서 둥지를 짓는다.
동부 아종의 검은머리딱새는 서유럽에서 매우 드물게 관찰된다. 유럽 중남부, 러시아 중남부, 몽골, 중국 중서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프리카 북부, 유럽 남부, 서남아시아, 인도로 이동한다. 남부 유럽에서는 텃새이다.
일본에서는 나그네새로 야마구치현 미시마섬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이후 홋카이도[7], 헤구라섬, 이리오모테섬 등에서 기록이 있다.
건물 틈새나 구멍, 절벽이나 암벽의 비탈진 곳의 구멍이나 틈새에 마른 풀이나 이끼, 섬유 등을 사용하여 완형의 둥지를 짓는다. 둥지 내부에는 짐승 털이나 깃털을 깐다. 인가의 벽 틈새에 둥지를 트는 경우도 있다.
5. 생태
검은머리딱새는 절벽이나 암벽의 비탈진 곳, 또는 인가의 벽 틈새에 둥지를 짓는다. 마른 풀, 이끼, 섬유 등으로 둥지를 만들고, 안에는 짐승 털이나 깃털을 깐다. 한 배에 5~10개의 알을 낳으며, 유럽 아종은 흰색, 아시아 아종은 옅은 청색의 알을 낳는다. 포란 기간은 12~16일이며, 암컷이 알을 품는다.[8]
영국 런던 도심부에서 진행된 "와일드 웨스트 엔드 계획"(2015년 시작)에서 옥상 녹화 등을 통해 2,500 m2 규모의 야생 생물 서식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한 결과, 2016년에는 목격되지 않았던 검은머리딱새가 2018년에 4번 관찰되었다. 유럽긴수염박쥐, 딱따구리, 박새, 검은지빠귀와 함께 환경영향평가의 지표 동물로 주목받고 있으며, 2020년에는 최소 6번 관찰되었다.
5. 1. 번식
검은머리딱새는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이다. 4월 중순에 번식을 시작한다. 암컷이 둥지를 짓는데, 바위나 벽의 틈새, 구멍, 또는 건물 선반 등에 짓는 경우가 많다. 둥지는 풀과 줄기로 만든 헐렁한 컵 모양이며 털, 양모, 깃털로 안을 댄다. 알은 매일 낳으며, 한 배에 4~6개, 보통 흰색이지만 옅은 파란색일 수도 있다. 알의 평균 크기는 19.4mm x 14.4mm이며 무게는 2.16g이다. 마지막 알을 낳은 후부터 암컷이 13~17일 동안 알을 품는다. 새끼는 양쪽 부모의 보살핌을 받고 먹이를 먹으며 12~19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절벽이나 암벽의 비탈진 곳의 구멍이나 틈새에 마른 풀, 이끼, 섬유 등을 사용하여 완형의 둥지를 짓는다. 둥지 내부에는 짐승 털이나 깃털을 깐다. 인가의 벽 틈새에 둥지를 트는 경우도 있다. 한 배에 5~1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의 색깔은 유럽 아종은 흰색, 아시아 아종은 옅은 청색이다. 포란 기간은 12~16일이며, 암컷이 알을 품는다.

참조
[1]
간행물
"''Phoenicurus ochruros''"
2021-11-19
[2]
서적
Birds of Britain
https://archive.org/[...]
Adam and Charles Black
1907
[3]
논문
Redstart hybrids in Europe and North Africa
https://www.research[...]
[4]
논문
Geographical variation in Black Redstart Phoenicurus ochruros (S. G. Gmelin, 1774) calls
https://bioone.org/j[...]
[5]
학술
A new subspecies of the black redstart – ''Phoenicurus ochruros murinus'' subsp. nov. from the Altai-Sayan Mountainous Country and the current breeding range of the black redstart
2018
[6]
웹사이트
Gefiedermerkmale, Maße und Alterskennzeichen des Hausrotschwanzes Phoenicurus ochruros
http://www.limicola.[...]
limicola.de
2023-05-10
[7]
웹사이트
クロジョウビタキ
http://www.wbsj-okho[...]
日本野鳥の会オホーツク支部
2020-12-31
[8]
웹사이트
London Is “Rewilding” and Native Species Are Flocking In
https://reasonstobec[...]
2020-12-21
[9]
서적
한반도의 조류
아카데미서적
2012-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