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늪거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정늪거북(Geoclemys hamiltonii)은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지에 서식하는 거북의 일종이다. 등갑은 검은색이며, 어린 개체는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갖는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가 길고, 주로 곤충, 갑각류, 조개 등을 먹으며, 난생으로 연간 두 번 12~36개의 알을 낳는다. 농지 개발, 어업, 애완동물 채집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돌거북과 - 남생이
남생이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반수생 거북으로, 갈색 등딱지와 노란색 목 무늬가 특징이며,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돌거북과 - 일본돌거북
일본돌거북은 혼슈, 시코쿠, 규슈 등 일본 고유종으로 하천, 호수 등 다양한 수환경에 서식하며 잡식성이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는 파충류이다. - 1831년 기재된 파충류 - 남생이
남생이는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반수생 거북으로, 갈색 등딱지와 노란색 목 무늬가 특징이며,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1831년 기재된 파충류 - 큰머리거북
큰머리거북은 캄보디아 등지에 서식하며 머리가 크고 등딱지 속으로 들어가지 않으며, 멸종위기종으로 불법 거래,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였다. - 파키스탄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 파키스탄의 파충류 - 장수거북
장수거북은 바다거북목에 속하는 현존하는 가장 큰 거북 종으로, 가죽 같은 피부와 작은 골편으로 덮인 등딱지를 가지며,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여 해파리를 주로 먹고 살지만, 플라스틱 섭취로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종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검정늪거북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Geoclemys hamiltonii |
명명자 | Gray, 1830 |
이명 | Emys hamiltonii Gray, 1830 Emys guttata Gray, 1831 Emys piquotii Lesson, 1831 Clemmys palaeindica, Lydekker 1885 Geoclemys sivalensis Tewari & Badam, 1969 |
한국어 이름 | 하밀토니거북 |
영어 이름 | Black pond turtle Black spotted turtle Hamilton's pond turtle Spotted pond turtle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거북목 |
아목 | 잠경아목 |
상과 | 땅거북상과 |
과 | 돌거북과 |
속 | 검정늪거북속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멸종위기 (EN) |
CITES | 부속서 I |
인용 | CITES 부속서 Geoclemys hamiltonii Praschag, P., Ahmed, M.F. & Singh, S. 2019. Geoclemys hamiltonii |
2. 학명 및 분류
종명인 ''hamiltonii''는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이자 어류학자인 프랜시스 뷰캐넌-해밀턴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5] 속명 '''Geoclemys'''는 "대지의 거북"이라는 뜻이며, 종소명 ''hamiltonii''는 프랜시스 뷰캐넌-해밀턴에게 헌명되었다.[13]
검정늪거북의 등갑 길이는 18cm에서 22cm 정도이며, 수컷의 몸무게는 1.5kg에서 2kg 사이이다. 최대 등갑 길이는 41cm[7] 또는 39cm[13]까지 자랄 수 있다.
과거에는 형태적으로 카운턴자라나 자라와 가까운 종으로 여겨져, 이전의 자라속인 ''Chinemys'' (현재는 남생이속의 동의어로 여겨짐)에 포함시키기도 했다.[13] 이 때문에 '해밀턴자라'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검정늪거북은 자라류와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고 특유의 냄새도 나지 않으므로, 이 이름은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13]
3. 형태
등갑은 매우 융기되어 있거나[6], 약간 편평하거나 돔 모양일 수도 있다[13]. 위에서 보면 가늘고 긴 타원형이다[13]. 등갑에는 3개의 끊어진 용골(ridge)이 있으며, 이는 척추 및 늑골판에 해당하는 결절 돌기 형태로 나타난다[6]. 추갑판과 늑골판에도 줄무늬 모양의 융기(키울)가 있다[13]. 등갑의 뒷가장자리는 어릴 때는 강하게 톱니 모양이지만[6], 나이가 들면서 점차 약해진다[6][13]. 등갑의 색은 주로 검은색[13] 또는 짙은 갈색[6]이며, 작고 노란색 또는 흰색 반점[6]이나 옅은 주황색, 옅은 노란색, 노란색, 흰색의 불규칙한 반점 또는 방사상의 줄무늬가 나타난다[13]. 하지만 큰 개체에서는 이러한 반점이 사라지고 검은색만 남는 경우도 많다[13]. 목덜미 갑판은 적당한 크기이며 앞쪽보다 뒤쪽이 더 넓다[6]. 첫 번째 척추판은 앞쪽 너비가 뒤쪽 너비와 비슷하거나 약간 넓다[6]. 두 번째와 세 번째 척추판은 어린 개체에서는 폭보다 넓고, 성체에서는 폭과 거의 같으며, 늑골판보다는 좁다[6].
배갑은 크고 측면이 각진 형태이며, 앞쪽 끝은 잘려 있다[6]. 배갑을 접을 수 있는 경첩 구조는 없다[13]. 배갑의 뒷부분은 등갑의 구멍보다 훨씬 좁고 다리 폭과 비슷하며, 뒤쪽이 깊게 파여 있다[6]. 배갑의 색깔은 검은색 바탕에 옅은 노란색이나 노란색 반점 또는 방사상 줄무늬가 들어간다[13]. 겨드랑이 갑판은 약간 작거나 중간 크기이며, 서혜 갑판은 약간 크다[13].
머리는 꽤 큰 편이며[6][13], 주둥이는 매우 짧고 앞으로 돌출되지 않는다[6][13]. 위턱의 끝은 중간 부분이 패여 있거나[6] 움푹 들어가 두 갈래로 갈라진다[13]. 아래턱 결합부의 너비는 눈구멍의 수평 지름과 거의 같다[6]. 큰 방패 모양의 비늘이 주둥이와 머리 윗부분을 덮고 있으며, 때로는 이 방패가 세 개로 나뉘기도 한다[6]. 저작근(씹는 근육)이 발달하여 머리 뒤쪽(후두부)이 솟아 있으며, 이 부분은 약간 큰 비늘로 덮여 있다[13]. 턱의 맞닿는 면(교합면)은 넓고 평평하여 단단한 먹이를 부수기에 적합하다[13]. 턱을 덮는 각질 부리나 턱뼈에 능선이나 굴곡이 있지만 크게 발달하지는 않았다[13].
발가락은 길지 않지만 발톱까지 물갈퀴가 잘 발달해 있다[6][13]. 꼬리는 매우 짧다[6][13]. 피부 등 연한 부위는 짙은 갈색 또는 검은색이며, 머리와 목에는 특히 크고 둥근 노란색 반점들이 있다[6]. 머리, 다리, 꼬리 역시 검은색이나 짙은 갈색 바탕에 노란색 또는 흰색 반점이 들어간다[13].
새끼 거북은 등갑 주위에 날카롭고 가시 같은 돌기가 둘러싸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띤다. 또한 새끼 때는 등갑의 반점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13]. 알은 긴 지름 4.1cm~4.5cm, 짧은 지름 2.5cm~3.7cm 크기의 타원형이다[13].
3. 1. 암수 구분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13], 등갑의 너비와 높이도 암컷이 더 크다[13]. 수컷은 암컷에 비해 꼬리가 더 길고 두꺼우며[13], 복갑의 중앙부가 뚜렷하게 움푹 파여 있다[13]. 반면 암컷의 복갑 중앙부는 평평하거나 약간 튀어나와 있다[13]. 꼬리를 똑바로 폈을 때, 수컷은 총배설구의 대부분이 등갑 바깥쪽에 위치하지만, 암컷은 총배설구 전체가 등갑 안쪽에 위치한다[13].
암수 간의 주요 특징 차이는 다음과 같다.
구분 | 수컷 | 암컷 |
---|---|---|
크기 | 암컷보다 작음 | 수컷보다 큼[13] |
등갑 | 암컷보다 좁고 낮음 | 수컷보다 넓고 높음[13] |
복갑 | 중앙부가 뚜렷하게 움푹 들어감[13] | 중앙부가 평평하거나 약간 돌출함[13] |
꼬리 | 굵고 김[13] | 가늘고 짧음[13] |
총배설구 위치 (꼬리를 폈을 때) | 대부분 등갑 바깥쪽에 위치[13] | 전체가 등갑 안쪽에 위치[13] |
4. 생태
검정늪거북의 등갑 길이는 18cm에서 22cm 사이이며, 수컷의 몸무게는 1.5kg에서 2kg 정도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가 더 길고 두껍다. 새끼일 때는 등갑 주위에 날카로운 가시 모양의 돌기가 둘러싸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띤다. 성체의 등갑은 굴곡이 있으며 검은 반점이 있다.
검정늪거북은 반 수생동물이다. 남부 파키스탄 (인더스강, 갠지스강, 브라마푸트라강 유역), 북부 인도 (아삼, 비하르, 잠무, 메갈라야, 펀자브, 라자스탄, 우타르프라데시, 서벵골),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등지에 분포한다.[1] 주로 대형 강이나 그 범람원에 있는 우각호, 연못, 늪, 웅덩이, 저수지 등에 서식하며, 수생 식물이 무성한 수심이 얕은 정지 수역을 선호한다.[13] 대부분 건기에도 물이 마르지 않는 곳에 서식하지만, 타르 사막의 개체군은 건기에 물가가 마르면 다른 물가로 이동하기도 한다.[13] 분포 지역 북쪽에서는 활동이 둔해지거나 거의 동면에 들어가기도 하지만, 방글라데시 저지대에 사는 개체군은 연중 활동한다.[13]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8][13]
4. 1. 먹이
검정늪거북은 반 수생동물로 얕은 개울에서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기도 한다. 주로 달팽이를 포식하며, 그 외에도 잠자리 유충을 포함한 곤충, 민물 갑각류, 조개, 양서류 및 기타 동식물성 먹이도 섭취하는 것으로 보인다.[1][13]4. 2. 번식
검정늪거북은 난생으로 번식한다.[8][13] 암컷은 보통 1년에 2번 산란하며, 사육 환경에서는 1년에 3번 낳는 경우도 보고되었다.[13] 산란 시기는 주로 2월 또는 5월(건기 초)과 10월이다.[13] 한 번에 낳는 알의 수는 출처에 따라 12~36개[1] 또는 26~36개[13]로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두 번째 산란이 첫 번째 산란보다 규모가 작다.[1] 갓 부화한 새끼의 등딱지 길이는 약 37mm이다.[1] 사육 환경에서는 알이 74일 만에 부화한 기록이 있다.5. 인간과의 관계
농지 개발, 어업에 의한 혼획, 애완동물 목적의 남획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1] 국제적인 상거래는 규제되고 있지만, 밀수되는 경우도 있다.[11][13] 1975년 워싱턴 조약 발효 시점부터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상업적 목적의 국제 거래는 금지되었다.[10][13]
5. 1. 사육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된 사례가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 워싱턴 조약 비준 이전에 방글라데시(1982년 워싱턴 조약 비준)에서 수입된 개체나, 이들로부터 번식된 개체들이 등록증과 함께 유통된다.[13] 수생 테라리움에서 사육한다. 사육 시 식물성 먹이를 먹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냉동된 생먹이나 배합 사료는 잘 먹는 편이다.[13]참조
[1]
간행물
"''Geoclemys hamiltonii ''"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Checklist of Chelonians of the World
[4]
웹사이트
Chelonia.org
http://www.chelonia.[...]
[5]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Reptilia and Batrachia''"
London: Secretary of State for India in Council. (Taylor and Francis, printers)
[7]
문서
Das (2002).
[8]
웹사이트
www.reptile-database.org
"{{EMBL species|genu[...]
[9]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10]
웹사이트
"''Geoclemys hamiltonii''"
https://www.speciesp[...]
The Species+ Website. Nairobi, Kenya. Compiled by UNEP-WCMC, Cambridge, UK
2017
[11]
간행물
"''Geoclemys hamiltonii''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9)"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2019
[12]
간행물
Turtles of the world, 7th edition: annotated checklist of taxonomy, synonymy, distribution with maps, and conservation status
Chelonian Research Monographs
2014
[13]
문서
安川雄一郎 「バタグールガメ属グループの分類と生活史1」『クリーパー』第28号、クリーパー社、[[2005年]]、97-129頁
[14]
웹사이트
"''Geoclemys hamiltonii'' (Gray, 1831) 검정늪거북"
"{{CBD-CHM KOREA CIT[...]
[15]
웹사이트
Chelonia.org
http://www.chelon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