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세리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세리쿠스는 반달족의 왕으로, 서로마 제국 멸망기에 북아프리카에 반달 왕국을 건설하고 지중해를 지배한 인물이다. 그는 훈족의 압박으로 서쪽으로 이동하여 갈리아를 침입했고, 428년 왕위에 오른 후 북아프리카를 정복하여 카르타고를 수도로 삼았다. 뛰어난 군사 전략으로 서로마 제국을 공격하고 로마를 약탈했으며,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도 승리했다. 476년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지중해의 주요 세력으로 남았으며, 477년 사망할 때까지 서지중해를 통치했다. 그의 로마 약탈은 '반달리즘'이라는 용어를 남겼으며, 현대에는 외세에 맞선 지도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게이세리쿠스는 서로마 제국 말기의 내전을 이용하여 히스파니아 남부에 자리잡고 있던 반달족 전체를 이끌고 로마 제국의 곡창지대인 북아프리카를 공격해 차지했다. 이후 동로마 제국과의 전투에도 승리하고, 서로마 제국으로부터 반달 왕국으로 인정받았다.
2. 생애
5세기 초, 서로마 제국은 내부 권력 다툼과 외세 침략으로 혼란스러웠다. 특히 북아프리카는 로마의 곡창지대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종교 갈등과 정치적 분열로 불안정했다.[15]
428년, 게이세리쿠스는 8만 명(또는 2만 명)의 반달족과 알란족, 고트족을 이끌고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아프리카로 이동했다.[17][18] 그는 약하고 분열된 로마 방어군을 상대로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고, 현재의 모로코와 북부 알제리를 포함하는 영토를 빠르게 점령했다. 430년 보니파키우스 군을 격파하고,[22] 14개월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히포 레기우스를 함락시켰다.[26]
435년, 게이세리쿠스는 로마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28] 마우레타니아와 누미디아 일부를 점유하는 조건으로 카르타고 공격 중단과 제국에 조공을 바치기로 합의했다. 또한 아들 훈네리크를 인질로 로마에 보냈다.
그러나 게이세리쿠스는 439년 10월 19일, 기습적으로 카르타고를 점령하여 제국 권력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29] 카르타고 항구에 정박해 있던 서로마 해군의 상당 부분을 점령하고, 지중해 제해권을 장악했다. 442년 로마와의 조약에서 반달족은 비자케나와 누미디아의 일부에 대한 독립적인 통치자로 인정받았다.[34]
이후 게이세리쿠스는 북아프리카의 옛 카르타고계 로마인들을 선원으로 부리며 대규모 함대를 조직,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 등을 점령했다. 455년 6월에는 로마를 공격하여 서고트족의 수령 알라리크에 이어 두 번째로 로마를 약탈했다.[39]
455년 로마 약탈은 파괴 행위와 야만적인 행위를 의미하는 "반달리즘"이라는 말을 후세에 남겼다. 410년 서고트족에 의한 로마 약탈은 3일 만에 끝났지만, 455년의 약탈은 2주에 걸쳐 이루어졌다.[44]
이후에도 게이세리쿠스는 서로마 제국 및 동로마 제국과 지속적인 전쟁을 벌였다. 460년 마요리아누스의 공격과 468년 바실리스쿠스의 공격을 모두 격퇴하며 반달 왕국의 독립을 지켜냈다.[51][57]연도 사건 내용 결과 460년 마요리아누스의 공격 마요리아누스 황제가 이끄는 토벌군 격퇴 반달 왕국의 승리, 서로마의 원정 실패 468년 바실리스쿠스의 공격
(Battle of Cap Bon (468)영어)바실리스쿠스 황제가 이끄는 동로마 군을 본 곶 반도 해전에서 격파 반달 왕국의 승리, 동로마 제국의 군사력 크게 감소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게이세리크는 지중해 세계의 주요 세력으로 남게 되었다.[74] 그는 오도아케르의 이탈리아 왕국과 영토 협상을 통해 코르시카, 사르데냐, 시칠리아 남부의 영유를 인정받았다. 또한 동로마 제국과도 상호 불가침 조약을 맺으며 반달 왕국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75]
477년 7월 25일, 게이세리크는 수도 카르타고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훈네리크가 왕위를 계승했다.[76]
2. 1. 초기 생애와 권력 장악
게이세리쿠스는 고디기젤 왕의 서자로 태어났다.[1] 그는 키가 작았고 어린 시절 낙마 사고로 다리를 절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게르만족의 외모와는 달랐던 것으로 보인다.[2] 전사로 살아야 했던 당시 왕으로서는 부족한 모습이었지만, 게이세리쿠스는 뛰어난 전략으로 점차 두각을 나타냈다.[2]
400년에서 401년경, 훈족의 침입으로 반달족은 고디기젤 왕의 지휘 아래 이동을 시작했다. 이 무렵 반달족은 기독교로 개종한 상태였으며, 초기 고트족과 마찬가지로 아리우스파 신앙을 받아들였다.[4] 이는 로마 제국의 가톨릭교회 신앙과 정반대였다. 로마 제국과 가톨릭교회는 아리우스파와 게르만 부족을 혐오스러운 이단자로 여겼고, 반달족 역시 로마 제국의 가톨릭교회와 로마인들을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했다.[4]
406년 12월 31일, 반달족은 라인 강을 건너 갈리아에 침입했다.[5] 이 과정에서 고디기젤 왕을 포함하여 2만 명의 반달족이 사망했지만, 알란족의 도움으로 프랑크족을 이길 수 있었다. 고디기젤의 아들 군데리크가 왕위에 올랐고, 가이세리쿠스는 아버지의 전사 이후 군데리크 다음으로 강력한 권력을 가진 인물이 되었다.
409년 10월, 반달족은 피레네 산맥을 넘어 히스파니아(스페인)에 들어왔다.[6] 서고트족에 의해 갈리아에서 쫓겨난 것이다. 로마는 반달족에게 비옥도가 낮은 이베리아 반도로 이주할 것을 요구했다. 이베리아 반도는 로마 제국이 반달족과 다른 부족들에게 건국을 허락한 땅이었다.[6]
428년, 군데리크가 죽은 후 가이세리쿠스가 왕으로 선출되었다.[12] 로마 제국은 게르만 부족들 간의 동족상잔을 유도하기 위해 땅을 미끼로 사용했다.[9][10] 로마의 계략으로 수에비족과 서고트족 간의 영토 분쟁이 격화되었고, 이 과정에서 실링기계 반달족과 알란족은 궤멸되었다. 많은 부족민이 살해되었으며, 남은 세력은 군데리크와 가이세리쿠스가 이끄는 하스딩기계에 통합되었다.[11] 가이세리쿠스는 왕이 되자마자 경쟁 부족과의 전투를 피해 히스파니아를 떠나기로 결심했다.[12] 그는 왕이 되기 전부터 로마 항구 도시에서 빼앗은 군함과 상선을 모아 함대를 편성한 것으로 보인다.[13] 428년, 가이세리쿠스는 메리다 전투에서 스웨비족 군대를 격파했고, 스웨비족 왕자 헤르미가리우스는 과디아나 강을 건너 도망치다 익사했다.[14]
2. 2. 아프리카 정복과 반달 왕국 건설
서로마 제국 말기의 내전을 이용하여, 게이세리쿠스는 히스파니아 남부에 자리잡고 있던 반달족 전체를 이끌고 로마 제국의 곡창지대인 북아프리카를 공격하여 차지하였다.[37]
5세기 초, 서로마 제국은 내부 권력 다툼과 외세의 침략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특히 북아프리카는 로마의 곡창지대로 중요한 지역이었으나, 종교 갈등과 정치적 분열로 불안정한 상태였다.
428년/429년에 게이세리크는 그의 백성 대부분—아마도 8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을 이끌고 북아프리카로 이동하였다. 일부 학자들은 이 수치가 과장되었으며 실제 수는 아마도 2만 명에 가까웠을 것이라고 주장한다.[37] 역사가 피터 히더는 429년에 1만 명 이상의 전사를 포함한 5만 명의 사람들이 아프리카로 이동했다고 제안한다.
지브롤터 해협을 건넌 게이세리크는 그의 반달 형제들과 군대뿐만 아니라 알란족과 고트족의 일부 병력도 이끌고 왔을 가능성이 높다.[38] 일단 도착한 그는 약하고 분열된 로마 방어군을 상대로 많은 전투에서 승리하고, 현재의 모로코와 북부 알제리를 포함하는 영토를 빠르게 점령했다. 그의 반달 군대는 칼라마 전투에서 보니파키우스의 군대를 패퇴시켰고,[37] 히포 레기우스 도시(최근까지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였던 곳이며, 포위 공격 중 사망)를 포위 공격했다.[39] 14개월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히포 레기우스를 함락시켰다. 그 후 게이세리크와 그의 군대는 누미디아 내륙 지역을 정복하기 시작했다.[39]
435년, 게이세리크와 로마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 사이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고,[40] 게이세리크를 그가 정복한 땅의 왕으로 인정하는 대가로 반달족은 카르타고에 대한 추가 공격을 중단하고 제국에 조공을 바치며, 게이세리크의 아들 후네리크는 인질로 로마로 보내졌다.[37] 게이세리크와 로마인 사이의 조약에는 로마의 ''포에데라티''(특별 조약 하의 동맹국)로서 마우레타니아와 누미디아의 일부를 반달족이 유지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37]
439년 10월 19일, 게이세리크는 기습적으로 카르타고를 점령하여 제국 권력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혔다. 고전 학자 스튜어트 오스트는 "그러므로 그는 아프리카로 처음 건너왔을 때부터 그의 목표였던 것을 의심할 여지 없이 달성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39] 역사가 크리스 위컴은 게이세리크의 카르타고 정복이 로마의 몰락을 예고했다고 주장한다.[37] 로마인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했고, 게이세리크는 카르타고 항구에 정박해 있던 서로마 해군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게이세리크가 아프리카의 수입과 곡물 공급에 해당하는 제국 재정에 타격을 입혔음에도 불구하고, 반달 왕은 이탈리아에 아프리카의 곡물을 빼앗을 의도가 없었고, 대신 이익을 위해 황제에게 팔고자 했다.[39] 한편, 그의 새로운 지위는 ''프로콘술라리스''였고, 그렇게 게이세리크는 카르타고를 그의 새로운 거주지로 삼았다.[39] 이미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국가를 상속받은 그는 그의 새로운 땅에서 얻은 세수입으로 지중해에 대한 제국의 통제에 도전하는 대규모 함대를 건설할 수 있었다.[39]
442년 로마와의 조약에서 반달족은 비자케나와 누미디아의 일부에 대한 독립적인 통치자로 인정받았다.[37]
2. 3. 지중해 패권 장악과 로마 약탈
게이세리쿠스는 서로마 제국 말기의 내전을 틈타 히스파니아 남부에 자리잡고 있던 반달족을 이끌고 북아프리카를 공격하여 점령했다. 동로마 제국과의 전투에서도 승리한 후, 서로마 제국으로부터 반달 왕국으로 인정받았다.[42]
이후 게이세리쿠스는 북아프리카의 옛 카르타고계 로마인들을 선원으로 부리며 대규모 함대를 조직,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 등을 점령했다. 455년 6월에는 로마를 공격하여 서고트족의 수령 알라리크에 이어 두 번째로 로마를 약탈했다.[39]
455년, 서로마 제국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암살당하자, 위기감을 느낀 황후 리키니아 에우도키아는 게이세리쿠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38] 이를 명분으로 게이세리쿠스는 442년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맺었던 평화 조약을 파기하고 이탈리아에 상륙했다. 레오 1세는 사절을 보내 게이세리쿠스에게 주민 학살과 건축물 파괴를 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41] 게이세리쿠스가 이 제안에 동의했기에 로마의 성문은 반달족 군대를 맞이하기 위해 열렸다. 그러나 입성한 게이세리크 군은 교황과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2주 동안 도시는 약탈당했고, 공유, 사유를 묻지 않고 로마에 존재하는 모든 보물이 몰수되었으며, 막대한 양의 금은 보화가 가져가졌다.[42] 이 약탈로 카피톨리노 언덕에 있던 유피테르 신전은 지붕에 덮여 있던 구리 장식 등이 벗겨졌을 뿐만 아니라, 신전 자체도 불이 붙는 등 문화적으로 중요한 시설에도 피해가 발생했다. 황후 에우도키아와 딸 에우도키아, 그리고 배 건조공과 수도·목욕탕 설계사 등 많은 장인들이 카르타고로 끌려갔다. 많은 고귀한 인물들이 인질로 잡혀 인질값 징수의 도구가 된 것 외에도 많은 주민들이 노예로 끌려가 팔렸다.[42][43]
455년 로마 약탈은 파괴 행위와 야만적인 행위를 의미하는 "반달리즘"이라는 말을 후세에 남겼다. 410년 서고트족에 의한 로마 약탈은 3일 만에 끝났지만, 455년의 약탈은 2주에 걸쳐 이루어졌다.[44]
460년, 서로마 제국의 황제 마요리아누스는 반달 왕국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추진했다. 그러나 게이세리쿠스는 서로마 제국 함대가 출항하기도 전에 기습적으로 화공을 가해, 함대를 모두 불살라 버렸다.
468년에는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의 연합 함대가 게이세리쿠스를 공격했으나, 이 또한 실패로 끝났다.
2. 4. 서로마 제국과의 전쟁
455년 로마 약탈 이후, 게이세리크는 서로마 제국과 지속적인 전쟁을 벌였다. 460년, 서로마 황제 마요리아누스는 반달 왕국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추진했으나, 게이세리크는 서로마 제국 함대가 출항하기도 전에 기습적으로 화공을 가해 함대를 모두 불태워 버렸다.[51]
468년에는 동로마 제국과 서로마 제국의 연합 함대가 게이세리크를 공격했으나, 이 또한 실패로 끝났다. 바실리스쿠스가 이끄는 동로마 제국 함대는 반달 왕국을 정복하려 했으나, 게이세리크는 본 곶 반도 해전(Battle of Cap Bon (468)영어)에서 로마 군대를 궤멸시켰다.[57] 이 전투에서 동로마군은 700척의 함선과 7만 명의 병사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61]
연도 | 사건 | 내용 | 결과 |
---|---|---|---|
460년 | 마요리아누스의 공격 | 마요리아누스 황제가 이끄는 토벌군 격퇴 | 반달 왕국의 승리, 서로마의 원정 실패 |
468년 | 바실리스쿠스의 공격 (Battle of Cap Bon (468)영어) | 바실리스쿠스 황제가 이끄는 동로마 군을 본 곶 반도 해전에서 격파 | 반달 왕국의 승리, 동로마 제국의 군사력 크게 감소 |
2. 5. 서로마 멸망과 말년
476년,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게이세리크는 지중해 세계의 주요 세력으로 남게 되었다.[74] 그는 오도아케르의 이탈리아 왕국과 영토 협상을 시작하여, 코르시카와 사르데냐의 영유를 인정받고, 시칠리아를 남북으로 분할하여 남부의 영유를 결정했다. 이로써 이탈리아 왕국과의 평화를 이루었다.[74]게이세리크는 적대 관계였던 동로마 제국과도 공존을 모색했다. 동로마 제국은 제논에 대한 반란 등으로 정세가 불안정하여 반달 왕국을 토벌할 여유가 없었다. 동로마 제국도 반달 왕국과의 평화를 원했다.[75]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파견된 사절은 제논으로부터 상호 불가침 조약을 받았다. 제논은 반달 왕국을 동등한 독립 국가로 인정하고 영토 영유권을 침해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오도아케르의 왕위가 동로마의 대리인 지위밖에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파격적인 대우였다. 게이세리크의 왕위는 로마 황제와 동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75]
477년 7월 25일, 게이세리크는 반달 왕국 건국이라는 대업을 완수하고 수도 카르타고에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6] 게이세리크는 로마 제국의 변방에서 태어나 여러 곳을 방랑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로마와 격렬한 투쟁을 벌이다 아프리카로 건너가 새로운 국가를 건설했다. 로마 제국을 해적 행위로 괴롭히고, 로마를 습격하여 제국의 심장부에서 역사에 남을 약탈을 저질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왕국을 로마 제국과 동등한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다. 그의 아들 훈네리크가 왕위를 계승했다.[76]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松谷(1995)
[37]
서적
松谷(1995)
[38]
서적
松谷(1995)
[39]
서적
松谷(1995)
[40]
서적
松谷(1995)
[41]
서적
松谷(1995)
[42]
서적
弓削(1991)
[43]
서적
松谷(1995)
[44]
서적
松谷(1995)
[45]
서적
弓削(1991)
[46]
서적
松谷(1995)
[47]
서적
弓削(1991)
[48]
서적
松谷(1995)
[49]
서적
弓削(1991)
[50]
서적
松谷(1995)
[51]
서적
松谷(1995)
[52]
서적
弓削(1991)
[53]
서적
松谷(1995)
[54]
서적
松谷(1995)
[55]
서적
松谷(1995)
[56]
서적
松谷(1995)
[57]
서적
松谷(1995)
[58]
서적
松谷(1995)
[59]
서적
松谷(1995)
[60]
서적
松谷(1995)
[61]
서적
松谷(1995)
[62]
서적
松谷(1995)
[63]
서적
弓削(1991)
[64]
서적
松谷(1995)
[65]
서적
弓削(1991)
[66]
서적
松谷(1995)
[67]
서적
松谷(1995)
[68]
서적
弓削(1991)
[69]
서적
松谷(1995)
[70]
서적
弓削(1991)
[71]
서적
松谷(1995)
[72]
서적
弓削(1991)
[73]
서적
松谷(1995)
[74]
서적
松谷(1995)
[75]
서적
松谷(1995)
[76]
서적
松谷(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