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탈라우눔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탈라우눔 전투는 451년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가 훈족의 아틸라를 갈리아에서 격퇴한 전투이다. 서로마 제국과 서고트족 등 연합군은 카탈라우니아 평원에서 훈족과 격돌했으며, 전투 결과 아틸라는 헝가리 평원으로 물러났다. 이 전투는 훈족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서로마 제국의 멸망을 늦추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전투의 영향과 결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전투에는 훈족, 동고트족, 게피드족, 서로마 제국군, 서고트족, 부르군트족, 프랑크족, 알란족 등 다양한 민족이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카탈라우눔 전투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전투 이름카탈라우눔 평원 전투
로마자 표기Pugna Catalaunica
프랑스어 표기 (약칭)bataille de Châlons
독일어 표기Schlacht auf den Katalaunischen Feldern
영어 표기Battle of the Catalaunian Plains
카탈라우눔 전투에서의 훈족(검정색)과 서유럽 연합군(회색)의 진로, 그리고 훈족의 위협이나 약탈을 받은 도시들
카탈라우눔 전투에서의 훈족(검정색)과 서유럽 연합군(회색)의 진로, 그리고 훈족의 위협이나 약탈을 받은 도시들
날짜451년 6월 20일
장소프랑스 북동부, 샹파뉴아르덴 지역
전투 결과전술적 무승부, 훈족의 철수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파일:Labarum.svg|20px]] 서로마 제국
서고트족
살리족
리푸아리족
부르군트족
색슨족
아르모리카인
알란족
올리브로네스족
교전 세력 2훈족 제국
아말계 고트족
루기이족
스키리족
튀링겐족
프랑크족
게피다이족
부르군트족
헤룰리족
지휘관
지휘관 1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테오도리크 1세
산기반
토리스문트
메로베크
군디오크
지휘관 2아틸라
발라미르
티우디메르
비디메르
아르다리크
킬데리쿠스 1세
라우다리쿠스
병력 규모
병력 1불명
병력 2불명
사상자
사상자 1불명
사상자 2불명
관련 캠페인
관련 캠페인서로마 제국 멸망
게르만-훈족 전쟁

2. 전투 이전의 정세

450년경, 로마는 이탈리아를 제외한 모든 속주에 대한 지배력이 약화되고 있었지만, 갈리아 속주 대부분에서 권위를 회복했다. 아모리카는 명목상으로만 제국에 속해 있었고, 로마 영토를 점령한 게르만족 부족들은 그들의 지도자들 밑에서 연맹군으로 강제로 정착하고 조약에 의해 묶였다. 잔텐 북쪽의 라인강과 리 강(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 사이의 북부 갈리아는 비공식적으로 살리 프랑크족에게 버려졌다. 가론강에 있는 서고트족은 불안해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조약을 지키고 있었다. 사파우디아의 부르군트족은 더 순종적이었지만 마찬가지로 반란을 위한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다.[6] 루아르 강과 발렌티누아에 있던 알란족은 411년 요비누스의 패배와 414년 바자 공성전 이후 로마를 섬겼기 때문에 더 충성스러웠다.[7] 로마의 지배를 확실하게 받고 있던 갈리아 지역은 지중해 연안, 센 강을 따라 오를레앙(Aurelianum)을 포함한 지역과 수아송아라스까지 북쪽으로 루아르 강, 쾰른(Colonia Claudia Ara Agrippinensium)까지의 중부 및 상류 라인강, 그리고 론 강을 따라 하류 지역이었다.[8]

역사가 요르다네스아틸라반달족 왕 겐세리크의 유혹에 빠져 서고트족과 전쟁을 벌였다고 전하며, 동시에 겐세리크는 서고트족과 서로마 제국 사이에 불화를 일으키려 했다고 한다.[9][10] 그러나 요르다네스의 기록은 신뢰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11]

다른 당대 기록에서는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여동생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가 아틸라에게 도움을 요청한 사건을 언급한다. 호노리아는 집정관 바수스 헤르쿨라누스와 약혼한 상태였으나, 450년 환관 히아킨투스를 통해 훈족 왕에게 편지를 보내 감금에서 벗어나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하며 자신의 반지를 증거로 보냈다.[15] 아틸라는 이를 결혼 제안으로 해석하고 지참금으로 제국의 절반을 요구했으며, 발렌티니아누스가 이를 거부하자 갈리아 침공의 구실로 삼았다고 한다.

449년 프랑크족 왕(아마도 클로디오)이 사망한 후 두 아들 사이에 벌어진 계승 다툼 또한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장남은 아틸라의 도움을 구했고, 차남은 아에티우스의 편에 섰다. 프리스쿠스가 로마에서 본[17] 차남의 신원은 불분명하지만, 메로베우스와 킬데리크 1세가 거론된다.

2. 1. 서로마 제국의 쇠퇴

450년경까지 서로마 제국의 영향력은 갈리아 전역에 미쳤다. 그러나 멀리 떨어진 이탈리아에서 갈리아를 통치하는 것은 점차 쇠퇴해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치력은 약해졌고, 아르모리카 지방은 이미 명목상으로만 서로마 제국의 영토에 불과했다. 동시에 서로마 제국 영토를 게르만족 여러 부족들이 무력으로 점령하여, 결국 포에데라티로서 로마 측과 협정을 맺고 각 부족장 밑에 정착하기 시작했다.[6]

또한 라인강 북부 크산텐에서 뢰에 강 유역에 이르는 지역은 이미 살리안 프랑크족에 의해 비공식적으로 점령되어 있었다.[6]

2. 2. 훈족의 부상과 갈리아 침공 배경

450년경까지 서로마 제국의 영향력은 갈리아 전역에 미쳤다. 그러나 멀리 떨어진 이탈리아 반도에서 갈리아를 통치하는 것은 점차 쇠퇴해갔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치력은 약해졌고, 아르모리카 지방은 이미 명목상으로만 서로마 제국의 영토에 불과했다. 동시에 서로마 제국 영토를 게르만 여러 부족들이 무력으로 점령하여, 결국 포에데라티로서 로마 측과 협정을 맺고 각 부족장 밑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또한 라인강 북부 크산텐에서 뢰에 강 유역에 이르는 지역은 이미 살리안 프랑크족에 의해 비공식적으로 점령되어 있었다.

역사가 요르다네스아틸라반달족 왕 겐세리크의 유혹에 빠져 서고트족과 전쟁을 벌였다고 말한다. 동시에 겐세리크는 서고트족과 서로마 제국 사이에 불화를 일으키려 했다.[9][10] 그러나 요르다네스의 고트족 역사에 대한 기록은 신뢰하기 어렵다.[11]

다른 당대 작가들은 다른 동기를 제시한다.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여동생인 유스타 그라타 호노리아는 전 집정관 바수스 헤르쿨라누스와 전년에 약혼했다. 450년에 그녀는 환관 히아킨투스를 훈족 왕에게 보내 감금에서 탈출하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고, 편지의 진위를 증명하기 위해 반지를 보냈다.[15] 주장에 따르면 아틸라는 그것을 그녀의 결혼 제안으로 해석했고, 그는 지참금으로 제국의 절반을 요구했다. 그는 지참금과 함께 호노리아를 인도할 것을 요구했다. 발렌티니아누스는 이러한 요구를 거부했고, 아틸라는 이것을 구실로 갈리아를 통해 파괴적인 원정을 시작했다.

전쟁으로 이어진 또 다른 갈등은 449년 프랑크족의 왕(아마도 클로디오)이 사망하고 그의 두 아들이 계승을 놓고 다툰 것이다. 장남은 아틸라의 도움을 구했지만, 차남은 아에티우스 편에 섰고 아에티우스는 그를 입양했다. 역사가 프리스쿠스가 로마에서 보았던[17] 차남의 신원은 불분명하지만, 메로베우스와 킬데리크 1세가 모두 제안되었다.

3. 전투의 전개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이 라인 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공하여 여러 도시를 약탈하고 오를레앙을 포위했다.[81]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는 서고트 왕국의 왕 테오도리크 1세를 설득하여 연합군을 결성하고 오를레앙으로 진군했다.[81] 카탈라우눔 평원에서 양측 군대가 격돌했고, 격전 끝에 훈족은 큰 타격을 입고 후퇴했다.[81] 이 전투에서 테오도리크 1세가 전사했다.[80]

히다티우스는 이 전투에서 거의 30만 명이 전사했다고 전하며,[80] 요르다네스는 주 전투 이전의 프랑크-게피드 소규모 충돌의 사상자를 제외하고 16만 5천 명이 죽었다고 기록한다.[87] 모든 주요 자료들은 이 전투가 매우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고 기록하고 있다.[87]

3. 1. 양측 군대의 구성

아틸라의 군대는 절반 정도는 훈족으로, 나머지는 속국 병사들로 구성되었다. 주요 속국은 발라미르가 이끄는 동고트족, 아르다리크가 이끄는 게피다이족, 라인강 우변의 프랑크족, 마인 강가의 부르군트족 등이었다.[40][41] 이외에도 헤룰리족, 스키리족, 랑고바르디족 등이 소규모 병력으로 참전했다.[42][43]

요르다네스는 아틸라의 동맹군으로 게피드족과 고트족 여러 집단( 발라미르, 테오데미르, 비데미르 형제가 지휘)을 언급했다. 이들은 아말리 고트족의 후예였다.[40] 시도니우스 아폴리나리스는 루기족, 게피드족, 겔로니족, 부르군트족, 스키리족, 벨로노티, 네우리족, 바스타르나이족, 튀링기족, 브룩테리족, 네카르 강변의 프랑크족을 동맹으로 언급했다.[41]

아에티우스의 군대는 절반가량이 로마 정규군 및 프랑크족, 부르군트족 포이데라티(foederati, 로마 제국 내 영주권을 인정받는 대가로 병력 제공 의무를 진 이민족)로, 나머지 절반은 서고트족 병사로 구성되었다. 수천 명의 알란족도 함께했다.

요르다네스는 아에티우스의 동맹군으로 프랑크족, 사르마타이, 아모리카인, 리티키아니, 부르군디온, 색슨족, 리파리아인, 올리브로네스("한때 로마 군인이었고 이제는 동맹군의 꽃") 등 "다른 켈트족 또는 게르만족 부족들"을 언급했다.[27]

양측 군대 규모는 역사 기록의 과장으로 정확히 알 수 없다. 요르다네스는 50만 명을 언급했지만, 군 역사가들은 병참 기술을 고려해 양측 모두 5만~6만 명 정도로 추정한다.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로마군 절반은 서고트족(전성기에도 2만 명 이상 동원 불가)이므로, 알란족을 포함해도 로마군은 45,000명을 넘지 않았을 것이다. 아틸라 군대는 최대 5만 명, 혹은 양측 모두 3만 명 정도로 추정되기도 한다.

병사들의 무장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무장비고
훈족 병사활, 창, 곤봉, 원형 가죽 방패갑옷 미착용
게르만족 속국 병사창, 검, 방패갑옷 미착용.
동고트족 기병찌르기용 창, 날이 넓은 검, 가죽/쇠사슬 갑옷, 방패중무장 기병
프랑크족투척용 도끼(프란치스카), 날이 넓은 검, 나무 방패
로마군, 프랑크군, 부르군트군타원형 방패, 투구, 양날의 긴 검(spatha), 동양식 복합형 활, 쇠사슬 갑옷중무장 보병
서고트족 기병귀족: 쇠사슬 갑옷, 찌르기용 창
서고트족 보병창, 날이 넓은 검, 방패갑옷 미착용, 활(드물게)
알란족훈족과 유사


3. 2. 전투의 경과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이 라인 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공하여 여러 도시를 약탈하고 오를레앙을 포위했다.[81]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는 서고트 왕국의 왕 테오도리크 1세를 설득하여 연합군을 결성하고 오를레앙으로 진군했다.[81] 카탈라우눔 평원에서 양측 군대가 격돌했고, 격전 끝에 훈족은 큰 타격을 입고 후퇴했다.[81] 이 전투에서 테오도리크 1세가 전사했다.[80]

히다티우스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 거의 30만 명이 전사했다고 한다.[80] 요르다네스는 이 전투에서 죽은 사람의 수를 주 전투 이전의 프랑크-게피드 소규모 충돌의 사상자를 제외하고 16만 5천 명으로 보고한다.[87] 모든 주요 자료들은 이 전투가 매우 피비린내 나는 전투였다고 기록하고 있다.[87]

4.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카탈라우눔 전투의 결과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아틸라는 452년 서로마 제국을 다시 침략하여 아퀼레이아를 파괴하고 포 강 유역을 유린했다.[111] 아에티우스교황 레오 1세 등의 사절단을 파견하여 아틸라와 조약을 맺었고, 아틸라는 군대 내부의 기근과 질병으로 인해 이탈리아에서 철수했다.[111]

일부 학자들은 아에티우스가 겪은 군사적 실패가 그의 몰락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12] 메릴스와 마일스는 아에티우스 암살이 발렌티니아누스 3세의 몰락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13] 그러나 맥이보이는 발렌티니아누스 3세가 적극적인 황제가 되기를 원했고, 아에티우스 살해에 대한 직접적인 원인은 없었다고 반박한다.[114]

갈리아에서 서고트족은 카탈라우눔 평원에서의 지원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며 알란족을 멸망시키고 오를레앙을 포위했다.[115] 이는 토리스문드가 암살된 후 아에티우스가 서고트족에게 더 많은 양보를 하게 만들었다. 김은 이 전투가 갈리아 북부의 로마 영향력 감소와 살리 프랑크족, 부르군트족의 입지 강화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24] 이는 힐데리크와 프랑크족이 갈리아에서 지배력을 확보하고 오도아케르가 다시 권력을 잡는 계기가 되었다.[124]

4. 1. 엇갈리는 평가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이 라인 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공하여 오를레앙을 포위했을 때,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이티우스는 게르만 여러 부족의 군대와 함께 카탈라우눔 평야(현재 프랑스 북부, 샤롱=앙=샹파뉴 부근)에서 결전을 벌였다. 격전 끝에 아틸라는 큰 타격을 입고 본거지인 헝가리 평원으로 후퇴했고, 서로마 제국은 훈족의 정복을 면할 수 있었지만, 훈족의 세력은 유지되었다.[111] 로마군 역시 추격이 불가능할 정도의 피해를 입어 서로마의 세력은 약해졌고, 갈리아에 대한 프랑크족의 침입이 시작되었다.[124]

이 전투의 장기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타크홀름은 당대 자료들이 전투가 결정적이지 않았다고 언급하고 아이티우스에게 공을 돌리는 반면, 후대 자료들은 전투를 고트족의 승리이자 주요 자랑거리로 묘사한다고 지적한다.[79][116] 바니시에 따르면, 카시오도루스와 요르다네스의 저서는 클로비스 1세(그는 동고트족과 전쟁을 벌였다)를 새로운 아틸라로, 테오도릭 대왕을 새로운 아이티우스로 묘사하려 했다.[104] 그러나 프로코피우스와 빅토르 투넨시스의 저서와 같은 로마 자료에서는 아이티우스가 여전히 중요한 중심 인물로 남아 있다.[116]

4. 2.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게르만족의 성장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이 라인 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공하여 오를레앙을 포위했다.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는 게르만 여러 부족의 군대와 함께 이를 격퇴하기 위해 카탈라우눔 평야(현재 프랑스 북부, 샤롱앙샹파뉴 부근)에서 결전을 벌였다. 격전 끝에 아틸라는 큰 타격을 입고 본거지인 헝가리 평원으로 후퇴했고, 서로마 제국은 훈족의 정복을 면할 수 있었지만, 훈족의 세력은 유지되었다.[111]

로마군 역시 추격이 불가능할 정도의 피해를 입어 서로마의 세력은 약해졌고,[124] 갈리아에 대한 프랑크족의 침입이 시작되었다.

이 결전은 세계사에서 동서 양 민족의 대충돌 중 하나로 유명하다.

5. 전투의 의의

카탈라우눔 전투는 세계사에서 동서양 민족 간의 대충돌 중 하나로 기록되는 중요한 사건이다.[127]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이 라인 강을 건너 갈리아를 침공하고 오를레앙을 포위하면서 시작되었다.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는 여러 게르만 부족의 군대와 함께 이를 막기 위해 카탈라우눔 평야(현재 프랑스 북부, 샤롱=앙=샹파뉴 부근)에서 결전을 벌였다.[127] 격렬한 전투 끝에 아틸라는 큰 피해를 입고 본거지인 헝가리 평원으로 후퇴했고, 서로마 제국은 훈족의 정복을 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훈족의 세력은 여전히 유지되었다.[127]

로마군 역시 더 이상 추격이 불가능할 정도로 큰 피해를 입어 서로마 제국의 세력은 약해졌고, 이는 갈리아에 대한 프랑크족의 침입이 시작되는 결과로 이어졌다.[127]

이 전투는 서로마 제국의 쇠퇴와 게르만족 이동의 가속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평가된다. 또한, 민족의 생존과 국가의 운명을 건 대규모 전쟁의 한 사례로, 한국사에서도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6. 전투 참여 민족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에 맞서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는 여러 민족을 규합하여 연합군을 구성했다. 이 전투는 동서양 민족 간의 대충돌 중 하나로 기록된다.[1]

전투에 참여한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


  • '''훈족 측''': 훈족을 주축으로 동고트족, 게피다이족, 프랑크족, 부르군트족 등 다양한 게르만 부족들이 참여했다.
  • '''서로마 제국 측''': 서로마 제국군을 중심으로 서고트족, 알란족, 프랑크족, 부르군트족 등이 연합군을 형성했다.


양측 모두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프랑크족은 라인 강을 경계로 양쪽에, 부르군트족은 마인 강가와 라인 강가에 각각 거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6. 1. 훈족 측

451년 아틸라가 이끄는 훈족 군대는 절반 정도만 훈족으로 구성되었고, 나머지는 복속된 민족들로 채워졌다. 이들을 크기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

부족명지도자구성무장
훈족아틸라주력 부대말을 탄 채 창, 곤봉, 고리형 끈, 기병용 활로 무장. 보통 갑옷은 착용하지 않고 작은 원형 가죽 방패만 사용.
동고트족발라미르복속 부대 중 가장 큰 규모기병 1/3, 나머지는 보병. 중무장 기병은 찌르기용 창, 날이 넓은 검, 가죽 갑옷(때로는 쇠사슬 갑옷), 방패를 사용. 보병은 창, 날이 넓은 검, 장검, 가벼운 방패를 사용. 동고트족은 궁수 부대도 보유.
게피다이족(Gepidae)아르다리크복속 부대상세 불명
프랑크족 (라인강 우변)불명복속 부대충돌 직전 ‘프란치스카(Franzisca)’라는 투척용 도끼를 사용. 날이 넓은 검과 나무 방패로 무장.
부르군트족 (마인 강가)불명복속 부대상세 불명
헤룰리족(Heruli), 스키리족(Scirii), 랑고바르디족(Langobardi) 등불명소규모 병력 (수백 명 ~ 2천 명)상세 불명



이 외에도 테우린겐족(Thüringer) 등 다른 게르만 부족들도 훈족 측에 가담했다.[1]

6. 2. 서로마 제국 측

서로마 제국의 군대는 절반가량이 로마 정규군 부대 및 프랑크족과 부르군트족의 포이데라티(foederati, 로마 제국 내의 영주권을 인정받는 대가로 병력 제공의 의무를 진 이민족들)로 이루어졌고, 나머지 절반은 서고트족의 병사들로 이루어졌다. 여기에 수천 명의 알라니족이 함께했다.[27]

로마군, 프랑크군, 부르군트군은 중무장 보병대를 형성했다. 그 때에는 로마 후기의 병사들은 더 이상 로마 제정 초기 시절의 군단(legio)이 아니었다. 그들은 타원형 방패, 조임쇠가 달린 투구, 양날의 긴 검(spatha), 당시 로마군에게 항상 상당한 전투력을 안겨준 동양식 복합형 활을 가지고 다녔으며, 팔다리를 더 이상 가리지 않는 쇠사슬갑옷을 입었다. 그 부대의 일부는 아직 ‘군단’이라 불렸으나 1천 명에서 2천 명 사이의 병력만을 통솔했다. 아에티우스가 소집했던 많은 군인들은 리미타네이(limitanei, 국경지역 병사들)로 여겨지는데, 이들은 대체로 주둔지 근처의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로 구성되었다. 이것은 기동성을 줄이지만 바로 그들 자신의 공동체와 가족을 지키려는 까닭에, 이 부대의 사기는 그만큼 높다. 황제 근위대인 코미타텐세스(comitatenses)는 5세기 중엽 서로마에서 더 이상 큰 역할을 하지 못했는데, 이 정예군 아래 끝없는 안팎의 분쟁이 높은 손실을 끼쳤고, 텅 빈 국고 때문에 이 부대를 예전과 같이 만들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아에티우스는 코미타텐세스도 포함하여 아직 지휘권이 있는 로마 군대 모두를 아틸라에게 대항하도록 했던 것으로 보인다. 많은 이들이 기병이었다.

라인강 변에 사는 리푸아리아 프랑크족은 아마 위에 언급된 라인강 오른쪽에 사는 프랑크족과 똑같이 무장하였을 것이다. 양 측 군대에 다 있는 부르군트족은 단지 장검만으로 싸웠음이 명백하다. 서고트족 병사들은 378년의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 이래로, 알라니족 기병대의 명백한 본보기를 통해 보병에서 점점 더 많이 기병으로 넘어가고 있었다. 그래서 적어도 서고트 징집병의 2/3는 기병이었다. 그들은 쇠사슬갑옷과 찌르기용 창으로 무장한 귀족 기병대와, 일반 민중 출신의 경무장 기병대로 나뉜다. 후자의 기병대는 대개 갑옷이 없었으나, 투창, 날이 넓은 검, 그리고 아마도 나무나 여러 겹의 가죽으로 된 작은 기병용 방패는 있었다. 보병들에게는 창, 날이 넓은 검, 방패가 아주 널리 퍼졌으며 극히 드물지만 단순형 활도 있었고, 갑옷은 없었다. 알라니족의 무장과 싸우는 방식은 결과적으로 훈족을 아주 많이 닮았다.

요르다네스는 아에티우스의 동맹군에 프랑크족, 사르마타이, 아모리카인, 리티키아니, 부르군디온, 색슨족, 리파리아인, 그리고 (그가 "한때 로마 군인이었고 이제는 동맹군의 꽃"이라고 묘사한) 올리브로네스를 포함하여 "다른 켈트족 또는 게르만족 부족들"이 있었다고 기록했다.[27] 리티키아니는 라에티 또는 로마-브리튼인일 수 있다.[28][29][30]

카탈라우눔 전투에 참전한 서로마 제국 측 병력 구성
지휘관소속비고
아에티우스서로마 제국총사령관
테오도리크 1세서고트족
상기반알란족
프랑크족
부르군트족


7. 명언

"내가 첫 창을 던지겠다. 나를 따르기를 거부하는 자는 죽음뿐이다." (아틸라가 자신의 군대를 고무시키며 한 말)

참조

[1]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2]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3]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Chronica Gallica 511
[5] 서적 Magill's History of Europe Grolier Educational Corporation
[6] 서적 Chronica Gallica Anno 452
[7]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8] 서적 The Alamanni and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10] 문서 The Gothic History of Jordanes
[11] 서적 The Narrators of Barbarian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학술지 Jordanes,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Plains, and Constantinople
[13] 학술지 'Herodotean' allusions in Late Antiquity: Priscus, Jordanes, and the Huns https://www.academia[...] 2016-05-21
[14] 서적 Cassiodorus, Jordanes and the History of the Goths: Studies in a Migration Myth Museum Tusculanum Press
[15] 서적 The Fragmentary History of Priscus Evolution Publishing
[16]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17] 서적 The Fragmentary History of Priscus Evolution Publishing
[18] 서적 Historia Francorum
[19]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Books Ltd.
[20]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21]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22] 서적 Historia Francorum
[23]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24] 서적 Italy and Her Invaders Russel & Russel
[25]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Minnesota University Press
[26]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28] 학술지 Ripari und Olibriones? Zwei Teilnehmer an der Schlacht auf den Katalaunischen Feldern
[29] 서적 Les Origines de la Bretagne Payot
[30] 서적 The Britons Wiley-Blackwell
[31] 문서 Barbarian Migrations and the Roman West; The Goths
[32] 서적 The Alamanni and Rome
[33]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34]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Ltd.
[35]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Johns Hopkins
[36]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Germanic Peop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8] 서적 Warfare in Roman Europe, AD 350–425 Oxford University Press
[39]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Ltd.
[40] 문서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41] 문서 Carmina
[42] 서적 A History of Attila and the Huns Clarendon Press
[43] 서적 Historia Romana https://www.thelatin[...] Paulus Diaconus
[44] 서적 A History of Attila and the Huns Clarendon Press
[45] 학술지 Nomadism, Horses, and Huns 1981
[46]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Ltd.
[47]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On the World of the Hu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서적 The Goths Wiley-Blackwell
[50] 문서 Chronicon Paschale
[51] 서적 La fin de l'armée romaine: 284–476 Economica
[52] 학술지 Recherches philologiques sur l'anneau sigillaire de Pouan 1869
[53] 학술지 Recherches sur le lieu de la bataille d'Attila 1860
[54] 서적 Italy and Her Invaders Russell & Russell
[55] 서적 Catalaunian Fields AD 451, Rome's Last Great Battle Osprey Publishing Ltd.
[56] 서적 Catalaunian Fields AD 451, Rome's Last Great Battle Osprey Publishing Ltd.
[57] 학술지 Campus Mauriacus, Nouvelle Étude sur le Champ de Bataille d'Attila http://www.mediterra[...] 2016-05-21
[58] 서적 La campagne d'Attila en Gaule 451 apr. J.-C. Lemme Edit
[59]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Ltd.
[60] 문서 Carmina
[61]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62] 문서 Carmina
[63]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64]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문서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66] 서적 Catalaunian Fields AD 451 Osprey Publishing
[67]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Dover
[68] 서적 Italy and Her Invaders Russel & Russel
[69] 서적 Fasti Romani, the Civil and Literary Chronology of Rome and Constantinople from the Death of Augustus to the Death of Justin II Oxford University Press
[70] 문서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71]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John Murray Press
[72]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73]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74]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75] 서적 The Fragmentary History of Priscus Evolution Publishing
[76]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77]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78]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 Historia Francorum
[79] 학술지 Aetius and the Battle on the Catalaunian Fields 1969
[80] 서적 From Roman to Merovingian Gaul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1] 서적 From Roman to Merovingian Gaul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2] 문서 Additamenta ad Chronicon Prosperi Hauniensis, s.a. 451
[83] 문서 Continuatio Codex Ovetensis, Magna Germaniae Historia IX, p. 490
[84] 문서 continuatio Codex Reichenaviensis, Magna Germaniae Historia IX, p. 490
[85] 서적 From Roman to Merovingian Gaul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6] 문서 Chronica Gallica Anno 511, s.a. 451
[87] 서적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 Chronicon
[88] 서적 Chronica Epitomata
[89]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90]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91]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92]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93]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94] 서적 Catalaunian Fields AD 451 Osprey Publishing
[95]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96]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97] 서적 Generalissimos of the Western Roman Empir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98] 학술지 Aetius and the Battle on the Catalaunian Fields 1969
[99]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A New History of Rome and the Barba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100] 서적 Barbarian Migrations and the Roman West 376–5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1] 학술지 Herodotean Illusions in Late Antiquity: Priscus, Jordanes, and the Huns 2015
[102] 서적 The Long Haired Kings: And Other Studies in Frankish History Methuen & Company
[103] 서적 Geschichte der Hunnen Walter de Gruyter & Co.
[104] 학술지 Old Kaspars: Attila's Invasion of Gaul in the Literary Sources 1992
[105] 학술지 Jordanes,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Plains, and Constantinople http://www.persee.fr[...] 2017-05-18
[106] 논문 Review of Kim (H.J.)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https://www.academia[...] 2014
[107] 논문 Der sarmatische Hintergrund der germanischen Volkerwanderung 1951
[108] 서적 Byzantium: The Early Centuries Viking Books
[109]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Ltd.
[110] 서적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D 451: Flavius Aetius, Attila the Hun, and the Transformation of Gaul Pen & Sword Ltd.
[111]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112]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113] 서적 The Vandals Wiley-Blackwell
[114] 서적 Child Emperor Rule in the Late Roman West AD 367–455 Oxford University Press
[115]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116] 논문 Aetius and the Battle on the Catalaunian Fields 1969
[117] 서적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Modern Library
[118] 서적 Fifteen Decisive Battles of the World: From Marathon to Waterloo Oxford University Press
[119] 서적 Battlefield: Decisive Conflicts 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20]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Warfare: The Triumph of the We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1] 서적 Child Emperor Rule in the Late Roman West AD 367–455 Oxford University Press
[122] 웹사이트 Attila the Hun and the Battle of Chalons https://web.archive.[...]
[123]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4]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Dover
[126]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Dover
[127]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8] 문서 Carmina
[129] 서적 Aetius: Attila's Nemesis Pen & Sword Military
[130] 문서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131] 서적 Europe: A History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
[132] 문서 Carmina
[133] 문서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134] 문서 De Origine Actibusque Getarum
[135]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사
[136]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7] 문서 Chronica Gallica 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