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산족은 초기 이슬람 시대 아랍 계보 전통에 따르면 남아라비아 아즈드족의 분가로 여겨지는 민족이다. 이들은 레반트 지역으로 이주하여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국으로 존재하며 라흠족에 대한 완충 지대 역할을 했다. 비잔티움-페르시아 전쟁에서 비잔티움 제국을 지원했으며, 529년부터 569년까지 알하리스 이븐 자발라 왕의 통치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다. 이후 이슬람의 시리아 정복으로 세력이 약화되었으며, 우마이야 및 아바스 시대에도 시리아에 남아 영향력을 행사했다. 가산족은 시리아 교회 부흥에 기여하고 아랍 문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왕조가 가산 가문의 후예를 자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가산족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통용 명칭 | 가산족 |
정부 형태 | 군주제 |
지도자 칭호 | 왕 |
초대 지도자 | 자프나 이븐 암르 |
초대 지도자 재임 기간 | 220–265년 |
마지막 지도자 | 자발라 이븐 알아야함 |
마지막 지도자 재임 기간 | 632–638년 |
건국 | 220년 |
멸망 | 638년 |
멸망 원인 | 레반트 지역에 대한 무슬림의 정복 |
이전 국가 | 살리흐족 |
계승 국가 | 라시둔 칼리파국 |
![]() | |
수도 | 자비야 |
공용어 | 고대 아랍어 |
종교 | 기독교 (국교) |
지위 |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국 |
역사 | |
이전 국가 | 아라비아 페트라이아 |
건국 | 220년 |
멸망 | 638년 |
멸망 원인 | 라시둔 칼리파국에 병합 |
언어 | |
사용 언어 |
2. 전승 상의 계보와 남아라비아에서 이주
아랍 계보 전통에 따르면, 가산족은 남아라비아/예멘 지역의 아즈드족의 분가로 여겨진다. 이 계보 체계에서 가산족의 시조는 암르 무자이퀴야 이븐 마진 이븐 아즈드의 아들인 자프나이다. 가산족은 자프나의 형제인 타라바의 후예들인 안사르 (메디나의 부족들인 아우스족과 카즈라즈족)와 연관성이 있을 수도 있다고 한다.[29] 역사가 브라이언 얼리치에 따르면, 가산족과 안사르족, 더 멀리는 아즈드족 간의 연관성은 역사적으로는 미약하다고 하였는데, 이 집단들이 8세기 이후의 계보 저작물과 '퍼져나가는 아즈드족'에 관한 이야기를 제외하면 거의 각 집단들을 별개의 대상으로 보았기 때문이다.[13] '퍼져나가는 아즈드족' 이야기에서, 아즈드족은 예멘에서 북쪽으로 이주했고 아즈드족의 다른 집단들은 다른 방향으로 분리되어 나갔는데, 가산족이 이러한 집단 중 하나라고 한다.[31]
383년 율리아누스의 페르시아 원정 당시 사산조 군대와 싸웠던 '아사니테 사라센'(Assanite Saracen)의 족장 포도사케스(Podosaces)가 가산족이었을 수 있다.[30]
'퍼져나가는 아즈드족' 이야기에 따르면, 가산족은 마침내 로마의 '리메스' 안에 정착하게 되었다.[27][28] 가산족의 이주 전승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서 그 근거를 발견하게 되는데, 해당 서적은 카사니타이라는 한 부족을 키나이도콜피타이와 바이티오스강 (와디 바이시로 추정)의 남쪽에 있다고 하였다. 이 부족은 대플리니우스에서는 카사니, 디오도루스 시쿨루스에서는 가산도이,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포티오스 1세 (고대 문헌에 의존)에서는 카산드레이스라 불리던 민족일 수도 있다. 레반트로 이주한 시기가 불분명하나, 이들은 250년과 300년 사이 시리아 지역으로 처음 도달한 걸로 여겨지며, 이후의 이주 물결은 400년경이었다.[27]
3. 비잔티움 제국 시대
가산족은 레반트에 정착한 후 비잔티움 제국의 봉신국이 되었다. 로마인들은 가산족을 라흠족에 대한 완충 지대로 활용하며 강력한 동맹으로 삼았다. 가산족의 왕들은 봉신 국경 지대 국가들의 지배자인 필라르크이기도 했다.[31][32] 이들의 수도는 골란고원의 자비야였다. 가산족은 지리적으로 레반트 동부에 주로 거주했고, 이들의 세력권은 부족 간의 동맹을 통해 북부 히자즈에서 남쪽으로는 야트립(메디나)까지 뻗어 있었다.[33][34]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는 Kinaidokolpitai와 Baitios 강 (아마도 와디 Baysh) 남쪽에 Kassanitai라는 부족이 위치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대 플리니우스의 Casani,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의 Gasandoi,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포티오스 1세의 Kasandreis 등으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산족의 레반트 이주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250년에서 300년 사이에 시리아 지역에 처음 도착한 것으로 보이며, 약 400년경에 추가 이주민들이 유입되었다.[5]
기록상 가산족이 가장 초기에 나타나는 것은 473년으로, 그들의 족장 아모르케소스가 비잔틴 제국과 조약을 맺어 팔레스타인 일부를 통제하는 ''포에데라티''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그는 이 시기에 칼케돈 기독교로 개종한 것으로 보인다. 510년경 가산족은 단성설을 버리고 칼케돈주의를 따르게 되었다.[7]
3. 1. 비잔티움-페르시아 전쟁
가산족은 비잔티움 제국과 함께 페르시아의 사산 제국 그리고 아랍의 라흠족과 싸웠다.[26] 가산족의 영토는 비잔티움 영토에 대한 베두인들의 약탈을 막으며, 완충 지대 역할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갔다. 가산족의 아랍 동맹에는 바누 주담 그리고 바누 아밀라 등이 있었다.
비잔티움 측은 동방에 좀 더 집중하고 있었고 사산 페르시아와의 긴 전쟁이 항상 주요 문제 사항이었다. 가산족은 무역로의 수호자라는 자신들의 관습을 유지하였고, 라흠족들을 경계하고 비잔티움 제국을 병력의 원천이었다. 가산족의 왕 알하리스 이븐 자발라 (재위 529년–569년)는 사산족에 맞서는 비잔티움을 지원하였으며 529년에는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로부터 외국 통치자에게 부여된 제국의 가장 높은 지위를 부여받았고, 또한 파트리키 지위도 부여받았다. 추가적으로, 알하리스 이븐 자발라는 비잔티움 제국의 모든 아랍 동맹군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받았다.[35] 알하리스는 합성론 기독교 신자였고 그는 시리아의 합성론(야곱파) 교회가 부활하도록 돕고 합성론의 발전을 지원하였지만 정통 비잔티움 교회에서는 이를 이단 행위로 여겼다. 이후에 비잔티움 측은 이러한 종교적으로 비정통 신앙으로 알문디르 3세 이븐 알하리스를 포함한 그의 후임자들에게 불신과 박해를 가했다 (569년–582년).
하메소포타미아의 알히라에 자리 잡은 라흠족들을 성공적으로 상대했던 가산족들은 경제적으로 번성하여 종교 및 공공 시설물에 많은 공을 들였으며 또한 예술에 후원을 하기도 하여 한때 이들의 궁정에서 알나비가와 하산 이븐 타비트 등 아랍 시인들이 있었다.[27]
4. 초기 이슬람 시대
초기 이슬람 시대에 가산족은 무함마드와 초기 이슬람 국가의 정복 시도에 직면했다. 야르무크 전투(636년경)에서 가산족의 마지막 필라르크 자발라 이븐 알야함이 이슬람 군대에 패배한 후, 일부는 아나톨리아로 이주했고, 나머지는 시리아에 남아 점차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1]
우마이야 칼리파국 시대에 가산족은 군사 및 행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무아위야 1세는 가산족 출신들을 고위직에 등용했으며, 이들은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들을 섬겼다.[1] 제2차 이슬람 내전 중에도 가산족은 우마이야 왕조를 지지하여 마르완 1세가 칼리프로 즉위하는 데 기여했다.[3]
아바스 칼리파국이 들어서면서 가산족의 지위는 약화되었지만, 일부 가문은 다마스쿠스에서 명성을 유지했다. 야히야 이븐 야히야 알가사니와 아부 무시르 알가사니 가문은 하디스 학자로서, 특히 우마이야 모스크와 관련된 전승을 보존하고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
4. 1. 이슬람의 시리아 정복
최초에는 이슬람교의 선지자 무함마드 (632년 사망)의 지도 하에, 그리고 그 뒤로는 2대 칼리프인 우마르 (재위 634년-644년)의 지도 하에 있던 메디나의 초기 이슬람 국가는 시리아의 가산족에 대해 실패로 끝난 접촉 및 승리를 거두려 했었다.[1] 전설 속에 싸여있는 가산족의 마지막 필라르크 자발라 이븐 알야함은 야르무크 전투(636년경)에서 이슬람 군대에 패한 자신의 부족들과 비잔티움 측의 다른 아랍 동맹군을 지휘했었다. 전해진 바에 의하면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자발라는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고 결국 639년경에 시리아에서 자신들의 부족을 데리고 비잔티움이 지배하던 아나톨리아로 이끌고 갔다고 전해지는데, 이 시기 쯤에 비잔티움의 시리아 영토 대부분이 이슬람에 정복되었다. 가산족과의 더 이상 협상의 진전이 없던, 이슬람의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는 가산족이 오래 전에 맺은 시리아의 동맹들인 바누 칼브와 동맹을 맺는 데 성공한다. 바나 칼브 부족은 이후 무아위야가 661년에 시리아를 기반으로 한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지배자가 되었을 때 시리아 내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1]4. 2. 우마이야와 아바스 시대
가산족의 상당수는 다마스쿠스 내와 구타 오아시스에 거주하며 시리아에 잔류했다.[1] 최소한 표면적으로는, 그리고 아마도 점차적으로, 이 가산족의 많은 수가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으며, 특히 무아위야 1세의 통치 시기에 그랬다. 역사가 Nancy Khalek에 따르면, 이들은 결과적으로 초기 이슬람 시대의 시리아 내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이슬람교 집단이 되었다고 한다.[1] 무아위야는 가산족을 포함하여 군사적으로 그리고 행정적으로 능숙한 시리아의 기독교인들을 활발히 찾아내었고, 가산족 출신들은 그와 후대의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들을 총독, 슈르타(친위대)의 지휘관, 필경사, 재상으로서 섬겼다. 가산족의 후손들의 일부인 탈라바(Tha'laba) 그리고 임루 알콰이스(Imru al-Qays) 등의 분가들은 우마이야 궁전의 시인, 법학자, 호라산, 아다르바이잔, 아르메니아 등 동부 지역들의 관료로서 사료들에 이름을 올렸다.[2]무아위야 2세가 684년 제2차 이슬람 내전 와중에 후계자를 지정하지 못하고 사망하면서, 메카를 기반으로 한 칼리프 경쟁자 이븐 알주바이르의 지지자들이 우마이야의 영토 곳곳에서 들어서면서 이미 붕괴된 우마이야의 지배권은 시리아에서도 붕괴 직전에 놓였다. 시리아의 다른 부족 동맹들 그 중에서도 특히 칼브족과 함께 가산족은 우마이야 왕조 하에 누린 자신들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우마이야에 대한 지지를 이어나갔으며, 과거 가산족의 수도인 자비야에서 열린 시리아의 부족들의 회담에서 무아위야의 먼 친척 마르완 1세를 칼리프로 지목하였다.[3] 한편 다마스쿠스의 총독 다하크 이븐 콰이스 알피흐리는 비밀리에 이븐 알주바이르에 대한 지지했다. 다마스쿠스의 북쪽 목초지에서 마르완이 다하크에게 함정에 빠졌던 마르즈라히트 전투 중, 다마스쿠스의 가산족 가문 자손인 야지드 이븐 아비 알님스(Yazid ibn Abi al-Nims)는 봉기를 일으켜 마르완 쪽으로 다마스쿠스의 통제권을 확보하였고 마르완은 다하크를 궤멸시키고 다마스쿠스를 확보해냈다. 그가 쓴 걸로 추정되는 시에서, 마르완은 자신을 지지한 것에 대해 시리아의 칼브족, 킨다족, 타누크족과 더불어 가산족을 칭송하였다.[4]
그 후에 위의 부족들은 다하크와 이븐알주바이르의 지지을 받던 콰이스 부족들에 맞서는 야만 세력을 형성했다. 콰이스-야만의 경쟁 구도는 우마이야 왕조의 쇠락에 기여하였는데, 각 세력은 각기 다른 우마이야의 왕조 구성원들과 총독들을 지지하였고, 이것이 제3차 이슬람 내전으로 이어졌다. 가산족의 샤비브 이븐 아비 말리크(Shabib ibn Abi Malik)는 다마스쿠스의 야만 세력의 우두머리였고 친콰이스 성향의 칼리프 알 왈리드 2세의 암살을 공모하였다. 칼리프가 암살된 뒤, 가산족은 야만 세력의 지원을 받는 야지드 3세 를 그의 후계자로 세우는 것을 돕기 위해 다마스쿠스로 진격했다.[4] 750년에 우마이야 정권의 전복 및 이라크를 기반으로 한 아바스 칼리파국의 출현은 가산족을 포함한 "시리아의 아랍 부족들의 권력, 부, 지위에 재앙적이었다."라고 역사가 휴 N. 케네디는 평했다. 9세기경에, 가산족은 정주 생활을 받았들였으며, 지리학자 알야쿠비 (890년 사망)에게 이들이 다마스쿠스의 구타 지역과 트란스요르단의 가란달에 거주한다고 기록되었다.[5]
4. 3. 다마스쿠스의 신학자 가문
야히야 이븐 야히야 알가사니(750년대 사망)와 아부 무시르 알가사니(833년 사망)의 가문은 초기 이슬람 시대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가산족 가문으로 명성이 높았다. 야히야 이븐 야히야는 마르완 칼리프의 슈르타 지휘관인 야히야 이븐 콰이스(Yahya ibn Qays)의 아들이었다.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프 우마르 2세(재위: 717년-720년) 시기 모술 총독직을 마치고 다마스쿠스로 복귀한 그는 학술 활동을 하며 '사이드 아흘 디마슈크'(sayyid ahl Dimashq, 다마스쿠스인들의 지도자)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무함마드의 다마스쿠스 동료인 아부 다르다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숙부 술라이만을 통해 전해 들은 무함마드의 하디스(전통과 발언)를 전파했다. 후대 이슬람 신학자들에 따르면 야히야 이븐 야히야로부터 비롯된 일부 전승에는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모스크에서 세례자 요한의 머리가 발견되었다는 내용과 함께, 우마이야 모스크의 화려함과 우마이야 왕조 전반을 찬미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야히야 이븐 야히야의 아들, 손자, 증손자, 고손자들은 하디스에 대한 선조들의 관심을 이어갔고, 9세기 중엽까지 다마스쿠스의 엘리트 계층으로 남아 있었다.[1]아부 무시르의 조부 압드 알아라(Abd al-A'la)는 하디스 학자였고, 아부 무시르는 저명한 시리아 학자 사이드 이븐 압드 알아지즈 알타누키(Sa'id ibn Abd al-Aziz al-Tanukhi)에게서 수학했다. 그는 다마스쿠스의 유명한 하디스 학자가 되었으며, 시리아의 행정 역사, 시리아 지역 엘리트 계층의 계보, 그리고 학자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2] 제4차 이슬람 내전 기간 동안, 우마이야 가문 출신 아부 알우마이티르 알수퍄니는 우마이야 칼리파국 재건을 내세우며 811년 시리아에서 권력을 잡았다. 750년 아바스 왕조에 의해 조부가 살해당한 아부 무시르는 아바스 왕조를 대표하는 이라크 세력을 경멸하고 우마이야 왕조의 재건을 지지했다. 그는 아부 알우마이티르의 카디(대법학자)로 활동했으나, 813년 우마이야 봉기가 진압된 후 몇 년 뒤 아바스 왕조에 체포되었다.[3] 그의 고손자들인 압드 알라브 이븐 무함마드(Abd al-Rabb ibn Muhammad)와 암르 이븐 압드 알아라(Amr ibn Abd al-A'la) 역시 다마스쿠스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다.[4]
5. 역대 왕
이름 | 재위 기간 |
---|---|
자프나 1세 이븐 암르 | 220년–265년 |
암르 1세 이븐 자프나 | 265년–270년 |
사알라바 이븐 암르 | 270년–287년 |
알-하리트 1세 이븐 사알라바 | 287년–307년 |
자발라 1세 이븐 알-하리트 1세 | 307년–317년 |
알-하리트 2세 이븐 자발라 '이븐 마리아' | 317년–327년 |
알-문디르 1세 시니어 이븐 알-하리트 2세 | 327년–330년 |
알-아얌 이븐 알-하리트 2세 | 327년–330년 |
알-문디르 2세 주니어 이븐 알-하리트 2세 | 327년–340년 |
알-누만 1세 이븐 알-하리트 2세 | 327년–342년 |
암르 2세 이븐 알-하리트 2세 | 330년–356년 |
자발라 2세 이븐 알-하리트 2세 | 327년–361년 |
자프나 2세 이븐 알-문디르 1세 | 361년–391년 |
알-누만 2세 이븐 알-문디르 1세 | 361년–362년 |
알-누만 3세 이븐 암르 이븐 알-문디르 1세 | 391년–418년 |
자발라 3세 이븐 알-누만 | 418년–434년 |
알-누만 4세 이븐 알-아얌 | 434년–455년 |
알-하리트 3세 이븐 알-아얌 | 434년–456년 |
알-누만 5세 이븐 알-하리트 | 434년–453년 |
알-문디르 2세 이븐 알-누만 | 453년–472년 |
암르 3세 이븐 알-누만 | 453년–486년 |
히즈르 이븐 알-누만 | 453년–465년 |
알-하리트 4세 이븐 히즈르 | 486년–512년 |
자발라 4세 이븐 알-하리트 | 512년–529년 |
알-암르 4세 이븐 마흐시 | 529년 |
알-하리트 5세 이븐 자발라 | 529년–569년 |
알-문디르 3세 이븐 알-하리트 | 569년–581년 |
아부 키라브 알-누만 이븐 알-하리트 | 570년–582년 |
알-누만 6세 이븐 알-문디르 | 581년–583년 |
알-하리트 6세 이븐 알-하리트 | 583년 |
알-누만 7세 이븐 알-하리트 아부 키라브 | 583년–? |
알-아얌 이븐 자발라 | ?–614년 |
알-문디르 4세 이븐 자발라 | 614년–? |
샤라힐 이븐 자발라 | ?–618년 |
암르 4세 이븐 자발라 | 628년 |
자발라 5세 이븐 알-하리트 | 628년–632년 |
자발라 6세 이븐 알-아얌 | 632년–638년 |
중세 아랍 작가들은 가산족을 자프나 왕조라고 불렀는데, 현대 학자들은 가산족 사회의 지배 계층을 가리킬 때 이 용어를 선호한다. 초기 왕들의 재위 기간은 전승에 의한 것이라 정확한 시기는 매우 불확실하다.
6. 유산
가산족은 알하리스 5세와 알문디르 3세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다. 이들은 특히 라흠 왕조를 상대로 비잔티움 제국의 군사적 동맹으로서 성공을 거두었고, 비잔티움의 남쪽 국경과 아라비아 지역의 정치적, 상업적 이익을 안정시켰다. 그러나 가산족은 합성론에 대한 헌신으로 비잔티움과의 관계가 깨지고 문디르의 몰락과 추방을 초래했으며, 586년 이후에는 가산족 연맹이 해체되었다.[36] 가산족은 합성론파 시리아 교회를 후원하여 교회의 생존과 부활에 기여했고, 선교 활동을 통해 아라비아 남부로 전파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역사가 워릭 볼은 가산족이 아랍에 더 단순하고 엄격한 일신교 형태의 기독교를 홍보한 것이 이슬람교를 촉발시켰다고 주장한다.[37]
가산족의 지배는 시리아 동부 지역 아랍인들에게 번영을 가져다주었으며, 도시화와 교회, 수도원 등 건축물 후원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가산족 궁정은 예술, 음악, 아랍어 시문학을 후원하며 화려하고 활발한 문화를 자랑했다. 워릭 볼은 "가산족의 궁정은 이슬람 시대 칼리프 궁정이 부상하기 이전 아랍어 시문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중심지였다"라고 평가하며, 가산족의 궁정 문화가 우마이야 왕조 칼리프들과 궁정의 본보기가 되었다고 설명한다.[38]
7세기 왕국 멸망 이후, 기독교와 이슬람교 양쪽의 여러 왕조들이 가산 가문의 후손이라 주장했다.[39] 비잔티움 제국의 니케포로스 왕조 외에도, 13세기부터 15세기까지 예멘을 다스린 라술 왕조,[40]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집트를 다스린 부르지 왕조 맘루크 술탄들도 가산족의 후손이라 주장했다.[41] 가산족 왕가의 후예 칭호를 지닌 마지막 통치자들은 레바논의 아쿠라(1211년~1641년)와 즈가르타즈와이야(1643년~1747년[42])의 작은 공국을 다스린 기독교인 셰이크들인 알케모르들이었다.[43][44][45]
참조
[1]
서적
Arabs in the Shadow of Israel: The Unfolding of God's Prophetic Plan for Ishmael's Line
Kregel Academic
[2]
서적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Deir Gassaneh
http://www.sufitrail[...]
[4]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Part 2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58-01
[5]
간행물
The King of Ghassan
http://www.saudiaram[...]
2011-08-18
[6]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rill.com/vi[...]
Brill
1998-05-28
[7]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Fifth Century
[8]
서적
Arabs and Empires Before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9]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10]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11]
서적
Through the Ages in Palestinian Archaeology: An Introductory Handbook
[12]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13]
참고
[14]
참고
[15]
참고
[16]
문서
Late Antiqu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7]
문서
Ghassan post Ghassan
[18]
문서
Ghassan post Ghassan
[19]
웹사이트
Info
http://nna-leb.gov.l[...]
[20]
웹사이트
El-Shark Lebanese Newspaper
http://www.elsharkon[...]
Elsharkonline.com
2015-10-25
[21]
웹사이트
'! – النهار مكتبة الشيخ ناصيف الشمر'
http://www.annahar.c[...]
Annahar.com
2015-10-25
[22]
웹사이트
كفرحاتا بلدة شمالية متاخمة لزغرتا شفيعها مار ماما
http://nna-leb.gov.l[...]
[23]
서적
Arabs in the Shadow of Israel: The Unfolding of God's Prophetic Plan for Ishmael's Line
Kregel Academic
[24]
서적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5]
웹인용
Deir Gassaneh
http://www.sufitrail[...]
[26]
서적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from the Death of Theodosius I to the Death of Justinian, Part 2
https://books.google[...]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58-01
[27]
저널
The King of Ghassan
http://www.saudiaram[...]
2011-08-18
[28]
서적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rill.com/vi[...]
Brill
1998-05-28
[29]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Fifth Century
[30]
서적
Arabs and Empires Before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1]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32]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33]
서적
Through the Ages in Palestinian Archaeology: An Introductory Handbook
[34]
웹인용
History
http://www.royalhous[...]
Sovereign Imperial & Royal House of Ghassan
[35]
문서
Byzantium and the Arabs in the Sixth Century
[36]
서적
Ball
2000
[36]
서적
Shahîd
1991
[37]
서적
Ball
2000
[37]
서적
Shahîd
1991
[38]
서적
Ball
2000
[38]
서적
Shahîd
1991
[39]
서적
Late Antiqu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40]
간행물
Ghassan post Ghassan
Darwin Press
1989
[41]
간행물
Ghassan post Ghassan
Darwin Press
1989
[42]
웹인용
Info
http://nna-leb.gov.l[...]
[43]
웹인용
El-Shark Lebanese Newspaper
http://www.elsharkon[...]
Elsharkonline.com
2015-10-25
[44]
웹인용
مكتبة الشيخ ناصيف الشمر ! – النهار
http://www.annahar.c[...]
Annahar.com
2015-10-25
[45]
웹인용
كفرحاتا بلدة شمالية متاخمة لزغرتا شفيعها مار ماما
http://nna-leb.gov.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