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정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정공주는 조선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둘째 딸로, 1401년에 경정공주에 봉해졌다. 1403년 조대림과 혼인하여 1남 4녀를 두었으며, 남편 조대림은 역모 누명을 쓰기도 했다. 1418년에는 오빠인 양녕대군의 기생과의 스캔들과 관련된 일에 연루되었으며, 1455년에 사망했다. 현재의 소공동은 경정공주와 조대림에게 하사된 남별궁이 있던 곳에서 유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5년 사망 - 프라 안젤리코
프라 안젤리코는 르네상스 초 이탈리아의 화가이자 도미니크 수도회 수사로,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의 특징을 아우르는 섬세한 색채, 고요한 분위기, 깊은 신앙심을 보여주는 종교화를 다수 제작하여 가톨릭 예술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 1455년 사망 - 최사유
최사유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399년 사마시에 합격하고 1402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좌익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으며 영원군에 봉해졌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경정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정공주 |
작위 | 태종의 공주 |
별칭 | 정경공주(貞慶公主) 경정궁주(慶貞宮主) 평양군궁주(平壤君宮主) |
배우자 |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 |
자녀 | 1남 4녀 안진의 처 · 김중엄의 처 · 조찬의 처 김중렴의 처 · 조무영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1455년 6월 29일 (양력) |
능묘 | 경정공주묘(慶貞公主墓)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 안골마을 |
원래 이름 | 경정공주(慶貞公主) |
2. 생애
경정공주는 태조의 다섯째 아들인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딸이다. 출생년도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1401년(태종 1년)에 '''경정공주'''(慶貞公主)로 봉해졌으며, 실록에는 정경공주(貞慶公主)로도 기록되어 있다.
1403년(태종 3년) 9월, 개국공신 조준의 아들 평양군(平壤君) 조대림(趙大臨)과 혼인하여 1남 4녀를 두었다. 당시 조대림은 모친상을 당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명나라에서 공주와의 혼인을 요구할 것을 우려한 태종이 서둘러 결혼을 추진하였다.[1]
1408년(태종 8년), 남편 조대림이 목인해의 무고로 역모 누명을 쓰고 곤장을 맞았으나, 무고함이 밝혀져 목인해는 거열형에 처해졌다.[2]
1418년(태종 18년), 양녕대군이 사랑한 기생 어리가 세자의 아이를 낳자, 유모를 구해 세자궁에 보내주었다.[3]
1430년(세종 12년) 남편 조대림이 사망하였다. 1455년 6월 6일에 경정공주가 사망하자 단종은 쌀과 콩 50석, 종이 100권을 부조하였다.[4]
2. 1. 출생과 혼인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인 태종과 부인 민씨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언제 태어났는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2. 2. 공주 시절
1401년(태종 1년), '''경정공주'''(慶貞公主)에 봉해졌다. 실록에는 정경공주(貞慶公主)로도 기록되어 있다.1403년(태종 3년) 9월, 개국공신인 조준의 아들 평양군(平壤君) 조대림(趙大臨)과 혼인하였고 이후 1남 4녀를 낳았다. 혼인 당시 조대림은 모친상을 당한 지 넉 달밖에 지나지 않은 상황이었지만, 명나라에서 공주와의 혼인을 요구하려 하고 있었기에 태종은 서둘러 공주를 결혼시켰다.[1]
1408년(태종 8년), 남편 조대림이 목인해의 무고로 인해 역모를 꾀했다는 누명을 쓰고 곤장 64대를 맞는 일이 발생하였다.[2] 조대림의 무고함이 밝혀진 후 목인해는 거열형에 처해졌다.
1418년(태종 18년), 세자(양녕대군)가 곽선의 첩인 기생 어리(於里)를 사랑하여 몰래 궁중에 들였다가 태종에 의해 쫓겨난 일이 있었다. 이후 어리가 임신하여 세자의 아이를 낳자, 경정공주는 유모를 구해 세자궁에 보내주었다.[3]
1430년(세종 12년) 남편 조대림이 사망하였다.
2. 3. 사망
1455년 6월 6일에 사망하였다. 단종은 쌀과 콩 50석, 종이 100권을 부조하였다.[4]3. 소공동 지명의 유래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小公洞)은 태종이 경정공주와 조대림에게 하사한 남별궁(南別宮)이 있던 곳이다. 한성부 남부 회현방에 위치하였으며, '작은 공주골', 소공주제(小公主第), 소공주댁(小公主宅) 등으로 불렸다. 이후 선조가 의안군에게 하사하여 소공주동궁(小公主洞宮)으로 불렸다. 여기서 오늘날의 소공동(小公洞)이라는 명칭이 유래하였다.[5]
4. 가족 관계
경정공주의 둘째 사위 김중엄은 누이 휘빈 김씨가 문종의 세자빈이었으나 투기와 미신 행위 등으로 폐위되자 아버지 김오문과 함께 파면되었다.[6] 김중엄의 아내인 둘째 딸 조씨는 이웃집에 초상이 나면 불길함을 쫓기 위해 쑥대로 만든 화살(봉시)을 목호에 끼워 지붕 위에 두었는데, 그 방향이 세종의 빈소를 향해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직첩을 박탈당했다.[7] 김중엄과 조씨의 딸이자 경정공주의 외손녀 김씨는 인수대비의 사촌 오빠 한충인과 혼인하였는데, 중종 비 단경왕후의 외조모이기도 하다.
경정공주의 자녀들은 경정공주 사후 노비와 전답 분배 문제로 다투는 등 여러 문제를 일으켰다.[8][9][10]
4. 1. 부계
- 조부: 태조 (1335~1408)
- 조모: 신의왕후 한씨 (1337~1391)
- 아버지: 태종 (1367~1422)
- 외조부: 여흥부원군 민제 (1339~1408)
- 외조모: 삼한국대부인 여산 송씨 (1342~1424)
- 어머니: 원경왕후 민씨 (1365~1420)
4. 2. 모계
경정공주 모계 | |
---|---|
조부 | 태조 (1335~1408) |
조모 | 신의왕후 한씨(1337~1391) |
외조부 | 여흥부원군 민제(1339~1408) |
외조모 | 삼한국대부인 여산 송씨(1342~1424) |
어머니 | 원경왕후 민씨(1365~ 1420) |
형제자매 | 정순공주(1385~1460) |
경안공주(1393~1415) | |
양녕대군 제(1394~1462) | |
효령대군 보(1396~1486) | |
세종(1397~1450) | |
정선공주(1404~1424) | |
성녕대군 종(1405~1418) |
4. 3. 형제자매
- 언니: 정순공주(1385~1460)
- 동생: 경안공주(1393~1415)
- 동생: 양녕대군(1394~1462)
- 동생: 효령대군(1396~1486)
- 동생: 세종(1397~1450)
- 동생: 정선공주(1404~1424)
- 동생: 성녕대군(1405~1418)
4. 4. 배우자와 자녀
경정공주의 남편은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대림(趙大臨, 1387~1430)이며, 시아버지는 조준(趙浚, 1346∼1405), 시어머니는 고성 이씨(固城 李氏, 1361~1403)이다.[11] 슬하에 1남 4녀를 두었다.자녀 | 이름 | 관계 | 비고 |
---|---|---|---|
장녀 | 순흥 안씨 안진(安進)의 처 | 슬하 6남 1녀 | * 손자: 안잉(安扔, 1444 ~ ?), 안부(安拊), 안의(安㩘), 안륜(安掄), 안근(安㨷), 안탁(安擢) |
차녀 | 구 안동 김씨 김중엄(金仲淹)[12]의 처 | 슬하 2남 1녀 | * 손자: 김선(金線), 김뉴(金紐) |
3녀 | 양주 조씨 감찰(監察) 조찬(趙瓚)의 처 | 슬하 2남 2녀 | * 손자: 조준(趙遵), 조선(趙選) |
4녀 | 경주 김씨 김중렴(金仲廉)의 처 | 슬하 1녀 | * 손녀: 파평 윤씨 군수(郡守) 윤우(尹遇)의 처 |
장남 | 조무영(趙武英) | 처 의령 남씨 좌의정(左議政) 남지(南智)의 딸, 슬하 6남 1녀 | * 손자: 조순(趙純), 조강(趙綱), 조기(趙紀, 1431 ~ ?), 조유(趙維), 조경(趙經), 조위(趙緯) |
경정공주의 둘째 사위 김중엄은 누이인 휘빈 김씨가 문종의 세자빈이었으나 폐위되자 아버지 김오문과 함께 파면되었다.[6] 김중엄의 아내인 둘째 딸 조씨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직첩을 박탈당했다.[7] 경정공주의 자녀들은 경정공주 사후 노비와 전답 분배 문제로 다투는 등 크고 작은 문제들을 일으켰다.[8][9][10]
참조
[1]
실록
《태종실록》 6권, 태종 3년(1403년 명 영락(永樂) 1년) 9월 16일 (신묘)
[2]
실록
《태종실록》 16권, 태종 8년(1408년 명 영락(永樂) 6년) 12월 5일 (무인)
[3]
실록
《태종실록》 35권, 태종 18년(1418년 명 영락(永樂) 16년) 3월 6일 (병진)
[4]
실록
《단종실록》 14권, 단종 3년(1455년 명 경태(景泰) 6년) 6월 6일 (경진)
[5]
웹사이트
소공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http://dong.junggu.s[...]
2011-08-14
[6]
실록
《세종실록》 45권, 세종 11년(1429년 명 선덕(宣德) 4년) 7월 20일 (갑자)
[7]
실록
《문종실록》 1권, 문종 즉위년(1450년 명 경태(景泰) 1년) 3월 19일 (계해)
[8]
실록
《세조실록》 5권, 세조 2년(1456년 명 경태(景泰) 7년) 8월 5일 (임인)
[9]
실록
《세조실록》 24권, 세조 7년(1461년 명 천순(天順) 5년) 4월 16일 (병술)
[10]
실록
《예종실록》 2권, 예종 즉위년(1468년 명 성화(成化) 4년) 12월 10일 (병신)
[11]
문서
이승의 딸
[12]
문서
김오문의 아들이자 조선 문종의 폐세자빈 김씨의 오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