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교회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교회파는 17세기와 18세기 초 종교적 관용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영국 성공회 내에서 전통적인 전례, 감독 정치 체제, 교구 장식 등을 강조하는 입장을 나타낸다. 19세기 옥스퍼드 운동의 영향으로 앵글로 가톨릭과 유사한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의 가르침과 영성에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 고교회파는 앵글리칸교뿐만 아니라 장로교, 감리교, 루터교 등 다른 교파에서도 나타나며, 옥스퍼드 케이블 칼리지, 퓨지 하우스, 올 세인츠 교회 등을 포함한 다양한 교회와 기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공회 -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
    오스트레일리아 성공회는 1787년 첫 함대의 도착과 함께 시작되어 식민지 사회에 기여하며 발전, 1962년 자치권을 획득하고 1981년 공식 명칭을 변경했으며, 현재 여성 사제 및 주교 서임 허용과 LGBT 관련 문제로 내부 갈등을 겪고 있는 호주의 성공회 교회이다.
  • 성공회 - 윌리엄 템플
    윌리엄 템플은 사회 정의, 교회 일치 운동, 교육 개혁에 헌신한 영국 성공회의 성직자이자 신학자로서, 캔터베리 대주교를 지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교회들을 이끌고 전후 사회 재건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여 복지 국가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에 관한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 기독교에 관한 -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는 1884년 매클레이 선교사의 내한으로 시작된 한국 개신교 교단으로, 일제강점기 탄압을 거쳐 1949년 현재 명칭을 사용하며, 존 웨슬리의 신학을 바탕으로 공교회주의를 지향하고 교육, 의료, 사회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연속 기획 사이드바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연속 기획 사이드바 - 대한제국
    대한제국은 고종이 황제 즉위와 함께 선포한 황제 국가로, 광무개혁을 통해 근대화를 추진하고 자주적인 국가를 지향했으나, 일본의 영향력 강화로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멸망했으며,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이어져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고교회파
고교회파
특징성공회 내에서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통과 유사한 전례와 신학을 강조하는 교파
역사적 배경옥스퍼드 운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
예배화려한 예복, 향, 성가 등을 사용
성찬례성찬례를 중심적인 예배로 강조
신학적 강조점성사의 중요성, 사도전승의 권위, 전통적인 교리 강조
교회관교회를 보편 교회의 일부로 간주
예시앵글로-가톨릭 교회
영국 성공회의 교회 정치
교회 정치주교제
교회영국 성공회 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교회 정치 성향
교회 정치 성향고교회
저교회
광교회
영향옥스퍼드 운동과 성공회 부흥 운동에 영향
전례와 신학
전례성찬례 중시
제단, 십자가, 성상 사용
화려한 예복과 제의
종과 향 사용
찬송가를 포함한 음악 예배
신학성찬의 실재를 중시
사도전승의 중요성을 강조
성인과 성모 마리아에 대한 공경
고해를 통한 죄 사함 강조
연옥에 대한 믿음을 인정
7성사를 모두 인정
성경과 교회 전통을 동등하게 중시
한국어
표기고교회파
고교회

2. 용어의 기원과 변천

"고교회파(High church)"라는 용어는 17세기와 18세기 초 영국에서 종교적 관용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 "고교회파 성직자(high churchman)"에서 유래했다. 여기서 "고(high)"는 "극단적인"을 의미한다.[3] 청교도들이 영국 교회가 전통적인 전례 강조, 감독 정치, 교구 장식 등을 버릴 것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고교회파"는 관용주의자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옥스퍼드 운동의 주요 인물 중 몇몇은 존 헨리 뉴먼처럼 로마 가톨릭 신자가 되었다. 에드워드 부베리 퓨지는 평생 고교회파 신자로 옥스퍼드 운동의 영적 아버지로 남아 영국 성공회 사제로 남았다. 19세기의 관점에서 볼 때, "고교회파"라는 용어는 캐롤린 시대 신학자들의 신념과 리틀 기딩 공동체가 실천했던 금식, 성찬식을 받기 전의 긴 준비 등과 같은 경건주의적 강조점과도 관련이 있게 되었다.

1709/10년에 제작된 풍자적인 전단지로, "고교회파의 챔피언"인 헨리 새치버럴을 "가톨릭교"과 연루되었다고 비난하고 있다.

2. 1. 17세기 이전

17세기 초, 청교도들이 영국 교회의 전통적인 전례 강조와 감독 정치 체제 등을 비판하면서, "고교회파"는 관용주의자들과 대립하게 되었다.[3] 관용주의자들은 성공회와 개혁주의 기독교 사이의 차이점을 최소화하고, 다른 기독교적 관점을 받아들이기 위해 교회의 문을 최대한 넓게 열어 교회를 가능한 한 포용적으로 만들려고 했다.

2. 2. 17세기 ~ 18세기

찰스 1세 치세에 고교회파는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고교회파 지도자인 윌리엄 로드와 연관되어 영국 반체제파의 성장을 억제하려는 정책을 지지했다.[4] 잉글랜드 연방 하에서 성공회가 폐지되고 성공회 신앙이 박해받은 후, 기사 의회에서 성공회파가 다시 권력을 잡으면서 고교회파의 입장이 강하게 부활했다. 이들은 왕좌와 제단, 즉 교회와 국가 간의 새롭고 강화된 동맹을 통해 재성공회화된 영국국교회를 복고 협정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재확립했다.[4]

명예혁명 이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열로 비서약파 분열이 발생하여 고교회파의 통일성에 큰 피해를 입혔다.[4] 앤 여왕 치세에 고교회파는 토리당과 함께 운명이 회복되었으나,[4] 하노버 왕가 치세에 다시 불리한 처지에 놓였다.[4]

2. 3. 19세기 이후

19세기 중반 이후 옥스퍼드 운동의 성공과 전례 부흥에 대한 강조가 증가하면서 "고교회파"라는 용어는 "앵글로 가톨릭"이라는 용어에 가까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에도 이 용어는 복음주의적 입장의 "저교회파"와 대조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다시 한번 성공회(국교회)와 대다수의 프로테스탄트 비국교도 사이의 분리를 줄이려는 시도였는데, 이 시점에는 감리교뿐만 아니라 침례교, 회중교회, 장로교와 같은 오래된 프로테스탄트 교파의 신자들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구 비국교도"라는 용어로 통칭되었다.[1]

구 고교회파가 토리당과 연합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앵글로 가톨릭은 점차 사회주의, 노동당 및 교회의 공의회에 대한 더 큰 의사결정 자유와 연관되게 되었다.[1]

19세기 중반 이후로 "고교회파"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더욱 앵글로 가톨릭적인 성격과 연관되게 되었고, 관용파는 광교회파로, 재등장한 복음주의 파는 저교회파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고교회파"는 여전히 옥스퍼드 운동 이전의 고교회파 성공회 신자들을 가리킬 수 있는데, 이들은 성례전, 교회 전통 및 삼중 직무에 대한 "높은"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자신을 앵글로 가톨릭으로 여기지는 않는다. 이 파는 현재 중도파 또는 구 고교회파라고 불리며, 더욱 극단적인 앵글로 가톨릭적 입장과 구분된다.[1]

토론토 성 마리아 막달레나 교회의 성체 행렬

3. 고교회파의 특징과 다양성

고교회파 앵글리칸주의는 저교회파보다 로마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의 가르침과 영성에 더 가깝다. 그 특징은 비교적 정교한 음악, 제단화와 성직자 성의를 갖추고, 성례전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고교회파는 본질적으로 전통적인 것이다.[2]

"고교회파"라는 용어는 개신교 다른 교파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고교회파 장로교", "고교회파 감리교"가 있으며, 루터교 내에서도 앵글리칸교와 비슷한 "고교회파"와 "저교회파" 구분이 있다.[4]

고교회파 교회 예시:


  • 올 세인츠 교회 (All Saints Church, 잉글랜드, 런던)
  • 세인트 바나바스 교회 (Church of St Barnabas, 잉글랜드, 런던)
  • 세인트 조지 교회 (St George's Church, 잉글랜드, 벨파스트)
  • 세인트 바돌로뮤 교회 (St Bartholomew's Church, 아일랜드, 더블린)
  • 세인트 클레멘트 교회 (Saint Clement's Church, 미국, 필라델피아)
  • 인카네이션 교회 (Church of the Incarnation, 미국, 댈러스)
  • 세인트 제임스 교회 (St James' Church,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3. 1. 다양성

"고교회파"라는 용어는 옥스퍼드 운동이나 영국 가톨릭과는 상당히 다른 앵글리칸교의 측면을 가리키기도 한다.[1] 공동기도서의 전례적 실천을 따르는 중도파 앵글리칸주의도 존재한다.[1] 여성 사제 서품 및 낙태 문제 등에서 개혁된 기독교의 현대적 합의에 공감하는 고교회파 구성원들도 있다.[3]

4. 주요 고교회파 교회 및 기관


  • 케이블 칼리지
  • 퓨지 하우스
  • 세인트 스티븐 하우스
  • 나쇼타 하우스
  • 올 세인츠 교회
  • 세인트 바나바스 교회
  • 세인트 조지 교회
  • 세인트 바돌로뮤 교회
  • 세인트 클레멘트 교회
  • 인카네이션 교회
  • 세인트 제임스 교회

참조

[1] 서적 The New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OUP 1998
[2] 웹사이트 What are 'High Church' and 'Low Church'? https://www.compelli[...]
[3] OED # OED는 사전이므로 type을 사전으로 명시 High Churchman
[4] 논문 Tory Industrialism and Town Politics: Swansea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www.jstor.or[...] 2023-05-21
[5] 서적 The Right way to Honour and Happiness. A Sermon, Preach'd at the Assizes, Held at Cardiffe, ... April 18th, 1710. Gale ECCO 1710-04-18
[6] 논문 Church Patronage and Clerical Politics in Eighteenth-Century Glamorgan https://journals.lib[...] 2023-08-11
[7] 웹사이트 イギリス国教会の https://www.y-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