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재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재필은 일제강점기 만주국에서 관료로 근무했으며, 대한민국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그는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만주 고등 문관 시험에 합격하여 만주국에서 근무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다. 제4공화국에서 보건사회부 장관과 제2무임소 장관을 지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 해외 부문에 고재필을 선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흥 고씨 - 고재득
고재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민주당 주요 요직을 역임하고 민선 성동구청장 4선을 달성하는 등 다양한 정치·행정 경력을 쌓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구청장협의회 고문 및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특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 장흥 고씨 - 고경명
고경명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임진왜란 때 금산 전투에서 아들 고인후와 함께 전사했으며, 사후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제봉집》 등의 저서를 남겼다. - 대한민국의 보건사회부 장관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 대한민국의 보건사회부 장관 - 김정례
김정례는 대한민국 제1세대 여성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여성단체 창립 및 국회의원, 보건사회부 장관, 정당 상임고문 등을 역임하며 여성계와 정계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여성 정치 진출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무임소장관 - 김재춘 (1927년)
김재춘은 경상북도 영일군 출신의 김녕 김씨로, 경상공립중학교를 졸업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교육자이다.
고재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재필 |
원어명 | 高在珌 |
출생일 | 1913년 4월 20일 |
사망일 | 2005년 1월 17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담양군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하남시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정치 경력 | |
정당 | 무소속 |
직책 | 대한민국 제15대 보건사회부 장관 |
임기 | 1973년 12월 3일 ~ 1975년 12월 9일 |
군사 경력 | |
군복무 |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9년 ~ 1954년 |
계급 | 대한민국 육군 준장 |
참전 | 한국 전쟁 |
학력 | |
학교 | 수원고농 |
가족 관계 | |
부친 | 고재천 |
기타 정보 | |
전임 | 이경호 |
후임 | 신현확 |
대통령 | 박정희 |
총리 | 김종필 국무총리 |
차관 | 홍종관 보건사회부 차관 박승함 보건사회부 차관 |
2. 생애
고재필은 장흥 고경명의 후손으로,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났다.[7] 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37년 만주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만주국에서 관리로 일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귀국하여 법제처를 시작으로 공무원으로 근무했으며, 1950년 군에 입대하여 육군 법무관으로 복무했다. 1955년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화랑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6]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지만,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후 내리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제4공화국에서는 보건사회부 장관과 제2무임소 장관을 역임했다.
변호사 개업, 단국대학교 교수, 민국일보 논설위원, 대한형사법학회 이사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으며, 저서로는 형사소송법에 대한 법학서와 회고록 《하남 회고록》 등이 있다.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친일인명사전 편찬을 위해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을 정리하면서 해외 부문에 선정되었는데, 이는 그가 만주국 단둥시에서 행정과의 사무관으로 일한 경력 때문이었다.[8]
2005년 1월 17일 노환으로 사망했다.[1]
2. 1. 유년기 및 교육
장흥 고경명의 후손으로,[7]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태어났다. 일본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1937년 만주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만주국에서 관리로 일했다. 다이도 학원을 졸업했다.2. 2. 만주국 관료 경력
일본 주오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37년에 만주고등문관시험을 합격하여 만주국에서 관리로 일했다.[7] 대동학원을 졸업하고 단둥의 행정과 사무관으로 근무한 전형적인 만주 인맥이었으나, 이러한 경력은 오랫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8]고재필의 만주국 관료 경력은 다음과 같다.[7][8]
연도 | 내용 |
---|---|
1937년 | 만주 고등 문관 시험 합격 |
(불명) | 단둥 행정과 사무관 |
1944년 | 국무원 경제부 상무 사무관, 전매서 사무관 |
2. 3.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서의 활동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만주국이 소멸한 뒤 귀국하여 대한민국 법제처를 시작으로 공무원으로 근무했다. 1950년에 군에 입대했으며 육군 법무관으로 복무했다. 1955년에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화랑무공훈장과 충무무공훈장을 수여받았고, 청조근정훈장도 서훈받았다.[6]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남도 담양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뒤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같은 지역구에서 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9·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국회의원으로 지명되면서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제4공화국에서 보건사회부 장관과 무임소 장관을 역임했다.
변호사를 개업하고, 단국대학교 교수, 민국일보 논설위원, 대한형사법학회 이사를 역임하는 등 다채로운 경력을 경험했다.
연도 | 내용 |
---|---|
1949년 | 법제처 법제관 |
1950년 | 국방부 비서실장, 육군 중령 |
1951년 | 국방부 병무국 제1법제과장 |
1952년 | 육군 대령 |
1953년 | 수복 지구 행정권 이양 한미 위원회 한국 측 국방부 대표 |
1954년 | 국방부 제1국장 대리, 법전 편찬 위원 |
육군 준장 예비역 편입 | |
1955년 | 국방부 제1국장, 민의원 법제 조사국장 |
1962년 | 민국일보 논설위원 |
변호사 개업 | |
단국대학교 교수 | |
민주공화당 창당 준비 위원, 정책 위원 | |
1967년~1971년 | 제7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1971년~1972년 |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1973년~1979년 |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1973년 | 보건사회부 장관 |
1977년 | 제2 무임소 장관 |
1979년~1980년 | 제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1981년 | 국정 자문 위원 |
1993년 | 대한민국 헌정회 부회장[6] |
2. 4. 정치 경력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담양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7] 이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지역구에서 제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9·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국회의원으로 지명되면서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7] 대한민국 제4공화국에서 보건사회부 장관과 무임소 장관을 역임했다.[7]기간 | 내용 |
---|---|
1967년~1971년 | 제7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1971년~1972년 |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1973년~1979년 |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1979년~1980년 | 제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1981년 | 국정 자문 위원 |
1993년 | 대한민국 헌정회 부회장[6] |
2. 5. 장관 경력
제4공화국에서 보건사회부 장관과 제2무임소 장관을 역임했다.[7]- 1973년: 보건사회부 장관
- 1977년: 제2무임소 장관
2. 6. 기타 활동
법제처에서 공무원으로 근무를 시작했다. 변호사 개업 후, 단국대학교 교수, 민국일보 논설위원, 대한형사법학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5]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했으며, 화랑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청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6] 저서로는 형사소송법 관련 법학서와 회고록 『하남회고록』 등이 있다.2. 7. 사망
고재필은 2005년 1월 17일 오전 4시에 노환으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3. 논란
고재필은 대동학원을 졸업하고 단둥의 행정과 사무관으로 근무한 전형적인 만주 인맥이었으나, 이러한 경력은 오랫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8]
3. 1. 친일 행적 논란
고재필은 대동학원을 졸업하고 단둥의 행정과 사무관으로 근무한 전형적인 만주 인맥이었으나, 이러한 경력은 오랫동안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8]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친일인명사전 편찬을 위해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을 정리하면서 해외 부문에 선정하였다.4. 학력
- 주오 대학 법학부 졸업
- 다이도 학원 졸업
5. 약력
장흥 고경명의 후손으로[7]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출생했다. 일본 주오 대학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37년에 만주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만주국에서 관리로 일했다.
태평양 전쟁 종전으로 만주국이 소멸한 뒤 귀국하여 대한민국 법제처를 시작으로 공무원으로 근무했다. 1950년에 군에 입대했으며 육군 법무관으로 복무했다. 1955년에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화랑무공훈장과 충무무공훈장을 수여받았고, 청조근정훈장도 서훈받았다.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담양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뒤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같은 지역구에서 8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9·1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국회의원으로 지명되면서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제4공화국에서 보건사회부 장관과 무임소 장관을 역임했다.
다음은 고재필의 약력이다.
연도 | 내용 |
---|---|
1937년 | 만주고등문관시험 합격 |
만주국 단둥 행정과 사무관 | |
1944년 | 만주국 국무원 경제부 상무 사무관, 전매서 사무관 |
1949년 | 법제처 법제관 |
1950년 | 국방부 비서실장, 육군 중령 |
1951년 | 국방부 병무국 제1법제과장 |
1952년 | 육군 대령 |
1953년 | 수복지구 행정권 이양 한미 위원회 한국 측 국방부 대표 |
1954년 | 국방부 제1국장 대리, 법전 편찬 위원 |
1955년 | 국방부 제1국장, 육군 준장 예편, 민의원 법제 조사국장 |
1962년 | 민국일보 논설위원 |
변호사 개업 | |
단국대학교 교수 | |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정책위원 | |
1967년 ~ 1971년 | 제7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1971년 ~ 1972년 | 제8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
1973년 ~ 1979년 |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1973년 | 보건사회부 장관 |
1977년 | 제2무임소 장관 |
1979년 ~ 1980년 | 제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
1981년 | 국정자문위원 |
1993년 |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6] |
6. 저서
형사소송법에 관한 법학서와 회고록 『하남회고록』을 출판했다.[6]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60년 | 총선 | 무소속 | 11,442표 (27.26%) | 2위 | 낙선 | ||
1967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41,695표 (46.35%) | 1위 | 당선 | 초선 | |
1971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41,722표 (52.54%) | 1위 | 당선 | 재선 | |
1973년 | 총선 | 유신정우회 | 지명 | 당선 | 4선 | ||
1978년 | 총선 | 유신정우회 | 지명 | 당선 | 5선 |
참조
[1]
웹사이트
고재필 전 국회의원 별세
https://www.joongang[...]
2005-01-17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3]
웹사이트
고재천 옹 별세
https://www.joongang[...]
1981-05-30
[4]
웹사이트
한국 최초 수원고농학생들의 항일투쟁 3차례
https://www.newdaily[...]
2015-02-05
[5]
웹사이트
한국적 살롱문화 溪山風流의 산실|신동아
https://shindonga.do[...]
2005-05-25
[6]
웹사이트
고재필(高在珌)
https://encykorea.ak[...]
2023-08-15
[7]
저널
[한국의 명가 명택 10] 한국적 살롱문화 溪山風流의 산실 - 전남 광주 기세훈(奇世勳) 고택
http://www.donga.com[...]
2005-05-25
[8]
서적
만주제국 조선인
신세림
2000-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