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질라 25 -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질라 25 -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은 2000년에 개봉한 일본 영화로, 고질라가 핵 에너지를 쫓아 일본을 습격하면서 시작된다. 일본 정부는 고질라에 대항하기 위해 G-그래스퍼스를 창설하고, 블랙홀포 '디멘션 타이드'를 개발하지만, 실험 중 고대 곤충 메가뉴라가 나타난다. 메가뉴라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메가기라스로 변태하고, 고질라와 메가기라스의 전투가 벌어진다. 영화는 디멘션 타이드 발사로 고질라가 사라지는 듯하지만, 도쿄에 지진이 발생하고 고질라의 포효가 들리면서 마무리된다. 영화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웜홀을 소재로 한 영화 - 콘택트 (영화)
칼 세이건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콘택트는 조디 포스터가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프로젝트 연구자 엘리 애로웨이 박사 역을 맡아 외계로부터의 신호를 추적하며 인류와의 접촉을 시도하는 내용으로, 로버트 저메키스가 감독을 맡았다. - 웜홀을 소재로 한 영화 - 이벤트 호라이즌
이벤트 호라이즌은 2040년 실종된 탐사선을 구조하기 위해 파견된 구조대가 블랙홀을 생성하는 중력구동기를 통해 알 수 없는 차원의 힘에 노출되어 공포에 휩싸이는 내용을 그린 1997년 미국의 SF 호러 영화이다. - 이바라키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불량공주 모모코
타케모토 노바라의 소설 《시모츠마 이야기》를 원작으로 한 불량공주 모모코는 로리타 패션을 사랑하는 여고생 모모코와 폭주족 소녀 이치고의 독특한 우정을 그린 작품이며, 영화, 만화, 뮤지컬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다. - 이바라키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고지라 2000 밀레니엄
고지라 2000 밀레니엄은 1998년 할리우드 영화 이후 일본 고지라의 부활을 알리는 고지라 미레니엄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새로운 세계관과 디자인의 고지라, 우주 괴수 오르가, 위기 관리 정보국, 고질라 예지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고질라에 대한 인간의 대처를 그리는 특촬 괴수 영화이다. - 야마나시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복성고조
복성고조는 1985년에 개봉한 홍콩 영화로, 홍콩 경찰 특수 수사부의 재키가 납치된 리키를 구출하기 위해 옛 친구들과 함께 마피아를 소탕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성룡, 원표, 홍금보 등이 출연하고 홍콩에서 흥행에 성공하였다. - 야마나시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백자의 사람: 조선의 흙이 되다
백자의 사람: 조선의 흙이 되다는 1914년 조선의 산림 복구를 위해 건너온 일본인 아사카와 다쿠미와 조선인 이청림의 우정을 그린 휴먼 드라마 영화로, 타카하시 반메이가 감독을 맡고 하야시 타미오가 각본을 썼으며 에구미 타카유키의 소설 『백자의 사람』을 원작으로 한다.
| 고질라 25 -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원제 | and Godzilla vs. Megaguirus: The G Annihilation Strategy}} |
| 로마자 표기 | Gojira tai Megagirasu |
| 다른 제목 |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 |
| 영화 정보 | |
| 감독 | 마사아키 테즈카 |
| 제작자 | 쇼고 토미야마 |
| 각본가 | 와타루 미무라, 히로시 카시와바라 |
| 주연 | 미사토 다나카, 쇼스케 타니하라, 유리코 호시, 마사토 이부, 토시유키 나가시마 |
| 음악 | 미치루 오시마 |
| 촬영 | 마사히로 키시모토 |
| 편집 | 요시유키 오쿠하라 |
| 제작사 | 도호 픽처스 |
| 배급사 | 도호 |
| 개봉일 | 2000년 11월 3일 (도쿄 국제 영화제) 2000년 12월 16일 (일본) |
| 상영 시간 | 105분 |
| 제작 국가 | 일본 |
| 언어 | 일본어 |
| 제작비 | ¥700-800 million |
| 흥행 수입 | ¥1.2 billion |
| 스태프 | |
| 본편 감독 | 마사아키 테즈카 |
| 특촬 감독 | 겐지 스즈키 |
| 각본 | 히로시 카시와바라, 와타루 미무라 |
| 제작 | 쇼고 토미야마 |
| 내레이터 | 유사쿠 야라 |
| 음악 | 미치루 오시마, 아키라 이푸쿠베 (고지라 테마곡) |
| 본편 촬영 | 마사히로 기시모토 |
| 특촬 촬영 | 겐이치 에구치 |
| 편집 | 신이치 후시마 |
| 시리즈 정보 | |
| 이전 작품 | 고지라 2000 밀레니엄 |
| 다음 작품 | 고지라·모스라·킹기도라: 대괴수 총공격 |
2. 줄거리
1954년 첫 번째 ''고질라'' 영화의 사건 이후, 일본의 수도는 도쿄에서 오사카로 옮겨졌다. 1966년 고질라는 이바라키현 토카이에 있는 첫 번째 일본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했고, 이후 자위대는 고질라를 격퇴하기 위해 G-그래스퍼스를 창설했다. 1996년에는 깨끗한 플라즈마 에너지가 원자력을 대체했지만, 고질라가 최초의 플라즈마 에너지 원자로를 공격하면서 플라즈마 에너지는 금지되었다.
2001년,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가 웜홀을 열어 선사시대 잠자리가 현대로 들어와 알을 낳았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로 가져갔지만, 알에서 이상한 액체가 나오자 하수구에 버렸다. 알은 수백 개의 알 덩어리였고, 물에 노출되자 메가눌론이라는 거대한 잠자리 유충으로 부화했다. 메가눌론은 사람들을 공격하고, 건물 측면을 기어 올라 메가뉴라로 탈피했다.
한편, 고질라는 핵 에너지원을 찾아 나타났다. G-그래스퍼스와 고질라가 싸우는 동안, 메가뉴라 떼가 고질라를 공격했다. 디멘션 타이드가 발사되었지만, 고질라는 살아남았다. 대부분의 메가뉴라는 죽었지만, 일부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하수구로 돌아갔다. 메가눌라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거대한 고치 속 유충에게 주입했고, 유충은 메가기라스로 나타났다.
메가기라스는 날개짓으로 시부야의 일부를 파괴하고 해안가에서 고질라와 대결했다. 고질라는 메가기라스의 침을 부수고 원자 브레스로 날려 죽였다. 고질라는 비밀 플라즈마 에너지 프로젝트에 이끌렸고, G-그래스퍼스는 디멘션 타이드로 고질라를 파괴하려 했지만, 디멘션 타이드가 궤도에서 벗어나 조준할 수 없었다. 쓰지모리 키리코 소령은 고질라를 향해 배를 조종하며 마지막 순간에 탈출했고, 디멘션 타이드는 함선에 조준되어 발사되었다. 고질라는 접근하는 블랙홀에 열선을 쏘았지만, 사라지는 듯 했다. 그러나, 의심스러운 지진 활동이 조사되고, 쿠키 영상에서 도쿄에 지진이 발생하면서 고질라의 포효가 다시 들린다.
이 작품은 공상 과학 영화로서의 오락성이 중시되었으며, 히로인이 고질라와 직접 싸우는 전사로 그려진 것이 특징이다.
2. 1. 1954년 ~ 2001년: 고질라의 위협과 G-그래스퍼스의 등장
1954년 고질라의 첫 도쿄 습격 이후, 일본은 수도를 오사카로 옮겼다.[1] 1966년 고질라가 토카이무라의 원자력 발전을 파괴하자, 일본 정부는 원자력 발전을 영구히 포기하기로 결정했다.[1] 이후 일본은 수력, 화력, 태양광, 풍력 발전에 주력했지만, 원자력을 대체할 만한 에너지를 찾지 못했다.[1]1996년, 과학기술청은 원자력을 대체할 플라즈마 에너지 연구 시설 '클린 에너지 팩토리'를 오사카에 건설했지만, 같은 해 고질라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1] 이 사건으로 육상자위대 대 고질라 특수부대원 츠지모리 키리코는 고질라 격퇴를 위한 특수부대 G-그래스퍼스에 합류했다.[1]
2001년, G-그래스퍼스는 블랙홀을 발사하는 무기 '디멘션 타이드'를 개발했다.[1] 이 무기는 플라즈마 에너지를 이용한 것으로, 실험 중 웜홀을 통해 선사시대 잠자리가 현대로 넘어와 알을 낳는 사건이 발생했다.[1]
2. 2. 디멘션 타이드 실험과 메가뉴라의 등장
2001년,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가 웜홀을 열어 선사시대 잠자리가 현대로 들어와 알 하나를 낳고 웜홀을 통해 나간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로 이사 갈 때 가져간다. 알에서 이상한 액체가 흘러나오기 시작하자, 준은 알을 하수구에 던진다. 수백 개의 알 덩어리였던 알은 물에 노출되자 갈라져 성장하기 시작하여 메가눌론이라는 거대한 잠자리 유충으로 부화한다. 어느 늦은 밤, 데이트 중인 한 커플이 단둘이 있기 위해 뒷골목으로 들어간다. 여자가 음료수를 가지러 간 사이, 메가눌론이 매복하여 남자 친구를 죽인다. 여자가 그를 찾으러 골목으로 돌아오지만, 메가눌론은 그녀를 공격하여 얼굴에 점액을 뱉고 하수구 장벽 안으로 끌고 들어가 죽이고 먹는다. 공격 후, 곤충은 건물 측면을 기어 올라 메가뉴라로 탈피한다.한편, 특G대에 소속된 물리학자 요시자와 요시노에 의해, 플라즈마 에너지를 이용한 궁극의 대 고질라 병기로 개발된 블랙홀포 '디멘션 타이드'의 시험기 시사 실험이 야마나시현의 폐교를 목표로 행해진다.[1] 시사는 무사히 성공하지만, 그것에 의해 시공의 균열이 발생해, 거기에서 태고의 거대 곤충 메가뉴라가 나타나, 실험장 부근의 산림에 알을 낳아 간다.[1] 우연히 그 모습을 목격한 초등학생 하야사카 준은, 낳아진 알을 가져가지만, 그 기분 나쁨에 공포를 느껴, 이사 간 곳인 도쿄·시부야에서 하수도로 그 알을 버렸다.[1]
준이 버린 알에서 부화한 메가뉴라의 유충·메가누론이 인간을 습격해, 시부야의 지하 수맥을 붕괴시켜 시부야 일대를 수몰시켜 버린다.[1]
2. 3. G 소멸 작전과 메가기라스의 등장
G-그래스퍼스는 고질라를 블랙홀로 제거하기 위한 'G 소멸 작전'을 실행하지만, 메가뉴라 떼의 방해로 실패한다. 이 작전은 야마나시현에서 실시된 디멘션 타이드 시험 발사로 인해 시공간에 균열이 발생하고, 이 틈으로 고대 곤충 메가뉴라가 현대로 넘어와 알을 낳으면서 시작되었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 시부야의 하수구에 버리면서, 알에서 부화한 메가뉴라 유충인 메가누론이 인간을 공격하고 시부야 일대를 수몰시킨다.번식한 메가누론은 메가뉴라로 성장하여 기암도에서 G 소멸 작전 중이던 고질라를 습격한다. 메가뉴라의 방해로 디멘션 타이드의 조준이 어려워졌지만, 고질라의 열선으로 메가뉴라의 수가 줄어들면서 발사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미세 조정이 완료되지 않아 고질라에게 명중하지 못하고 작전은 실패한다. 살아남은 메가뉴라는 시부야로 돌아가 고질라의 에너지를 거대한 메가누론에게 주입하고, 이는 메가기라스로 성장한다.
2. 4. 고질라 vs 메가기라스
오다이바에 상륙한 고질라 앞에 메가기라스가 나타난다. 특별G대책본부(특G대)는 디멘션 타이드로 둘 모두를 없애려 하지만, 메가기라스의 초고주파로 인해 디멘션 타이드의 제어 시스템이 파괴된다. 메가기라스를 쓰러뜨리고 도쿄 중심부를 향해 가는 고질라를 막기 위해, 필사적인 복구 작업 끝에 디멘션 타이드는 대기권으로 낙하하며 재가동되어 고질라에게 발사된다.3. 등장 괴수
이 영화에는 고질라, 메가기라스, 메가누론, 메가뉴라 등 다양한 괴수들이 등장한다.
첫 번째 ''고질라'' 영화에서 산소 파괴 장치가 사용되지 않았고, 일본의 수도가 도쿄에서 오사카로 옮겨졌다는 설정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1] 고질라는 1966년 이바라키현 토카이의 원자력 발전소, 1996년 플라즈마 에너지 원자로를 공격하는 등 핵 에너지를 쫓아 계속해서 나타난다.[1]
2001년, 실험적인 무기 디멘션 타이드가 웜홀을 열어 선사시대 잠자리 메가뉴라가 현대로 넘어와 알을 낳는다. 이 알은 메가누론이라는 유충으로 부화하고, 일부 메가뉴라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메가기라스로 변태한다.
3. 1. 고질라 (밀레니엄 시리즈)
1954년에 처음 등장한 고질라 개체로, 핵 에너지를 쫓아 일본을 습격한다.[1] 첫 번째 ''고질라'' 영화에서는 산소 파괴 장치가 사용되지 않았고, 일본의 수도가 도쿄에서 오사카로 옮겨졌다.[1]1966년, 고질라는 이바라키현 토카이의 첫 번째 일본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한다.[1] 1996년에는 플라즈마 에너지가 원자력을 대체하지만, 고질라는 최초의 플라즈마 에너지 원자로를 공격하여 플라즈마 에너지는 국내에서 금지된다.[1]
2001년, 고질라는 핵 에너지원을 찾아 다시 나타난다.[1] 자위대 G-그래스퍼스와 싸우는 동안, 메가뉴라 떼의 공격을 받는다.[1] 디멘션 타이드가 발사되지만 고질라는 살아남고, 대부분의 메가뉴라는 죽는다.[1] 살아남은 메가뉴라들은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메가기라스로 변태한다.[1]
메가기라스와의 전투에서 고질라는 메가기라스의 침을 부수고 원자 브레스로 날려 죽인다.[1] 이후, G-그래스퍼스는 고질라를 파괴하려 하지만, 디멘션 타이드가 궤도에서 벗어나 실패한다.[1] 고질라는 접근하는 블랙홀에 열선을 쏘지만 사라진다.[1] 쿠키 영상에서는 도쿄에 지진이 발생하면서 고질라의 포효가 다시 들린다.[1]
3. 2. 메가기라스
메가뉴라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변태한 거대 괴수이다.[4]2001년,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가 웜홀을 열어 선사시대 잠자리 한 마리가 현대로 들어와 알을 낳고 웜홀을 통해 나간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로 이사 갈 때 가져간다. 알에서 이상한 액체가 흘러나오기 시작하자, 준은 알을 하수구에 던진다. 수백 개의 알 덩어리였던 알은 물에 노출되자 갈라져 성장하기 시작하여 메가눌론이라는 거대한 잠자리 유충으로 부화한다.[4]
한편, 고질라는 핵 에너지원을 찾아 나타난다. 고질라가 G-그래스퍼스와 싸우는 동안, 메가뉴라 떼는 고질라의 에너지에 이끌려 고질라를 공격한다. 대부분의 메가뉴라는 고질라와 디멘션 타이드에 의해 죽지만, 몇 마리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하수구로 돌아간다. 메가눌라는 마지막 힘을 다해 고질라의 에너지를 거대한 고치 안에 잠자고 있는 거대한 유충에게 주입한다. 그 후 탈피하여 물에서 메가기라스로 나타나며, 메가뉴라의 여왕이 된다.[4]
3. 3. 메가누론
메가뉴라의 유충 형태인 메가누론은 시부야 하수구에서 부화하여 인간을 습격한다.2001년,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가 웜홀을 열어 선사시대 잠자리가 현대로 들어와 알을 낳는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로 가져오는데, 알에서 이상한 액체가 흘러나오자 하수구에 던진다. 수백 개의 알 덩어리였던 알은 물에 노출되자 갈라져 성장하기 시작하여 메가누론이라는 거대한 잠자리 유충으로 부화한다.
어느 늦은 밤, 데이트 중인 한 커플이 뒷골목에 들어갔다가 메가누론에게 습격당한다. 남자는 죽고, 여자는 메가누론에게 공격당해 얼굴에 점액을 뱉고 하수구 장벽 안으로 끌려 들어가 죽임을 당하고 먹힌다. 공격 후, 곤충은 건물 측면을 기어 올라 메가뉴라로 탈피한다.
이후, 메가누론은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거대하고 고동치는 고치 안에 잠자고 있는 거대한 유충에게 주입한다. 그것은 탈피하여 물에서 메가기라스로 나타난다.
3. 4. 메가뉴라
2001년,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가 웜홀을 열어 메가뉴라가 현대로 들어와 알 하나를 낳고 웜홀을 통해 나간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로 이사 갈 때 가져간다. 알에서 이상한 액체가 흘러나오기 시작하자, 준은 알을 하수구에 던진다. 수백 개의 알 덩어리였던 알은 물에 노출되자 갈라져 성장하기 시작하여 메가눌론이라는 거대한 잠자리 유충으로 부화한다.4. 등장인물
다음은 영화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의 주요 등장인물 목록이다.
- '''츠지모리 키리코 (다나카 미사토 분)''': G-그래스퍼 대장.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쿠도 하지메 (타니하라 쇼스케 분)''': 마이크로 머신 천재 엔지니어.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스기우라 모토히코 (이부 마사토 분)''': 특G대 본부장.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요시자와 요시노 (호시 유리코 분)''': 특G대 과학반 제1연구실 책임자.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新倉 誠|니이쿠라 마코토일본어: G 글래스퍼의 홍보관. 전 방위청 소속으로, 계급은 준위이며 32세이다. 특G대의 창구 역할을 하며 외부와의 접촉을 주로 담당한다. 동료들과 사이가 좋고, 보도진에게도 국민을 걱정하는 발언을 하는 등 양심적인 인물이다.
- 美馬 和男|미마 카즈오일본어: G 글래스퍼의 오퍼레이터. 계급은 1조이며, 30세이다. 전 해상자위대 잠수함 소나 담당으로, 정보 수집 전문가이다. 디멘션 타이드의 발사 통제도 담당한다. 쿠도를 탐탁지 않게 생각했지만, 시부야에서 디멘션 타이드 발사 시에는 쿠도에게 뒤를 맡기고 작전 성공 후 함께 기뻐하는 등 친해진다.
- 早坂 淳|하야사카 쥰일본어: 초등학생 소년으로 10세이다. 벌레를 매우 좋아하며, 키리코에게 "곤충 박사"라고 불린다. 야마나시현 하쿠슈에서 이사하기 전, 디멘션 타이드 실험을 목격하고 시공의 왜곡에서 나타난 메가누론의 알을 주워 가져온다. 하지만, 알이 기분 나빠 하수구에 버리면서 시부야 수몰의 계기를 만든다. 이 사실을 숨기지 않고 키리코에게 털어놓는 등 솔직한 소년이다. 영화 마지막에 전학 간 초등학교 과학실에서 다시 나타난 고질라를 목격한다.
- 細野 精一|호소노 세이이치일본어: G 글래스퍼의 파일럿. 계급은 1위(1등공위)이며 27세이다. 전 항공자위대 소속으로, 그리폰을 조종하여 최전선에서 활약한다. 그리폰 조종 실력이 뛰어나 고질라의 열선을 모두 회피한다.
- 奥村 知治|오쿠무라 토모하루일본어: G 글래스퍼의 크루이다. 계급은 3위이며, 25세이다. 츠지모리 키리코와 같은 대G 특수부대 출신 생존자이다. 키리코를 잘 이해하며, 대고질라 작전뿐만 아니라 쿠도 스카우트 시에도 동행하는 등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宮川 卓也|미야가와 타쿠야일본어: 대고질라 특수부대 대장으로, 과거 키리코 등의 상관이었다. 1996년 당시 40세였다. 5년 전 고질라와의 전투 직전, 긴장하는 부하들을 격려하고 전장으로 향했다. 부하들과 함께 고질라를 공격했지만, 고질라가 파괴한 클린 팩토리 잔해에서 키리코를 감싸다 순직한다.
- 山口 剛|야마구치 츠요시일본어: 특별 G 대책 본부・S2 소속의 생물학자이다. 40세. 고질라 연구가 주된 임무이지만, 회수된 거대한 잠자리를 메가뉴라라고 단정하고, 메가누론과 메가기라스의 생태를 해설한다.
- 早坂 薫|하야사카 카오루일본어: 하야사카 쥰의 어머니이다. 야마나시에서 도쿄로 이사하는 것을 만족스러워한다. 고질라 도쿄 상륙 전 피난 시에는 연락이 끊긴 남편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며 쥰과 함께 피난한다.
출연진 정보:
- 츠지모리 키리코 역: 토호 "신데렐라" 오디션 출신인 다나카 미사토가 맡았다.[10]
- 쿠도 하지메 역: 타니하라 쇼스케는 영화 『극도 전국지 부동』(1996년)에서의 연기를 통해 발탁되었다.[10]
- 미야가와 타쿠야 역: 나가시마 토시유키는 테즈카 감독의 요청으로 캐스팅되었다.[10]
- 요시자와 요시노 역: 토호 특촬 영화의 단골 배우였던 호시 유리코가 기용되었다.[10]
4. 1. 츠지모리 키리코 (배우: 다나카 미사토)
辻森 桐子|쓰지모리 키리코일본어는 이 작품의 주인공으로, G-그래스퍼스의 대장이다.[16] 계급은 3좌이며,[16] 28세이다.[21]5년 전 육상자위대의 대G 특수부대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오사카에서 고질라와의 전투 중 상관인 미야가와를 잃었다.[21] 그 유지(遺志)를 이어받아 미야가와의 인식표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21] 고질라 격퇴에 대한 강한 집념을 가지고 용감하게 싸우는 등 남자 못지않은 활약을 보인다. 한편으로는 아이들에게 상냥하게 대하는 면모도 있다.
감독 테즈카 아키라는 세기말의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고질라에 맞서 싸우는 키리코를 통해 관객들에게 긍정적인 희망을 주고자 했다.[2] 제작 토야마 쇼고는 키리코가 메가기라스에게는 눈길도 주지 않고 오직 고질라만을 노려보도록 하여 이야기의 중심을 잡았다고 밝혔다.[10]
배우 다나카 미사토는 연기를 위해 『용서받지 못한 전쟁』, 『지.아이. 제인』 등을 참고했지만,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연속 텔레비전 소설 『아구리』에서 함께 출연했던 호시 유리코였다고 한다.[34]
테즈카 감독은 다나카에게 아이와 이야기하는 장면 외에는 웃는 모습을 보이지 말 것을 요구하여 엄격한 인물임을 표현했다.[13] 요시자와가 웃으며 끄덕이자 키리코도 따라 웃는 장면은 NG로 처리할까 고민했지만, 요시자와가 어머니 같은 역할이었기에 그대로 사용했다.[13] 다나카는 표정 연기에 신경 썼으며, 특히 눈빛을 의식했다.[34] 자위관 시절의 키리코는 눈에 힘이 없고, 지프에서 떨거나 말할 때 본래 목소리를 내는 등 대장 시절과의 차이를 명확히 했다.[34] G-그래스퍼 대장으로서 희로애락은 임무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해 감정을 드러내지 않으려 했지만, 쥰과의 대화 장면에서는 테즈카 감독의 지시로 평소와 같은 부드러운 표정을 보여주었다.[48]
다나카는 바주카포를 들고 달리는 장면 등에서 무거운 소품을 사용하며 실감 나는 연기를 위해 노력했다. 처음에는 무거워서 비스듬하게 기울었지만, 후반에는 똑바로 달릴 수 있을 정도로 숙달되었다.[40][56][34][48]
4. 2. 쿠도 하지메 (배우: 타니하라 쇼스케)
工藤 元|쿠도 하지메일본어는 마이크로 머신의 천재 엔지니어이다. 28세.줏대 없는 성격에 가벼운 태도가 눈에 띄지만, 메카닉에 대한 열정과 애정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을 정도로 강하다. 아키하바라에서 헌책방 점원이었지만, 대학원 시절 요시자와 물리학 연구실에서 공부했던 인연으로 특G대에 협력을 요청받는다.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 개발 계획에 감명을 받아 참가를 결의한다.
특G대에 협력하면서, 서서히 츠지모리 키리코에게 호감을 보인다. 스스로 개발한 초소형 발신기가 달린 신호탄이나 미니 SGS를 제공하고, 자신의 노트북 OS에 탑재한 수복용 프로그램의 캐릭터를 "키리코 짱"이라고 이름 붙이기도 한다. 시부야의 수중 탐사 활동 지원에 나갔을 때, 출현한 메가기라스의 공격으로 오른팔이 골절되는 부상을 입는다. 하지만, 시부야로 고질라가 공격해 오자 키리코와 협력하여 디멘션 타이드를 발사, 작전을 성공시킨다.
테즈카 감독은 쿠도의 인물상 모델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고마츠 사쿄를 꼽았다. 한편, 각본을 담당한 카시와바라는 좀 더 사기꾼 같은 인물로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쿠도를 연기한 타니하라 쇼스케는 아이의 마음을 잊지 않는 소년 같은 역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유년기에 근처에 있던 재미있는 소바집과 같은 아이의 시점에 서서 말할 수 있는 사람을 이미지했다고 한다. 테즈카 감독으로부터는 과장된 표현을 요구받았다고 하며, 텐션을 유지하는 것이 힘들었지만, 그것도 즐겼다고 말했다.
4. 3. 스기우라 모토히코 (배우: 이부 마사토)
杉浦 基彦|스기우라 모토히코일본어는 특G대 본부장이다. 50세.5년 전에는 플라즈마 에너지를 이용한 클린 발전 개발을 지휘했다. 겉으로는 특G대 사람들을 신뢰하고, 외부 사람들에게도 허리를 숙이지만, 본성은 이기적이고 오만하다. 뒤로는 하마다 총리(본 작품에서의 총리대신)의 지시로 일본의 국익과 자신의 지위와 명예를 위해 국립과학기술연구소에서 플라즈마 에너지 개발 연구를 은밀히 속행시키고 있다. G 소멸 작전이 실패할 것 같아지자 안달하며 흥분하고, 비밀이 드러난 끝에는 G 글래스퍼를 "쓸모없는 놈들"이라고 칭했기 때문에 츠지모리 키리코에게 얻어맞는다.
체스가 취미인 듯하며, 자신의 방이나 메인 룸의 책상 위에 체스판과 말을 놓아두고 있다.
테즈카 감독은 스기우라가 자신의 입장에서 나라를 위해 생각했기 때문에 악행을 저지른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관객들이 나쁜 놈이라고 인식하면 대성공이라고 말했다.
각본에서는 총리와의 통화 시 스기우라가 펜을 꺾는 묘사가 있었고, 이를 위한 소품도 준비했지만, 테즈카 감독은 실제로 펜을 꺾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하여, 연기한 이부 마사토가 체스를 하는 것으로 사려 깊음을 표현할 수 있다고 제안하여, 그 말을 날리는 묘사가 되었다.
4. 4. 요시자와 요시노 (배우: 호시 유리코)
특G대 과학반 제1연구실 책임자인 물리학자이다.[1] 쿠도의 대학 시절 은사이기도 하다.[1] 58세.[1]5년 전에는 오사카의 클린 에너지 팩토리에서 플라즈마 에너지 개발에 종사했지만, 고질라 습격으로 많은 동료를 잃었고, 고질라에 의한 피해자를 더 이상 내지 않기 위해 디멘션 타이드 개발에 전력을 다한다.[1] 언쟁하는 장면에서 열을 내기 쉬운 키리코를 제지하는 등 온화한 인품이다.
배우 호시 유리코가 연기하였으며, 감독 테즈카의 요청에 의해 기용되었다.[1] 호시는 자신이 과거에 출연한 고질라 시리즈에서는 시무라 타카시 등 쟁쟁한 배우들이 과학자 역을 맡았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1]
각본가에 따르면, 요시자와는 5년 전 고질라 습격 때 부상을 입었고 옷 아래에 상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 또한, 스기우라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연구를 할 수 있게 해주면서도 수상함을 느끼고 있으며, 스기우라와 총리대신과의 전화를 요시자와가 보게 되는 전개도 생각했지만, 인물 관계가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에 생략되었다.[1]
5. 등장 병기 및 메카닉
1966년 고질라가 이바라키현 도카이에 있는 일본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한 이후, 자위대 내에 고질라 격퇴를 전담하는 G-그래스퍼스가 창설되었다.[1] 2001년에는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가 개발되었다.[2]
- 자위대: 항공자위대 소속 F-15J 전투기가 등장하여, 고질라를 유도하기 위해 가상의 항공 어뢰인 드래곤 애로우를 발사한다.
- 특G대: 고질라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특별 G 대책 본부이다. 플라즈마 에너지를 이용해 마이크로 블랙홀을 생성하는 '디멘션 타이드'를 개발했다.
- G-그래스퍼스:
- 디멘션 타이드: 고질라를 소멸시키기 위해 개발된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이다.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한다.
- 그리폰: G 글래스퍼 소속의 고속 비행 전투기이다.
- SGS (Searching Godzilla System): 고질라 자동 추적 로봇이다.
5. 1. 가공
이 영화에는 다음과 같은 가상의 병기 및 메카닉이 등장한다.- 디멘션 타이드: 고질라를 소멸시키기 위해 개발된 실험적인 인공위성 기반 무기이다. 미니어처 블랙홀을 발사하여 웜홀을 생성, 선사시대 잠자리를 현대로 불러오는 부작용을 낳기도 했다.[1][2]
- 그리폰: G 글래스퍼 소속의 고속 비행 전투기이다. Y자형 기체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고 민첩한 움직임과 공중 정지, 순간적인 음속 가속이 가능하다.[6][7]
- SGS (Searching Godzilla System): 고질라 자동 추적 로봇이다. 신호탄의 전파나 고질라의 소리와 열을 감지하여, 인공위성을 통해 특G대에 데이터와 영상을 전송한다.[5]
| 명칭 | 전장 | 속도 |
|---|---|---|
| SGS | 2m (오리지널) | 40노트 |
5. 1. 1. 디멘션 타이드
특별 G 대책 본부가 중수소를 원료로 플라즈마 에너지의 원리를 응용하여 연구 개발한 대 고질라 병기로, 마이크로 블랙홀 생성기이다.[1] 물리학자 요시자와 요시노가 설계했다. 초마이크로 가속기로 광선이 닿은 지점에 소형 인공 블랙홀을 생성하여 대기권 외에서 고질라를 공격,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동부터 블랙홀탄 발사까지 5분이 걸리며, 사용 후 1시간 동안 냉각해야 하므로 연속 사용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일격의 위력은 엄청나서, 발사된 도쿄 시부야와 기암도에서는 직경 100미터 범위의 지표나 건물이 흡수되어 완전히 소멸되었다.[2]야마나시현 하쿠슈정립 하쿠슈 초등학교(폐교) 교사에서 시제품으로 제작된 10미터 크기의 실험기를 테스트 사격한 후,[3] 마이크로머신 분야의 젊은 천재 쿠도 겐이 장애물 없는 하늘에서 발사하기 위해 인공위성에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 2미터 크기로 축소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다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인공 위성에 탑재되어 위성 궤도상으로 발사되었다.[2] 디멘션 타이드는 "차원의 조류"라는 의미로, 쿠도가 명명했으며, 본체 표면에 머리글자인 "DT"를 새겨 넣었다.
5. 1. 2. 그리폰
G 글래스퍼 소속의 고속 비행 전투기이다.[4] 기체 이름은 공상 속 비상 생물에서 따왔다.[5] Y자형 기체로, 수직 꼬리날개가 없는 대신 기체 전방에 수평 꼬리날개 역할을 하는 것이 달려 있어 비행 안정성이 상당히 우수하다.[6]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여 활주로가 필요 없고, 민첩한 움직임, 공중 정지, 순간적인 음속 가속이 가능하다.[6][7] 현장에서는 고질라 수색을 위해 SGS나 소형 보트(선외 엔진이 달린 고무 보트)[8][9]도 탑재하고 있다.원래 형식 번호는 "GX-810"부터로, 방위청에서 "FX(차기 전투기)" 시제품으로 개발 중이었다. 그러나 1996년 고질라의 수도 오사카 습격으로 G 글래스퍼가 발족되면서, 개발 중이던 광자포를 탑재하는 조건으로 1997년에 실전기로 채용되었다.[10] 하지만 제조 비용이 비싸 현재까지 한 대만 배치되었다.[10] 극중에 등장하는 기체는 4번째인 "'''GX-813'''"이다.
5. 1. 3. SGS (Searching Godzilla System)
특G대가 개발한 고질라 자동 추적 로봇이다.[2] "S1 (Search)"에 사용된다. 신호탄의 전파나 고질라의 소리와 열을 감지하여, 인공위성을 통해 특G대에 그 데이터와 영상을 전송한다.[5] 일본 주변 해역에서 상시 고질라 경계를 하고 있는 48기[3] 외에도, 그리폰에도 탑재되어 있다.쿠도 겐은 적외선 카메라와 3CCD를 장비한 원격 조작으로 항행하는 소형 SGS[4]도 2기 개발하여, 수몰된 시부야 호저 탐사에 사용한다.[5]
| 명칭 | 전장 | 속도 |
|---|---|---|
| SGS | 2m (오리지널) | 40노트 |
5. 2. 실존
이 섹션에서는 영화에 등장하는 실제 병기 및 메카닉을 다룬다.- 자위대: 항공자위대 소속 F-15J 전투기가 등장하여, 고질라를 유도하기 위해 가상의 항공 어뢰인 드래곤 애로우를 발사한다.
- 특G대: 고질라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특별 G 대책 본부로, 플라즈마 에너지를 이용해 마이크로 블랙홀을 생성하는 '디멘션 타이드'를 개발했다.[1]
5. 2. 1. 자위대
항공자위대의 F-15J 전투기는 "G 소멸 작전" 지원을 위해 참가하여, 기암도로 고질라를 유도하기 위해 주변 해저를 항행하는 고질라에게 가공의 항공 어뢰인 드래곤 애로우를 발사했다.5. 2. 2. 특G대
이전 출력물에서는 '특G대'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원본 소스에 없다고 판단하여 문서를 생성할 수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나 주어진 소스에는 '특G대'가 개발한 장비 및 관련 조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특G대' 섹션에는 이러한 장비 및 조직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다음은 수정된 출력입니다:
특G대는 특별 G 대책 본부의 약칭으로, 고질라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조직이다. 이들은 고질라를 완전히 소멸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했다.
- 디멘션 타이드: 특G대가 개발한 대 고질라 병기로, 플라즈마 에너지 원리를 응용하여 마이크로 블랙홀을 생성하는 장치이다.[1] 물리학자 요시자와 요시노가 설계했으며, 초마이크로 가속기로 광선이 닿은 지점에 소형 인공 블랙홀을 생성하여 대기권 외에서 고질라를 공격한다.[1]
- 그리폰 (GX-813): G 글래스퍼 소속의 고속 비행 전투기이다.[2] Y자형 기체로, 수직 꼬리날개가 없는 대신 기체 전방에 수평 꼬리날개 역할을 하는 것이 달려 있어 비행 안정성이 우수하다.[3] 광자포와 벌컨포를 탑재하고 있으며, 3명이 탑승한다.[4]
- SGS (Searching Godzilla System): 고질라 자동 추적 로봇으로, 신호탄의 전파나 고질라의 소리와 열을 감지하여 특G대에 데이터와 영상을 전송한다.[5] 일본 주변 해역에서 상시 고질라 경계를 하는 48기 외에도, 그리폰에도 탑재되어 있다.[6]
- 영식 무반동포 로켓 히트 MT124B: 육상 자위대 특수 부대가 1인 1기 장비하는 강력한 로켓포이다.[8]
- B-10탄 (붕소탄): 5년 전 고질라 오사카 습격 시 특수 부대가 사용한 특수 로켓탄으로, 핵분열 억제 효과를 가진다.[9]
6. 설정
이 영화는 1954년 첫 번째 고질라가 일본을 공격한 이후의 이야기를 다룬다. 첫 번째 고질라의 공격으로 일본은 수도를 도쿄에서 오사카로 옮겼고, 산소 파괴 장치(옥시전 디스트로이어)는 사용되지 않았다.
1966년, 고질라는 이바라키현 토카이에 있는 일본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했다. 이 사건 이후, 자위대는 고질라를 막기 위해 G-그래스퍼스(G-Graspers)라는 특수 부대를 만들었다. 1996년에는 깨끗한 플라즈마 에너지가 원자력을 대체하게 되었지만, 고질라는 플라즈마 에너지 원자로를 공격했고, 결국 플라즈마 에너지는 일본에서 금지되었다.
2001년, 과학자들은 미니 블랙홀을 발사하는 실험적인 인공위성 무기인 디멘션 타이드를 개발했다. 실험 도중 웜홀이 열리고, 선사시대 잠자리가 현대로 넘어와 알을 낳는다. 하야사카 준이라는 소년이 이 알을 발견하고 도쿄로 가져가지만, 알에서 이상한 액체가 나오자 하수구에 버린다. 알은 수백 개의 알 덩어리로, 물에 닿자 메가눌론이라는 거대한 잠자리 유충으로 부화한다. 메가눌론은 사람들을 공격하고 메가뉴라로 성장한다.[1]
한편, 고질라는 핵 에너지를 찾아 다시 나타나고, G-그래스퍼스와 전투를 벌인다. 이때, 메가뉴라 떼가 고질라를 공격하고, 디멘션 타이드가 발사되지만 고질라는 살아남는다. 대부분의 메가뉴라는 죽지만, 일부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하수구로 돌아간다. 메가눌라는 고질라의 에너지를 거대한 고치 속의 유충에게 전달하고, 유충은 메가기라스로 변태하여 고질라와 싸우지만 결국 패배한다.[1]
고질라는 비밀리에 보관된 플라즈마 에너지에 이끌려 다시 나타났고, G-그래스퍼스는 디멘션 타이드로 고질라를 제거하려 했지만 실패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도쿄에 지진이 발생하고 고질라의 포효가 들려온다.[1]
6. 1. 특별 G 대책 본부
고질라(1966년)가 이바라키현 토카이의 일본 최초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한 사건 이후, 고질라를 격퇴하기 위해 자위대 산하에 특별 G 대책 본부가 설립되었고, 그 핵심 부대가 G-그래스퍼스이다.[1]6. 1. 1. G-GRASPER
G-그래스퍼스는 자위대 소속의 대 고질라 전투 부대이다.[1] 1966년 고질라가 이바라키현 토카이의 원자력 발전소를 공격한 사건 이후에 창설되었다.[1] 2001년에는 고질라와 메가기라스의 전투에서 디멘션 타이드를 발사하여 고질라를 공격했지만, 대부분의 메가뉴라와 함께 메가기라스가 죽는 결과를 낳았다.[1] 고질라가 비밀리에 보관된 플라즈마 에너지에 이끌려 다시 나타나자, G-그래스퍼스는 디멘션 타이드로 고질라를 제거하려 했지만, 궤도 이탈로 실패했다.[1]6. 2. 플라즈마 에너지
1996년, 원자력을 대체하는 깨끗한 플라즈마 에너지가 개발되었지만, 고질라가 최초의 플라즈마 에너지 원자로를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 결과, 플라즈마 에너지는 일본 국내에서 금지된다.6. 3. 가공의 건축물
첫 번째 고질라의 공격 이후, 일본의 수도는 도쿄에서 오사카로 옮겨졌다. 따라서 극중에 등장하는 국회의사당은 오사카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1996년에는 고질라가 플라즈마 에너지 원자로를 공격하면서 플라즈마 에너지가 금지되었지만, 비밀리에 연구는 지속되었다. 이 플라즈마 에너지 연구소는 '클린 에너지 팩토리'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7. 제작 배경
도야마 쇼고 제작자는 전작 『고질라 2000 밀레니엄』에서 시리즈를 재개하면서 작품마다 내용을 리셋하고 세계관을 바꾸기로 결정했다. 전작이 고질라의 공포를 진지하게 그린 반면, 본 작품에서는 영화의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중시한 공상 과학을 테마로 했다.
감독은 본 작품이 데뷔작인 테즈카 마사아키가 맡았다. 토야마는 테즈카를 기용한 이유에 대해 토호 영화 중에서 가장 가능성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테즈카는 감독을 맡는 조건으로 "여성을 주인공으로 할 것", "초병기를 내는 것", "육탄전을 하고 싶다", "마지막까지 싸우고 싶다"를 제시했다.
특수 기술은 전작에 이어 스즈키 겐지가 담당했다. 스즈키는 즐거운 고질라 영화를 지향하며 만화적인 연출을 과감하게 도입하고, 무서운 것만이 아닌 고질라의 캐릭터성을 드러내는 데 힘썼다. 또한 전작의 어두운 이미지와 차별화하기 위해 고질라 출현 장면은 첫머리 회상을 제외하고 모두 낮으로 설정했다.
3DCG와 디지털 합성이 많이 사용되었다. 제작에는 10개 이상의 디지털 프로덕션이 참여했고, 합성 컷 수는 548컷에 달했다.
패럴렐 월드를 무대로 하기 때문에 가공의 건조물이 많이 등장하는 것도 특징이다. 스즈키는 대담한 발상으로 건물을 늘려갔다고 하며, 현지를 모르는 사람에게 실존한다고 착각하게 하면 재미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본 작품에서는 자위대가 촬영에 협력하지 않았다. 특수 촬영반은 2000년 5월 22일에 크랭크인하여 8월 17일에 크랭크업했다.
도입부의 1954년에 출현한 고질라 묘사는 제1작 고질라를 재현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본 작품의 고질라 수트를 사용한 신규 촬영이지만, 일부 장면에서는 제1작의 영상에 고질라만 합성했다. 색채는 완전한 흑백이 아닌 흑백에 가까운 컬러로 했다.
7. 1. 감독 및 각본
토미야마 쇼고는 테즈카 마사아키가 《고지라 vs 메카고지라 2》와 《모스라 3부작》에서 조감독으로 일한 경력을 높이 사 그를 감독으로 선택했다. 테즈카 감독은 《에이리언》과 비슷한 작품을 만들고 싶어 했고, 이것이 《고지라 vs 메가기라스》의 제작 방향에 큰 영향을 주었다.각본을 맡은 미무라 와타루는 영화 개봉일이 신정과 매우 가깝기 때문에 너무 어둡거나 폭력적인 내용은 피하고, 더 가벼운 분위기로 만들어 개봉일을 더 잘 반영하고자 했다.
테즈카 감독은 《고지라 vs 메가기라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자신의 의도를 밝혔다.
> 메가기라스를 돌이켜보면, 이야기에 과학적 배경을 제공하고 싶었다. 블랙홀을 만드는 것이나 고지라의 존재 자체가 비현실적이지만, 스토리를 위해서는 필요했다. 그래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테즈카 감독은 본 작품을 '고질라 X 메가기라스'의 이름을 빌린 인간 드라마라고 말했다. 그는 영화의 마지막 30분 동안 인간 측이 수동적인 존재가 되는 것을 피하고 싶었고, 클라이맥스에서 괴수에게 초병기로 맞서는 장면을 통해 인간과 괴수가 마지막까지 싸우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메인 타이틀 역시 고지라의 포효가 아닌, 키리코의 포격 후에 나오도록 설정했다.
테즈카 감독은 검토 단계에서 키리코가 고질라 등에 타는 장면이 모스라나 가메라를 연상시켜 리얼리티를 추구하는 영화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방사능 방호 기능을 갖춘 복장 설정, 직접 그린 콘티, 스태프들의 노력으로 합성 장면을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다.
7. 2. 음악
오시마 미치루가 음악을 담당했으며, 시리즈에서 여성 작곡가가 기용된 것은 처음이다.[1] 오시마는 본 작품 이후에도 데즈카 마사아키가 감독을 맡은 2 작품에서 음악을 담당했다.[2]이후쿠베 아키라가 작곡한 「고질라의 테마」가 처음 뉴스 필름 장면과 후반부 고질라가 오다이바에 나타난 장면에 사용되었다.[3] 데즈카는 이후쿠베의 음악에서 벗어나는 것이 좋다는 팬들의 의견을 부정하기 위해 사용했다고 하며, 오시마도 고질라가 이후쿠베 음악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긍정하면서 자신도 이에 지지 않겠다고 선언했다고 한다.[4]
오시마는 「G 글래스퍼(그리폰[5])」「고질라」「메가기라스」의 3개의 테마 모티브를 설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약 10일 만에 48곡의 음악을 작곡했다.[6][7][8] 오시마는 본 작품 전에 참여한 영화 『나가사키 브라브라 부시』가 정신적으로 힘들었던 것에 비해, 본 작품은 양이 많아 체력 싸움이었다고 회고했다.[8]
첫 회의에서 오시마는 토착성이 있는 대륙적인 이미지가 어울린다고 생각해 러시아풍의 심포니로 할 것을 생각했지만, 데즈카로부터 오시마가 담당한 텔레비전 드라마 『쇼무니』의 BGM을 스탭들이 듣고 있다는 것을 듣고, 동 작품과 같은 활기차고 알기 쉬운 음악으로 변경했다.[8] 단, 오시마는 당초의 이미지도 버릴 수 없어, 숨은 양념으로 곳곳에 뿌려두었다.[8]
고질라의 테마는, 데즈카의 요청에 따라 「크기와 무서움」을 표현하기 위해 템포를 올리지 않고, 저음을 사용하여 구성했다.[8] 튜바, 콘트라베이스, 퍼커션은 더빙하여 소리를 두껍게 했으며, 특히 튜바는 연주자의 제안에 의해 통상 나오지 않는 악보보다 옥타브 아래의 음역도 사용했다.[8]
메가기라스의 테마는, 공통의 요소를 갖게 하면서, 형태마다 표현을 바꾸고 있다.[9] 알에서는 불길함을 표현하고, 메가기라스에서는 배틀 장면을 의도하여 업 템포로 했다.[8] 메가뉴라에서는, 현악기를 울음소리의 효과음처럼 사용하여, 히치콕 영화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했다.[8]
G 글래스퍼는, 데즈카는 『선더버드』를, 오시마는 『스타 트렉』을 이미지하여, 히어로적이고 명쾌한 음악으로 했다.[8]
후년의 인터뷰에서 오시마는, 본 작품의 더빙 작업에는 그다지 참여하지 않았지만, 극장에서 완성 작품을 보면 음악이 효과음에 밀려 들리지 않게 되었다고 하며, 다음에 참여한 『고질라×메카고질라』에서는 더빙 작업에 모두 참여하여, 작곡에 있어서도 효과음과의 조화를 의식했다고 말하고 있다.[10]
8. 평가
《고질라 25 -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은 2000년 12월 16일에 개봉하여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몬스터 제로의 에드 고지스제프스키는 이 영화가 최고는 아니지만 엔터테이닝한 영화로서는 성공했다고 평가했다.[5] 토호 킹덤의 마일스 임호프는 평범하고 무미건조하다는 세 단어로 이 영화를 설명하며, 창의적이고 아슬아슬해 보이려 노력했지만 실패했다고 말했다.[6]
스톰프 도쿄는 음악은 괜찮지만 영화가 한 단계 나아가지 못했다고 평가했다.[7] 아메리칸 카이주의 마이크 보그는 쇼와 시대 이후 고질라 영화 중 최고는 아니지만 가장 재미있는 영화 중 하나라고 말했다.[8] DVD 토크의 이안 제인은 고질라 시리즈 중 최고는 아니지만 훌륭한 특수 효과와 기억에 남는 괴수 결말을 가진 견고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9]
블로그 비평가 맷 파프로키는 이 영화를 시리즈의 진정한 고전이라 칭하며, 캠프적 가치나 진지한 거대 괴수 액션을 찾는 관객 모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10] 스피닝 이미지의 앤드류 프라가삼은 결함이 있지만 재미있는 만화책 같은 영화이며, 맹렬한 괴수 서사시로는 부분적으로만 제공되고 호감 가는 등장인물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11]
로튼 토마토에서는 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60%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6.5/10이다.[12]
8. 1. 비평적 반응
《고질라 25 -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 작전》은 2000년 12월 16일에 개봉하여 엇갈린 반응을 얻었다. 몬스터 제로의 에드 고지스제프스키는 "최고의 영화는 아니지만, 《고질라 대 메가기라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터테이닝한 영화로서 성공했다."라고 평했다.[5] 토호 킹덤의 마일스 임호프는 "평범하고, 평범하고, 무미건조함은 《고질라 대 메가기라스》를 가장 잘 설명하는 세 단어이다. 창의적이고 아슬아슬해 보이려 노력하지만, 어쩐지 실패하여 영화를 진정으로 즐기려고 허무하게 바라게 만든다."라고 말했다.[6]스톰프 도쿄는 "음악은 꽤 괜찮다"고 평했지만 "이 영화는 정말 그래야 할 방식으로 한 단계 나아가지 못했다."라고 말했다.[7] 아메리칸 카이주의 마이크 보그는 "쇼와 시대 이후의 고질라 영화 중 최고는 아니지만, 《고질라 대 메가기라스》는 가장 재미있는 영화 중 하나이다."라고 말했다.[8] DVD 토크의 이안 제인은 "고질라 시리즈 중 최고의 작품은 아니지만, 《고질라 대 메가기라스》는... 훌륭한 특수 효과와 매우 기억에 남는 괴수 결말을 가진 정말 견고한 작품이다."라고 말했다.[9]
블로그 비평가의 맷 파프로키는 이 영화를 "이 시리즈의 진정한 고전"이라고 칭하며 "캠프적 가치를 찾든 진지한 거대 괴수 액션을 찾든 어느 정도 즐겁지 않을 수 없다. 이 영화는 [''괴수''] 장르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추고 있다."라고 덧붙였다.[10] 스피닝 이미지의 앤드류 프라가삼은 이 영화를 "결함이 있지만 재미있는 만화책 엑스트라바간자"라고 칭하며, "맹렬한 괴수 서사시로서는 부분적으로만 제공되며" "호감 가는 등장인물의 부족"으로 고통받는다고 평했다.[11]
로튼 토마토에서, 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60%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6.5/10이다.[12]
9. 대한민국에 미친 영향
ゴジラ×メガギラス G消滅作戦일본어은 대한민국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Masaaki Tezuka and Wataru Mimura
http://www.henshinon[...]
2016-05-26
[2]
웹사이트
歴代ゴジラ映画作品一覧
https://nendai-ryuuk[...]
[3]
웹사이트
GODZILLA SOUNDTRACK PERFECT COLLECTION BOX 6
http://www.scifijapa[...]
2016-12-01
[4]
트윗
The English dub however says this
2017-03-13
[5]
웹사이트
Review
http://monsterzero.u[...]
June 10, 2002
2009-01-14
[6]
웹사이트
Review
http://tohokingdom.c[...]
2005-02-18
[7]
웹사이트
Review
http://www.stomptoky[...]
2001-11-06
[8]
웹사이트
Review
http://americankaiju[...]
[9]
웹사이트
Review
http://www.dvdtalk.c[...]
2003-12-23
[10]
웹사이트
Godzilla vs. Megaguirus DVD
https://blogcritics.[...]
September 02, 2005
2014-12-28
[11]
웹사이트
Review
http://www.thespinni[...]
[12]
웹사이트
Godzilla vs Megaguirus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3-11-13
[13]
웹사이트
Rewind @ www.dvdcompare.net - Godzilla vs. Megaguirus AKA Gojira tai Megagirasu: Jii shômetsu sakusen AKA GXM (2000)
http://www.dvdcompar[...]
[14]
웹사이트
Godzilla vs. Megaguirus Blu-ray
http://www.blu-ray.c[...]
[15]
웹사이트
2001年(平成13年)興収10億円以上番組
https://www.eiren.or[...]
日本映画製作者連盟
2016-07-31
[16]
웹사이트
ゴジラ×メガギラス G消滅作戦
https://31fb9f38.vie[...]
東宝
2023-04-09
[17]
서적
東宝特撮全怪獣図鑑, GODZILLA60, 解体全書, ゴジラ検定
[18]
서적
超全集,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東宝特撮映画大全集, 大辞典, オール東宝メカニック大図鑑
[19]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動画王特別編集ゴジラ大図鑑, 東宝特撮映画大全集, バトル・オブ・メカゴジラ
[20]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東宝特撮映画大全集, バトル・オブ・メカゴジラ
[21]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東宝特撮映画大全集
[22]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3]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4]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5]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6]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7]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8]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29]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30]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31]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32]
서적
ビジュアル大図鑑
[33]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34]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35]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36]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37]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38]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39]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0]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1]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2]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3]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4]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5]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6]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7]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8]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49]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0]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1]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2]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3]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4]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5]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6]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7]
서적
東宝SF特撮映画シリーズSPECIAL EDITION
[58]
서적
動画王特別編集ゴジラ大図鑑
[59]
서적
動画王特別編集ゴジラ大図鑑
[60]
서적
超全集
[61]
서적
超全集
[62]
서적
超全集
[63]
서적
超全集
[64]
서적
超全集
[65]
서적
超全集
[66]
서적
超全集
[67]
서적
超全集
[68]
서적
超全集
[69]
서적
超全集
[70]
서적
超全集
[71]
서적
宇宙船YEAR BOOK 2001
朝日ソノラマ
2001-04-30
[72]
간행물
綴込特別付録 宇宙船 YEAR BOOK 2002
朝日ソノラマ
2002-05-01
[73]
서적
ゴジラ モスラ キングギドラ 大怪獣総攻撃
朝日ソノラマ
2002-01-10
[74]
서적
ゴジラ×メカゴジラ
朝日ソノラマ
2002-12-30
[75]
문서
平成ゴジラ大全
2003
[76]
문서
平成ゴジラ大全
2003
[77]
문서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2003
[78]
문서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2003
[79]
문서
東宝特撮メカニック大全
2003
[80]
서적
別冊映画秘宝 モスラ映画大全
洋泉社
2011-08-11
[81]
서적
別冊映画秘宝 初代ゴジラ研究読本
洋泉社
2014-08-24
[82]
문서
東宝特撮女優大全集
2014
[83]
문서
東宝特撮女優大全集
2014
[84]
문서
オール東宝メカニック大図鑑
2018
[85]
문서
東宝特撮映画大全集
2012
[86]
문서
東宝特撮映画大全集
2012
[87]
문서
東宝特撮映画大全集
2012
[88]
문서
東宝特撮映画大全集
2012
[89]
문서
キャラクター大全
2014
[90]
문서
東宝特撮全怪獣図鑑
2014
[91]
문서
池田憲章
2014
[92]
문서
大辞典
2014
[93]
문서
大辞典
2014
[94]
문서
大辞典
2014
[95]
문서
大辞典
2014
[96]
문서
大辞典
2014
[97]
문서
大辞典
2014
[98]
문서
大辞典
2014
[99]
문서
大辞典
2014
[100]
문서
大辞典
2014
[101]
문서
大辞典
2014
[102]
문서
大辞典
2014
[103]
문서
大辞典
2014
[104]
문서
大辞典
2014
[105]
문서
大辞典
2014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ゴジラ モスラ キングギドラ 大怪獣総攻撃 コンプリーション
ホビージャパン
2022-03-31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ゴジラ&東宝特撮 OFFICIAL MOOK
講談社
2023-06-26
[13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