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천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측 천문학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다양한 영역(전파, 적외선, 가시광선, 고에너지 등)을 활용하여 천체를 관측하고 연구하는 분야이다. 관측 천문학은 관측되는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을 기반으로 분류되며, 전파 천문학, 적외선 천문학, 광학 천문학, 고에너지 천문학, 엄폐 천문학 등으로 나뉜다. 관측에는 망원경, 분광기, CCD, 필터 등 다양한 도구와 기술이 사용되며, 대기, 빛 공해, 기후 등의 요인이 관측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보현산천문대, 소백산천문대 등에서 관측 천문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제 협력에도 참여하고 있다. 관측 대상으로는 별, 성단, 은하, 활동 은하핵,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등 다양한 천체가 있으며, 각 천체의 위치, 밝기, 스펙트럼, 시차, 시선 속도 등을 측정하여 천체의 특성을 연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측천문학 |
|---|
2. 관측 천문학의 분류
관측 천문학은 관측하는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에 따라 여러 분야로 나뉜다.

- 광학 천문학: 거울, 렌즈, 고체 검출기 등을 이용하여 근적외선부터 근자외선 파장의 빛을 관측한다. 사람이 눈으로 감지 가능한 400~700nm의 파장을 사용하는 가시광선 천문학이 이 영역에 해당한다.
- 적외선 천문학: 적외선(규소의 고체 검출기 감지 한계인 1μm을 초과하는) 방사의 감지와 분석을 다룬다. 가장 일반적인 기기는 반사 망원경이지만, 대기에서 오는 열 방사가 문제가 되는 파장에서는 우주 망원경도 사용된다.
- 전파 천문학: mm에서 10m 파장의 방사를 감지한다. 수신기는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훨씬 감도가 좋다.
- 고에너지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자외선 천문학이 포함되며, 중성미자나 우주선을 관측한다.
광학 천문학이나 전파 천문학은 해당 파장에서 대기가 비교적 투명하기 때문에 지상의 천문대에서 수행된다. 천문대는 지구 대기에 의한 흡수 및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해발 고도가 높은 곳에 설치된다. 적외선 영역의 주파수는 수증기에 상당히 흡수되므로 적외선 천문대의 대부분은 건조한 지역이나 해발 고도가 높은 곳, 또는 우주에 설치된다.
X선, 감마선, 자외선, 원적외선 천문학에 사용되는 파장에서는, 몇몇 파장의 "창"을 제외하고 대기는 불투명하다. 따라서 관측은 기구를 사용하거나 우주에서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강력한 감마선은 대규모 공기 샤워로 감지되며, 우주선 연구는 천문학에서도 급속히 발전하는 분야이다.
엄폐 천문학은 한 천체가 다른 천체를 엄폐하거나 가리는 현상을 관측하는 분야이다. 다중 현 소행성 엄폐 관측은 소행성의 윤곽을 1km 수준으로 측정한다.[1]
2. 1. 전파 천문학
전파 천문학은 밀리미터에서 데카미터 파장의 전파를 감지한다. 수신기는 라디오 방송 전송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훨씬 더 민감하다.[4] 전파 망원경도 참조할 수 있다.전파의 발견과 함께, 전파 천문학은 천문학의 새로운 분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전파의 긴 파장은 좋은 해상도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훨씬 더 큰 수집 접시가 필요했고, 이후 고해상도 구경 합성 전파 이미지(또는 "전파 지도")를 만들기 위한 다중 접시 간섭계 개발로 이어졌다. 마이크로파 혼 수신기의 개발은 빅뱅과 관련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발견으로 이어졌다.[4]
전파 천문학은 전파 천문 위성을 사용하여 지구 크기보다 훨씬 큰 기선으로 간섭계를 생성하는 등 그 기능을 계속 확장해 왔다. 그러나 다른 용도로 전파 스펙트럼의 사용이 계속해서 확대됨에 따라 별에서 오는 희미한 전파 신호가 점차적으로 묻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래의 전파 천문학은 달의 뒷면과 같은 차폐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2. 2. 적외선 천문학
적외선 천문학은 적외선의 감지 및 분석을 다룬다. 이는 주로 실리콘 고체 감지기의 탐지 한계보다 긴 파장(약 1μm 파장)을 의미한다.[1] 가장 흔한 도구는 반사 망원경이지만, 적외선 파장에 민감한 감지기를 사용한다. 대기가 불투명한 특정 파장에서는 우주 망원경이 사용되거나, 소음(대기에서 발생하는 열 복사)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3]적외선 영역의 주파수는 수증기에 상당히 흡수되므로 적외선 천문대의 대부분은 건조한 지역이나 해발 고도가 높은 곳, 또는 우주에 설치된다.
2. 3. 광학 천문학
광학 천문학은 가시광선, 근자외선 및 근적외선 영역을 관측하는 천문학 분야로, 천문학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광학 천문학에서는 거울, 렌즈, 고체 검출기 등을 이용하여 빛을 관측한다.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약 400–700 nm 파장)을 사용하는 가시광선 천문학은 광학 천문학의 중간 영역에 해당한다.[1]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하늘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 최초의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후 관측 천문학은 망원경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함께 발전해 왔다.
광학 천문학은 대기가 비교적 투명한 파장 영역을 다루기 때문에 지상의 천문대에서 주로 관측이 이루어진다. 천문대는 지구 대기에 의한 빛의 흡수 및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발 고도가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밤하늘의 어두움은 광학 천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도시나 인구가 많은 지역이 확대되면서 밤의 인공광 양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인공광은 희미한 배경광이 되어 어두운 천체를 관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빛 공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애리조나주나 영국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로등에 덮개를 씌워 하늘로 향하는 빛을 줄이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대기의 영향은 망원경의 해상도를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대기에 의한 흐릿한 효과를 보정하지 않으면 구경 15~20cm 이상의 망원경은 가시광선 파장에서 이론적인 해상도를 달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보정 광학, 스펙클 이미징, 개구 합성 등의 기술을 통해 해상도 저하 문제를 극복하고, 매우 어두운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천문학자들은 태양이나 지구에 가까운 천체를 관측할 때, 멀리 떨어진 배경 천체를 기준으로 직접적이고 정확한 위치 천문학적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초기 관측은 행성들의 궤도 모델을 정밀하게 만들고, 상대 질량과 중력에 의한 섭동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의 발견에도 기여했다.
2. 4. 고에너지 천문학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극한 자외선 천문학을 포함하며, 중성미자나 우주선을 관측하기도 한다.[1] 이러한 고에너지 천문학은 대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로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다.2. 5. 엄폐 천문학
엄폐 천문학은 한 천체가 다른 천체를 엄폐하거나 식하는 순간을 관측하는 것이다. 다중 현 소행성 엄폐 관측은 소행성의 윤곽을 1km 수준으로 측정한다.[1]3. 관측 방법 및 도구
현대 관측 천문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비는 망원경이다. 망원경은 빛을 모아 매우 어두운 천체를 볼 수 있게 하고, 멀리 있는 작은 천체를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천문학에는 매우 정밀한 광학 부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굽은 거울은 빛의 파장 정도 이내의 왜곡만이 있도록 연마되어야 한다. 현대의 "망원경"은 해상도를 맞추기 위해 협력하여 움직이는 일련의 망원경, 즉 개구 합성을 통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큰 망원경은 기후로부터 보호하고 관측 조건을 안정시키기 위해 돔 안에 보관된다. 돔은 망원경 양 끝의 온도 차이로 인한 열팽창을 막기 위해 밝은 흰색(이산화 티타늄(IV))이나 무도색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돔은 관측이 시작되기 전에 열려 망원경 전체가 주변과 같은 온도가 되도록 한다. 바람과 진동을 피하기 위해 망원경은 주변 돔이나 건물과 분리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설치된다.[7]
대부분의 관측에서는 지구 자전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망원경으로 천체를 추적해야 한다. 과거에는 적도의가 사용되었으며, 작은 망원경에서는 현재도 사용된다. 그러나 적도의는 구조적으로 빈약하여 큰 망원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최근에는 구조적으로 더 뛰어난 경위의가 사용되고 있으며, 거대한 경위의 망원경 설계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아마추어 천문학자는 뉴턴식 망원경, 굴절 망원경, 막스토프 망원경 등을 사용한다.
사진술은 오랫동안 관측 천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최근에는 CCD 및 CMOS 칩과 같은 디지털 센서로 대체되고 있다. 천체 사진술은 특수 사진 필름을 사용하지만, 낮은 양자 효율 등의 단점이 있다.
블링크 비교기는 서로 다른 시점에 촬영된 두 장의 사진을 비교하여 소행성, 혜성, 변광성 등을 찾는 데 사용되는 기기이다. 마이크로미터는 이중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분광사진기는 천체의 방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헬륨과 같은 원소를 발견하고, 적색편이를 통해 천체의 시선 속도나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7] 초기 분광사진기는 프리즘을 사용했지만, 이후 격자 분광사진기가 개발되어 빛의 손실을 줄이고 분광 해상도를 높였다.
별의 색깔을 측정하는 측광법은 1861년에 시작되었으며, 1951년에는 UBV-겉보기 등급의 국제 표준 시스템이 채택되었다. 광전 측광학은 CCD를 사용하여 망원경 관측에 자주 사용된다. 필터는 특정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물체를 관측하고, 빛 공해의 영향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편광 필터는 광원의 편광 여부와 방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3. 1. 다중 신호 천문학
현대 천체물리학자들은 전자기파 외에도 중성미자, 우주선, 중력파를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하는 것을 다중 신호 천문학이라고 한다.중성미자 천문학은 거대한 지하 탱크에 설치된 특수 중성미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천체를 관측하는 분야이다. 별과 초신성 폭발에서 발생하는 핵반응은 엄청난 수의 중성미자를 생성하며, 이 중 극소수만이 중성미자 망원경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중성미자 천문학은 광학 망원경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태양의 핵과 같은 과정을 관측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연구된다.[2]
중력파 검출기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과 같은 거대 천체의 충돌과 같은 현상을 포착하도록 설계되고 있다.[5]
3. 2. 지상 관측

thumb, 슬로바키아]]
광학 및 전파 천문학은 대기가 탐지되는 파장에서 비교적 투명하기 때문에 지상 관측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관측소는 일반적으로 지구 대기에 의한 흡수 및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일부 적외선 파장은 수증기에 의해 심하게 흡수되므로, 많은 적외선 관측소는 건조하고 고도가 높은 장소 또는 우주에 위치해 있다.
관측 천문학의 역사에서 거의 모든 관측은 광학 망원경을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이루어졌다. 지구 대기는 이 파장에서 비교적 투명하지만, 망원경에 의한 관측의 대부분은 시잉 조건과 대기의 투명도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야간에 한정된다. 시잉 조건은 대기 중의 난류와 열 변동에 의존한다. 구름이나 난류가 많은 지역에서는 관측 해상도가 제한된다. 보름달이 반사광으로 하늘을 빛내는 것처럼, 어두운 천체의 관측에 방해가 된다.
관측 목적에 가장 적합한 장소는 우주 공간이지만, 궤도에 망원경을 발사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차선책으로 흐린 날이 적고 대기 상태가 좋은 산 정상에 설치한다. 마우나 케아나 라 팔마 산정이 그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칠레에는 차흐난토르 천문대, 파라날 천문대, 세로 톨롤로 범미 천문대, 라 시야 천문대 등이 있다.
밤하늘의 어두움은 광학 천문학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도시나 인구가 많은 지역이 확대되면서 밤의 인공광이 증가하여 희미한 천체 관측을 어렵게 한다. 애리조나주나 영국에서는 빛 공해 감소를 위한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대기 효과는 망원경의 해상도를 크게 저하시키지만, 보정 광학, 스펙클 이미징, 개구 합성 등의 기술로 해상도 저하를 극복하고 있다.
3. 3. 우주 관측
X선 천문학, 감마선 천문학, 자외선 천문학 및 (일부 파장 "창"을 제외하고) 원적외선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파장에서는 대기가 불투명하므로, 관측은 대부분 기구 또는 우주 관측소에서 수행되어야 한다.[2] 그러나 강력한 감마선은 그들이 생성하는 거대한 공기 샤워에 의해 탐지될 수 있으며, 우주선 연구는 빠르게 확장되는 천문학의 한 분야이다.3. 4. 중요 요소
관측 천문학에서 거의 모든 관측은 광학 망원경을 사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수행되었다. 지구 대기는 이 전자기 스펙트럼 부분에서 비교적 투명하지만, 대부분의 망원경 작업은 시상 조건과 대기의 투명성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야간으로 제한된다.[6] 시상 조건은 공기 중의 난류와 열적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구름이 자주 끼거나 대기 난류가 심한 곳은 관측 해상도를 제한한다. 마찬가지로 둥근 달의 존재는 산란된 빛으로 하늘을 밝게 하여 희미한 천체의 관측을 방해할 수 있다.[6]밤하늘의 어두움은 광학 천문학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도시와 인구 밀집 지역의 규모가 계속 확장되면서 밤에 인공 조명의 양도 증가했다. 이러한 인공 조명은 특수한 필터 없이는 희미한 천문학적 특징을 관측하기 매우 어렵게 만드는 확산된 배경 조명을 생성한다. 애리조나주와 영국과 같은 몇몇 지역에서는 빛 공해 감소 캠페인이 벌어졌다.[6] 한국에서도 빛 공해 감소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가로등 주변에 후드를 사용하면 지면으로 향하는 빛의 양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하늘로 향하는 빛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대기 효과(천문 시상)는 망원경의 분해능을 심각하게 방해할 수 있다. 변화하는 대기의 흐림 효과를 보정하는 몇 가지 수단이 없으면, 구경이 약 15~20cm보다 큰 망원경은 가시광선 파장에서 이론적인 분해능을 달성할 수 없다. 그 결과, 매우 큰 망원경을 사용하는 주요 이점은 향상된 집광 능력으로, 매우 희미한 등급의 천체를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분해능의 핸디캡은 적응 광학, 스페클 이미징, 간섭 이미징뿐만 아니라 우주 망원경의 사용으로 극복되기 시작했다.[6]
3. 5. 측정 도구
천문학자들은 다양한 관측 도구를 사용하여 천체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한다. 태양과 지구에 가까운 천체는 위치 측정을 통해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관측은 행성들의 궤도 모델을 개발하고, 질량과 중력 섭동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발견에 기여했다.[5]현대 관측 천문학의 핵심 장비는 망원경이다. 망원경은 희미한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더 많은 빛을 모으고, 작고 멀리 있는 천체를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천문학에는 정밀한 광학 부품을 사용하는 망원경이 필요하다. 대형 망원경은 날씨와 환경 변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돔 안에 보관된다. 돔은 보통 밝은 흰색(이산화 티타늄)이나 페인트칠하지 않은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망원경은 주변 돔 및 건물과 분리된 콘크리트 기둥에 설치되어 바람이나 진동의 영향을 최소화한다.[7]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은 뉴턴식 망원경, 굴절 망원경, 막스토프 망원경 등을 사용한다.
사진술은 오랫동안 관측 천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최근에는 CCD 및 CMOS 칩과 같은 디지털 센서로 대체되고 있다. 천체 사진술은 특수 사진 필름을 사용하지만, 낮은 양자 효율 등의 단점이 있다.
블링크 비교기는 서로 다른 시점에 촬영된 두 장의 사진을 비교하여 소행성, 혜성, 변광성 등을 찾는 데 사용되는 기기이다. 마이크로미터는 이중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분광사진기는 천체의 방출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헬륨과 같은 원소를 발견하고, 적색편이를 통해 천체의 시선 속도나 거리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초기 분광사진기는 프리즘을 사용했지만, 이후 격자 분광사진기가 개발되어 빛의 손실을 줄이고 분광 해상도를 높였다.
별의 색깔을 측정하는 측광법은 1861년에 시작되었으며, 1951년에는 UBV-겉보기 등급의 국제 표준 시스템이 채택되었다. 광전 측광학은 CCD를 사용하여 망원경 관측에 자주 사용된다. 필터는 특정 주파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 물체를 관측하고, 빛 공해의 영향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편광 필터는 광원의 편광 여부와 방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4. 관측 대상
천문학자들은 고적색이동 은하, 활동 은하핵, 빅뱅의 잔광, 다양한 종류의 별, 원시별 등 많은 종류의 천체를 관측한다.[8]
각각의 천체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면천문학 기술을 사용하여 천체의 위치 좌표를 결정하고,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본 밝기를 나타낸다. 스펙트럼의 다른 부분에서의 상대 광도는 천체의 온도 정보를 제공하며, 스펙트럼 사진을 통해 화학 조성을 알 수 있다.[8]
별의 시차 변화를 이용하여 거리를 구하고, 시선 속도와 고유 운동으로 태양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한다. 광도 변화는 별 대기 불안정성이나 동반성 존재를 나타내며, 쌍성 궤도로 각 별의 상대 질량이나 총 질량을 측정한다. 분광 쌍성은 별과 근접 동반성 스펙트럼의 도플러 이동으로 발견된다.[8]
마이크로파 수신기 개발은 빅뱅과 관련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발견으로 이어졌다.[3]
4. 1. 가까운 천체
위치 측정을 통해 태양과 지구에 비교적 가까운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다. 이러한 관측은 행성들의 궤도 모델을 정밀하게 만들고, 질량과 중력 섭동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이 발견되었고, 수성 궤도 안쪽에 벌컨이라는 가상의 행성이 존재한다는 잘못된 가설이 나오기도 했다.[5]로봇 우주선은 태양계 내 행성들에 대한 매우 상세한 관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행성 과학 분야는 지질학 및 기상학 분야와 많은 부분을 공유하게 되었다.[8]
4. 2. 별
다양한 종류의 별들을 관측하여 별의 진화, 물리적 특성 등을 연구한다.각각의 별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구면천문학 기술을 사용하여 천체의 위치 좌표를 결정하고, 겉보기 등급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밝기를 나타낸다. 스펙트럼의 다른 부분에서의 상대적인 밝기는 별의 온도 정보를 제공한다. 스펙트럼 사진을 통해 별의 화학 조성을 알 수 있다.
배경에 대한 별의 시차 변화를 이용하여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별의 시선 속도와 시간에 따른 위치 변화 (고유 운동)는 태양에 대한 상대 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별의 밝기 변화는 별 대기의 불안정성이나 동반성의 존재를 나타낸다. 쌍성의 궤도를 관측하면 각 별의 상대적인 질량 또는 전체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분광 쌍성은 별과 가까이 있는 동반성의 스펙트럼에서 도플러 이동을 관측하여 발견할 수 있다.
동일한 질량을 가진 별이 같은 시기에 비슷한 조건에서 형성되면, 일반적으로 거의 동일한 관측 속성을 가진다. 구상 성단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별의 질량을 관측하면 별 유형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별들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4. 3. 성단
천문학자들은 구상 성단과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별의 질량을 관측하여 별 유형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런 다음 이 자료를 사용하여 연관된 별들의 나이를 추론할 수 있다.[3] 동일한 질량을 가진 별은 같은 시기에 유사한 조건에서 형성된 경우, 일반적으로 거의 동일한 관측 속성을 갖는다.4. 4. 은하 및 은하단


먼 은하와 활동 은하핵(AGN)에 대한 관측은 은하의 전반적인 형태와 특성뿐만 아니라 은하가 발견되는 은하군 및 은하단에 대해 이루어진다. 다른 은하에서 알려진 광도를 가진 특정 유형의 세페이드 변광성과 Ia형 초신성의 관측은 표준 촛불이라고 불리며, 이를 통해 모은하까지의 거리를 추론할 수 있다. 공간의 팽창은 이러한 은하의 스펙트럼을 거리에 따라 이동시키고 은하의 시선 속도의 도플러 효과에 의해 수정한다. 은하의 크기와 적색편이 모두 은하의 거리에 대해 무언가를 추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수의 은하에 대한 관측을 적색편이 탐사라고 하며, 은하 형태의 진화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4. 5. 활동 은하핵 (AGN)
천문학자들은 고적색이동 은하와 함께 활동 은하핵을 관측한다. 먼 은하 및 활동 은하핵에 대한 관측은 은하의 전반적인 형태와 특성뿐만 아니라 은하가 발견되는 은하군 및 은하단에 대해서도 이루어진다. 다른 은하에서 알려진 광도를 가진 특정 유형의 세페이드 변광성과 Ia형 초신성의 관측은 표준 광원이라고 불리며, 이를 통해 모은하까지의 거리를 추론할 수 있다. 우주의 팽창은 이러한 은하의 스펙트럼을 거리에 따라 이동시키고 은하의 시선 속도의 도플러 효과에 의해 수정한다. 은하의 크기와 적색편이 모두 은하의 거리에 대해 무언가를 추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수의 은하에 대한 관측을 적색편이 탐사라고 하며, 은하의 형성 및 진화 모델링에 사용된다.[3]4. 6.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 (CMB)
마이크로파 수신기의 개발은 빅뱅과 관련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발견으로 이어졌다.[3] 이는 빅뱅의 잔해를 관측하여 우주의 기원과 진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 한국의 관측 천문학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관측 천문학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1. 현대 천문학
20세기 후반은 천문 관측 장비 분야에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보였다. 광학 망원경은 점점 더 커지고 적응 광학을 사용하여 대기 교란을 부분적으로 상쇄했다. 새로운 망원경이 우주로 발사되어 적외선, 자외선, X선, 감마선을 비롯한 전자기 스펙트럼의 여러 영역과 우주선을 관측하기 시작했다. 간섭계 배열은 라디오, 적외선 및 광학 파장에서 구경 합성을 사용하여 최초의 극도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같은 궤도 장비는 천문학적 지식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희미한 천체의 가시광선 관측을 위한 주력 장비 역할을 했다. 개발 중인 새로운 우주 장비는 다른 별 주위의 행성을 직접 관측하고, 심지어 지구와 유사한 세계를 관측할 것으로 예상된다.망원경 외에도 천문학자들은 관측을 위해 다른 장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5. 2. 주요 천문대 및 연구 시설
전파의 발견과 함께, 전파 천문학은 천문학의 새로운 분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전파의 긴 파장은 좋은 해상도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훨씬 더 큰 수집 접시가 필요했고, 이후 고해상도 구경 합성 전파 이미지(또는 "전파 지도")를 만들기 위한 다중 접시 간섭계 개발로 이어졌다. 마이크로파 혼 수신기의 개발은 빅뱅과 관련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복사의 발견으로 이어졌다.[4]전파 천문학은 전파 천문 위성을 사용하여 지구 크기보다 훨씬 큰 기선으로 간섭계를 생성하는 등 그 기능을 계속 확장해 왔다. 그러나 다른 용도로 전파 스펙트럼의 사용이 계속해서 확대됨에 따라 별에서 오는 희미한 전파 신호가 점차적으로 묻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래의 전파 천문학은 달의 뒷면과 같은 차폐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20세기 후반은 천문 관측 장비 분야에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보였다. 광학 망원경은 점점 더 커지고 적응 광학을 사용하여 대기 교란을 부분적으로 상쇄했다. 새로운 망원경이 우주로 발사되어 적외선, 자외선, X선, 감마선을 비롯한 전자기 스펙트럼의 여러 영역과 우주선을 관측하기 시작했다. 간섭계 배열은 라디오, 적외선 및 광학 파장에서 구경 합성을 사용하여 최초의 극도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같은 궤도 장비는 천문학적 지식의 급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희미한 천체의 가시광선 관측을 위한 주력 장비 역할을 했다. 개발 중인 새로운 우주 장비는 다른 별 주위의 행성을 직접 관측하고, 심지어 지구와 유사한 세계를 관측할 것으로 예상된다.
망원경 외에도 천문학자들은 관측을 위해 다른 장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5. 3. 국제 협력
20세기 후반, 천문 관측 장비 분야는 급격한 기술 발전을 겪었다. 광학 망원경은 점점 더 커졌으며, 적응 광학 기술을 통해 대기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상쇄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망원경들이 우주로 발사되어 적외선, 자외선, X선, 감마선 등 전자기 스펙트럼의 다양한 영역과 우주선을 관측하기 시작했다. 간섭계 배열은 전파, 적외선, 광학 파장에서 구경 합성을 사용하여 매우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같은 궤도 장비는 천문학적 지식의 발전을 이끌었으며, 희미한 천체를 관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발 중인 새로운 우주 장비들은 다른 별 주위의 행성을 직접 관측하고,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참조
[1]
논문
Results from a triple chord stellar occultation and far-infrared photometry of the trans-Neptunian object (229762) 2007 UK126
[2]
뉴스
La Silla Poses for an Ultra HD Shoot
http://www.eso.org/p[...]
2014-04-16
[3]
뉴스
Under the Spell of the Magellanic Clouds
http://www.eso.org/p[...]
2013-04-17
[4]
논문
Cosmic Black-Body Radiation.
1965-07
[5]
웹사이트
Planning for a bright tomorrow: Prospects for gravitational-wave astronomy with Advanced LIGO and Advanced Virgo
http://www.ligo.org/[...]
LIGO Scientific Collaboration
2015-12-31
[6]
웹사이트
The Quito Astronomical Observatory is managed by National Polytechnic School, EPN, official website.
http://oaq.epn.edu.e[...]
[7]
웹사이트
The ESO 100-m OWL optical telescope concept
http://www.eso.org/p[...]
[8]
웹사이트
The Martian-like Landscape of La Silla
http://www.eso.org/p[...]
2015-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