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렌초 발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렌초 발라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로, 라틴어 문법과 수사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이 위조되었음을 문헌학적으로 증명하고, 교황 무오류설을 비판하는 등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쾌락을 긍정하는 《쾌락론》을 저술하고, 성서 비평을 통해 불가타 성서의 오류를 지적하기도 했다. 그의 저술은 에라스무스 등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루터는 그를 높이 평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수사학자 -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는 다양한 사상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고 인간의 자유 의지와 잠재력을 강조한 15세기 이탈리아 인문주의 철학자로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독교 카발라 전통 형성에 기여했다.
  • 이탈리아의 수사학자 - 잠바티스타 비코
    이탈리아 철학자, 역사가, 법학자인 잠바티스타 비코는 데카르트 합리주의 비판, '베룸 팍툼' 원리, 역사 순환론을 담은 《신과학》을 통해 역사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재평가되었다.
  •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 안젤로 폴리치아노
    안젤로 폴리치아노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고전학자이자 시인으로, 로렌초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았으며 고전 문헌 연구에 문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다양한 라틴어 및 이탈리아어 작품을 남겼다.
  •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 - 레오나르도 브루니
    레오나르도 브루니는 피렌체 공화국의 서기국장으로서 시민 인본주의를 발전시키고 《피렌체 인민의 역사》를 저술한 이탈리아의 인문주의자이자 역사가, 정치인이다.
로렌초 발라
로렌초 발라
로렌초 발라의 초상
로렌초 발라의 초상
기본 정보
출생1407년경
사망1457년 8월 1일
국적이탈리아
직업
직업인문학자
수사학자
교육자
철학자
신학자
사제
문헌학자
학문 분야
학문 분야인문주의
고전 문헌학
철학
신학
주요 업적
주요 업적《라틴어의 우아함》
《콘스탄티누스 기증장 위조 폭로》
《쾌락에 대하여》
《자유 의지 논고》
《신약성서 주석》
영향
영향인문주의
종교 개혁
문헌학
역사학
철학
로마자 표기
이탈리아어Lorenzo Valla
IPA/loˈrɛntso ˈvalla/

2. 생애

발라는 로마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가족은 피아첸차 출신이었다.[4] 그의 아버지 루치아베 델라 발라(Luciave della Valla)는 교황청에서 일하는 변호사였다. 그는 로마에서 레오나르도 브루니와 조반니 아우리스파를 포함한 교사들에게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배웠으나, 주로 독학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5]

브루니는 교황 비서였고, 발라의 삼촌인 멜키오르 스크리바니(Melchior Scrivani)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발라는 초기 저서에서 웅변가 퀸틸리아누스를 옹호하면서 안토니오 로스키(Antonio Loschi)의 반감을 샀다.[6] 1431년 그는 사제 서품을 받았고, 같은 해 중국으로의 사도 서기관직을 얻으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광범위한 인맥에도 불구하고 성공하지 못했다.[6]

발라는 피아첸차를 거쳐 파비아에서 웅변학 교수직을 얻었다. 파비아에서의 그의 재임 기간은 법률가 바르톨루스 드 삭소페라토의 라틴어 문체를 비판하면서 불편해졌다. 그는 여러 대학교를 전전하며 단기 계약을 맺고 많은 도시에서 강의를 했다.

1447년 니콜라우스 5세 교황의 초청으로 로마에 온 발라는 그의 저서 ''Repastinatio''를 집필했다.[8] 그는 교황 서기가 되었고, 1455년에는 교황 비서가 되었다.[6]

발라는 로마에서 사망했다. 그는 원래 성 요한 라테라노 제단 뒤에 있는 기념비적인 청동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칙령'' 아래에 묻혔다. 그의 무덤과 비문은 1570년 세이프리드 리비슈(Seyfried Rybisch)에 의해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1576년,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을 확고히 믿었던 그레고리우스 13세 교황은 청동을 콘서바토리 궁전으로 옮기면서 무덤과 비문을 파괴했다.[9] 오늘날 라테라노에는 발라를 기리는 기념비가 있다.[6] 그는 로마의 피아첸차 가문에서 태어났다.[23] 고전을 연구하고 여러 곳을 떠돌아다닌 후 나폴리 왕 알폰소 1세의 곁에 머물렀다. 교황령로마 황제로부터 기증되었다는 근거로 여겨져 왔던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서』가 위서임을 문헌학적으로 증명했다.

또한, 교황 무오류설을 비판했기 때문에 당시 교황 에우게니우스 4세의 노여움을 사서 종교재판소에 고발되었다. 그러나 다음 교황 니콜라우스 5세는 관용적인 모습을 보이며 발라를 교황청에 초청하여 고전 연구에 종사하게 했다. 후에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의 성직자가 되었다.

당시 유일한 정경으로 권위를 가지고 있던 불가타 성서의 오류를 지적했다. 이것은 문헌학이 성서의 권위에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중요한 사건이며, 후에 에라스무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에피쿠로스를 재평가하고, 인간의 쾌락 추구를 긍정하는 논문 『쾌락론』(1431년)을 저술했다.

3. 주요 업적

로렌초 발라는 라틴어 번역 전문가로서, 페트라르카의 리비우스 연구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을 했다.[12] 리비우스 교정은 그의 저서 ''파시오에 대한 해독제(Antidotum in Facium)'' 4권에서 논의되었으며,[13] 포지오 브라치올리니와의 논쟁을 담은 ''포지오에 대한 해독제(Antidotum in Pogium)''도 저술했다.[21]

발라는 대화편 『쾌락에 관하여』(De Voluptate)와 논문 『라틴어의 우아함에 관하여』(De Elegantiis Latinae Linguae)로 명성을 얻었다. 『쾌락에 관하여』에서는 스토아 학파에피쿠로스 원리를 비교하며 자연스러운 욕구에 대한 동정심을 보였고,[15] 인간의 쾌락 추구를 긍정했다.

발라는 로마의 피아첸차 가문에서 태어나,[23] 나폴리 왕 알폰소 1세 곁에 머물렀으며, 후에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의 성직자가 되었다.

발라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초기 작성 연도초기 제목범위버전 및 주석
1431『쾌락에 관하여』(De Voluptate)"쾌락에 관하여".[15] 스토아 학파에피쿠로스 원리 비교.1433년판은 『진정한 선에 관하여』(De vero bono).[6]
『변증학과 철학의 재검토』(Repastinatio dialectice et philosophie)논리학 교재전통적인 제목은 『변증학』(Dialectica). 두 번째 버전은 1439년부터 1448년까지, 세 번째 버전은 1457년까지 작성.[16]
1440『거짓으로 여겨지고 날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 대한 규탄』(De falso credita et ementita Constantini Donatione declamatio)[18]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 관하여1517년까지 공식 출판되지 않았고, 프로테스탄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음.[18]
[19]자유의지에 관하여(De libero arbitrio).자유의지에 관하여『철학의 위로』(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5권에 대한 공격.[20]
1449[19]『우아함에 관하여』(De Elegantiis)라틴어 문법, 문체, 수사학 비판적 검토.인문주의적 라틴어가 후기 고전 라틴어를 제거하려는 노력으로 이어짐.
1452『포지오에 대한 해독제』(Antidotum in Pogium)포지오 브라치올리니와의 논쟁브라치올리니는 1452년 초 『발라에 대한 연설』(Oratio in L. Vallam)에서 발라를 공격.[21]
초기 작품[6]『신약 성경에 대한 주석』(Adnotationes in Novum Testamentum)신약 성경에 대한 주석에라스무스가 1504년 뢰번에서 발견하여 1505년에 출판.[22]


3. 1.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위조 증명

1439년에서 1440년 사이에 발라는 《콘스탄티누스의 위증된 기증에 관한 논고》(De falso credita et ementita Constantini Donatione declamatio)를 저술하여 《콘스탄티누스의 기증》 문서를 분석했다.[10] 이 "기증"은 콘스탄티누스 1세서로마 제국 전체를 로마 가톨릭 교회에 기증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나병에서 실베스테르 1세 교황에 의해 기적적으로 치유된 것에 대한 감사였다고 한다.

1435년부터 1445년까지 발라는 아라곤의 알폰소 5세의 궁정에서 일했는데, 알폰소 5세는 교황령과 영토 분쟁에 휘말렸고,[10] 1444년 가톨릭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알폰소 5세의 개입으로 투옥을 면했다.[1]

발라는 "기증"의 내적 증거가 4세기 기원에 반하며, 구어체 스타일은 8세기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았다. 발라는 세 가지 방식으로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

# 황제 콘스탄티누스는 "기증"에서 주장하는 권한을 실베스테르 교황에게 합법적으로 부여할 수 없었음을 언급했다.

# 당시의 증거가 없다는 점을 들어, 서로마 제국의 행정에 있어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실베스테르 교황에게 무언가를 주었다는 사실 자체를 의심하며, 이전 교황과 관련된 실수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발라는 시대착오를 근거로, 문서에 "사트라프"라는 단어가 포함된 것을 지적하며, 콘스탄티누스 1세와 같은 로마인들이 이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믿었다.[11] 또한, 중요한 문서의 라틴어 수준이 형편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본문에서 "우리가 선포했다"에서 "우리가 명령한다"로 시제가 끊임없이 바뀐다는 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발라는 교황령로마 황제로부터 기증되었다는 근거로 여겨져 왔던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서』가 위서임을 문헌학적으로 증명했다.

3. 2. 성서 비평

라틴어 번역 전문가였던 발라는 페트라르카의 리비우스 연구를 개선하기 위한 수많은 제안을 했다.[12] 그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공식 성서인 히에로니무스의 불가타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통해 교회의 고행면죄부 제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발라는 고행의 관행이 히에로니무스가 그리스어 ''메타노이아(metanoia)''를 라틴어 ''paenitentia''(고행)으로 번역한 데 기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회개"로 더 정확하게 번역되었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의 저술은 에라스무스를 포함한 교회의 고행과 면죄부 제도의 후대 비평가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4]

발라는 교황 무오류설을 비판하여 당시 교황 에우게니우스 4세의 노여움을 사 종교재판소에 고발되기도 했다. 그러나 다음 교황 니콜라우스 5세는 관용적인 모습을 보이며 발라를 교황청에 초청하여 고전 연구에 종사하게 했다.

또한 발라는 당시 유일한 정경으로 권위를 가지고 있던 불가타 성서의 오류를 지적했다. 이것은 문헌학이 성서의 권위에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중요한 사건이며, 후에 에라스무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3. 3. 라틴어 문체 연구

리처드 클래버하우스 제브(Richard Claverhouse Jebb)는 발라의 『우아함에 관하여』(De Elegantiis)가 "그때까지 라틴어 비평 연구에서 달성된 최고 수준을 나타낸다"고 말했다.[15] 이 책에서 발라는 라틴어 문법의 형태와 라틴어 문체 및 수사학의 규칙을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출판 당시에는 논란이 있었지만, 그의 주장은 결국 받아들여졌고, 인문주의적 라틴어는 후기 고전 라틴어를 대체하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4. 기타 저술

발라는 『쾌락에 관하여』(De Voluptate)와 『라틴어의 우아함에 관하여』(De Elegantiis Latinae Linguae)라는 두 작품으로 현대적 명성을 얻었다. 리처드 클래버하우스 제브는 『우아함에 관하여』가 "그때까지 라틴어 비평 연구에서 달성된 최고 수준을 나타낸다"고 말했다.[15]

발라의 기타 저술 목록
초기 작성 연도초기 제목범위버전 및 주석
『변증학과 철학의 재검토』(Repastinatio dialectice et philosophie)논리학 교재전통적인 제목은 『변증학』(Dialectica) 또는 『변증학 논쟁』(Dialecticae disputationes)이다. 두 번째 버전은 『전체 변증학과 보편 철학의 기초의 재구성』(Reconcinnatio totius dialecticae et fundamentorum universalis philosophiae)으로 1439년부터 1448년까지 작성되었고, 1540년의 『전집』(Omnia Opera)에 수록되었다. 세 번째 버전은 『보편 철학의 기초를 포함한 전체 변증학의 재검토』(Retractatio totius dialectice cum fundamentii universe philosophie)로 1457년까지 작성되었다.[16] 발라는 라틴 서구에 잊혀졌던 논증 유형을 재도입했다.[17]
1440『거짓으로 여겨지고 날조된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 대한 규탄』(De falso credita et ementita Constantini Donatione declamatio)[18]콘스탄티누스의 기증에 관하여『전집』(Opera Omnia, 바젤)에는 『콘스탄티누스의 기증이라고 불리는 특권에 대한 거짓으로 여겨지는 규탄』(Contra Donationis, quae Constantini dicitur, privilegia, ut falso creditum declamatio)으로 수록되어 있다.[18] 교회에서 완전히 배척되었다. 1517년까지 공식적으로 출판되지 않았고, 프로테스탄트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534년 토머스 크롬웰을 위해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
1440년경[19]자유의지에 관하여(De libero arbitrio)자유의지에 관하여『철학의 위로』(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5권에 대한 공격을 담고 있다.[20]
1452『포지오에 대한 해독제』(Antidotum in Pogium)포지오 브라치올리니와의 논쟁브라치올리니는 1452년 초 『발라에 대한 연설』(Oratio in L. Vallam)에서 발라를 공격했다.[21]
초기 작품[6]『신약 성경에 대한 주석』(Adnotationes in Novum Testamentum)신약 성경에 대한 주석에라스무스가 1504년 뢰번에서 발견하여 1505년에 출판했다.[22] 『신약 성경의 대조표』(Collatio Novi Testamenti) (1447).[19] 1450년대에 개정되었다.[6]



발라의 저작들은 완전하지는 않지만, 1540년 바젤과 1592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된 총서가 있으며, 《Elegantiae linguae Latinae》(라틴어 문체의 우아함)는 1471년부터 1536년 사이에 약 60번이나 재판되었다.

5. 영향

루터는 발라와 그의 저서를 높이 평가했으며,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그를 "루터의 선구자"라고 불렀다.[23] 에라스무스는 그의 저서 ''De ratione studii''에서 라틴 문법에 대해 "로렌초 발라보다 더 나은 안내자는 없다"고 말했다. 발라는 불가타 성서의 오류를 지적했는데, 이는 문헌학이 성서의 권위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중요한 사건이며, 후에 에라스무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6. 한국어 번역


  • De falso credita et ementita Constantini donatione declamatio|콘스탄티누스의 기증장은 날조된 거짓la 타카하시 카오루 역 (수성사, 2014년)
  • De vero falsoque bono|참된 선과 거짓된 선la 콘도 코우이치 역 (이와나미 문고, 2014년)

참조

[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VI: The Middle Ages. A.D. 1294-1517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1-12-23
[3] 웹사이트 Lorenzo Valla Italian humanis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26
[4] 백과사전 VALLA, Lorenzo https://www.treccani[...] Treccani 2021-07-30
[5]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3
[6] SEP Lorenzo Valla 2017-05-22
[7] 웹사이트 Gallery of Philologists Lorenzo Valla https://www.umass.ed[...]
[8] 서적 Nicholas of Cusa and Times of Transition: Essays in Honor of Gerald Christianson https://books.google[...] Brill 2018
[9] 학술지 Review of Jean Hiernard (ed.), ''Les voyages de Seyfried Rybisch, étudiant silésien: Itinéraire (1548–1554)'' (Ausonius Éditions, 2017) https://research.rug[...]
[10] 서적 On the Donation of Constantin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11] 웹사이트 Covenant Worldwide -- Ancient & Medieval Church History http://www.covenants[...] 2008-08-01
[12] 간행물 Petrarch and the Textual Tradition of Livy
[13] 서적 Antidotum in Facium Padua
[14] 학술지 Church history's biggest hoax: Renaissance scholarship proved fatal for one of the medieval papacy's favorite claims http://go.galegroup.[...] 2001
[15] 서적 The Concept of Woma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7
[16] 서적 Dilemmatic arguments : towards a history of their logic and rhetoric North-Holland 1991
[17] 서적 Dilemmatic arguments : towards a history of their logic and rhetoric North-Holland 1991
[18] 웹사이트 Discourse https://history.hano[...]
[19] 서적 Handbuch Gelehrtenkultur der Frühen Neuzeit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4
[20] 서적 Christianity, Latinity, and Culture: Two Studies on Lorenzo Valla https://books.google[...] BRILL 2013
[21] 서적 Perspectives on Early Modern and Modern Intellectual History: Essays in Honor of Nancy S. Struever ; Edited by Joseph Marino and Melinda W. Schlit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01
[22] 서적 Erasmus' Annotations on the New Testament: Acts-Romans-I and II Corinthians : Facsimile of the Final Latin Text With All Earlier Variants https://books.google[...] BRILL 1990
[23] 백과사전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https://www.treccani[...] Treccani 2021-06-02
[24] 웹사이트 로렌초 발라 [Lorenzo Valla] https://terms.naver.[...]
[25] 서적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이야기 푸른나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