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비오 5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5세는 1566년부터 1572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본명은 안토니오 기슬리에리이다. 그는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종교 재판관과 추기경을 거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비오 5세는 교회 개혁을 추진하고,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며, 로마 미사 경본을 제정하는 등 전례 개혁을 단행했다. 또한, 프랑스의 위그노와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항하며 반종교 개혁 운동을 펼쳤으며,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을 지원했다. 1672년 시복, 1712년 시성되었으며, 축일은 4월 30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비오 5세 - 신성 동맹 (1571년)
1571년 교황 비오 5세의 주도로 결성된 신성 동맹은 오스만 제국의 확장에 맞서기 위해 교황령, 스페인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등이 참여하여 레판토 해전에서 승리했으나, 이해관계 불일치와 베네치아의 단독 강화 조약으로 1573년 해체되었다. - 교황 클레멘스 10세가 시복한 복자 - 십자가의 요한
십자가의 요한은 16세기 스페인의 가르멜회 수도사이자 신비가, 시인으로서 아빌라의 테레사와 함께 가르멜회 개혁 운동을 주도하여 맨발의 가르멜회를 창설했으며, 그의 신비주의적 경험과 사상은 《가르멜 산의 등정》, 《영혼의 어두운 밤》, 《영적인 찬가》, 《사랑의 타는 불꽃》 등의 저작을 통해 심오하게 표현되어 스페인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성인이자 교회 학자로 추앙받는다. - 교황 클레멘스 10세가 시복한 복자 - 베드로 이네우스
11세기 중반의 추기경 베드로 이네우스는 피렌체 귀족 출신 수도사로, '불의 심판'을 통해 '이네우스'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교황 사절로서 교회 개혁과 황제와의 갈등 중재에 힘썼고 교황 선거에도 참여했다.
교황 비오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안토니오 기슬리에리 |
출생일 | 1504년 1월 17일 |
출생지 | 보스코마렝고, 밀라노 공국 |
사망일 | 1572년 5월 1일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서명 | Signature of Pope Pius V.svg |
모토 | Utinam dirigantur viæ meæ ad custodiendas justificationes tuas |
모토 (번역) | 오, 나의 길이 당신의 정의를 지키도록 인도되기를 |
축일 | 4월 30일 |
칭호 | 가톨릭 교회의 성인 |
시복일 | 1672년 5월 1일 |
시복 장소 | 성 베드로 대성당, 교황령 |
시복자 | 교황 클레멘스 10세 |
시성일 | 1712년 5월 22일 |
시성 장소 | 성 베드로 대성당, 교황령 |
시성자 | 교황 클레멘스 11세 |
속성 | 도미니코회 수도복 교황 예복 교황관 십자가상 책 |
수호 | 몰타, 발레타, 몰타 보스코 마렝고, 이탈리아 피에트렐치나, 이탈리아 로카포르테몬도비 알레산드리아 교구 우르비즈톤도, 팡가시난 |
교황 관련 정보 | |
직책 | 로마 주교 |
재임 시작 | 1566년 1월 7일 |
재임 종료 | 1572년 5월 1일 |
선임자 | 비오 4세 |
후임자 | 그레고리오 13세 |
서품 | 1528년 |
서품자 | 올리비에로 카라파 |
주교 서임 | 1556년 9월 14일 |
주교 서임자 | 조반니 미켈레 사라체니 |
추기경 임명 | 1557년 3월 15일 |
추기경 임명자 | 바오로 4세 |
이전 직책 | 수트리-네피 주교 (1556–1557)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의 추기경 사제 (1557–1561) 산타 사비나 성당의 추기경 사제 (1561–1566) 몬도비 주교 (1560–1566) 로마 및 보편적 종교재판 최고 성청 장관 (1564–1566) |
문장 | |
![]() |
2. 생애 초기
안토니오 기슬리에리는 이탈리아반도에 위치한 밀라노 공국의 보스코(오늘날의 보스코마렌고)에서 태어났다.[7] 그는 14세에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미켈레라는 수도명을 받았다.[7] 그는 보게라 수도원에서 비제바노 수도원으로, 다시 볼로냐 수도원으로 옮겨 다니며 볼로냐 대학교, 제노바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37][38][39] 1528년 제노바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후, 파비아로 파견되어 16년 동안 철학과 신학을 강의하였다.[7] 파르마에서 그는 당시 이단자들의 주장을 논박하며 교황의 권위를 지지하는 서른 장의 호교 문서를 작성하였다.[7]
당시 도미니코회 수도원은 도덕적으로 많이 해이해졌는데, 그는 수도원의 부원장으로서 고행을 중시하였으며, 코모 지역의 이단 심문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7] 그러나 개혁에 대한 그의 열정은 곧 사람들의 격분을 불러옴에 따라 1550년에 강제로 로마로 추방당하였다.[7] 로마에서 기슬리에리는 몇 가지 종교 재판 관련 일을 하다가 종교재판소의 정식 위원으로 등용되었다.[7]
1556년 교황 바오로 4세에 의해 수트리와 네피의 주교가 되었으며, 1557년 추기경이 되었고, 모든 그리스도교 세계의 종교 재판장으로 임명되었다.[5]
2. 1. 도미니코회 입회
안토니오 기슬리에리는 이탈리아반도에 위치한 밀라노 공국의 보스코(오늘날의 보스코마렌고)에서 태어났다.[7] 그는 14세에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미켈레라는 수도명을 받았다.[7] 그는 보게라 수도원에서 비제바노 수도원으로, 다시 볼로냐 수도원으로 옮겨 다니며 볼로냐 대학교, 제노바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37][38][39] 1528년 제노바에서 사제 서품을 받은 후, 파비아로 파견되어 16년 동안 철학과 신학을 강의하였다.[7] 파르마에서 그는 당시 이단자들의 주장을 논박하며 교황의 권위를 지지하는 서른 장의 호교 문서를 작성하였다.[7]당시 도미니코회 수도원은 도덕적으로 많이 해이해졌는데, 그는 수도원의 부원장으로서 고행을 중시하였으며, 코모 지역의 이단 심문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7] 그러나 개혁에 대한 그의 열정은 곧 사람들의 격분을 불러옴에 따라 1550년에 강제로 로마로 추방당하였다.[7] 로마에서 기슬리에리는 몇 가지 종교 재판 관련 일을 하다가 종교재판소의 정식 위원으로 등용되었다.[7]
2. 2. 사제 서품과 학문 활동
안토니오 기슬리에리는 밀라노 공국의 보스코(오늘날의 보스코마렌고)에서 태어났다.[7] 그는 14세에 도미니코회에 입회하여 미카엘이라는 수도명을 받았다.[7] 보게라 수도원에서 비제바노 수도원으로, 다시 볼로냐 수도원으로 옮겨 다녔다.[7] 1528년 제노바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으며, 파비아로 파견되어 16년 동안 철학과 신학을 강의하였다.[7] 파르마에서는 교황의 권위를 옹호하고 개신교에 반대하는 30개의 명제를 발표했다.[7]그는 수련자들의 스승이 되었고, 여러 차례 도미니크 수도원의 원장으로 선출되었다.[7] 당시 만연했던 도덕적 해이 속에서도 규율을 강조하고 수도승의 미덕 실천을 장려하고자 노력했다.[7] 그는 금식하고 고행하며 밤늦도록 명상과 기도에 시간을 보냈고, 망토 없이 발로 여행하며 침묵을 지켰으며, 동료들과는 오직 신에 대한 이야기만 나누었다.[7]
2. 3. 이단 심문관 활동
안토니오 기슬리에리는 도미니코회 수도원 부원장 시절, 고행을 중시하며 엄격한 수도 생활을 실천했다.[7] 코모 지역의 이단 심문관으로 임명된 후에는 이단에 맞서 교황의 권위를 옹호하는 활동을 펼쳤다.[40] 파르마에서는 교황청을 지지하고 프로테스탄티즘에 반대하는 30개의 명제를 제기하기도 했다.[7]그러나 개혁에 대한 그의 열정은 사람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1550년 로마로 강제 추방되었다.[7] 로마에서 그는 종교 재판 관련 업무를 수행하다가 종교재판소 위원으로 등용되었다.[7] 이후 교황 바오로 4세의 총애를 받아 추기경과 수트리와 네피의 교구장 주교로 임명되었으며, 대심문관이라는 직책을 부여받아 모든 이단 심문관을 총괄하게 되었다.[5]
3. 교황 선출
교황 비오 4세가 선종하면서 미켈레 기슬리에리는 바티칸으로 귀환하였다. 비오 4세의 선종 이후 19일간 지속된 콘클라베에서 1566년 1월 7일 기슬리에리는 다수의 표를 얻어 새 교황으로 선출되어 비오 5세로 즉위하였다.[9][7] 그의 즉위식은 그가 62번째 생일을 맞이한 날에 거행되었다.
스페인에서 온 사자가 도착하여 필리페 2세 국왕이 기슬리에리 추기경의 선출을 지지한다는 소문이 돌았다.[9] 이는 기슬리에리의 입후보를 이미 지지하고 있던 보로메오 추기경과 그의 동맹들의 노력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다.[9] 추기경들이 서로 더욱 열렬히 논의함에 따라, 기슬리에리에게 기대를 거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고, 이는 결국 1566년 1월 8일 오후 그를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9]
선거 6주 후, 보로메오 추기경은 포르투갈의 앙리 추기경에게 편지를 써서 선거를 회상했다. 그는 새 교황과 그의 "특별한 성스러움과 열정으로 인한 그에 대한 높은 존경심"에 대해 언급하며, 이러한 자질들을 "모든 사람의 큰 만족을 위해" 좋은 교황이 될 징조로 보았다.
3. 1. 콘클라베 배경
교황 비오 4세가 선종하면서 미켈레 기슬리에리는 바티칸으로 귀환하였다. 비오 4세의 선종 이후 19일간 지속된 콘클라베에서 1566년 1월 7일 기슬리에리는 다수의 표를 얻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9] 그의 즉위식은 그가 62번째 생일을 맞이한 날에 거행되었다.[7]스페인에서 온 사자가 도착하여 필립 2세 국왕(필리페 2세)가 기슬리에리 추기경의 선출을 지지한다는 소문이 돌았다.[9] 이는 기슬리에리의 입후보를 이미 지지하고 있던 보로메오 추기경(카를로 보로메오)과 그의 동맹들의 노력에 더욱 힘을 실어주었다.[9] 추기경들이 서로 더욱 열렬히 논의함에 따라, 기슬리에리에게 기대를 거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했고, 이는 결국 1566년 1월 8일 오후 그를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9]
선거 6주 후, 보로메오 추기경은 포르투갈의 앙리 추기경(포르투갈의 엔리케)에게 편지를 써서 선거를 회상했다. 그는 새 교황과 그의 "특별한 성스러움과 열정으로 인한 그에 대한 높은 존경심"에 대해 언급하며, 이러한 자질들을 "모든 사람의 큰 만족을 위해" 좋은 교황이 될 징조로 보았다.
3. 2. 즉위식
교황 비오 4세가 선종한 후 19일 동안 지속된 콘클라베에서 1566년 1월 7일, 미켈레 기슬리에리는 다수의 표를 얻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9] 그는 비오 5세라는 칭호를 사용했다.[7] 그의 즉위식은 62번째 생일인 1월 17일에 거행되었다.[9]선거 6주 후, 보로메오 추기경은 포르투갈의 앙리 추기경에게 편지를 써서, 새 교황의 "특별한 성스러움과 열정"을 언급하며, 이러한 자질들이 "모든 사람의 큰 만족을 위해" 좋은 교황이 될 징조로 보았다고 회상했다. 스페인의 필립 2세 또한 기슬리에리 추기경의 선출을 지지했다는 소문이 돌았고, 이는 보로메오 추기경과 그의 동맹들의 노력에 힘을 실어주었다.[9]
4. 교회 개혁
비오 5세는 로마를 신앙심이 투철하고 안전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 엄격한 규율과 도덕성 회복을 우선 과제로 삼았다.[5] 그는 도미니코회의 규율에 따라 교황청의 의식주를 간소화하여 교황청을 수도원처럼 만들었다.[42] 즉위식 경비를 빈민 구제에 사용하고, 전임 교황들의 제의를 그대로 입었으며, 맨발로 로마 성당들을 순례하기도 했다.[42] 연고자 등용 금지, 성직자 부임지 상주 의무화, 여인숙 규제, 동물 학대 및 신성모독, 성매매 금지 등 개혁 조치를 즉시 시행했다.[42]
비오 5세는 교황청의 비용을 줄이고, 성직자들의 거주를 강제했으며, 여관을 규제하고, 미사 전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 트리엔트 공의회 법령과 교회법 실천, 종교재판 집행을 통해 엄격함을 유지했다.[5] 그는 교회법 및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5]
1566년 1월 7일 콘클라베에서 카를로 보로메오 추기경과 알레산드로 파르네제 추기경 등의 지지로 교황으로 선출된 후,[42] 교황궁 경비 절감, 여관 규제, 창녀 추방, 주교의 교구 거주 의무화 등 로마의 풍기 쇄신에 착수했다.[42]
『로마 가톨릭 요리 문답』 출판(1566년), 『로마 성무일과서』( 1568년)와 『로마 미사 전례서』( 1570년)를 공포하고, 토마스 아퀴나스를 교회 박사로 선포했다.( 1567년)[43][44]
예수회와 깊은 관계를 맺었던 그는, 교황 선출 전 예수회 내부 분쟁을 조정하고, 디에고 라이네스의 제2대 총장 선출을 도왔다.[45] 교황 선출 후에는 프란치스코 보르하와 협력하여 예수회 내부에 관여했다.[45]
비오 5세의 유명한 회칙은 1568년의 「인 코에나 도미니」이며, 그 외 교황 문서와 교황령에는 교황에게의 상소 금지(1567년 2월 및 1570년 1월), 루뱅 가톨릭 대학교 교수 미셸 바이우스 탄핵(1570년), 성무일과 개정(1568년 7월), 교황령에서의 유대인 추방( 1569년), 종교 재판소로부터의 십자군 병사 보호(1570년 10월) 등이 있다.
비오 5세는 교회 정책 분야 전체에 걸쳐 트리엔트 공의회 법령과 교회법의 실천 및 종교재판 집행을 유지하였다.[5] 그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고, 교회법 준수를 강조하고 종교 재판을 강화했다.[5] 또한, 『로마 가톨릭 요리 문답』 출판(1566년), 『로마 성무일과서』( 1568년)와 『로마 미사 전례서』( 1570년)의 공포, 도미니코 수도회 성인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회 박사 칭호 수여( 1567년)에도 힘썼다.[43][44] 한편, 종교 재판소를 활용하여 프로테스탄트와 유대인에게 엄격하게 대처했다.[43][44]
트리엔트 공의회의 전례쇄신 결정에 따라 교황 비오 5세는 1570년판 로마 미사 경본을 출간하여 미사성제 양식을 새로 정비하여 하나로 표준화하였다.[10][11] 비오 5세는 라틴 교회 전체에 이 미사전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이 미사 형태는 바오로 6세 교황의 로마 미사전 개정이 있을 때까지 400년 동안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았으며, 그 이후로 트리엔트 미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
미사 경본 뿐만 아니라 1568년 로마 성무일도를 개정[43][44] 하는 등 전례서의 개혁은 비오 5세의 가장 큰 업적 가운데 하나이다.
4. 1. 교황청 쇄신
비오 5세는 로마를 신앙심이 투철하고 안전한 도시로 만들기 위해 엄격한 규율과 도덕성 회복을 우선 과제로 삼았다.[5] 그는 도미니코회의 규율에 따라 교황청의 의식주를 간소화하여 교황청을 수도원처럼 만들었다.[42] 즉위식 경비를 빈민 구제에 사용하고, 전임 교황들의 제의를 그대로 입었으며, 맨발로 로마 성당들을 순례하기도 했다.[42] 연고자 등용 금지, 성직자 부임지 상주 의무화, 여인숙 규제, 동물 학대 및 신성모독, 성매매 금지 등 개혁 조치를 즉시 시행했다.[42]비오 5세는 교황청의 비용을 줄이고, 성직자들의 거주를 강제했으며, 여관을 규제하고, 미사 전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 트리엔트 공의회 법령과 교회법 실천, 종교재판 집행을 통해 엄격함을 유지했다.[5] 그는 교회법 및 트렌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5]
젊은 시절 대종교재판장을 지낸 경험을 바탕으로 교황이 된 후, 교황청 내 만연했던 사치를 없애는 데 힘썼다.[19] 궁정 광대를 해고하고, 성 베드로 광장에서 경마를 금지했으며, 신성모독, 간통 등을 엄격히 제재했다.[19] 그는 평소에도 금욕적인 생활을 실천하며, 수도복 아래 쇠사슬 옷을 입고 맨발로 다녔다고 한다.[19]
로마에 기근이 발생했을 때, 비오 5세는 사비를 들여 시칠리아와 프랑스에서 곡물을 수입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로 나눠주고 나머지는 원가 이하로 판매했다.[20]
1566년 1월 7일 콘클라베에서 카를로 보로메오 추기경과 알레산드로 파르네제 추기경 등의 지지로 교황으로 선출된 후,[42] 교황궁 경비 절감, 여관 규제, 창녀 추방, 주교의 교구 거주 의무화 등 로마의 풍기 쇄신에 착수했다.[42] 트리엔트 공의회 결의 추진과 교회법 실행을 철저히 했다.[42]
『로마 가톨릭 요리 문답』 출판(1566년), 『로마 성무일과서』( 1568년)와 『로마 미사 전례서』( 1570년)를 공포하고, 토마스 아퀴나스를 교회 박사로 선포했다.( 1567년)[43][44]
예수회와 깊은 관계를 맺었던 그는, 교황 선출 전 예수회 내부 분쟁을 조정하고, 디에고 라이네스의 제2대 총장 선출을 도왔다.[45] 교황 선출 후에는 프란치스코 보르하와 협력하여 예수회 내부에 관여했다.[45]
비오 5세의 유명한 회칙은 1568년의 「인 코에나 도미니」이며, 그 외 교황 문서와 교황령에는 교황에게의 상소 금지(1567년 2월 및 1570년 1월), 루뱅 가톨릭 대학교 교수 미셸 바이우스 탄핵(1570년), 성무일과 개정(1568년 7월), 교황령에서의 유대인 추방( 1569년), 종교 재판소로부터의 십자군 병사 보호(1570년 10월) 등이 있다.
4. 2. 트리엔트 공의회 정신 구현
비오 5세는 교회 정책 분야 전체에 걸쳐 트리엔트 공의회 법령과 교회법의 실천 및 종교재판 집행을 유지하였다.[5] 그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고, 교회법 준수를 강조하고 종교 재판을 강화했다.[5] 로마에서의 성공을 보장하기 위해 규율과 도덕성을 회복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한 그는 즉시 자신이 속한 도미니크 수도회 방식에 따라 교황청의 비용을 줄이고, 성직자들의 거주를 강제하며, 여관을 규제하고, 일반적인 의식과 특히 미사 전례의 중요성을 주장했다.그의 광범위한 정책은 효과적인 엄격함으로 특징지어졌는데, 종교재판의 효능 유지 및 증대와 교회법 및 트렌트 공의회의 결정을 시행하는 것이 다른 고려 사항보다 우선되었다.[5] 또한, 『로마 가톨릭 요리 문답』 출판(1566년), 『로마 성무일과서』( 1568년)와 『로마 미사 전례서』( 1570년)의 공포, 도미니코 수도회 성인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회 박사 칭호 수여( 1567년)에도 힘썼다.[43][44] 한편, 종교 재판소를 활용하여 프로테스탄트와 유대인에게 엄격하게 대처했다.[43][44]
4. 3. 전례 개혁
트리엔트 공의회의 전례쇄신 결정에 따라 교황 비오 5세는 1570년판 로마 미사 경본을 출간하여 미사성제 양식을 새로 정비하여 하나로 표준화하였다.[10][11] 비오 5세는 1370년 이전의 미사 전례가 사용되던 곳을 제외하고 라틴 교회 전체에 이 미사전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다. 이 미사 형태는 1969~70년 바오로 6세 교황의 로마 미사전 개정이 있을 때까지 400년 동안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았으며, 그 이후로 트리엔트 미사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 이 미사전은 약 90개국[13]과 여러 수도회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미사 경본 뿐만 아니라 1568년 로마 성무일도를 개정[43][44] 하는 등 전례서의 개혁은 비오 5세의 가장 큰 업적 가운데 하나이다.
5. 반종교개혁 운동
비오 5세는 개신교에 적극적으로 반격하였다. 프랑스 왕국에서 세력이 날로 강성해져가는 위그노에 대응하기 위해 몇 가지 조치를 취하였다. 그는 오데트 드 콜리니 추기경과 일곱 명의 주교들을 해임시켰으며, 개신교도들이 도성 밖에서 예배의식을 거행하는 것을 허용한 프랑스 국왕의 칙령은 무효라고 선언하였다. 그리고 가톨릭교회의 교리문답서를 도입하고, 위그노도인 귀족들과의 모든 타협을 일체 거부하였다. 이러한 교황의 강경한 조치는 프랑스 내 종교 갈등을 심화시켜 상드뢰 바르텔레미 학살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인 엘리자베스 1세 여왕에 대항하여 비오 5세는 투옥당한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과 그녀의 지지자들을 지원하였다. 잉글랜드를 "여성의 탐욕스러운 노예 상태"에서 구출하려 했다는 기록이 있다. 메리 여왕과 그녀의 지지자들은 이미 잉글랜드를 전복시키려는 시도를 하다가 감옥에 갇혀 지내게 되었다. 잉글랜드의 가톨릭교도들이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얼마 못가 실패로 끝났다. 이에 비오 5세는 1570년 4월 27일 칙서 《천상의 통치(Regnans in Excelsis)》를 반포하여 엘리자베스 1세를 이단자로 선언하고 그녀의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충성의 의무를 면제시켜 주었다.[55] 엘리자베스 1세는 이에 반발하여, 그동안 잉글랜드의 가톨릭 신자들이 개인적으로 미사를 봉헌하는 것에 대해 관대하게 처분하던 조치를 물리치고 가톨릭교도들을 가혹하게 박해하기 시작하였다. 《천상의 통치(Regnans in excelsis)》는 당시에 현실적인 의미를 전혀 갖지 못했으며, 역사상 교황이 세속 군주를 파문한 마지막 사례가 되었다.[46]
오스만 제국이 동지중해를 장악하고 서쪽으로 팽창하여 교황령에 가까워지자, 비오 5세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1571년 신성 동맹을 결성했다.[15] 1571년 10월 7일 코린토스 만에서 벌어진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군은 오스만 제국 함대를 격파하고 대승을 거두었다.[15] 비오 5세는 이 승리를 위해 모든 신자들에게 묵주 기도를 바치도록 하였고, 사람들은 묵주 기도의 힘 덕분에 승리했다고 믿었다.[15] 이를 기념하기 위해 비오 5세는 승리의 성모 축일을 제정하고, ‘그리스도인의 도움이신 마리아’라는 칭호를 성모 호칭 기도에 추가했다.[15]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2세는 교황의 기도의 힘을 두려워했다고 전해진다.[15]
비오 5세는 레판토 해전에서 승리한 신성 동맹을 결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5] 그는 몰타의 수도 발레타 건설에 재정적으로 지원하기도 했다.[15]
비오 5세가 교황으로 즉위했을 무렵, 프로테스탄티즘은 이미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전체, 그리고 독일의 절반, 네덜란드, 프랑스 일부 지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스페인, 아일랜드, 포르투갈, 이탈리아만이 확고하게 가톨릭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비오 5세는 알프스와 밀라노를 통해 이탈리아로 프로테스탄티즘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 데 결심했습니다.
또한, 『로마 가톨릭 요리 문답』 출판(1566년), 『로마 성무일과서』( 1568년)와 『로마 미사 전례서』( 1570년)의 공포, 도미니코 수도회 성인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회 박사 칭호 수여( 1567년), 그리고 저술 간행(1570년 - 1571년)에도 힘썼다. 한편, 종교 재판소를 활용하여 프로테스탄트와 유대인에게 엄격하게 대처했다.[43][44]
5. 1. 프랑스 위그노 문제
비오 5세는 프랑스 왕국에서 세력이 커져가는 위그노에 강경하게 대응했다.[17] 오데트 드 콜리니 추기경을 포함한 7명의 주교들을 해임하고,[17] 개신교도들이 도시 밖에서 예배하는 것을 허용한 왕실 칙령을 무효화했다. 또한 가톨릭 교리문답서를 도입하고 위그노 귀족들과의 타협을 거부했다.[17] 이러한 교황의 강경한 조치는 프랑스 내 종교 갈등을 심화시켜 상드뢰 바르텔레미 학살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5. 2. 잉글랜드 엘리자베스 1세 문제
비오 5세는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인 엘리자베스 1세 여왕에 대항하여 메리 스튜어트 여왕과 그녀의 지지자들을 지원하였다.[55] 잉글랜드를 "여성의 탐욕스러운 노예 상태"에서 구출하려 했다는 기록이 있다. 메리 여왕과 그녀의 지지자들은 잉글랜드를 전복시키려는 시도를 하다가 감옥에 갇히게 되었고, 잉글랜드의 가톨릭교도들이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였다. 이에 비오 5세는 1570년 4월 27일 칙서 《천상의 통치(Regnans in Excelsis)》를 반포하여 엘리자베스 1세를 이단자로 선언하고 그녀의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한 충성의 의무를 면제시켜 주었다.[18] 엘리자베스 1세는 이에 반발하여, 잉글랜드의 가톨릭 신자들을 가혹하게 박해하기 시작하였다.《천상의 통치(Regnans in excelsis)》는 당시에 현실적인 의미를 전혀 갖지 못했으며, 역사상 교황이 세속 군주를 파문한 마지막 사례가 되었다.[46]
5. 3. 신성 동맹 결성
오스만 제국이 동지중해를 장악하고 서쪽으로 팽창하여 교황령에 가까워지자, 비오 5세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1571년 신성 동맹을 결성했다.[15] 1571년 10월 7일 코린토스 만에서 벌어진 레판토 해전에서 신성 동맹군은 오스만 제국 함대를 격파하고 대승을 거두었다.[15] 비오 5세는 이 승리를 위해 모든 신자들에게 묵주 기도를 바치도록 하였고, 사람들은 묵주 기도의 힘 덕분에 승리했다고 믿었다.[15] 이를 기념하기 위해 비오 5세는 승리의 성모 축일을 제정하고, ‘그리스도인의 도움이신 마리아’라는 칭호를 성모 호칭 기도에 추가했다.[15] 오스만 제국의 술탄 셀림 2세는 교황의 기도의 힘을 두려워했다고 전해진다.[15]비오 5세는 레판토 해전에서 승리한 신성 동맹을 결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15] 그는 몰타의 수도 발레타 건설에 재정적으로 지원하기도 했다.[15]
6. 외교 정책
교황 비오 5세는 유럽 각국과의 관계에서 가톨릭 교회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였다.
1569년 8월 교황 비오 5세는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를 토스카나 대공으로 임명하였다.[51][52][53] 이는 황제의 권한을 침해한 행위였으나, 당시 유럽은 각국의 내전과 전쟁으로 혼란한 상황이었기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어려웠다. 스페인과 독일은 교황의 조치에 거부 의사를 표했으나, 프랑스와 잉글랜드는 코시모 1세의 지위를 인정하였다.[54]
전임 교황을 지원했던 코시모 1세는 더 높은 칭호를 얻고자 비오 5세에게 재정 지원을 하고, 이단자로 몰렸던 피에트로 카르네세키를 교황에게 넘겨주었으며, 위그노 전쟁에서 가톨릭 진영을 지원하는 등 교황의 환심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비오 5세는 이에 대한 공적으로 1569년 8월 24일 코시모 1세에게 토스카나 대공 칭호를 수여했고, 1570년 3월 5일 로마에서 대공 즉위식을 거행했다.[47]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와 스페인 왕 펠리페 2세 등은 대공위 수여에 반대했으며, 토스카나 대공위가 황제와 스페인 왕에게 승인받은 것은 1576년이 되어서였다.[47]
독일 제후들과의 분쟁에서 위기감을 느낀 교황은 1566년 3월 26일 아우크스부르크 제국회의에서의 논쟁을 통해 교황권의 위기를 감지하고 그 영향력을 제한하려 했다. 프랑스에서는 교황의 지시에 따라 오데트 추기경과 7명의 주교가 해임되었고,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관용적인 칙령이 폐기되었다. 이는 상드뢰 바르텔레미 학살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에 대해서는 정적 메리 스튜어트를 옹호하는 회칙을 발표하고, 1570년 4월 27일 회칙 『Regnans in excelsis』에서 파문하고 신하들의 충성 맹세를 풀었다. 그러나 이 회칙은 당시에 현실적인 의미를 갖지 못했으며, 역사상 교황이 세속 군주를 파문한 마지막 사례가 되었다.[46]
오스만 제국에 맞서 신성 동맹을 결성하여 1571년 10월 7일 레판토 해전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신성 동맹 함대에는 마르칸토니오 콜론나가 지휘하는 교황청 함대가 파견되었다. 당시 신성 동맹에는 교황이 엘리자베스 1세와 대립했기 때문에 잉글랜드는 참전하지 않았고, 프로테스탄트 국가들의 참전도 없었다. 이는 기독교 전체의 결속이 아닌 가톨릭 세계만의 결집이었다.[48]
트리엔트 공의회의 방침에 따라 국제적인 주교 회의를 개최했다. 알폰소 카라파 추기경이 주재한 나폴리 회의, 보로메오 추기경이 주재한 밀라노 회의, 마킴 회의 등이 있었다.
6. 1. 토스카나 대공 임명
1569년 8월 교황 비오 5세는 코시모 1세 데 메디치를 토스카나 대공으로 임명하였다.[51][52][53] 이는 황제의 권한을 침해한 행위였으나, 당시 유럽은 각국의 내전과 전쟁으로 혼란한 상황이었기에 적극적으로 반대하기 어려웠다. 스페인과 독일은 교황의 조치에 거부 의사를 표했으나, 프랑스와 잉글랜드는 코시모 1세의 지위를 인정하였다.[54]전임 교황을 지원했던 코시모 1세는 더 높은 칭호를 얻고자 비오 5세에게 재정 지원을 하고, 이단자로 몰렸던 피에트로 카르네세키를 교황에게 넘겨주었으며, 위그노 전쟁에서 가톨릭 진영을 지원하는 등 교황의 환심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비오 5세는 이에 대한 공적으로 1569년 8월 24일 코시모 1세에게 토스카나 대공 칭호를 수여했고, 1570년 3월 5일 로마에서 대공 즉위식을 거행했다.[47]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와 스페인 왕 펠리페 2세 등은 대공위 수여에 반대했으며, 토스카나 대공위가 황제와 스페인 왕에게 승인받은 것은 1576년이 되어서였다.[47]
7. 사망과 시성
비오 5세는 1572년 5월 1일 "오, 주님! 저에게 고통과 인내를 더하여 주소서."라는 말을 남기고 선종하였다.[28][29] 그의 뒤를 이어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선출되었다.
비오 5세는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1672년에 시복되었으며,[57][30] 교황 클레멘스 11세에 의해 1712년 5월 22일에 시성되었다.[58][31][32] 그의 축일은 4월 30일 (가톨릭교회)이며,[33] 1713년에는 5월 5일로 지정되었다가 1969년에 4월 30일로 변경되었다.
그의 유해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안치되어 있으며, 1588년 1월 9일에 이장되었다. 묘비는 조각가 피에르 르 그로 젊은이가 제작하였다. 묘비 앞면에는 금박을 입힌 청동 뚜껑이 있으며, 사망 당시 교황의 모습을 본뜬 초상이 새겨져 있다. 순례자들이 참배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다.
비오 5세의 시성 조사는 1696년 도미니코회의 총장 안토닌 콜체의 노력으로 시작되었다. 그는 또한 조각가 소(小)피에르 르 그로스에게 비오 5세의 유해를 안치할 새 무덤을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시스티나 경당에 만들어줄 것을 의뢰하였다. 교황의 시신은 1698년에 그곳에 안치되었다.
한편, 성 비오 5세 교황은 생전에 몰타의 요새 성벽의 설계를 위하여 자신의 군사 기술자인 프란체스코 라파렐리를 파견한 적이 있었는데, 이는 몰타의 수도 발레타 시의 건축에 재정적으로 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전력으로 성 비오 5세는 발레타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되었다.
추기경 존 헨리 뉴먼은 "성 비오 5세는 신성한 사랑으로 타오르고 녹아내리는 마음이 그럴 수 있는 한 엄격하고 엄숙했다… 그러나 그의 시대에는 그의 그러한 활력과 활기가 필요했다. 그는 영적으로 계엄령이 선포된 반란과 폭동의 시대에 그리스도의 군인이었다."라고 말했다.[34]
7. 1. 시복과 시성
비오 5세는 1672년 교황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시복되었으며,[57][30] 1712년 5월 24일 교황 클레멘스 11세에 의해 시성되었다.[58][31][32] 시성 조사는 1696년 도미니코회의 총장 안토닌 콜체의 노력으로 시작되었다.[30] 그는 또한 조각가 소(小)피에르 르 그로스에게 비오 5세의 유해를 안치할 새 무덤을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시스티나 경당에 만들어줄 것을 의뢰하였다. 교황의 시신은 1698년에 그곳에 안치되었다.비오 5세의 무덤 앞면에는 금박을 입힌 청동 재질의 뚜껑이 놓여졌는데, 그 뚜껑에 조각된 형태는 교황이 선종했을 당시의 모습을 꼭 빼닮았다. 비오 5세의 무덤은 언제라도 순례자들이 와서 그 앞에 참배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1713년 로마 전례력에 성 비오 5세의 축일이 5월 5일로 지정되었다가,[33] 1969년 4월 30일로 이동하였다. 4월 30일은 교황이 선종한 5월 1일 바로 하루 전날이다.
한편, 성 비오 5세 교황은 생전에 몰타의 요새 성벽의 설계를 위하여 자신의 군사 기술자인 프란체스코 라파렐리를 파견한 적이 있었는데, 이는 몰타의 수도 발레타 시의 건축에 재정적으로 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전력으로 성 비오 5세는 발레타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되었다.
추기경 존 헨리 뉴먼은 "성 비오 5세는 신성한 사랑으로 타오르고 녹아내리는 마음이 그럴 수 있는 한 엄격하고 엄숙했다… 그러나 그의 시대에는 그의 그러한 활력과 활기가 필요했다. 그는 영적으로 계엄령이 선포된 반란과 폭동의 시대에 그리스도의 군인이었다."라고 말했다.[34]
7. 2. 축일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성 비오 5세의 축일을 4월 30일로 기념한다.[33] 1713년 로마 전례력에 5월 5일로 처음 지정되었다가,[33] 1969년에 현재의 4월 30일로 이동되었는데,[33] 이는 교황이 선종한 5월 1일 바로 전날이다.[33] 성 비오 5세 교황은 몰타의 수도 발레타 시의 건축에 재정적으로 큰 도움을 주어 발레타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되었다.[34]7. 3. 유해
비오 5세는 1572년 5월 1일 "오, 주님! 저에게 고통과 인내를 더하여 주소서."라는 말을 남기고 선종하였다.[28][29] 그의 유해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안치되어 있으며, 1588년 1월 9일에 이장되었다.[30][31][32] 묘비는 조각가 피에르 르 그로 젊은이가 제작하였다.[30]묘비 앞면에는 금박을 입힌 청동 뚜껑이 있으며, 사망 당시 교황의 모습을 본뜬 초상이 새겨져 있다. 순례자들이 참배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다.[34]
8. 평가와 유산
8. 1. 긍정적 평가
8. 2. 부정적 평가
9. 한국 가톨릭교회와의 관계
9. 1. 더불어민주당의 입장
9. 2. 국민의힘의 입장
참조
[1]
서적
Bullarium Canonicorum regularium Rhenanæ congregationis sanctissimi Salvatoris, seu Congeries privilegiorum ab Apostolica Sancta Sede, & ab episcopis eisdem concessorum: item decreta sacrarum congregationum, aliorumque tribunalium declarationes in ipsorum favorem emanata, cuncta in duas partes divisa ... Opus utile, non modò præfatæ, sed etiam aliis canonicorum regularium congregationibus, quod eidem sanctissimo domino nostro Benedicto 13. pontifici maximo consecrat domnus Apollonius Lupi abbas generalis eorundem canonicorum regularium, & episcopus Himeriensis: Secunda pars privilegiorum sub titulo oneroso, necnon declarationum, cum indice in fine
https://books.google[...]
typographia Reverendæ Cameræ apostolicæ
[1]
서적
R.P.D. Thomae Del Bene clerici regularis, ... De officio S. Inquisitionis circa hæresim: cum bullis, tam veteribus, quam recentioribus, ad eandem materiam, seu ad idem officium spectantibus; & locis theologicis in ordine ad qualificandas propositiones, pars prior \-posterior!, synopsi materiarum, et indice rerum, notabilium in hoc volumine contentarum illustrata
https://books.google[...]
[1]
웹사이트
Ps 118:5 VULGATE;DRA - utinam dirigantur viae meae ad - Bible Gateway
https://www.biblegat[...]
Bible Gateway
2016-03-17
[2]
서적
Age of Reason Begins
Simon & Schuster
[3]
서적
The "Summa Theologica" of St. Thomas Aquinas
https://books.google[...]
Benziger Brothers
[4]
서적
Handbook of Economics and Ethic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09-01-01
[5]
웹사이트
Pope St. Pius V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6-07-18
[6]
서적
The Church at Prayer: The Liturgy and Time
[7]
서적
The Mediterranean and the Mediterranean World in the Age of Philip I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April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9]
웹사이트
Sede Vacante 1565-1566
http://www.csun.edu/[...]
2015-10-26
[10]
서적
The Popular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1]
서적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A User-Friendly Reference for Episcopalians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2000-01-01
[12]
서적
Our Sunday Visitor's Catholic Encyclopedia
Our Sunday Visitor
[13]
웹사이트
Paix Liturgique Anglais
http://www.uk.paix-l[...]
2023-07-07
[14]
서적
In This Light Which Gives Light: A History of the College of St. Albert the Great
https://books.google[...]
Dominican School
2009
[15]
웹사이트
The Story of Don John of Austria
http://nobility.org/[...]
2010-10-11
[16]
서적
Mary Queen of Scots' Secretary: William Maitland, Politician, Reformer and Conspirator
Pen and Sword
[17]
서적
The life and pontificate of Saint Pius V
https://books.google[...]
[18]
서적
Church and State Through the Centuries
Biblo-Moser
[19]
서적
St. Pius V: His Life, Times, Virtues and Miracles
Tan Books
2009
[20]
서적
The lives of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James Duffy
1866
[21]
서적
Waters of Rome
Yale University Press
2001-01-01
[22]
웹사이트
A papal bull against bullfighting
https://library.law.[...]
2014-12-17
[23]
웹사이트
Cronologia
Leonardo
[24]
서적
Synagogues of Europe: Architecture, History, Meaning
Courier Dover Publications
[25]
논문
The Lateran and Clement VIII
[26]
뉴스
Vatican newspaper examines history of red, white papal garb
http://www.catholicc[...]
2013-09-02
[27]
뉴스
From red to white
http://www.osservato[...]
[28]
서적
The history of the popes, from the close of the middle ages : drawn from the secret Archives of the Vatican and other original sources; from the German
https://archive.org/[...]
London, J. Hodges
1891
[29]
서적
The life and pontificate of Saint Pius the Fifth: sujoined is a reimpression of a historic deduction of the Episcopal oath of allegiance to the Pope, in the Church of Rome
https://archive.org/[...]
London : J. Duncan
1832
[30]
서적
The Pocket Guide to the Popes
HarperCollins
[31]
웹사이트
Pope Pius V
http://www.catholic-[...]
Catholic Hierarchy
2013-09-29
[32]
서적
The Papacy Since 1500: From Italian Prince to Universal Pa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문서
General Roman Calendar
[34]
서적
St. Pius V: A Brief History of His Life, Times, Virtues and Miracles
TAN
[35]
웹사이트
Saint Pius V pope
https://www.britanni[...]
[36]
서적
スペイン文化読本
丸善出版
[37]
서적
キリスト教人名辞典
[38]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
[39]
서적
バンソン
[40]
서적
バンソン
[41]
서적
アットウォーター
[42]
서적
スチュアート
[43]
서적
アットウォーター
[44]
서적
スチュアート
[45]
서적
クルーラス, バンガート
[46]
서적
スチュアート
[47]
서적
松本
[48]
서적
クルーラス, スチュアート
[49]
서적
スチュアート, 新カトリック大事典
[50]
서적
Age of Reason Begins
Simon & Schuster
[51]
서적
메디치 가 이야기
생각의 나무
2002-02-02
[52]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53]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https://100.daum.net[...]
분도출판사
2014-01
[54]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55]
서적
Church and State Through the Centuries
Biblo-Moser
[56]
웹사이트
When The Popes Started Wearing White And Why?
http://popes-and-pap[...]
2012-05-06
[57]
서적
The Pocket Guide to the Popes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58]
서적
The Papacy Since 1500: From Italian Prince to Universal Pa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