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울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울타리는 토지 경계를 표시하고, 가축을 막으며, 야생 동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기 위해 심어진 식물 울타리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영국, 아일랜드, 베네룩스 3국 등에서 중세 시대부터 700년 이상 된 생울타리를 찾아볼 수 있다. 생울타리는 산업 혁명 시기 구획 정리 과정에서 증가했지만, 현대에는 농업 기술 발달과 집약 농업으로 인해 제거되는 추세였다. 하지만 야생 동물 보호와 환경적 기능을 고려하여 보존 및 재식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생울타리는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며, 산사나무, 가시나무, 개암나무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생울타리는 문화 유산, 야생 동물 서식지, 환경 보호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니며, 생울타리 쌓기, 손질, 갱신 등의 방법으로 관리된다. 인스턴트 생울타리, 퀵셋 헤지, 데번 헤지, 콘월 헤지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정원에서도 장식, 프라이버시 확보, 시각 공해 차단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한국에서는 밭과 집의 경계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최근 도시 지역에서 미세먼지 저감 등의 목적으로 조성 사례가 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타리 - 허들
    허들은 원래 가축을 가두거나 토지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던 싸리나무 울타리에서 유래하여, 현재는 정원 장식용 울타리, 동물 관리용 강철 또는 알루미늄 울타리, 울타리 및 강 복원, 육상 경기 장벽, 일상생활의 난관 등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 울타리 - 유자철선
    유자철선은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철선으로, 출입 통제 및 경계용으로 사용되며, 1865년 프랑스에서 발명된 후 1874년 미국에서 개량되어 서부 개척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안전 및 윤리적 문제도 제기된다.
  • 조경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 조경 - 묘목
    묘목은 종자나 무성번식으로 생산된 어린 나무로, 생산 방법에 따라 실생묘, 삽목묘, 접목묘, 산취묘 등으로, 출하 방식에 따라 나목묘, 포트묘, 컨테이너묘 등으로 구분되며, 대한민국에서는 연간 1억 본 이상 생산된다.
  • 원예 - 코이어
    코이어는 코코넛 열매 껍질에서 추출한 섬유로, 밧줄을 뜻하는 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부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갈색과 흰색으로 나뉘고,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 원예 - 분재
    분재는 동아시아에서 시작된 수목 재배 및 조경 예술로, 작은 용기에 심은 나무를 통해 자연경관을 축소하여 표현하며, 일본에서 미니멀리즘 스타일로 발전했고 현재는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생울타리
정의
설명울타리는 일반적으로 잔가지, 덤불, 관목 또는 나무와 같은 살아있는 식물로 구성된 선으로 구성된 선이다.
기능경계를 정의
원치 않는 침입자 통제
바람과 햇빛으로부터 보호
토양 침식 감소
사생활 보호
심미적 가치 제공
역사 및 문화
기원신석기 시대부터 경계 표시 및 가축 관리를 위해 사용됨.
관련 문화영국: 역사적으로 토지 소유권 및 농업 관행과 밀접하게 관련됨.
프랑스: "bocage"는 울타리로 둘러싸인 농경지를 의미하며, 특정 지역의 풍경을 특징짓는다.
일본: "이구네"는 센다이 지역에서 겨울철 북서풍으로부터 집을 보호하기 위해 심어진 울타리 숲이다.
유형
재료생울타리: 살아있는 식물을 사용하여 만든 울타리.
가시 울타리: 가시가 있는 식물을 사용하여 만든 울타리 (예: 탱자나무, 산사나무).
덩굴 울타리: 덩굴 식물을 사용하여 만든 울타리 (예: 담쟁이덩굴, 인동덩굴).
방풍 울타리: 바람을 막기 위해 빽빽하게 심은 나무나 관목.
기능경계 울타리: 토지 경계를 표시하는 울타리.
보호 울타리: 사생활 보호 또는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울타리.
장식 울타리: 미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울타리.
관리
유지 보수정기적인 가지치기 및 다듬기 필요
식물 종류에 따라 비료 및 물 공급 필요
병충해 방제 필요
환경적 고려 사항생물 다양성 증진: 다양한 식물 종을 사용하여 다양한 서식지를 제공.
토양 보존: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 건강을 개선.
탄소 격리: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 완화에 기여.
식재
방법씨앗 파종
묘목 심기
삽목
고려사항기후 조건
토양 유형
식물 성장 습성
기타
관련 용어울타리길 (hedgerow): 나무와 관목으로 이루어진 선형 식생 지역.
방풍림 (windbreak): 바람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심은 나무 또는 관목.
생태 통로 (wildlife corridor): 야생 동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서식지.

2. 역사

생울타리는 수 세기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그 구조에 역사가 보존되어 있다. 최초의 생울타리는 신석기 시대에 곡물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일부는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 또 다른 일부는 중세 시대 토지 합리화 과정에서 건설되었다.

영국, 아일랜드, 베네룩스 3국 등에서 밭을 구분하는 많은 생울타리는 7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 'hedge'(생울타리)라는 단어는 고대 영어, 독일어(''Hecke''), 네덜란드어(''haag'')에서 유래했으며 '울타리'를 의미한다. 864년 대머리 카롤루스는 일부 무단 침입자들이 서양 산사나무를 빽빽하게 엮어 만든 생울타리를 건설하고 있다고 불평했다.[2]

영국 일부 지역에서는 장원 제도의 공동 경작지를 만들기 위해 초기 생울타리가 파괴되었다. 많은 생울타리는 구획법 이후 대체되었고, 현대 농업 집약화 과정에서 다시 제거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야생 동물을 위해 다시 심어지고 있다. 2024년 영국 생태 수문학 센터의 Lidar 연구에 따르면 영국에만 총 390000km의 생울타리가 있다.[3][4]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최초의 생울타리는 신석기 시대 (기원전 4000년~기원전 6000년)에 곡물 작물을 위해 토지를 둘러쌀 때 만들어졌다. 당시 농장은 약 5ha에서 10ha였으며, 손으로 경작하는 밭은 약 0.1ha였다. 일부 생울타리는 2000~4000년 전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 만들어졌는데, 이때 전통적인 풍경 패턴이 확립되었다.[2] 또 다른 생울타리는 중세 시대의 토지 합리화 과정에서 건설되었으며, 18세기와 19세기의 산업 호황기에 황무지와 고지대가 구획 정리되면서 더 많은 생울타리가 생겨났다.

영국, 아일랜드, 베네룩스 3국의 차선에서 밭을 구분하는 많은 생울타리는 700년 이상 존재해 온 것으로 추정되며, 중세 시대에 기원한다. 'hedge'(생울타리)의 어원은 훨씬 오래되었다. 이 단어는 고대 영어와 독일어(''Hecke''), 네덜란드어(''haag'')에서 '울타리'를 의미하는 단어로 나타나며, 네덜란드 도시 헤이그의 이름이나 더 공식적으로는 '''s Gravenhage'' (백작의 생울타리)와 같은 의미이다. 대머리 카롤루스는 864년에 대부분의 공식 요새가 나무 말뚝 울타리로 건설되던 시기에 일부 무단 침입자들이 ''haies et fertés'' 즉, 서양 산사나무를 빽빽하게 엮어 만든 생울타리를 건설하고 있다고 불평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2]

2. 2. 산업 혁명기와 근대

전형적인 오래된 스코틀랜드 경계 제방이지만 경계 나무는 없음


18세기와 19세기 산업 혁명기에 황무지와 고지대가 구획 정리되면서 생울타리가 더 많이 생겨났다.[2] 9세기경 대머리 카롤루스는 대부분의 공식 요새가 나무 말뚝 울타리로 건설되던 시기에 일부 무단 침입자들이 서양 산사나무를 빽빽하게 엮어 만든 생울타리(''haies et fertés'')를 건설하고 있다고 불평했다.[2]

영국 일부 지역에서는 장원 제도의 공동 경작지를 만들기 위해 초기 생울타리가 파괴되었다. 많은 생울타리는 구획법 이후 대체되었고, 현대 농업 집약화 과정에서 다시 제거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야생 동물을 위해 다시 심어지고 있다.[3][4]

2. 3. 현대

1980년대 이후 저렴한 식량 수입과 EU 공동 농업 정책 등으로 생울타리 보존 및 재식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24년 영국 생태 수문학 센터의 Lidar를 사용한 연구에 따르면 영국에만 총 390000km의 생울타리가 있으며, 이는 지구 둘레를 10번 덮을 수 있는 길이다.[3][4] 한국에서는 최근 생태계 보전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울타리의 중요성이 재조명되고 있다.

3. 구성

생울타리는 단일 종 또는 여러 종의 식물로 구성될 수 있다.

18세기의 경계 생울타리인 행진 둑(생울타리)에 심어진 너도밤나무


일반적으로 무작위로 식물을 섞어 심는데, 새로 심은 영국 울타리의 경우 최소 60%가 산사나무, 가시나무, 개암나무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된다. 특히 산사나무와 가시나무는 가축에게 효과적인 방벽 역할을 한다.[5] 북미에서는 오렌지 오스지가 가축을 막기 위해 재배되기도 했다.[5]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의 울타리는 흙과 울타리가 섞인 형태로, 흙벽 위에 산사나무, 가시나무, 덩굴, 나무 등이 자란다. 이러한 울타리는 해풍으로부터 작물과 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에는 연합군의 진격을 늦추는 장벽이 되기도 했으며, 연합군은 장갑차를 개조하여 이를 돌파했다.

수백 년 이상 된 생울타리에는 다양한 종들이 서식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생울타리의 연령을 추정하기도 한다. 맥스 후퍼 박사의 이름을 딴 후퍼의 규칙(또는 후퍼의 법칙)에 따르면, 30야드 구역 내 목본 종의 수에 110년을 곱하면 생울타리의 대략적인 연령을 추정할 수 있다.[14] 그러나 이 방법은 어림짐작일 뿐이며, 몇 세기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4]

3. 1. 사용되는 식물

영국에서는 산사나무, 가시나무, 개암나무 등이 주로 생울타리에 사용된다.[5] 북미에서는 오렌지 오스지가 가축 방벽으로 재배되었다.[5] 그 외 호랑가시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 버드나무 등도 생울타리 조성에 사용된다.[6]

한국에서는 가이즈카향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사철나무, 명자나무, 호랑가시나무, 개나리, 무궁화, 꽝꽝나무, 피라칸사, 매자나무, 주목, 목서 등이 생울타리용으로 사용된다.[41]

생울타리에 사용되는 식물
지역식물
영국산사나무, 가시나무, 개암나무, 호랑가시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 버드나무
북미오렌지 오스지, 호랑가시나무, 너도밤나무, 참나무, 물푸레나무, 버드나무
한국가이즈카향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사철나무, 명자나무, 호랑가시나무, 개나리, 무궁화, 꽝꽝나무, 피라칸사, 매자나무, 주목, 목서


3. 2. 생울타리 나무 (Hedgerow trees)

영국에는 약 180만 그루의 생울타리 나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수관이 서로 닿지 않는 나무만 계산), 이 중 약 98%가 잉글랜드와 웨일스에 있다.[8] 생울타리 나무는 영국의 풍경에서 중요한 부분이자 야생동물의 귀중한 서식지이다.[8] 많은 생울타리 나무가 고목이며, 따라서 야생동물에게 매우 중요하다.

가장 흔한 종은 참나무 (''Quercus robur'')와 물푸레나무(''Fraxinus excelsior'')이며, 과거에는 느릅나무(''Ulmus minor'' 'Atinia')도 흔했다. 1960년대 후반, 약 2천만 그루의 느릅나무, 그 중 대부분이 생울타리 나무가 네덜란드 느릅나무병으로 인해 베어지거나 죽었다. 다른 많은 종들도 사용되며, 특히 너도밤나무 (''Fagus sylvatica'')와 다양한 견과 및 과수가 포함된다.[8]

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참나무와 너도밤나무 생울타리


영국 생울타리 나무의 연령 구조는 오래된 편인데, 새로운 나무의 수가 나이 또는 질병으로 잃는 나무의 수를 대체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8]

새로운 나무는 심어서 만들 수 있지만, 울타리를 칠 때 표준 나무를 남겨두는 것이 일반적으로 더 성공적이다. 나무는 10m 이상 간격을 두고 남겨두어야 하며, 거리는 더 자연스러운 풍경을 만들기 위해 다양해야 한다.[8] 이 거리를 통해 어린 나무는 경쟁하거나 너무 많은 그늘을 만들지 않고도 완전한 수관을 발달시킬 수 있다.[8]

생울타리 나무가 울타리에 틈을 만든다는 의견이 있지만, 일부 하위 가지를 잘라내면 아래 울타리에 충분한 빛이 통과하여 자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8]

4. 기능 및 중요성

생울타리는 문화 유산, 야생 동물 서식지[9], 경관 등 다양한 가치를 지닌다. 또한 토양 유실 방지, 오염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물 공급을 조절하며 홍수를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10] 생울타리 아래 토양에는 지렁이 다양성이 증가하며, 이는 유기 탄소를 저장하고 독특한 관다발균근 (AM) 곰팡이 군집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11]

생울타리는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 외에도 새와 곤충과 같은 작은 동물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한다.[12] 엠마 콜사드(Emma Coulthard)의 연구에 따르면, 생울타리는 ''Acronicta rumicis''와 같은 나방이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나방은 야행성이므로 시각적 보조 장치를 사용하기보다는 생울타리의 감각적 또는 후각적 표지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13] 라킨(Larkin) 등의 2013년 연구에 따르면 북서 유럽 농장의 100%가 생울타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 지역 야생 동물 서식지의 43%를 차지한다.[9]

5. 관리 및 보존

생울타리는 경작지가 저강도 농업에서 집약 농업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제거되기도 한다. 생울타리를 제거하면 더 넓은 밭을 만들 수 있어 작물 재배가 용이해지고 수확량과 이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울타리는 야생동물 통로 역할을 하며, 특히 영국의 파편화된 고대 을 연결한다. 또한 조류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들의 서식지 역할도 수행한다. 울타리 주변은 경작이 어려워 식물 생물 다양성이 높게 나타나며, 토양을 안정시키고 토양 침식과 용탈로 인한 영양분 유실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에서는 기술 발달과 인구 증가로 인해 생울타리 제거가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저렴한 식량 수입과 유럽 연합공동 농업 정책으로 환경 프로젝트가 활성화되면서 이러한 추세는 다소 둔화되었다. 농업 정책 개혁으로 환경적 영향이 중요해지면서, 많은 지역에서 생울타리 보존과 재식재가 이루어지고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농업용 생울타리 제거는 생울타리 규정 1997에 의해 규제되며, 지방 계획 당국이 관리한다.[35]

5. 1. 생울타리 쌓기 (Hedge laying)

미들턴 근처의 새로 만들어진 전통적인 생울타리


생울타리가 정기적으로 유지 관리되고 다듬어지지 않으면 수년에 걸쳐 기저부에 틈이 생기는 경향이 있다. 생울타리 쌓기는 각 식물의 줄기를 기저부 근처에서 대부분 잘라내고, 그것을 구부려 나무 말뚝 사이에 엮거나 플리칭하는 것으로 구성된다.[16] 이는 또한 각 식물의 기저부에서 새로운 성장을 촉진한다. 원래 생울타리 쌓기의 주요 목적은 울타리가 가축 방지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일부 측지(side branches)도 제거되어 장작으로 사용되었다.

농장 동물을 위한 통과할 수 없는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생울타리를 유지하고 쌓는 것은 숙련된 기술이다. 영국에는 각기 다른 스타일을 가진 많은 지역 생울타리 쌓기 전통이 있다.[16] 생울타리는 오늘날에도[17] 미적 및 기능적 목적뿐만 아니라 야생 동물을 돕고 토양 침식을 방지하는 생태학적 역할 때문에 계속 쌓이고 있다.

영미권에서는 밭, 목초지, 방목장 등의 경계를 나타내는 생울타리를 hedge(hedgerow)라고 한다.[38] 대표적인 것으로 산사나무의 어린 나무를 사용한 생울타리가 있으며, 가로목을 건널 수 있는 간격으로 심고, 그 사이를 어린 나무로 비스듬히 구부려 얽거나, 개암나무의 가지를 엮어서 만든다.[38] 이에 인접하여 자란 참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버드나무, 딱총나무, 야생 사과, 야생 배 등의 수목을 조합하여 더욱 견고한 울타리를 만든다.[38] 울타리 사이에 자라는 수목은 연료원으로 하기 위해 그대로 두었지만, 울타리 자체는 사냥 시 말로 뛰어넘을 수 있도록 사람의 어깨 정도 높이로 깎았다.[38] 또한, 산사나무 생울타리는 생장을 위해 둑 아래(hedge bottom)를 따라 배수로 (drainage ditch)를 파는 것이 통례였으며, 둑 위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었다.[38]

5. 2. 생울타리 손질 (Hedge trimming)



생울타리 손질은 트랙터에 장착된 플레일 커터, 원형 톱, 또는 생울타리 트리머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18] 매년 손질 높이를 조금씩 높여 덤불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플레일 커터를 사용할 때는 날을 날카롭게 유지해야 절단 효과가 좋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생울타리 종이 다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까지 수년이 걸려 야생 동물과 사람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19] 또한, 같은 높이에서 반복적으로 손질하면 수관 절단된 나무처럼 '단단한 마디'가 생길 수 있다.

생울타리 손질은 작은 에가르 나방과 같이 생울타리에서 대부분의 생애를 보내는 종의 서식지 파괴를 유발하여 개체수 감소를 초래할 수도 있다. 작은 에가르 나방은 현재 영국에서 전국적으로 희귀종이다.[20]

5. 3. 생울타리 갱신 (Coppicing)

생울타리는 coppicing과 하드 pollarding 기술을 사용하여 갱신할 수 있으며, 이는 울타리 심기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활용된다.[24]

5. 4. 생울타리 관리 척도

헤지링크 UK에서 개발한 생울타리 관리 척도는 1에서 10까지의 범위를 갖는다.[21][22] 1은 심하게 과도하게 다듬어진 생울타리에 대한 조치를 설명하고, 5는 높이가 2m 이상인 건강하고 밀도가 높은 생울타리이며, 10은 전혀 관리되지 않아 일렬로 늘어선 나무가 된 생울타리를 나타낸다.

5. 5. 관련 규정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농업용 생울타리 제거는 생울타리 규정 1997에 의해 규제되며, 지방 계획 당국이 관리한다.[35]

영국에서는 인접한 주거 재산의 합리적인 즐거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형 생울타리의 소유자는 생울타리의 높이를 줄이도록 명령받을 수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높은 생울타리가 2003년 반사회적 행동법 제8부의 적용을 받는다. 생울타리가 높이 감소의 대상이 되려면, 두 그루 이상의 상록수 또는 반상록수 나무 또는 관목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높이가 2미터 이상이어야 하고, 어느 정도 빛이나 접근을 막아야 한다. 또한, 높이 때문에 불만을 제기하는 사람의 주거 재산(집 또는 정원)의 합리적인 즐거움을 부정적으로 방해해야 한다.[23] 이와 유사한 효력을 가진 후속 법률이 북아일랜드, 맨 섬 및 스코틀랜드에서 도입되었다.

6. 종류

영미권에서는 밭, 목초지, 방목장 등의 경계를 나타내는 생울타리를 hedge(hedgerow)라고 부른다.[38] 산사나무의 어린 나무를 사용한 생울타리가 대표적이며, 가로목을 건널 수 있는 간격으로 심고, 그 사이를 어린 나무로 비스듬히 구부려 얽거나, 개암나무 가지를 엮어서 만든다.[38] 참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버드나무, 딱총나무, 야생 사과, 야생 배 등의 수목을 조합하여 더욱 견고한 울타리를 만들기도 한다.[38] 울타리 자체는 사냥 시 말로 뛰어넘을 수 있도록 사람의 어깨 정도 높이로 깎았으며, 생장을 위해 둑 아래를 따라 배수로를 파거나 둑 위에 설치하기도 했다.[38]


  • Hedgelaying영어 - 울타리 만들기
  • Dead hedge영어 - 매년 만들어야 하는 개암나무 가지 등을 엮어 만드는 울타리[39]


일본에서는 주택 외곽 울타리에 콘크리트 담, 판자 울타리 외에도 토담, 벽돌 담, 돌담 등을 사용한다.[40] 정원 내 구획을 위해 대나무 울타리, 생울타리, 철망 울타리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40]

판자 울타리에는 세로, 가로 붙이기, 틈새, 시키메바리, 야마토 붙이기 등의 종류가 있다.[40] 대나무 울타리는 시야 차단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40]

  • 시야를 완전히 가리는 울타리: 겐닌지 울타리, 다이토쿠지 울타리, 누마즈 울타리, 쇼코쿠지 울타리, 오쓰 울타리, 가쓰라 울타리, 겐지 울타리, 바세 울타리, 우구이스 울타리 등
  • 시야를 가리지 않는 울타리: 고에쓰 울타리, 가이라쿠엔 울타리, 킨카쿠지 울타리, 사쓰메 울타리 등


각 울타리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사쓰메 울타리: 대나무를 사쓰메 격자 형태로 엮은 울타리.
  • 겐닌지 울타리: 겐닌지의 울타리를 본떠 쪼개진 대나무를 틈 없이 세운 울타리로, 한 면과 양면이 있다.
  • 미스가키: 외관이 발처럼 보이는 울타리. 일반적으로 대나무가 사용된다.
  • 가쓰라 울타리: 가쓰라 이궁의 문 양쪽에 있는 울타리에서 이름을 따왔다.
  • 오쓰 울타리: 대나무 표면을 오쓰, 뒷면을 교토에 비유했다.
  • 다케호 울타리: 쪼개진 대나무를 사용하여 조립 부재에 대나무 이삭을 결합하여 만든다.
  • 하기 울타리, 미노 울타리, 토쿠사 울타리, 다치아이 울타리, 뎃포 울타리, 아야메 울타리, 히시기 울타리, 코에쓰 울타리, 킨카쿠지 울타리, 긴카쿠지 울타리, 야라이 울타리, 료안지 울타리, 누마즈 울타리: (설명 생략)

6. 1. 인스턴트 헤지 (Instant hedge)

'''인스턴트 생울타리'''라는 용어는 21세기 초부터 알려졌으며, 최소 1.2미터 높이로 식재 즉시 성숙한 생울타리를 형성하도록 함께 심는 생울타리 식물들을 지칭한다.[25] 일반적으로 생울타리 요소나 개별 식물로 만들어지는데, 식물이 자라고 얽혀 진짜 생울타리를 형성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처음부터 생울타리인 경우는 거의 없다.

이스트앵글리아의 엘베덴 홀 영지[25]에서 인스턴트 생울타리의 한 사례를 볼 수 있는데, 1998년부터 경작된 열에 생울타리 밭이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성숙한 생울타리 개발로 인해 조경가, 정원 디자이너, 부동산 개발업자, 보험 회사, 스포츠 클럽, 학교 및 지방 의회는 물론 많은 개인 주택 소유주들이 이와 같은 제품을 지정하게 되었다. 또한, 계획 당국에서 개발업자에게 단순히 가느다란 가지가 없는 묘목(가늘고 가지가 없는 싹 또는 식물) 대신 성숙한 생울타리를 심도록 지정하면서 수요가 증가했다.

엘베덴 영지 밭에서 자라는 인스턴트 생울타리


'진정한' 인스턴트 생울타리는 연중 식재가 가능하도록 연속적인 뿌리 띠(개별 식물 대신)로 판매할 수 있는 관리된 뿌리 성장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약 8년의 생산 기간 동안 모든 묘목은 관개되고, 다듬어지며, 건강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어 방출 영양소로 처리되어야 한다.

6. 2. 퀵셋 헤지 (Quickset hedge)

퀵셋 헤지(quickset hedge)는 살아있는 서양 산사나무 묘목(가지)을 직접 땅에 심어 만드는 생울타리의 한 종류이다.[26] 심어진 묘목은 뿌리를 내리고 새로운 식물을 형성하여 빽빽한 장벽을 만든다. 이 기술은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quickset hedge"라는 용어는 1484년에 처음 기록되었다.[27] 이름의 "quick"이라는 단어는 묘목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산 자와 죽은 자"에서와 같이), 울타리가 자라는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는 아니다. 하지만 퀵셋 헤지는 꽤 빠르게 자리를 잡는다. 퀵셋 헤지의 또 다른 의미는 살아있는 식물로 형성된 울타리 또는 살아있는 식물과 울타리가 결합된 울타리이다. 퀵세팅 기술은 다른 많은 관목과 나무에도 사용할 수 있다.

6. 3. 데번 헤지 (Devon hedge)

데번 울타리는 관목으로 덮인 흙둑(Berm)이며, 둑은 잔디(Sod)나 돌로 마감할 수 있다. 돌로 마감된 경우 돌은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 놓이며, 게이트웨이 주변에 평평하게 놓이는 경우가 많다.

가장자리에 돌을 놓은 전통적인 석재 면 데번 울타리가 비포드에 있다.


데번의 울타리 중 4분의 1이 8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된다.[28] 데번 울타리는 약 53000km에 이르며, 이는 다른 어떤 카운티보다 많다.[28] 카운티 전체의 전통적인 농업은 다른 지역보다 데번 울타리가 덜 제거되었음을 의미한다.

데번 울타리는 야생 동물 서식지에 특히 중요하다. 영국 종이 풍부한 울타리의 약 20%가 데번에서 발생한다.[29] 데번 울타리에서 600종 이상의 꽃 식물, 1500종의 곤충, 65종의 조류 및 20종의 포유류가 살거나 먹이를 먹는 것으로 기록되었다.[29]

데번의 울타리 설치는 일반적으로 스티핑이라고 하며, 둑 상단에 스티퍼(줄기)를 자르고 눕히고 크룩(가랑이 막대기)으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6. 4. 콘월 헤지 (Cornish hedge)

콘월 울타리는 돌로 된 흙둑이다.[30] 일반적으로 좁은 흙둑의 양쪽에 큰 돌 블록을 쌓아 서로 맞물린 돌로 고정한다. 꼭대기에 있는 정돈된 사각형 돌의 열은 "가장자리 돌"이라고 불린다. 울타리의 꼭대기에는 잔디 떼가 심어진다.[31]

때로는 울타리의 방풍림 높이를 높이기 위해 울타리 식물이나 나무를 심기도 한다. 콘월 울타리의 수명 동안 풍부한 식물이 발달한다. 콘월 울타리는 콘월의 독특한 들판 패턴과 반자연적인 야생 동물 서식지에 기여한다. 오늘날 콘월에는 약 약 48280.20km의 울타리가 있다.[32]

울타리는 나무 뿌리, 굴을 파는 토끼, 비, 바람, 가축, 사람의 영향으로 손상된다. 수리가 얼마나 자주 필요한지는 울타리가 얼마나 잘 지어졌는지, 돌의 상태, 그리고 마지막 수리 이후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울타리는 약 150년마다 한 번씩 수리가 필요하며, 울타리가 쳐져 있다면 더 적은 빈도로 수리한다. 새로운 울타리를 건설하고 기존 울타리를 수리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이며, 콘월에는 전문 울타리 시공자들이 있다. 콘월 울타리 연구 및 교육 그룹(CHREG)은 전통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콘월 의회, FWAG(농업 및 야생 생물 자문 그룹), 스톤 아카데미 보드민, 콘월 AONB, 컨트리 트러스트 및 전문 울타리 시공자와 협력하여 콘월 울타리의 미래를 보장한다.

7. 정원에서의 활용

생울타리는 정원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가지와 잎이 많아 집과의 경계나 담장 역할을 하고, 보기 좋지 않은 대상을 가리는 데 사용된다. 주로 1년 내내 잎이 시들지 않는 상록수가 사용되며, 가지치기를 해도 죽지 않는 가이즈카향나무, 측백나무, 사철나무, 명자나무, 호랑가시나무, 개나리, 무궁화 등이 사용된다.[41]

가지치기 여부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연출할 수 있다. 가지치기를 한 울타리는 쥐똥나무, 산사나무, 너도밤나무, 주목 등이 사용된다. 가지치기를 하지 않은 울타리는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만, 꽃이 피는 겹장미, 무궁화, 동백나무 등을 사용하여 아름다움을 더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잔디밭에서 가지치기된 울타리


독일의 가지치기된 너도밤나무 울타리, 프라이버시를 위해 집 높이만큼 자랐으며 방풍벽 역할을 한다


16세기 이탈리아 정원이나 앙드레 르 노트르의 프랑스 정원에서는 가로수길을 형성하는 가지치기된 나무 울타리가 특징이었다. 글로스터셔의 히드코트 매너 가든에 있는 가지치기된 서양물푸레나무의 '말뚝 울타리'는 유명하다.

무릎 높이 이하의 울타리는 경계로 간주되며, 16~17세기 유럽에서는 매듭 정원이나 파르테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눈높이 이상의 가지치기된 울타리는 미로나 정원 미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의 총독 궁전 뒤편에 이러한 미로가 복원된 예가 있다.

울타리는 정원의 프라이버시를 높이고, 완충 지대 역할을 하며, 시각 공해를 막고 울타리를 숨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종을 심어 다양한 색상이나 질감을 나타내는 태피스트리 울타리처럼 미적으로도 만족스러울 수 있다.

미국에서는 울타리가 정원 경계를 표시하는 데 울타리보다 더 흔했다. 영국의 급진주의자 윌리엄 코벳은 1819년에 미국이 산사나무를 활용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만을 표현했다.[34]

8. 지역별 사례

유럽에서는 밭이나 목초지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생울타리를 사용하며, 영미권에서는 hedge 또는 hedgerow라고 부른다.[38] 산사나무가 대표적이며, 참나무, 물푸레나무 등 다양한 나무를 섞어 더 튼튼하게 만들기도 한다.[38] 산사나무 생울타리는 어린 나무를 심고 엮거나 개암나무 가지를 엮어 만든다.[38] 울타리 사이 나무는 연료로 사용하고, 울타리는 말을 타고 넘을 수 있게 사람 어깨 높이로 깎았다.[38] 둑 아래 배수로를 파거나 둑 위에 설치하기도 했다.[38]

일본에서는 주택 외곽에 콘크리트 담, 판자 울타리, 토담, 벽돌 담, 돌담 등을 사용하며,[40] 정원에는 대나무 울타리, 생울타리 등을 사용한다.[40] 판자 울타리에는 세로, 가로 붙이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40] 대나무 울타리는 시야를 가리는 것과 가리지 않는 것으로 나뉜다.[40]

인도의 대 생울타리는 19세기 영국이 세금 징수를 위해 심은 거대한 생울타리였다.[2] 청나라 초기에는 사람들의 이동을 통제하고 인삼 등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버드나무 책책을 건설했다.[36] 이는 두 개의 둑과 해자, 둑 위의 버드나무로 구성되었으며, 가지를 서로 묶어 만들었다.[36]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쇠퇴하여 20세기 초에 사라졌고, 남은 버드나무는 러일 전쟁 때 잘려나갔다.[37]

스코틀랜드 미클리우어의 미클리우어 너도밤나무 생울타리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가장 높고 긴 생울타리이다. 1745년 장 머서가 심었다.

예수회가 그린 18세기 초 프랑스 지도에는 요동()을 둘러싼 버드나무 책책()이 표시되어 있으며, 몽골만주족을 분리하기 위해 북동쪽으로 뻗어 있는 추가 분기가 있다.


미클리우어 너도밤나무 생울타리

8. 1. 유럽

영미권에서는 밭, 목초지, 방목장 등의 경계를 나타내는 생울타리를 hedge 또는 hedgerow라고 한다.[38] 대표적인 예로 산사나무 생울타리가 있으며, 참나무,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버드나무, 딱총나무, 야생 사과, 야생 배 등 다양한 수목을 조합하여 더욱 견고한 울타리를 만든다.[38]

산사나무 생울타리는 어린 나무를 가로목 간격으로 심고, 그 사이를 어린 나무로 비스듬히 구부려 얽거나 개암나무 가지를 엮어서 만든다.[38] 울타리 사이 수목은 연료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그대로 두었지만, 울타리 자체는 사냥 시 말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사람 어깨 정도 높이로 깎았다.[38] 또한, 산사나무 생울타리는 둑 아래(hedge bottom)를 따라 배수로 (drainage ditch)를 파거나, 둑 위에 설치하기도 했다.[38]

  • 울타리 만들기(Hedgelaying영어)
  • 개암나무 가지 등을 엮어 매년 만들어야 하는 울타리(Dead hedge영어)[39]

8. 2. 일본

일본에서는 주택 외곽 울타리로 콘크리트 담, 판자 울타리 외에도 토담, 벽돌 담, 돌담 등이 사용된다.[40] 정원 내 구획을 위해 대나무 울타리, 생울타리, 철망 울타리 등이 사용된다.[40]

판자 울타리에는 세로, 가로 붙이기, 틈새, 시키메바리(敷目張り), 야마토 붙이기 등의 종류가 있다.[40]

대나무 울타리는 시야를 완전히 가리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뉜다.[40]

  • 시야를 완전히 가리는 울타리: 겐닌지 울타리, 다이토쿠지 울타리, 누마즈 울타리, 쇼코쿠지 울타리, 오쓰 울타리, 가쓰라 울타리, 겐지 울타리, 바세 울타리, 우구이스 울타리 등[40]
  • 시야를 가리지 않는 울타리: 고에쓰 울타리, 가이라쿠엔 울타리, 킨카쿠지 울타리, 사쓰메 울타리 등[40]


다음은 대나무 울타리의 몇 가지 예시이다.

  • 사쓰메 울타리: 대나무를 사쓰메 격자 형태로 엮은 울타리.
  • 겐닌지 울타리: 겐닌지의 울타리를 본떠 쪼개진 대나무를 틈 없이 세운 울타리로, 한 면과 양면이 있다.
  • 미스가키: 외관이 발처럼 보이는 울타리. 일반적으로 대나무가 사용된다.
  • 가쓰라 울타리: 가쓰라 이궁의 문 양쪽에 있는 울타리에서 이름을 따왔다.
  • 오쓰 울타리: 대나무 표면을 오쓰, 뒷면을 교토에 비유했다.
  • 다케호 울타리: 쪼개진 대나무를 사용하여 조립 부재에 대나무 이삭을 결합하여 만든다.
  • 하기 울타리, 미노 울타리, 토쿠사 울타리, 다치아이 울타리, 뎃포 울타리, 아야메 울타리, 히시기 울타리, 코에쓰 울타리, 킨카쿠지 울타리, 긴카쿠지 울타리, 야라이 울타리, 료안지 울타리, 누마즈 울타리는 소스에 추가적인 정보가 없어 나열만 한다.

8. 3. 기타

인도의 대 생울타리는 19세기 영국이 세금 징수를 위해 심고 사용한 거대한 생울타리였다.[2]

청나라 초기(17세기)에 사람들의 이동을 통제하고 남부 만주에서 인삼과 목재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건설된 버드나무 책책 역시 생울타리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 책책은 두 개의 둑과 그 사이에 해자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둑 위에는 버드나무 열이 있었고, 가지로 서로 묶여 있었다.[36] 18세기 후반과 19세기 동안 점차 쇠퇴하면서, 책책은 20세기 초에 사라졌고, 남은 버드나무는 1904~1905년 러일 전쟁 동안 두 나라 군인들에 의해 잘려졌다.[37]

스코틀랜드 미클리우어 근처에 위치한 미클리우어 너도밤나무 생울타리는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가장 높고 긴 생울타리로, 높이가 에 달하고 길이는 이다. 너도밤나무는 1745년 마르키스 오브 렌스다운의 미클리우어 영지에서 장 머서에 의해 심어졌다.

9. 한국의 생울타리 (추가)

한국에서 전통적인 생울타리는 밭과 집의 경계를 구분하고 외부 침입을 막는 역할을 했다. 주로 탱자나무, 쥐똥나무 등이 활용되었다.

최근 도시 지역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도시 열섬 현상 완화, 소음 감소, 경관 개선 등을 위해 생울타리를 조성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도시 숲 조성 사업 등을 통해 생울타리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도시 생태계 복원 및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ive Fences http://www.ppath.cor[...] Cornell University
[2] 서적 A History of Private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High-tech aerial mapping reveals England's hedgerow landscape https://www.ceh.ac.u[...] 2024-02-04
[4] 뉴스 England's hedges would go around Earth ten times https://www.bbc.com/[...] 2024-02-04
[5] 간행물 Anachronistic fruits and the ghosts who haunt them
[6] 서적 Hedgerow Planting: Answers to 18 Common Questions Natural England
[7] 서적 Breakout and Pursuit Center of Military History
[8] 서적 Hedgerow trees: answers to 18 common questions http://naturalenglan[...] Natural England
[9] 논문 Hedgerows as Ecosystems: Service Delivery, Management, and Restoration Annual Reviews 2020-11-02
[10] 웹사이트 About Hedgerows http://www.hedgelink[...]
[11] 논문 The role of hedgerows in soil functioning within agricultural landscapes http://eprints.white[...] 2019-03-01
[12] 웹사이트 'Reservoirs of life': how hedgerows can help the UK reach net zero in 2050 http://www.theguardi[...] 2021-02-03
[13] 논문 Habitat and landscape-scale effects on the abundance and diversity of macromoths (Lepidoptera) in intensive farmland The University of Northampton
[14] 서적 Hedging http://handbooks.btc[...] BCTV
[15] 간행물 The Hedgerows Regulations 1997 http://www.opsi.gov.[...] OPSI
[16] 웹사이트 NHLS https://www.hedgelay[...]
[17] 웹사이트 Blackdown Hills Hedge Association http://bhha.info/
[18] Youtube Tractor trimming hedges in lane https://www.youtube.[...]
[19] 웹사이트 Hedge Course at Locks Park Farm http://locksparkfarm[...] 2009-11-13
[20] 웹사이트 Small Eggar https://butterfly-co[...]
[21] 웹사이트 The hedgerow management cycle by Hedgelink UK http://www.hedgelink[...]
[22] 뉴스 Garden Landscapers HA8 Edgware https://homegarden.o[...]
[23] 웹사이트 Tackling Hedges http://www.gardenroo[...]
[24] 논문 The restoration of neglected hedges: a comparison of management treatments http://www.conservat[...]
[25] 웹사이트 Hedges – Elveden Estate http://www.elveden.c[...]
[26] 웹사이트 Hawthorn – Small Woods http://smallwoods.or[...]
[27]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28] 웹사이트 The Devon Hedge http://www.devon.gov[...]
[29] 웹사이트 Species rich hedgerows http://www.northdevo[...]
[30] 서적 Children's Green Detective Guide to Cornwall Agenda 21 Publishing Ltd
[31] 뉴스 New course will try to save traditional Cornish Skill 2007-05-10
[32] 웹사이트 Hedges – Cornwall Council http://www.cornwall.[...]
[33] 웹사이트 History of Early American Landscape Design https://heald.nga.go[...]
[34] 웹사이트 History of Early American Landscape Design https://heald.nga.go[...]
[35] 웹사이트 When Law Goes Out on a Limb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36] 서적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 No. 213
[37] 서적 Northern Frontiers of Qing China and Tokugawa Japan: A Comparative Study of Frontier Policy
[38] 학술지 英語英文学の背景:英国の田園 https://www.seijo.ac[...] 成城大学文芸学部 1985-03
[39] 학술지 英語英文学の背景 : 英語の田園 https://seijo.repo.n[...] 成城大学文芸学部 2024-06-13
[40] 간행물 「垣」の話 https://www.snowseed[...] 雪印種苗 2022-11-18
[41] 보고서 조경수 재배 http://iforest.nfcf.[...] 산림청
[42] 학위논문 The foods of the Rock Dove and Feral Pigeon http://www.tandfonli[...] Bird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