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2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22호선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 영광군, 광주광역시를 거쳐 화순군과 순천시를 잇는 일반 국도이다. 1971년 영광 ~ 순천선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차례 기점 및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정읍 ~ 순천선이 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정읍시, 고창군, 영광군, 함평군, 광주광역시, 화순군, 순천시가 있으며, 1990년대 이후 구간 확장 및 터널 공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남구의 교통 - 효천역
    효천역은 광주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경전선 철도역으로, 1930년 보통역으로 개시하여 효천면에서 역명이 유래되었고, 경전선 이설 후 현재 위치로 이전, 화물 취급 중지 후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한다.
  • 광주 남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광주 동구의 교통 -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9호선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충청남도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200km가 넘는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지나며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는 주요 교통로이지만, 일부 구간은 개선이 필요하다.
  • 광주 동구의 교통 - 금남로
    금남로는 광주광역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외치며 저항했던 역사적인 공간이자 민주화운동의 상징적인 장소로서, 민주화 이후에는 민주주의 정신을 기리는 교육 및 역사 체험 공간으로 활용되며 광주 시민들의 삶과 함께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 광주 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광주 서구의 교통 - 서광주역
    서광주역은 2000년 8월 10일 경전선 이설과 함께 개통한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무궁화호와 남도해양관광열차가 정차하며, 효천역과 광주송정역 사이에 위치한다.
국도 제22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번호국도 제22호선
대체 이름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2호선)
총 길이204.5 km
길이 반올림1
제정1971년 8월 31일
기점 (서쪽)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종점 (동쪽)순천시, 전라남도
노선 개요
도로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 및 명칭국도 제22호선
총 연장204.5 km
기점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주요 경유지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
전라남도 함평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순천시
종점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동
주요 교차 도로남해고속도로
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광주광역시도 제13호선
광주광역시도 제32호선
광주광역시도 제62호선
광주광역시도 제73호선
광주광역시도 제75호선

2. 역사

國道第22號線중국어은 1971년 처음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변경과 확장을 거쳤다.

처음 국도로 지정될 당시에는 영광군에서 순천시까지 이어지는 도로였으나, 1981년 정읍시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행정 구역 변경에 따라 기점 명칭이 변경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2호선''' 영광 ~ 순천선이 됨.[6]
  • 1981년 3월 14일: 기점을 '전라북도 영광군 법성면 법성포'에서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로 연장함. 이에 따라 '영광 ~ 순천선'에서 '정주 ~ 순천선'이 됨.[7]
  • 1981년 5월 30일: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60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8]
  • 1981년 8월 17일: 국도로 승격된 영광군 법성면 용덕리 ~ 대덕리 5.01km 구간 개통[9]
  • 1986년 5월 13일: 기점을 '전라북도 정읍군 정주읍'에서 '전라북도 정주시'로 변경함.[10]

2. 2. 1990년대 이후

1994년 순천 주암면 ~ 화순군 동복면 구간 도로 확장 및 터널 공사가 완공되었다.[11] 1996년 7월 1일 기점이 정주시에서 정읍시로 변경되었다.[12] 1997년 7월 22일 정읍 ~ 흥덕 간 도로 확장 구간이 개통되었다.[13] 1999년 9월 16일 순천시 서면 일부 구간이 개량 개통되었다.[14]

2001년 1월 1일 법성 ~ 영광 간 도로 확장 구간이 개통되었다.[15] 2003년 1월 13일 영광군 내 일부 구간이 이설 개통되었다.[16] 2004년 4월 26일 화순 ~ 동면 구간 4차선 확장 개통.[17] 2005년 10월 31일 동면 ~ 용포 구간 4차선 이설 개통.[18] 2006년 5월 3일 영광 ~ 해보간 도로 일부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19] 2007년 5월 31일 추가 구간이 개통되었다.[20] 2007년 6월 30일 선운사 ~ 흥덕 간 도로 확장 구간이 개통되었다.[21] 2007년 9월 7일 영광 ~ 해보간 도로 잔여 구간 개통 및 밀재터널 개통.[22][23]

2013년 10월 25일 광주 ~ 화순 구간 8차로 확장 개통.[24] 2014년 11월 21일 화순 ~ 광주 간 도로 및 화순터널 확장 개통.[25] 2015년 3월 27일 시점이 정읍시 수성동에서 연지동으로 변경되었다.[26] 2017년 11월 20일 승주우회도로 확장 개통.[27]

3. 주요 경유지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에서 시작하여 전라남도 순천시를 연결하는 국도 제22호선은 다음과 같은 주요 지역을 경유한다.



광주광역시 구간에서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과 계엄군이 격렬하게 전투를 벌였던 서구 농성동을 통과한다.[28]

3. 1.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연지동, 농소동, 공평동, 용계동, 소성면)과 고창군 (성내면, 흥덕면, 부안면, 아산면, 심원면, 해리면, 상하면, 공음면)을 지난다.

이름 [2]한글 이름연결위치비고
연지 교차로연지사거리지방도 제701호선|지방도 제701호선한국어
(서부산업도로)
정읍시연지동기점
국도 제29호선 중복
정주지하차도정주지하차도국도 제29호선 중복
롯데마트 정읍점롯데마트 정읍점벚꽃로농소동국도 제29호선 중복
정읍 나들목 연결
지방도 제705호선|지방도 제705호선한국어 연결
정일여자중학교
농소동주민센터
정일여자중학교
농소동주민센터
국도 제29호선 중복
주천 교차로주천삼거리국도 제29호선
(영원로)
주동 교차로주동삼거리제동길소성면
소정 교차로소성사거리보화1길
춘수1길
와석 교차로와석삼거리보화1길
월성 교차로월성 교차로둥둥바우길
외토길
고창군성내면
성내 교차로성내삼거리시기1길
동산 교차로동산삼거리시기1길
흥덕교흥덕교
흥덕면
제하 교차로제하사거리국도 제23호선
(부안로)
선운대로
국도 제29호선 중복
목화 교차로목화 교차로흥덕로
(목화교)(목화교)국도 제23호선
(고인돌대로)
야동 교차로야동 교차로선운대로
선운산 나들목
(석교 교차로)
선운산 나들목
(석교 교차로)
서해안고속도로
봉선교봉선교
부안면
덕흥 교차로덕흥 교차로복분자로
상등 교차로상등 교차로전봉준로지방도 제734호선|지방도 제734호선한국어 연결
상용 터널상용터널약 195m
용산1 교차로용산1 교차로지방도 제734호선|지방도 제734호선한국어
(웅곡로)
용산2 교차로 연결
선운사 터널선운사터널약 576m
아산면
인천강교인천강교
반암 교차로반암 교차로복분자로
삼인 교차로삼인 교차로선운사로
연기길
용선 교차로용선삼거리지방도 제734호선|지방도 제734호선한국어
(인천로)
심원면
심원초등학교
심원면사무소
심원버스정류장
심원중학교
심원초등학교
심원면사무소
심원버스정류장
심원중학교
팔형치 교차로팔형치사거리국도 제77호선
(동호로)
금평길
해리면국도 제77호선 중복
궁산 교차로궁산삼거리지방도 제715호선|지방도 제715호선한국어
(동서대로)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제715호선|지방도 제715호선한국어 중복
왕거 교차로왕거삼거리
방축 교차로방축삼거리사반로
지로 교차로지로사거리지방도 제733호선|지방도 제733호선한국어
(나성로)
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제715호선|지방도 제715호선한국어, 지방도 제733호선|지방도 제733호선한국어 중복
검산 교차로검산삼거리상하로상하면
상하 터미널상하터미널
신 교차로신사거리상하1길
상하 교차로상하 교차로지방도 제733호선|지방도 제733호선한국어
(지남구시포로)
용덕 교차로용덕삼거리상하로국도 제77호선 중복
지방도 제715호선|지방도 제715호선한국어 중복
용대 교차로용대삼거리국도 제77호선
(샘목로)
동학농민혁명발상지동학농민혁명발상지공음면지방도 제715호선|지방도 제715호선한국어 중복
전라남도로 계속됨
공음 교차로공음삼거리참나무정1길
신평 교차로신평삼거리공음길


3. 2.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북)

영광군법성면, 영광읍, 군서면, 묘량면을 지난다. 함평군에서는 해보면월야면을 지난다.

이름[28]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삼덕삼거리용성월산로1길영광군법성면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대덕삼거리용성월산로
성재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용덕로)
복용삼거리영광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지안일삼거리신장길
와탄교
rowspan="13" | 영광읍
덕호삼거리덕호로양방향 진출만 가능
칠성삼거리덕호로
덕호교|
신월삼거리덕호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장동 교차로월현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신평 교차로국도 제23호선
(영대로)
지방도 제805호선
(백수로)
(월현로)
국도 제23호선과 중복
신하 교차로신남로
종산 교차로지방도 제808호선
(천년로)
녹사교|
녹사 교차로국도 제23호선
(함영로)
학정 교차로중앙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학정교밀재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묘량육교rowspan="8" | 묘량면
신천 교차로밀재로
용정육교|
불갑사진입로 교차로
(삼학육교)
밀재로
불갑사로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삼산교
포천교
신성교
|
삼포육교밀재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팔음교
팔음육교
|
밀재터널rowspan="2" | 상행 연장 968m
하행 연장 958m
rowspan="14" | 함평군해보면
구계육교
금덕육교
|
금덕 교차로밀재로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신촌 교차로지방도 제838호선
(신해로)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묘산육교|
해보 교차로해삼로
용산 교차로국도 제24호선
(함장로)
문장교|
rowspan="6" | 월야면
월야 교차로지방도 제838호선
(문화로)
금석육교
검산육교
|
석보육교밀재로하행 진출만 가능
백야육교백야길
외치 교차로밀재로


3. 3.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거동에서 시작하여 오운동, 도덕동, 지평동, 송산동, 서봉동, 선암동, 운수동, 소촌동, 신촌동, 우산동을 거친다. 이후 서구 벽진동, 마륵동, 치평동, 쌍촌동, 내방동, 화정동, 농성동을 지나간다. 특히, 농성동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과 계엄군의 격전지 중 하나였다.[28] 남구 월산동, 백운동, 주월동, 방림동을 거쳐 동구 학동, 소태동, 용산동, 월남동, 내남동, 선교동을 지난다.

이름[4]한글 이름연결 도로위치비고
삼거 IS삼거 교차로노안삼도로광주광역시광산구전라남도 - 광주광역시 경계선
오운 IS오운 교차로삼도로
삼도 IS삼도 교차로삼도로
(이름 없음)삼도로
삼도세동길
지평 IS지평 교차로지방도 제49호선
(빛가람장성로)
송산대교송산대교
호남대학교 광산캠퍼스
운수 IS운수 교차로동곡로운수 IC 간접 연결
광주광산경찰서
소촌산업단지소촌산단삼거리소촌로
금호타이어
송정지하차도
(이름 없음)상무대로
내상로
어룡동 주민센터
송정공원역송정공원로
광산로89번길
광주경영고등학교
송도로 입구송도로입구국도 제13호선
(송도로)
송정 IC송정 나들목국도 제13호선
(사암로)
광주공항
(공항역)
극락교극락교
서구
극락교 IS극락교 교차로천변좌하로
서창 IS서창 교차로광주 제2순환로
김대중컨벤션센터역상무누리로
상무대로 입구상무대로입구상무공원로
상무역상무중앙로
상무지구 입구상무지구입구운천로
운천역상무민주로
상무대로884번길
호남대학교 쌍촌캠퍼스
쌍촌역
(쌍촌역 교차로)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월드컵4강로
화정역화문로
농성역
(농성 교차로)
(농성지하차도)
국도 제1호선
(대남대로)
(죽봉대로)
상무대로
국도 제1호선 중복
건강관리협회 IS건강관리협회 교차로화정로
(이름 없음)금화로남구
주월 IS주월 교차로회재로
백운 IS
(백운고가차도)
백운 교차로
(백운고가차도)
국도 제1호선
지방도 제60호선
(서문대로)
국도 제1호선 중복
지방도 제60호선 중복
남광교남광교지방도 제60호선 중복
남광주 고가차도
동구
남광주 고가차도 IS남광주고가 교차로천변우로
남광주 IS
(남광주역)
남광주 교차로
(남광주역)
국도 제29호선
지방도 제55호선
지방도 제60호선
(필문대로)
국도 제29호선 중복
지방도 제55호선, 60호선 중복
학동시외버스정류소국도 제29호선 중복
지방도 제55호선 중복
학동 IS
(학동·증심사입구역)
학동삼거리
(학동·증심사입구역)
의재로
남문로701번길
원지 IS원지교 교차로증심천로
천변우로
동구문화센터
지원1동 주민센터
소태역 IS
(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
소태역 교차로
(소태역시외버스정류소)
지원로
남문로587번길
지원2동 주민센터
지원 IS지원 교차로광주 제2순환로
내지 IS내지 교차로남문로
선교교
신너릿재터널국도 제29호선 중복
지방도 제55호선 중복
765m
전라남도로 계속 이어짐


3. 4.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남)

전라남도한국어 구간은 영광군 (법성면 · 영광읍 · 군서면 · 묘량면) - 함평군 (해보면 · 월야면)을 거쳐 광주광역시로 진입한 후, 다시 화순군 (화순읍 · 동면 · 이서면 · 동복면) - 순천시 (주암면 · 승주읍 · 서면 · 가곡동, 석현동, 매곡동, 중앙동, 저전동, 인제동, 남정동, 덕월동)을 지난다.

화순군순천시 구간의 세부적인 경로는 다음과 같다.

이름[28]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신너릿재터널화순군화순읍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770m
하행 연장 760m
중촌 나들목은곡길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교리 나들목화보로
서양로
쌍충로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대리1교대동길
한고을길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
대리2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오성로)
칠충로
대리교 구간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과 중복
화순소방서학포로대리교 구간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화순천교국도 제29호선과 중복
화순 나들목국도 제29호선
(화보로)
다지 교차로광덕로
지실 교차로지실길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백동교
동면
용포 교차로충의로
운농터널연장 1055m
천덕2터널연장 345m
천덕1터널연장 271m
동암 교차로천덕길
구암터널연장 672m
구암 교차로국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모후로)
국도 제1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구암삼거리충의로
복암삼거리지방도 제897호선
(규봉로)
경치리 교차로적벽로이서면
연월 교차로국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동주로)
동복면국도 제15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
동복 교차로지방도 제822호선
(김삿갓로)
동복터널연장 394m
유천 교차로오지호로
운알터널연장 약 945m
순천시주암면
운룡교
주암터미널
주암면 행정복지센터
주암사거리국도 제27호선
(주석로)
국도 제27호선과 중복
광천교
구산삼거리구산강변길
주암초등학교
주암 나들목25호선 호남고속도로
문길삼거리국도 제18호선
국도 제27호선
(송광사길)
국도 제18호선과 중복
국도 제27호선과 중복
순천주암중학교국도 제18호선과 중복
창촌삼거리국도 제18호선
(주목로)
사포교 서단동주로
접치
승주읍
접치삼거리동주로
신두길
신평교
신평 교차로승주로
신전1길
봉곡교
봉곡 교차로승주로
봉곡길
평지 교차로평지길
중대 교차로평지길
승평삼거리승평길
승주 나들목25호선 호남고속도로
승평동길
순천승주중학교
승주초등학교승주로
사현 교차로사현길
서평 교차로지방도 제857호선
(선암사길)
서정 교차로승주로
서정남길
원보교
서평터널연장 398m
용암교
월계교
월계 교차로승주로
수릿재터널연장 922m
서면
대구2구 교차로대구2구길
대구2구교
대구1구교
대구1구 교차로승주로
학구삼거리국도 제17호선
(순천로)
국도 제17호선과 중복
동산삼거리동산길
서순천 나들목10호선 남해고속도로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순천전자고등학교
서면 행정복지센터 입구임촌동길
죽평길
동산초등학교
선평삼거리국도 제17호선
(백강로)
순천제일고등학교삼산동
가곡삼거리강변로
경찰서앞 교차로신용길
조비길
삼산동 행정복지센터
순천대학교
순천북부정류장매곡동
의료원앞 교차로강남로
도서관길
서문성터길
호남길
종점


4. 노선

정읍시 연지사거리에서 시작하여 국도 제29호선과 중복되며 정주지하차도를 거쳐 롯데마트 정읍점까지 이어진다. 롯데마트 정읍점은 벚꽃로와 연결되며, 정읍 나들목지방도 제705호선으로도 연결된다. 이후 정일여자중학교와 농소동주민센터를 지나 주천삼거리에서 국도 제29호선 (영원로)과 다시 만난다. 주동삼거리, 소성사거리, 와석삼거리를 지나 고창군 성내면의 월성 교차로에 이른다.

성내삼거리, 성내교, 동산삼거리를 지나 흥덕교를 건너 흥덕면에 들어선다. 제하사거리에서는 국도 제23호선 (부안로, 선운대로)과 교차하며, 목화 교차로와 (목화교)를 지나 야동 교차로에 이른다. 야동 교차로에서는 하행 진출만 가능하다. 선운산 나들목(서해안고속도로)에서는 고속국도 제15호선과 선운대로로 진입할 수 있다.

봉선교를 지나 덕흥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734호선 (복분자로)과 교차한다. 번영교를 지나 상등 교차로에서는 전봉준로와 만나며, 지방도 제734호선과 연결된다. 상용터널(연장 195m)을 지나 용산1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734호선 (운곡로)과 교차하고, 용산2 교차로와 연결된다. 선운사터널(연장 576m)과 인천강교를 지나 반암 교차로에서 복분자로와 교차한다.

삼인 교차로에서는 선운사로와 연기길이 교차하며, 삼인교를 지나 용선삼거리에서 지방도 제734호선 (인촌로)과 만난다. 심원초등학교, 심원면 행정복지센터, 심원버스정류장, 심원중학교, 도천교를 지나 (도천)에서 도천로와, (신방)에서 고전로와 연결된다. 궁산교를 지나 팔형치사거리에서는 국도 제77호선 (동호로)과 교차한다.

궁산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동서대로)과 교차하며, 왕거삼거리, 방축삼거리, 지로사거리를 거친다. 지로사거리에서는 지방도 제733호선 (나성로)과 만난다. (송곡마을)을 지나 검산삼거리에서 상하로와 검산길이 교차하고, 상하터미널을 거쳐 신사거리에서 상하1길과 만난다. 상하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733호선 (진암구시포로)과 교차하며, 용덕삼거리와 용대삼거리를 지나 (마래주유소)에 이른다.

구암교, 고창 무장동학농민혁명 기포지, 개갑순교성지를 지나 공음삼거리와 신평삼거리를 거친다.

4. 1. 전북특별자치도 구간

전북특별자치도한국어 구간은 정읍시고창군을 지난다.

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연지사거리지방도 제701호선 (서부산업도로)정읍시 연지동기점
국도 제29호선과 중복
정주지하차도정읍시 연지동국도 제29호선과 중복
롯데마트 정읍점벚꽃로정읍시 농소동국도 제29호선과 중복
정읍 나들목과 연결
지방도 제705호선과 연결
정일여자중학교
농소동주민센터
정읍시 농소동국도 제29호선과 중복
주천삼거리국도 제29호선 (영원로)정읍시 농소동국도 제29호선과 중복
주동삼거리저동길정읍시 소성면
소성사거리보화1길
춘수1길
정읍시 소성면
와석삼거리보화1길정읍시 소성면
월성 교차로둥둥바우길
외토길
고창군 성내면
성내삼거리시기1길고창군 성내면
성내교고창군 성내면
동산삼거리시기1길고창군 성내면
흥덕교고창군 흥덕면
제하사거리국도 제23호선 (부안로), 선운대로, 제하길고창군 흥덕면국도 제23호선과 중복
목화 교차로흥덕로고창군 흥덕면
(목화교)국도 제23호선 (고인돌대로)고창군 흥덕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야동 교차로선운대로고창군 흥덕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하행 진출만 가능
선운산 나들목
(석교 교차로)
서해안고속도로(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선운대로고창군 흥덕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봉선교고창군 부안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덕흥 교차로지방도 제734호선 (복분자로)고창군 부안면
번영교고창군 부안면
상등 교차로전봉준로고창군 부안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연결
상용터널고창군 부안면연장 195m
용산1 교차로지방도 제734호선 (운곡로)고창군 부안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용산2 교차로와 연결
선운사터널고창군 부안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연장 576m
인천강교고창군 아산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반암 교차로복분자로고창군 아산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삼인 교차로선운사로, 연기길고창군 아산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삼인교고창군 아산면지방도 제734호선과 중복
용선삼거리지방도 제734호선 (인촌로)고창군 심원면
심원초등학교, 심원면 행정복지센터, 심원버스정류장, 심원중학교, 도천교고창군 심원면
(도천)도천로고창군 심원면
(신방)고전로고창군 심원면
궁산교고창군 해리면
팔형치사거리국도 제77호선 (동호로), 금평길고창군 해리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궁산교
궁산 교차로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동서대로)고창군 해리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왕거삼거리왕촌화산길고창군 해리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방축삼거리사반로고창군 해리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로사거리지방도 제733호선 (나성로)고창군 해리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송곡마을)송림산로고창군 상하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검산삼거리상하로, 검산길고창군 상하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상하터미널고창군 상하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신사거리상하1길고창군 상하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상하 교차로지방도 제733호선 (진암구시포로)고창군 상하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733호선과 중복
용덕삼거리상하로고창군 상하면국도 제77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용대삼거리국도 제77호선 (샘목로)고창군 상하면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마래주유소)단덕로, 마래길고창군 공음면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구암교
고창 무장동학농민혁명 기포지
개갑순교성지
고창군 공음면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공음삼거리참나무정1길고창군 공음면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신평삼거리공음길고창군 공음면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과 중복


5. 도로명

국도 제22호선은 여러 구간으로 나뉘며, 각 구간은 고유한 도로명을 가지고 있다.

자세한 구간별 도로명은 다음과 같다.

5. 1. 전북특별자치도

5. 2.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북)

구간시점종점비고
용덕로영광군 법성면 용덕리영광군 법성면 성재 교차로
영광로영광군 법성면 성재 교차로함평군 월야면 외치리
화보로화순군 화순읍 너릿재터널화순군 화순읍 화순 나들목
화순로화순군 화순읍 화순 나들목화순군 동면 구암 교차로
충의로화순군 동면 구암 교차로화순군 동면 구암삼거리
동주로화순군 동면 구암삼거리순천시 주암면 사포교 서단
접치길순천시 주암면 사포교 서단순천시 승주읍 접치삼거리
승주로순천시 승주읍 접치삼거리순천시 승주읍 신평 교차로
봉덕로순천시 승주읍 신평 교차로순천시 승주읍 봉곡 교차로
승주로순천시 승주읍 봉곡 교차로순천시 승주읍 승주초등학교
충의공로순천시 승주읍 승주초등학교순천시 서면 대구1구 교차로
승주로순천시 서면 대구1구 교차로순천시 서면 학구삼거리
순천로순천시 서면 학구삼거리순천시 서면 선평삼거리
중앙로순천시 서면 선평삼거리순천시 중앙동 중앙사거리


5. 3.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에서 지평 교차로까지는 영광로를, 지평 교차로부터 송정지하차도 남단까지는 어등대로를 이용한다. 송정지하차도 남단에서 서구 농성역(농성 교차로)까지는 상무대로를, 농성역(농성 교차로)에서 동구 남광주 교차로까지는 대남대로를, 남광주 교차로에서 너릿재터널까지는 남문로를 이용한다.

5. 4.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남)

영광군 법성면 용덕리에서 성재 교차로까지는 용덕로 구간이며, 성재 교차로에서 함평군 월야면 외치리까지는 영광로 구간이다.[1]

화순군에서는 너릿재터널에서 화순 나들목까지 화보로를 지나고, 화순 나들목에서 동면 구암 교차로까지 화순로를 지난다. 구암 교차로에서 구암삼거리까지는 충의로이며, 구암삼거리에서 순천시 주암면 사포교 서단까지는 동주로를 거친다.[1]

순천시 구간은 다음과 같다.[1]

참조

[1]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2]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3]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4]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5] 문서 Intersection and interchange are also included, as well as buildings and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
[6] 법률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7] 법률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1-03-14
[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1호 http://theme.archive[...] 1981-05-30
[9] 간행물 광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2호 http://theme.archive[...] 1981-08-17
[10] 법률 대통령령 제11899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6-05-13
[11] 뉴스 순천 주암면소재지 우회도로 개설 시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11-15
[12]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149호 http://theme.archive[...] 1997-08-02
[1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1호 http://theme.archive[...] 2000-02-16
[1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06호 http://gwanbo.mois.g[...] 2001-01-06
[1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3-3호 http://gwanbo.mois.g[...] 2003-01-11
[17] 뉴스 화순읍~동면 확장 개통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04-04-26
[18] 보도자료 전남 동면-용포, 남면우회 10월말 준공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05-10-27
[1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70호 http://www.jeonnam.g[...] 2006-05-04
[20]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60호 http://www.jeonnam.g[...] 2007-05-25
[2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78호 http://www.jeonbuk.g[...] 2007-06-30
[2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20호 http://www.jeonnam.g[...] 2007-09-05
[23] 뉴스 영광-광주 구간 국도 22호선 10년만에 개통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7-09-07
[24] 보도자료 광주~화순 광역도로 전면 개통 ... 통행시간 20분 단축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2013-10-24
[2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59호 http://gwanbo.mois.g[...] 2014-11-20
[2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2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7-188호 http://gwanbo.mois.g[...] 2017-11-14
[28]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