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대운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1642년 진사가 되고 1649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정언이 되었다. 이후 여러 청요직을 거쳐 승지에 이르렀으며, 평안도 관찰사, 대사간, 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예송 논쟁과 갑인환국 이후 숙종 대에 예조판서, 병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보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좌의정으로 승진했으나 경신대출척으로 파직, 유배되었고, 기사환국으로 복귀하여 영의정에까지 올랐으나 갑술환국으로 다시 파직되었다. 이후 무고의 옥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가 사후 복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탁남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탁남 - 허적
조선 중기 문신 허적은 예송논쟁의 남인 주요 논객이자 탁남 영수로,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당쟁과 정치적 음모로 처형 후 복권되었으며, 평안도 관찰사 시절 대동법 확대에 기여했으나 허목과의 갈등과 천막 남용 사건으로 몰락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1699년 사망 - 경민황귀비
경민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옹친왕 인상의 생모이며, 비빈으로 총애를 받아 윤상 등 자녀를 낳고 사망 후 민비로 추증, 아들 윤상의 공헌으로 황귀비로 추봉, 최종적으로 경민황귀비로 추존되어 경릉에 합장되었으나, 출생년도, 입궁 시기, 가족 배경 등은 상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 1699년 사망 - 크리스티안 5세
크리스티안 5세는 1670년부터 1699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절대왕정 강화, 《단스케 로브》 발포, 스코네 전쟁 참여, 과학 발전 기여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윤휴 - 경신환국
경신환국은 1680년 숙종 때 서인이 유악 사건과 삼복의 변을 계기로 남인을 몰아내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서인이 요직을 차지하며 조선 정계가 서인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 윤휴 - 권시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는 효종 때 공조좌랑으로 등용되어 승정원 승지,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상복 문제 당쟁으로 파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고 사후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 도산서원에 배향되었다.
권대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권대운 |
원어명 | 權大運 |
출생일 | 1612년 |
사망일 | 1699년 (향년 88세)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우씨 부인 |
자녀 | 권위(장남) 권규(차남) |
부모 | 권근중(부) |
친인척 | 권상(증조부) 권협(친조부) 이유혼(외조부) 우정(장인) 이덕주(사돈) 권중경(친손)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649년 별시문과 을과 급제 |
경력 | 문신, 사상가, 작가, 시인, 학자, 정치가 |
정치 활동 | |
정당 | 남인 잔존 후예 탁남 세력 |
관직 | |
군주 | 조선 숙종 이돈 |
임기 (우의정) | 1675년 2월 18일 ~ 1675년 6월 23일 |
직책 | 우의정 |
군주 (좌의정) | 조선 숙종 이돈 |
임기 (좌의정) | 1675년 6월 5일 ~ 1679년 6월 17일 |
직책 | 좌의정 |
군주 (영의정) | 조선 숙종 이돈 |
임기 (영의정) | 1689년 2월 10일 ~ 1694년 4월 1일 |
직책 | 영의정 |
2. 생애
1666년 평안도 관찰사를 거쳐 대사간, 함경도 관찰사를 역임했다. 1670년 호조판서로 발탁된 후 형조판서, 도승지를 거쳐 우참찬이 되고 판의금부사, 한성부판윤을 겸임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1642년 진사가 되고, 1649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이 되었다. 이후 지평, 헌납, 장령, 감찰, 이조정랑, 응교, 사간 등의 청요직을 거쳐 승지가 되었다. 그 뒤 형조참의, 병조참의, 예조참의와 좌승지를 거쳐 한성부우윤, 형조참판, 개성유수 등을 역임했다.2. 2. 예송 논쟁과 남인 옹호
1674년 2차 예송 논쟁으로 갑인환국이 단행되자 중앙으로 복귀하였다. 숙종이 즉위하자 예조판서를 거쳐 병조판서가 되었다. 그러나 송시열을 처형할 것을 주장한 허목, 윤휴에 반대하여 허적과 함께 탁남의 지도자가 되었다.2. 3. 숙종 대 정치 활동과 탁남 영수
1674년 갑인예송으로 갑인환국이 단행되자 중앙으로 복귀하였다. 숙종이 즉위하자 예조판서를 거쳐 병조판서가 되었다. 그러나 송시열을 처형할 것을 주장한 허목, 윤휴에 반대하여 허적과 함께 탁남의 지도자가 되었다. 이어 우의정으로 승진했다가 1680년(숙종 6년) 보사원종공신 1등(保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경신대출척으로 파직되고 판중추부사로 좌천, 영일에 위리안치되었다. 1689년 남인이 집권하자 복귀하여 영중추부사를 거쳐 1690년 영의정이 되었다. 궤장을 하사받고 기로소에 들어갔다.
2. 4. 경신대출척과 유배
1680년(숙종 6년) 좌의정으로 승진했으나 경신대출척으로 파직되었다. 허목, 윤휴 등이 송시열을 처형할 것을 주장하는 것에 반대하여 허적과 함께 탁남의 지도자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판중추부사로 좌천되었고, 경상북도 영일에 위리안치되었다.2. 5. 기사환국과 복권, 영의정 임명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면서 권대운은 복권되어 영중추부사를 거쳤다. 1690년 영의정에 임명되었고, 궤장을 하사받고 기로소에 들어갔다. 그러나 1694년 갑술환국으로 파직되어 절도에 안치되었다가 귀향하였다.2. 6. 갑술환국과 유배, 사망
1694년 갑술환국으로 남인이 실각하면서, 권대운은 파직되었다. 이후 절도에 안치되었다가 고향으로 돌아갔다. 1697년 복권되었으나, 1701년 무고의 옥으로 관작을 추탈당했다. 1795년 10월 남인 인사들이 복권될 때 함께 복권되었다.2. 7. 사후 복권과 평가
1697년 정조 대에 이르러 남인이 복권되면서 권대운도 복권되었으나, 1701년 무고의 옥에 연루되어 관작을 추탈당했다. 1795년 10월 다시 복권되었다.권대운은 조선 후기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침을 겪은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허목, 윤휴 등 강경파에 맞서 허적과 함께 온건한 입장을 견지하며, 때로는 소신 있는 정치가로서의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당쟁의 희생양이 되어 유배와 복권을 반복하는 불운한 삶을 살았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증조부 | 권상(權常) |
조부 | 권협(權悏) |
부친 | 권근중(權謹中) |
모친 | 이유혼(李幼渾)의 딸 |
배우자 | 단양 우씨 (우정(禹鼎)의 딸) |
장남 | 권위(權瑋) |
자부 | 이덕주의 딸 |
손자 | 권중경(權重經) |
차남 | 권규(權珪, 1648년 ~ 1722년) |
4. 권대운이 등장하는 작품
權大運|권대운중국어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장희빈 (1995년, SBS): 이정웅이 권대운 역을 연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