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환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환법은 1950년 이스라엘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법으로, 모든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가질 권리를 보장한다. 이 법은 유대인의 정의, 귀환 권리의 범위, 시민권 거부 사유 등을 규정하며, 1970년 개정을 통해 유대인의 자녀, 손자, 배우자 등 비유대인에게도 귀환 권리를 확대했다. 귀환법은 이스라엘 사회 내에서 유대인의 정의와 관련하여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와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한다. 2021년 기준으로 1948년 독립 이후 334만 명 이상의 유대인이 이 법에 따라 이스라엘로 이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국제 관계 - 쉬망 선언
쉬망 선언은 1950년 로베르 쉬망이 제안한 공동 성명으로, 프랑스와 독일의 석탄 및 철강 생산을 공동 관리하여 유럽 통합의 기반을 마련하고 유럽을 정치적 실체로 탄생시켜 회원국 간 전쟁을 불가능하게 만들고자 했으며,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창설의 계기가 되어 유럽 연합의 전신이 되었다. - 1950년 법 - 국방물자생산법
국방물자생산법은 1950년 한국 전쟁 대응을 위해 제정되어 대통령에게 국가 안보 물자 생산 통제 및 우선순위 부여 권한을 부여하며, 기술 혁신 지원, 에너지 자원 확보, 자금 지원,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의 자원 확보 및 생산 확대를 위해 발동된다. - 1950년 법 - 유엔 총회 결의 제377호
유엔 총회 결의 제377호는 '평화를 위한 결집' 결의로도 불리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국제 평화와 안전 유지에 실패할 경우 유엔 총회가 소집되어 권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결의안이다. - 이스라엘의 정치 - 2011년 이스라엘 국경 시위
2011년 이스라엘 국경 시위는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팔레스타인 난민의 날에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권을 요구하며 이스라엘 국경 인근 여러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시위로, 이스라엘 군과 시위대 간의 충돌로 사상자가 발생하고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다. - 이스라엘의 정치 - 이스라엘 공산당
이스라엘 공산당은 1948년 창당된 이스라엘의 공산주의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며 반시오니즘 운동, 영토 확장 반대, 팔레스타인과의 평화 공존을 추구하고 크네세트 내에서 아랍계 정당들과 협력하여 이스라엘 정부를 비판한다.
귀환법 | |
---|---|
개요 | |
유형 | 이스라엘 법 |
제정 | 1950년 7월 5일 |
시행 | 1950년 7월 5일 |
관련 법률 | 시민권법 외국인 출입국법 |
내용 | |
목적 |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시민권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 |
주요 내용 | "유대인"은 이 법에 따라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시민권을 얻을 권리가 있음. "유대인"의 정의는 할라카가 아닌 세속적인 기준으로 판단 (1970년 개정). 유대인의 배우자, 자녀, 손자, 배우자의 배우자, 배우자의 자녀, 배우자의 손자도 이민 권리 보유. 특정 범죄 경력이 있는 사람, 이스라엘의 안보를 위협하는 사람, 유대인에 대한 위험이 있는 사람은 이민이 거부될 수 있음. |
역사 | |
배경 | 시오니즘 운동의 이상 제2차 세계 대전 중 홀로코스트로 인한 유대인 박해 이스라엘 건국 이후 유대인 국가 건설의 필요성 |
제정 과정 | 이스라엘 의회 (크네세트)에서 만장일치로 통과 |
주요 개정 | 1970년: "유대인"의 정의 확대 (세속적 기준 도입) |
논란 및 비판 | |
차별 논란 | 비유대인에 대한 차별 (특히 팔레스타인 난민의 귀환 거부) |
정의 문제 | "유대인"의 정의에 대한 논쟁 (특히 종교적 정의와 세속적 정의의 차이) |
사회적 영향 | 이스라엘 사회의 정체성 문제 유대인 공동체 내부의 갈등 |
참고 | |
관련 항목 | 알리야 시오니즘 이스라엘 시민권 팔레스타인 난민 |
외부 링크 | The Law of Return - Jewish Virtual Library Law of Return 5710-1950 - Full text |
2. 역사
귀환법은 1950년 제정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되었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총리 | 주요 내용 |
---|---|---|
1950년 | 다비드 벤구리온 | 귀환법 제정. 주요 내용은 제1조(귀환의 권리), 제2조(이민 비자), 제3조(이민 증명서), 제4조(주민 및 신생아), 제5조(실시 및 규정) 등이다. |
1954년 | 모셰 샤레트 | 제2조에 "범죄 경력이 있는 인물"의 제외를 추가하는 등 일부 개정. |
1970년 | 골다 메이어 | 귀환법에서의 유대인 정의를 "유대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자, 또는 유대교로 개종하고 다른 종교를 일절 믿지 않는 자"로 추가하고, 귀환 권리 적용 대상을 유대인의 자녀 및 손자, 그 배우자까지 확대하는 등 대폭 개정. |
1970년 개정 이후 귀환법은 유대인의 자녀 및 손자, 유대인의 배우자, 유대인의 자녀 및 손자의 배우자에게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다만, 자발적으로 종교를 바꾼 유대인은 제외된다.
2021년 기준으로 1948년 독립 이후 334만 명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왔으며,[15] 이 법에 따라 수십만 명의 비유대인이 이스라엘 시민권을 받았다.[16]
2. 1. 제정 배경



귀환법은 1950년 7월 5일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세트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4] 이 날짜는 시온주의 선구자인 테오도어 헤르츨의 사망 기념일에 맞춰 선택되었다.[5] 귀환법은 "모든 유대인은 올레로서 이 나라에 올 권리를 가진다"라고 선언했다.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다비드 벤구리온은 크네세트에서 한 선언을 통해 이 법이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유대인이 이미 가지고 있는 권리를 재확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6] 그는 "이 법은 국외에 거주하는 유대인에게 정착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유대인이라는 사실 자체에서 이 권리가 그에게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 국가는 디아스포라의 유대인에게 귀환의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다. 이 권리는 국가보다 앞선다. 이 권리는 국가를 건설한다. 이 권리의 근원은 유대 민족과 조국 간의 역사적이고 끊임없는 연결에서 찾아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민 문제에 관한 후속 입법은 1952년 이스라엘 국적법에 포함되었다.
원래 귀환법에 따른 권리는 유대인에게만 적용되었다.[7] 그러나 '유대인이 누구인가'에 대한 입법자들의 합의 부재로 인해, 이 법은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결되도록 했다. 그 결과, 이 법은 사실상 전통적인 할라카 정의에 의존했다. 그러나 법의 목적상 유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의가 부재하여, 인정을 놓고 경쟁하는 다양한 유대교 분파의 상반된 견해를 낳았다.
귀환법에 따라 이스라엘로 이민하는 사람들은 즉시 이스라엘 시민권을 가질 자격이 있다. 그러나 귀환법에 따라 시민권을 주장하는 사람이 인구 조사 목적으로 자동으로 '유대인'으로 등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 할라카 정의에 따르면, 어머니가 유대인이거나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은 유대인이다. 정통 유대교는 개혁 유대교나 보수 유대교에 의해 수행된 개종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법은 소속에 관계없이 모든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주장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2. 2. 법 개정
귀환법은 1970년에 개정되어 일부 비유대인에게도 귀환 권리를 확대했다.[8][9] 개정안 제2조 4a항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이 법에 따른 유대인의 권리와 국적법, 5712-1952에 따른
1970년 이후 이 법은 다음 그룹에 적용된다.
- 정통파의 해석에 따라 유대인으로 태어난 사람(유대인 어머니 또는 외할머니를 둔 사람).
- 유대인 혈통을 가진 사람(유대인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를 둔 사람).
- 정통 유대교, 개혁 유대교, 보수 유대교 종파에서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단, 개혁 유대교와 보수 유대교의 개종은 시민 결혼과 마찬가지로 국가 밖에서 이루어져야 함).
다른 종교로 개종한 유대인은 할라카에 따르면 여전히 유대인이지만, 귀환법에 따라 이민 자격은 없다.
1970년 개정안은 "유대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유발되었다. 그 전까지 법에는 이 질문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이처럼 포괄적인 결정을 내린 데에는 몇 가지 설명이 있다. 그중 하나는 뉘른베르크법이 "유대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정의에 ''할라카''적 정의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민권 자격에 대한 귀환법의 정의도 ''할라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명은 정부의 반유대주의 캠페인에 따른 1968년 폴란드로부터의 이민 물결이었다. 이 이민자들은 매우 동화되었고 많은 비유대인 가족 구성원을 가지고 있었다.[11]
두 번째 설명은 아랍 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 통계학적 위협"을 상쇄하기 위해 이민 수준을 높이기 위해 이스라엘로 이민 자격을 갖춘 그룹의 기반을 확대했다는 것이다.[12]
세 번째 설명은 종교적 유대인들이 내세운 것으로, 이스라엘의 압도적으로 세속적인 지도부가 더 많은 세속 유대인과 그들의 비유대인 배우자가 이민을 오도록 허용함으로써 이스라엘 정치 및 사회에서 종교적 요소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는 것이다.[13]
이스라엘 랍비교는 "유대인은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데 훨씬 더 엄격한 순수한 정통파 기관이다. 이로 인해 귀환법의 기준에 따라 시민권을 받을 자격이 있는 수천 명의 이민자가 이스라엘 랍비교에 의해 유대인 결혼 자격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14]
2021년 기준으로 1948년 독립 이후 3,340,000명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왔다.[15] 할라카의 정통 유대교 해석에 따라 유대인 신분을 갖지 않은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이스라엘 시민권을 받았다. 이 법은 유대인의 모든 자녀(손자 포함)와 그 배우자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기 때문이다.[16]
연도 | 총리 | 주요 내용 |
---|---|---|
1950년 | 다비드 벤구리온 | 제1조(귀환의 권리), 제2조(이민 비자), 제3조(이민 증명서), 제4조(주민 및 신생아), 제5조(실시 및 규정)로 구성. |
1954년 | 모셰 샤레트 | 제2조에 "범죄 경력이 있는 인물"의 제외를 추가하는 등 일부 개정. |
1970년 | 골다 메이어 | 제4조에 "유대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자, 또는 유대교로 개종하고 다른 종교를 일절 믿지 않는 자"라는 귀환법에서의 유대인 정의를 추가하는 등 대폭 개정. |
크네세트에서 1950년에 통과된 귀환법은 모든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할 권리를 명시한다. 이는 다비드 벤구리온의 주장처럼, 유대인이 이미 가지고 있는 권리를 재확인하는 것이다.
3. 주요 내용
1970년 개정 전까지 '유대인'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었으나, 이후 개정을 통해 유대인 혈통(부모 또는 조부모)을 가진 사람과 정통 유대교, 개혁 유대교, 보수 유대교를 통해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도 포함되었다. 단, 다른 종교로 개종한 유대인은 이민 자격이 없다.
1970년 개정으로 유대인의 자녀, 손자, 배우자, 그리고 그들의 배우자까지 귀환 권리가 확대되었다. 이는 뉘른베르크법의 정의, 1968년 폴란드 이민 물결, 아랍 인구 증가로 인한 인구 통계학적 위협 등 여러 요인에 의한 것이었다.
귀환법에 따라 이스라엘에 온 유대인과 그 가족은 즉시 시민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안보나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되는 경우 등에는 시민권이 거부될 수 있다. 로버트 소블렌, 메이어 랜스키, 오스왈드 루페이젠 등의 사례가 있다.
귀환법은 '유대인'의 정의, 종교적 요소의 영향력, 개종 문제 등 여러 논쟁을 야기해왔다. 이스라엘 대법원은 이스라엘 외부에서 이루어진 개종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3. 1. 귀환 권리
귀환법은 1950년 7월 5일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세트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4] 이 날짜는 시온주의 선구자인 테오도어 헤르츨의 사망 기념일에 맞춰 선택되었다.[5] 귀환법은 "모든 유대인은 올레로서 이 나라에 올 권리를 가진다."라고 선언했다.
당시 이스라엘 총리였던 다비드 벤구리온은 크네세트에서 이 법이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유대인이 이미 가지고 있는 권리를 재확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6] 그는 "이 법은 국외에 거주하는 유대인에게 정착할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유대인이라는 사실 자체에서 이 권리가 그에게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것이다...이 권리의 근원은 유대 민족과 조국 간의 역사적이고 끊임없는 연결에서 찾아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민 문제에 관한 후속 입법은 1952년 이스라엘 국적법에 포함되었다.
원래 귀환법에 따른 권리는 유대인에게만 적용되었다.[7] 그러나 "유대인이 누구인가"에 대한 입법자들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 법은 이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결되도록 했다. 그 결과, 이 법은 사실상 전통적인 할라카 정의에 의존했다. 그러나 법의 목적상 유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의가 없어, 인정을 놓고 경쟁하는 다양한 유대교 분파의 상반된 견해를 낳았다.
귀환법에 따라 이스라엘로 이민하는 사람들은 즉시 이스라엘 시민권을 가질 자격이 있다. 그러나 귀환법에 따라 시민권을 주장하는 사람이 인구 조사 목적으로 자동적으로 "유대인"으로 등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었다. 할라카 정의에 따르면, 어머니가 유대인이거나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은 유대인이다. 정통 유대교는 개혁 유대교나 보수 유대교에 의해 수행된 개종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법은 소속에 관계없이 모든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주장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1970년 귀환법은 개정되어 일부 비유대인에게도 귀환 권리를 확대했다.[8][9] 개정안 2조 4a항은 다음과 같다.
> 이 법에 따른 유대인의 권리와 1952년 이스라엘 국적법에 따른 올레(이민자)의 권리, 그리고 다른 법률에 따른 올레의 권리는 유대인의 자녀 및 손자, 유대인의 배우자, 유대인의 자녀의 배우자 및 유대인의 손자의 배우자에게도 부여된다. 단, 자발적으로 종교를 바꾼 유대인이었던 사람은 제외한다.
1970년 이후 이 법은 다음 그룹에 적용된다.
다른 종교로 개종한 유대인은 할라카에 따르면 여전히 유대인이지만, 귀환법에 따라 이민 자격은 없다.
1970년 개정안은 "유대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유발되었다. 그 전까지 법에는 이 질문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이처럼 포괄적인 결정을 내린 데에는 몇 가지 설명이 있다. 그중 하나는 뉘른베르크법이 "유대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정의에 ''할라카''적 정의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민권 자격에 대한 귀환법의 정의도 ''할라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명은 정부의 반유대주의 캠페인에 따른 1968년 폴란드로부터의 이민 물결이었다. 이 이민자들은 매우 동화되었고 많은 비유대인 가족 구성원을 가지고 있었다.[11]
두 번째 설명은 아랍 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 통계학적 위협"을 상쇄하기 위해 이민 수준을 높이고자 이스라엘로 이민 자격을 갖춘 그룹의 기반을 확대했다는 것이다.[12]
세 번째 설명은 종교적 유대인들이 내세운 것으로, 이스라엘의 압도적으로 세속적인 지도부가 더 많은 세속 유대인과 그들의 비유대인 배우자가 이민을 오도록 허용함으로써 이스라엘 정치 및 사회에서 종교적 요소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는 것이다.[13]
이스라엘 랍비교는 "유대인은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데 훨씬 더 엄격한 순수한 정통파 기관이다. 이로 인해 귀환법의 기준에 따라 시민권을 받을 자격이 있는 수천 명의 이민자가 이스라엘 랍비교에 의해 유대인 결혼 자격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14]
2021년 기준으로 1948년 독립 이후 3,340,000명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민을 왔다.[15] 할라카의 정통 유대교 해석에 따라 유대인 신분을 갖지 않은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이스라엘 시민권을 받았다. 이 법은 유대인의 모든 자녀(손자 포함)와 그 배우자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기 때문이다.[16]
귀환법 지지자들은 이 법이 많은 유럽 국가들의 법과 매우 유사하며, 이들 국가 역시 민족적 요소를 사용한다고 말한다.[33][34]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에티오피아에서 온 이민 계획이었던 1985년의 모세 작전과 1991년의 솔로몬 작전도 귀환법에 따른 것이었다.
1950년 이후 273만 4245명 이상의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귀환했다.[50] 귀환법은 유대인(손자 포함)의 모든 후손에게 국적을 부여하도록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수십만 명의 비유대인도 이스라엘 시민권을 얻었다고 한다.[51]
3. 2. 유대인의 정의
귀환법은 1950년 7월 5일 이스라엘 의회인 크네세트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다.[4] 이 날짜는 시온주의 선구자인 테오도어 헤르츨의 사망 기념일에 맞춰 선택되었다.[5]
원래 귀환법에 따른 권리는 유대인에게만 적용되었다.[7] 그러나 "유대인이 누구인가"에 대한 입법자들의 합의가 없어, 이 법은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문제 자체가 해결되도록 했다. 그 결과, 이 법은 사실상 전통적인 할라카 정의에 의존했다. 그러나 법의 목적상 유대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의가 없어, 인정을 놓고 경쟁하는 다양한 유대교 분파의 상반된 견해를 낳았다.
귀환법에 따라 이스라엘로 이민하는 사람들은 즉시 이스라엘 시민권을 가질 자격이 있다. 그러나 귀환법에 따라 시민권을 주장하는 사람이 인구 조사 목적으로 자동으로 "유대인"으로 등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 할라카 정의에 따르면, 어머니가 유대인이거나 유대교로 개종한 사람은 유대인이다. 정통 유대교는 개혁 유대교나 보수 유대교에 의해 수행된 개종을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법은 소속에 관계없이 모든 유대인이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시민권을 주장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귀환법은 1970년에 개정되어 일부 비유대인에게도 귀환 권리를 확대했다.[8][9] 1970년 이후 이 법은 다음 그룹에 적용된다.
다른 종교로 개종한 유대인은 할라카에 따르면 여전히 유대인이지만, 귀환법에 따라 이민 자격이 없다.
1970년 개정안은 "유대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논쟁으로 인해 유발되었다. 그 전까지 법에는 이 질문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 이처럼 포괄적인 결정을 내린 데에는 몇 가지 설명이 있다. 그중 하나는 뉘른베르크법이 "유대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정의에 ''할라카''적 정의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민권 자격에 대한 귀환법의 정의도 ''할라카''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명은 정부의 반유대주의 캠페인에 따른 1968년 폴란드로부터의 이민 물결이었다. 이 이민자들은 매우 동화되었고 많은 비유대인 가족 구성원을 가지고 있었다.[11]
아랍 인구의 증가로 인한 "인구 통계학적 위협"을 상쇄하기 위해 이민 수준을 높여 이스라엘로 이민 자격을 갖춘 그룹의 기반을 확대했다는 설명도 있다.[12]
종교적 유대인들이 내세운 세 번째 설명은, 이스라엘의 압도적으로 세속적인 지도부가 더 많은 세속 유대인과 그들의 비유대인 배우자가 이민을 오도록 허용함으로써 이스라엘 정치 및 사회에서 종교적 요소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 했다는 것이다.[13]
이스라엘 랍비교는 "유대인은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데 훨씬 더 엄격한 순수한 정통파 기관이다. 이로 인해 귀환법의 기준에 따라 시민권을 받을 자격이 있는 수천 명의 이민자가 이스라엘 랍비교에 의해 유대인 결혼 자격을 얻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14]
이민 및 시민권의 목적으로 유대교 개종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권한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것은 핵심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역사적인 이유로, 이스라엘 최고 랍비, 이스라엘 종교부 산하에서 이 결정을 내렸지만, 이 조항은 논란의 대상이다. 이러한 관행은 이스라엘 내부 및 디아스포라 내의 비정통파 종교 지도자들 사이에서 반대에 직면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며, 가장 최근의 시도는 네만 위원회(Ne'eman Commission)였지만, 교착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2005년 3월 31일, 이스라엘 대법원은 7대 4로 이스라엘 외부에서 수행된 모든 개종은, 단일 기관이 이민 자격을 결정해야 한다는 네만 위원회의 견해에도 불구하고, 귀환법에 따라 당국에 의해 인정될 것이라고 판결했다. 법원은 이미 1989년에 이스라엘 밖에서 수행된 개종은 (정통파, 보수파 또는 개혁파 여부에 관계없이) 귀환법에 유효하다고 판결했다. 2005년 판결은 이를 확대하여, 개인들이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동안 개종 준비 작업을 수행했더라도 해외 개종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판결했다.[47]
3. 3. 귀환 권리의 확대
1970년, 귀환법은 개정되어 일부 비유대인에게도 귀환 권리가 확대되었다.[8][9] 개정안 2조 4a항은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이 법에 따른 유대인의 권리와 국적법, 5712-1952에 따른 이 법에 따른 유대인의 권리와 국적법, 5712-1952에 따른
3. 4. 시민권 거부
귀환법 제2(b)조는 내무부 장관에게 여러 가지 이유로 귀환법에 따른 이스라엘 시민권을 거부할 권한을 부여한다. 시민권이 거부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17]
이 조항은 이스라엘 건국 이후 소수의 신청자를 배제하는 데 사용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62년, 폴란드계 유대인으로 태어나 나중에 가톨릭으로 개종한 오스왈드 루페이젠의 사건이 이스라엘 대법원에 제기되었다. 대법원은 "배교자가 유대인에 속한다고 간주할 수 없다"고 결정했다.[18]
2024년, 이스라엘 시민권 신청 절차를 밟고 있던 유대계 영국인 레오 프랭크스는 내무부로부터 시민권 신청이 중단되고 추방 명령을 받았다. 이는 그가 예루살렘에서 반전 시위에서 체포된 후, 서안 지구에서 두 번 구금된 후에 이루어졌으며, 한 번은 팔레스타인 양치기를 동행했을 때, 다른 한 번은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정착민 폭력을 촬영"했을 때였다. 프랭크스는 자신의 추방과 시민권 거부를 귀환법의 변화로 해석하며, 유대 텔레그래픽 에이전시에 "법원은 내무부에 그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이스라엘에서 누가 유대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유를 부여했다"고 말했다.[19] 이스라엘 신문 하레츠의 영어 및 히브리어 판의 사설은 프랭크스 사건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해 동일한 주장을 펼치며, 영어판 사설 제목을 "오늘날 점점 더 비민주적인 이스라엘에서는 우익 유대인만이 알리야를 할 수 있다"로 정했다.[20]
귀환법에 따른 시민권 부여는 그 사람이 다른 국가와의 범죄인 인도 조약에 따라 해당 국가로 다시 범죄인 인도되는 것을 막지 못한다.
4. 논쟁
귀환법은 이스라엘 건국 이념의 핵심 요소이지만, 여러 논쟁에 직면해 왔다.
이스라엘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유대인 이민을 지속하는 것에 대한 강력한 지지가 있다. 퓨 리서치 센터의 2016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대인의 98%가 유대인 이민을 허용하는 법률 유지를 원했다.[41] 그러나 일부는 이 법이 너무 많은 비유대인의 입국을 허용하여 그 목적을 훼손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42]
반면, 이스라엘 아랍인들 사이에서는 이 법에 대한 지지가 훨씬 낮다. 2017년 하이파 대학교 사회학자 새미 스무하의 여론 조사에 따르면, 25.2%만이 귀환법을 '수용'했으며, 이는 2015년의 39%에서 감소한 수치이다.[43]
2007년 9월, 페타 티크바에서 구 소련 출신 십 대 이민자들로 구성된 폭력적인 네오 나치 세포 (패트롤 36)가 발견되면서, 정치인들 사이에서 귀환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졌다.[44] 국민 종교당과 국민 연합(이스라엘)의 에피 에이탐은 이스라엘이 "이스라엘을 증오하고, 유대인을 증오하며, 이러한 증오를 행동에 옮기기 위해 귀환법을 악용하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되었다고 말했다.[45] 아랍 연합 리스트와 타알의 국회의원 아흐메드 티비는 이 시스템의 이중 잣대를 비판하며, "사람들은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귀환법에 따라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얻었지만, 나자렛과 타이베의 시민들은 단지 그들이 아랍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친척들을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45]
여론 조사에 참여한 이스라엘인 중 37%는 새로운 이민자에 대한 더 깊은 신원 조회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국가 출신의 유대인에 대한 인종 차별이라고 말했다.[46]
4. 1. 메시아닉 유대교
이스라엘 대법원은 1989년에 메시아닉 유대교가 기독교의 다른 종교에 해당하며, 메시아닉 유대교도가 된 사람들은 귀환법에 따라 알리야를 받을 자격이 없다고 판결했다.[21]2008년 4월 16일, 대법원은 유대인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둔 여러 사람이 메시아닉 유대교도라는 이유로 시민권 신청이 거부된 사건에서 판결을 내렸다. 신청인들은 할라카에 따르면 자신들은 결코 유대인이 아니었으며, 따라서 개종 조항에 의해 배제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판결에서 받아들여졌으며,[22][23] 정부는 그들의 신청을 재처리하는 데 동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시아닉 유대교인들은 유대인 조상 (유대인 아버지나 할아버지를 둠)을 주장할 수 있다면 귀환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4. 2. 팔레스타인 난민 문제
일부 비평가들은 귀환법이 민주주의 국가의 주장에 어긋난다고 주장한다.[24][25]팔레스타인인과 팔레스타인 난민 권리 옹호자들은 귀환법과 팔레스타인 귀환권 주장을 비교하며 귀환법을 비판한다.[26] 이들은 귀환권이 거부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귀환법은 공격적이고 제도화된 민족 차별이라고 주장한다.[27]
유엔 서아시아 경제 사회 위원회(ESCWA) 보고서는 "전 세계 유대인들에게는 출신 국가 및 이스라엘-팔레스타인과의 연관성 증명 여부와 관계없이 이스라엘 입국 및 이스라엘 시민권을 얻을 권리를 부여하는 반면, 팔레스타인인에게는 이 나라에 조상 대대로 살았다는 기록이 있더라도 이와 유사한 권리를 주지 않는 것"은 이스라엘의 "유대인 국가" 지위 유지를 위한 "인구 공학"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이 보고서는 논란 끝에 철회되었다.[28][29]
4. 3. 동성 커플의 귀환
2011년 6월 10일, 유대교 신자와 가톨릭 신자인 동성 커플이 이스라엘로 알리야를 신청하면서 귀환법이 시험대에 올랐다. 이 커플은 서로 다른 종교를 가진 동성 부부가 공동 알리야 자격을 요청한 최초의 사례였지만, 이성 간의 서로 다른 종교를 가진 부부는 당연히 공동 알리야를 받았다. 유대인 남성은 즉시 시민권을 받았지만, 그의 배우자에 대한 시민권 결정은 유대인 귀환자의 배우자 또한 시민권을 부여받아야 한다는 법 조항에도 불구하고 내무부에서 지연되었다.[30] 2011년 8월 10일, 내무부는 귀환법에 따라 비유대인 남편에게 시민권을 부여했다.[31]2014년, 기돈 사르 내무부 장관은 해외에서 결혼한 동성애 관계의 유대인이 비유대인 배우자와 함께라도 귀환법에 따라 이스라엘로 이민할 수 있으며, 두 배우자 모두 이스라엘 시민권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32]
5. 이스라엘 사회의 반응
퓨 리서치 센터의 2016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대인의 98%가 귀환법 유지를 지지했다.[41] 그러나 일부는 이 법이 너무 많은 비유대인의 입국을 허용하여 본래 목적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42] 반면, 이스라엘 아랍인들은 이 법에 대한 지지가 훨씬 낮았다. 2017년 하이파 대학교의 새미 스무하 교수가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아랍인의 25.2%만이 귀환법을 '수용'했으며, 이는 2015년의 39%에서 감소한 수치이다.[43]
2007년 9월, 페타 티크바에서 이스라엘의 폭력적인 네오 나치 세포(패트롤 36)가 발견되었다.[44] 이들은 구 소련 출신 십 대 이민자들이었으며, 이 사건은 정치인들 사이에서 귀환법 개정 요구를 다시 불러일으켰다. 국민 종교당과 국민 연합 소속 에피 에이탐은 이스라엘이 "이스라엘과 유대인을 증오하며, 이러한 증오를 행동에 옮기기 위해 귀환법을 악용하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되었다고 비판했다.[45] 반면, 아랍 연합 리스트와 타알 소속 국회의원 아흐메드 티비는 이 시스템의 이중 잣대를 비판하며, "사람들은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귀환법에 따라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얻지만, 나자렛과 타이베의 시민들은 단지 아랍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친척들을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5]
한편, 여론 조사에 참여한 이스라엘인 중 37%는 새로운 이민자에 대한 더 깊은 신원 조회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국가 출신의 유대인에 대한 인종 차별이라고 답했다.[46]
5. 1. 유대인 사회
이스라엘 유대인들 사이에서는 유대인 이민 지속에 대한 강력한 지지가 있다. 퓨 리서치 센터가 2016년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대인의 98%가 유대인 이민을 허용하는 법률 유지를 원했다.[41] 그러나 일부는 이 법이 너무 많은 비유대인의 입국을 허용하여 그 목적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42]이스라엘 아랍인들 사이에서 이 법에 대한 지지는 훨씬 덜하다. 2017년 하이파 대학교 사회학자 새미 스무하가 유대인 700명과 아랍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단 25.2%만이 '귀환법'을 '수용'했으며, 이는 2015년의 39%에서 감소한 수치이다.[43]
2007년 9월, 페타 티크바에서 이스라엘의 폭력적인 네오 나치 세포(패트롤 36)가 발견되었다. 이는 구 소련 출신 십 대 이민자들로 구성되었으며, 정치인들 사이에서 귀환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졌다.[44] 국민 종교당과 국민 연합의 에피 에이탐은 종교적인 시온주의 운동을 대표하며, 이전에 귀환법 개정안을 추진하려 시도했으며, 이스라엘이 "이스라엘을 증오하고, 유대인을 증오하며, 이러한 증오를 행동에 옮기기 위해 귀환법을 악용하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되었다고 말했다.[45] 정치 스펙트럼의 반대편에서, 아랍 연합 리스트와 타알의 국회의원 아흐메드 티비는 이 시스템의 이중 잣대를 비판하며, "사람들은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귀환법에 따라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얻었지만, 나자렛과 타이베의 시민들은 단지 그들이 아랍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친척들을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45]
여론 조사에 참여한 이스라엘인 중 37%는 새로운 이민자에 대한 더 깊은 신원 조회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국가 출신의 유대인에 대한 인종 차별이라고 말했다.[46]
5. 2. 아랍계 이스라엘인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의 2016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대인의 98%가 유대인 이민을 허용하는 법률 유지를 원했다.[41] 그러나 일부는 이 법이 너무 많은 비유대인의 입국을 허용하여 그 목적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42]이스라엘 아랍인들 사이에서 이 법에 대한 지지는 훨씬 덜하다. 2017년 하이파 대학교 사회학자 새미 스무하가 유대인 700명과 아랍인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 25.2%만이 '귀환법'을 '수용'했으며, 이는 2015년의 39%에서 감소한 수치이다.[43]
2007년 9월, 페타 티크바에서 이스라엘의 폭력적인 네오 나치 세포(패트롤 36)가 발견되었다. 이들은 구 소련 출신 십 대 이민자들이었으며, 이 사건으로 정치인들 사이에서 귀환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졌다.[44] 국민 종교당과 국민 연합(이스라엘)(National Union)의 에피 에이탐은 종교적인 시온주의 운동을 대표하며, 이전에 귀환법 개정안을 추진하려 시도했으며, 이스라엘이 "이스라엘을 증오하고, 유대인을 증오하며, 이러한 증오를 행동에 옮기기 위해 귀환법을 악용하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되었다고 말했다.[45] 정치 스펙트럼의 반대편에서, 아랍 연합 리스트와 타알의 국회의원 아흐메드 티비는 이 시스템의 이중 잣대를 비판하며, "사람들은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귀환법에 따라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얻었지만, 나자렛과 타이베의 시민들은 단지 그들이 아랍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친척들을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45]
여론 조사에 참여한 이스라엘인 중 37%는 새로운 이민자에 대한 더 깊은 신원 조회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국가 출신의 유대인에 대한 인종 차별이라고 말했다.[46]
5. 3. 네오 나치 사건과 법 개정 논의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가 2016년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유대인의 98%가 유대인 이민을 허용하는 법률의 유지를 원했다.[41] 그러나 일부는 이 법이 너무 많은 비유대인의 입국을 허용하여 그 목적을 훼손한다고 주장한다.[42]2017년 하이파 대학교 사회학자 새미 스무하가 700명의 유대인과 700명의 아랍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아랍인 중 단 25.2%만이 '귀환법'을 '수용'했으며, 이는 2015년의 39%에서 감소한 수치이다.[43]
2007년 9월, 페타 티크바에서 이스라엘의 폭력적인 네오 나치 세포(패트롤 36)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구 소련 출신 십 대 이민자들로 구성되었다. 이 사건으로 정치인들 사이에서 귀환법 개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졌다.[44] 국민 종교당과 국민 연합(이스라엘)(National Union)의 에피 에이탐은 종교적인 시온주의 운동을 대표하며, 이전에 귀환법 개정안을 추진하려 시도했으며, 이스라엘이 "이스라엘을 증오하고, 유대인을 증오하며, 이러한 증오를 행동에 옮기기 위해 귀환법을 악용하는 사람들의 안식처"가 되었다고 말했다.[45] 아랍 연합 리스트와 타알의 국회의원 아흐메드 티비는 이 시스템의 이중 잣대를 비판하며, "사람들은 이스라엘로 이민 와서 귀환법에 따라 자동적으로 시민권을 얻었지만, 나자렛과 타이베의 시민들은 단지 그들이 아랍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친척들을 방문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말했다.[45]
여론 조사에 참여한 이스라엘인 중 37%는 새로운 이민자에 대한 더 깊은 신원 조회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국가 출신의 유대인에 대한 인종 차별이라고 말했다.[46]
참조
[1]
백과사전
Israel :: Armistice and refugees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14-07-08
[2]
뉴스
This Week in History: Jewish right to aliya becomes law
http://www.jpost.com[...]
2015-12-01
[3]
웹사이트
Acquisition of Israeli Citizenship
http://www.mfa.gov.i[...]
[4]
웹사이트
Law of Return
https://www.jewishvi[...]
2018-05-01
[5]
학술지
Report on citizenship law: Israel
http://cadmus.eui.eu[...]
[6]
학술지
Who is an Israeli?: "Halakah" and Citizenship in the Jewish State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7]
서적
Constitutional law of Israel
[8]
간행물
Exploring the Jewish spectrum in a time of fluid identity: JPPI special report on the 2016 Structured Jewish World Dialogue
Jerusalem
[9]
서적
Conversion in Israel: Vision, Achievements, and Challenges
The Israeli Institute for Democracy: Jerusalem
[10]
웹사이트
Law of Return 5710-1950
http://www.mfa.gov.i[...]
Mfa.gov.il
2014-07-08
[11]
뉴스
הכל על השולחן. גם חוק השבות
http://www.haaretz.c[...]
[12]
학술지
Israel as a Non-Arab State: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Mass Immigration of Non-Jews
[13]
웹사이트
The Jewish State and Law of Return
http://foundation1.o[...]
2006-10-02
[14]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Law of Return
https://www.jewishvi[...]
2018-05-01
[15]
웹사이트
Aliyah to Israel Has Increased by 31% in 2021
https://www.jewishag[...]
2022-01-26
[16]
뉴스
Law of Return to be revised – Israel Jewish Scene, Ynetnews
http://www.ynetnews.[...]
Ynetnews.com
2014-07-08
[17]
뉴스
Boycott: Coming to terms with Arielle Gold
Israel HaYom
2018-07-08
[18]
뉴스
The Definition of a Jew under Israel's Law of Return
https://scholar.smu.[...]
[19]
뉴스
Israel expels British Jewish activist who tried to immigrate under Law of Return
https://www.jta.org/[...]
2024-10-17
[20]
뉴스
Editorial: Only the Right Jews Can Make Aliyah
https://www.haaretz.[...]
2024-10-17
[21]
뉴스
Israeli Court Rules Jews for Jesus Cannot Automatically Be Citizens
https://query.nytime[...]
2010-05-07
[22]
웹사이트
Court applies Law of Return to Messianic Jews because of fathers
http://www.jpost.com[...]
The Jerusalem Post
2010-11-22
[23]
웹사이트
Messianic Ruling
http://www.cbn.com/C[...]
CBNnews.com
2008-04-17
[24]
웹사이트
U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mmittee Expresses Grave Concern Over Israel's Discriminatory Practices.
https://web.archive.[...]
Permanent Observer Mission of Palestine to the United Nations
2006-10-02
[25]
웹사이트
Press Releases: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bargaining with the rights of the Palestinians
http://www.reliefweb[...]
2018-05-01
[26]
웹사이트
Israel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The Law of Return
http://www.mfa.gov.i[...]
2018-05-01
[27]
웹사이트
The Palestinian Right of Return
http://www.adc.org/i[...]
[28]
웹사이트
Israeli Practices towards the Palestinian People and the Question of Apartheid
https://www.unescwa.[...]
2017-03-17
[29]
뉴스
UN chief orders report accusing Israel of 'apartheid' pulled from web
http://www.timesofis[...]
[30]
뉴스
Israel Refuses Citizenship for Gay Man Married to Jewish Immigrant
http://www.haaretz.c[...]
2018-05-01
[31]
학술지
Ministry Grants Citizenship to Gay Spouse of Immigrant
http://www.haaretz.c[...]
2018-05-01
[32]
웹사이트
Right of Return Extended to Gay Couples
http://www.israelnat[...]
2018-05-01
[33]
서적
Postwar Jewish Displacement and Rebirth: 1945–1967
https://books.google[...]
Brill
[34]
웹사이트
Democratic Norms, Diasporas, and Israel's Law of Return, Alexander Yakobson and Amnon Rubinstein
http://www.ajc.org/a[...]
[35]
간행물
Not Halakhically Jewish: the Dilemma of Non-Jewish Immigrants in Israel.
Israeli Democracy Institute, Jerusalem
[36]
웹사이트
Acquisition of Israeli Nationality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7-01-11
[37]
간행물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http://www.unhchr.ch[...]
2005-09-01
[38]
웹사이트
From 'Ethnic Cleansing' to Casualty Count, Prof. Qumsiyeh Errs
http://www.camera.or[...]
Committee for Accuracy in Middle East Reporting in America
2004-08-20
[39]
논문
Contesting Ethnic Immigration: Germany and Israel Compared
[40]
웹사이트
Apartheid? Israel is a democracy in which Arabs vote
http://www.mideastwe[...]
Focus
2005-12
[41]
학술지
Report on citizenship law: Israel
http://cadmus.eui.eu[...]
[42]
웹사이트
The Law of Return Reconsidered by David Clayman
http://www.jcpa.org/[...]
Jerusalem Center for Public Affairs
2009-09-14
[43]
웹사이트
Israel's Jews and Arab minority further apart than ever, poll says
https://www.thenatio[...]
2018-03-10
[44]
뉴스
Sheetrit may deport alleged neo-Nazis
http://fr.jpost.com/[...]
2007-09-09
[45]
뉴스
Interior Minister: I'll consider revoking neo-Nazis' citizenship
http://www.haaretz.c[...]
2007-09-10
[46]
웹사이트
Israel News – The Jerusalem Post
http://www.jpost.com[...]
2009-11-13
[47]
백과사전
Israel Supreme Court: Ruling on Conversions to Judaism Done Abroad
https://www.jewishvi[...]
[48]
PDF
第2章 イスラエル国 pp.8-10
http://www2.jiia.or.[...]
日本国際問題研究所
[49]
웹사이트
Law of Return 5710-1950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50]
웹사이트
Aliyah Statistics 1948 - November 2009 (Selected Countries)
http://jewishagency.[...]
The Jewish Agency for Israel
[51]
웹사이트
Law of Return to be revised
http://www.ynetnews.[...]
Ynet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