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모스는 고대 모압 왕국의 주신으로, 그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메소포타미아의 신 샤마쉬나 네르갈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원전 9세기 모압에서 숭배되었으며, 아쉬타르와 동일시되어 ʿAštar-Kamōš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구약성경에 등장하며, 솔로몬이 그모스를 숭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모스는 군사적 역할을 했으며, 인신공양과 동물 제물이 바쳐졌다. 고고학적 증거와 도상학적 묘사를 통해 그 존재가 확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동의 신 - 야훼
야훼는 히브리어 성경에 나오는 하느님의 고유한 이름인 YHWH를 가리키며, 다양한 종교에서 다르게 이해되고 숭배되며,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중동의 신 - 타니트
타니트는 서지중해 지역에서 숭배받았던 여신으로, 전쟁, 다산, 보호를 상징하며, 바알 함몬과 함께 숭배되었고, 삼각형 위에 원이 있는 상징으로 표현된다. - 레반트 신화 - 다곤
다곤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되었던 신으로, 곡물을 의미하며 메소포타미아에서 엔릴과 동등하게 여겨졌고 가나안 신화에서는 바알의 아버지로 묘사되었으며, 블레셋의 주요 신으로 숭배되었다. - 레반트 신화 - 야훼교
야훼교는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시작하여 야훼 신 숭배를 중심으로 발전, 엘을 주신으로 섬기다 유일신 숭배로 나아갔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교와 사마리아교로 분화되어 의례를 통해 신앙을 유지했다. - 모압 - 마다바
요르단 중부의 마다바는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특히 비잔틴 시대의 모자이크 유적으로 유명하여 "모자이크의 도시"라고도 불리고, 성 조지 교회에 보존된 6세기 마다바 지도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예루살렘 지도로 평가받는 요르단의 주요 관광지이다. - 모압 - 카라크
요르단 암만 남쪽에 위치한 카라크는 철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십자군 시대 카라크 성으로 유명하고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만사프와 지역 스포츠 클럽으로 알려진 도시다.
그모스 | |
---|---|
개요 | |
이름 | 그모스 |
다른 이름 | 카모스 |
문자 | script_name: 모아브어 script: "}}" translit: Kamōš |
숭배 지역 | 모압, 요르단 |
숭배 중심지 | 키리옷 |
관련 신 | 아타르 (아라비아) |
영어 | Chemosh |
신화 | |
역할 | 모압의 신 |
2. 어원
그모스의 어원은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4][5] 학자들은 고대 셈족 종교의 신 샤마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한다.[6][7] 그러나 에블라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카미쉬라고 적혀있기도 해서,[8]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신 네르갈의 한 형태일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제기된다.[7]
기원전 9세기, 그모스는 모압 왕국의 주신이었으며, 모압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이었다.[11] 모압 왕 메사는 메사 석비에서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그모스의 덕으로 돌렸다.[11] 메사 왕은 아타롯(ʿAṭārōt) 주민들을 학살하고, 느보(Nebo)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𐤏𐤔𐤕𐤓𐤊𐤌𐤔|ʿAštar-Kamōš|아쉬타르-그모스obm에게 인신 제물로 바쳤다.
모압어에서 그모스의 이름은 𐤊𐤌𐤔|Kamōšobm로 언급되었다. 그모스 이름의 기원은 아직 불확실하며, 에블라의 신 𒀭𒂵𒈪𒅖|ᴰKamišxeb, 우가리트의 신성한 이름 𐎘𐎑𐎆𐎋𐎎𐎘|Ṯiẓẓu-wa-Kamāṯuuga, "황소"를 의미할 수 있는 메소포타미아 신 𒀭𒌋คองโก|ᴰNerigalakk의 별칭 𒀭𒅗𒄠 μουσ|ᴰKammušakk와 관련이 있는지 불분명하다.
ᴰKamišxeb, Kamāṯuuga, Kamōšobm, ᴰKammušakk라는 이름들이 동일하다는 가설에 따르면, 이름의 처음 두 변형은 B-어간의 qattil형 명사적 분사였을 수 있으며, 후자의 두 변형은 D-어간의 qattul형 동사 형용사였을 수 있는데, 둘 다 "정복자"와 "굴복시키는 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아카드어 용어 𒅗𒈾 शुगर|kanāšuakk 및 𒅗𒈠𒀀 शुगर|kamāšuakk ( "지배자나 신에게 복종하다"와 "굽히다"를 의미), 그리고 "짓누르다"를 의미하는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용어 𐩠𐩫𐩣𐩪|hkmsxsa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모스는 히브리어 성경에서 כְּמוֹשׁ|Kəmōšhe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 히브리어 형태 כְּמוֹשׁ|Kəmōšhe는 나중에 성경 번역에서 Chemoshla로 로마자화되었으며, 모압어 발음 Kamōš|obm를 반영하는 신의 이름의 정확한 발음은 70인역에서는 Χαμος|Khamōsgrc로, 불가타에서는 Chamosla로 더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3. 역사
이 시기 동안 그모시는 𐤏𐤔𐤕𐤓|ʿAštar|아쉬타르obm와 동일시되었는데, 이는 북아라비아 신 ʿAṯtar를 모압인들이 변형한 것이다. ʿAštar 자체는 셈족의 금성 신인 ʿAṯtar의 한 형태였다. 𐤏𐤔𐤕𐤓𐤊𐤌𐤔|ʿAštar-Kamōš|아쉬타르-그모스obm는 이 둘을 결합한 형태였다. 메사 왕은 이스라엘인에 대한 군사 작전에서 승리한 것에 대해 감사하기 위해 모압 수도 디반의 요새에 그모시에게 헌정된 높은 제단을 세웠다.[11]
알-카라크에서 발견된 기원전 3세기로 추정되는 아람어 비문에도 그모스가 언급되어 있을 정도로, 모압 왕국이 멸망한 후에도 그모스 신앙은 계속되었다. 그모스는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 거주하는 모압 후손들의 개인 이름에도 신을 나타내는 요소로 사용되었다.[1]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대의 모압에서는 그모스가 그리스 전쟁의 신인 아레스와 동일시되었다. 그 결과 그리스-로마 기록에서는 라바트 모압 도시를 Αρεοπολις|아레오폴리스grc 등으로 불렀으며, 이들 모두 "아레스의 도시"를 의미한다.[1]
3. 1. 기원
그모스의 어원은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4][5] 학자들은 고대 셈족 종교의 신 샤마쉬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제기한다.[6][7] 그러나 에블라에서 발견된 점토판에 카미쉬라고 적혀있기도 해서,[8]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신 네르갈의 한 형태일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제기된다.[7]
그모스라는 이름의 기원은 아직 불확실하며, 에블라의 신 𒀭𒂵𒈪𒅖|ᴰKamišxeb의 이름과 관련이 있는지, 아니면 우가리트의 신성한 이름 𐎘𐎑𐎆𐎋𐎎𐎘|Ṯiẓẓu-wa-Kamāṯuuga나 "황소"를 의미할 수 있는 메소포타미아 신 𒀭𒌋คองโก|ᴰNerigalakk의 별칭 𒀭𒅗𒄠 μουσ|ᴰKammušakk와 관련이 있는지 불분명하다.
ᴰKamišxeb, Kamāṯuuga, Kamōšobm, ᴰKammušakk라는 이름들이 동일하다는 가설에 따르면, 이름의 처음 두 변형은 "정복자"와 "굴복시키는 자"를 의미할 수 있고, 아카드어 용어 𒅗𒈾 शुगर|kanāšuakk 및 𒅗𒈠𒀀 शुगर|kamāšuakk/𒅗𒈠 शुगर|kamāšuakk ("지배자나 신에게 복종하다"와 "굽히다"를 의미) 그리고 "짓누르다"를 의미하는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용어 𐩠𐩫𐩣𐩪|hkmsxsa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모스는 히브리어 성경에서 כְּמוֹשׁ|Kəmōšhe라는 이름으로 언급된다. 히브리어 형태 כְּמוֹשׁ|kǝˈmoːʃhe는 나중에 성경 번역에서 Chemosh|ˈkiːmɒʃla로 로마자화되었으며, 모압어 발음 Kamōš|/kaˈmoːʃ/obm를 반영하는 신의 이름의 정확한 발음은 70인역에서는 Χαμος|Khamōsgrc로, 불가타에서는 Chamosla로 더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다.
기원전 약 2300년경부터 에블라에서 𒀭𒂵𒈪𒅖|ᴰKamišxeb라는 청동기 시대의 신이 숭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그모스는 이 신과 동일한 신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기원전 23세기에 에블라의 카미쉬가 언급된 시점과 기원전 9세기에 모압의 케모쉬가 언급된 시점 사이의 상당한 시간적 격차, 그리고 기원전 21세기에서 15세기까지 아모리트 이름에서 이 두 신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점은 카미쉬와 케모쉬의 동일성을 매우 불확실하게 만든다.
3. 2. 철기 시대
기원전 9세기, 그모스는 모압 왕국의 주신이었으며, 모압인들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신이었다.[11] 모압 왕 메사는 메사 석비에서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그모스의 덕으로 돌렸다.[11] 메사 왕은 아타롯(ʿAṭārōt) 주민들을 학살하고, 느보(Nebo)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𐤏𐤔𐤕𐤓𐤊𐤌𐤔|ʿAštar-Kamōš|아쉬타르-그모스obm에게 인신 제물로 바쳤다.
이 시기 동안 그모시는 𐤏𐤔𐤕𐤓|ʿAštar|아쉬타르obm와 동일시되었는데, 이는 북아라비아 신 ʿAṯtar를 모압인들이 변형한 것이다. ʿAštar 자체는 셈족의 금성 신인 ʿAṯtar의 한 형태였다. 𐤏𐤔𐤕𐤓𐤊𐤌𐤔|ʿAštar-Kamōš|아쉬타르-그모스obm는 이 둘을 결합한 형태였다. ʿAštar는 데르 알라 비문에서 달의 신 Šaggar와 함께 언급되며, 주로 태양 여신 Šamāš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는 남아라비아에서 증명된 것과 유사하게 태양, 달, 금성의 삼위일체를 형성하며, 모압에 남아라비아의 종교적 영향을 시사한다.
메사 왕은 이스라엘인에 대한 군사 작전에서 승리한 것에 대해 감사하기 위해 모압 수도 디반의 요새에 그모시에게 헌정된 높은 제단을 세웠다.[11]
3. 3. 후기
알-카라크에서 발견된 기원전 3세기로 추정되는 아람어 비문에도 그모스가 언급되어 있을 정도로, 모압 왕국이 멸망한 후에도 그모스 신앙은 계속되었다. 그모스는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 거주하는 모압 후손들의 개인 이름에도 신을 나타내는 요소로 사용되었다.[1]
헬레니즘 시대와 고대 로마 시대의 모압에서는 그모스가 그리스 전쟁의 신인 아레스와 동일시되었다. 그 결과 그리스-로마 기록에서는 라바트 모압 도시를 Αρεοπολις|아레오폴리스grc, Αρσοπολις|아르소폴리스grc, Αρσαπολις|아르사폴리스grc로 불렀으며, 이들 모두 "아레스의 도시"를 의미한다.[1]
4. 성경에서의 그모스
구약성경에서 그모스는 가나안 민족의 신으로 등장한다. 모압 족속을 '그모스의 백성'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9] 판관기 11장에서 입다가 암몬인의 왕에게 사절을 보낼 때 그모스를 암몬의 신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다른 구절들에서는 몰록이 그들의 신이라고 언급된다. 열왕기상 11장에서 솔로몬이 그모스 우상을 들여올 때 "모압의 혐오스러운 우상"으로 묘사된다. 열왕기하 23장에서는 요시야 왕이 아스타로트, 그모스, 밀곰을 섬기려고 예루살렘 정면에 지었던 산당들을 모두 허물었다고 기록한다.
열왕기하 3장에 등장하는 모압 왕 메사의 석비에서는 메사가 이스라엘과 싸워 얻은 승리를 "그모스가 그들을 우리 앞으로 끌어내셨다"라고 묘사한다.[11] 같은 장에서 메사가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형세가 자신에게 불리하게 돌아가자 맏아들을 인신공양하였고, 이를 보고 당황한 이스라엘 군대가 흩어졌다고 기록한다. 요시아의 개혁 이후에도 그모스 신앙은 이스라엘 안에서도 계속되었다(왕하 17:17). 예레미야서 48장에서는 그모스를 믿는 사람들과 그모스가 포로로 끌려가 수치를 당할 것이라는 예언이 등장한다.(렘 48:7, 13)
5. 숭배
그모스는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모압 왕 메사는 그를 "모압의 적들을 정복하는 자"라고 칭송하며 자신의 군사적 승리를 그모스에게 돌렸다.[1] 또한 아랍의 금성 신인 𐤏𐤔𐤕𐤓|ʿAštar|아쉬타르obm와 동일시되었기 때문에 천체의 측면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
모압인들은 위급한 상황에서 그모스의 호의를 얻기 위해 인신공양을 바쳤다.[11] 열왕기하 3장에 따르면, 모압 왕 메사는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불리해지자 맏아들을 인신공양했고, 이를 본 이스라엘 군대가 흩어졌다고 전해진다.
메사는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두고 "그모스가 그들을 우리 앞으로 끌어내셨다"라고 묘사한다.[11] 그는 느보를 정복한 후, 이스라엘의 신 야훼의 성소에 있던 모든 어린 양들을 그모스의 성소로 가져와 제물로 바쳤다.
그모스의 주요 성소는 케리옷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곳은 현재 철기 시대 I~II 시기의 모압 유적,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된 높은 언덕에 위치한 곳이다. 모압 왕 메사의 비문에는 𐤁𐤕 𐤊𐤌𐤔|Bēt Kamōš|그모스의 집(신전)obm의 존재가 언급되어 있다.[1]
메사는 자신의 승전비에 고지를 모압의 수도인 다이반의 성채에 그모스에게 헌정하여 지었다고 기록했다. 따라서 그모스는 비문에서 𐤊𐤌𐤔 𐤁𐤒𐤓𐤇𐤄|Kamōš b-Qrḥh|성채에 거하는 그모스obm라고 불렸다.
메사는 또한 "고지들의 집"을 의미하는 𐤁𐤕 𐤁𐤌𐤕|Bēt-Bāmōtobm의 유적을 재건했다고 주장했는데, 이곳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바못-바알(바알의 고지)이라고 불리며, 일곱 개의 제단이 있는 성소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성소의 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모스 숭배가 그곳에서 행해졌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모압 왕들은 케모쉬의 호의를 얻은 후 그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성소를 지었다.[2]
그모스는 아쉬타르(ʿAštar, 𐤏𐤔𐤕𐤓|ʿAštar|아쉬타르obm)와 결합된 형태로 숭배되기도 했다. 𐤏𐤔𐤕𐤓|ʿAštarobm는 북아라비아 신 ʿAṯtar의 모압식 변형으로, 셈족의 금성 신인 ʿAṯtar의 한 형태였다. ʿAṯtar는 𐤏𐤔𐤕𐤓𐤊𐤌𐤔|ʿAštar-Kamōš|아쉬타르-그모스obm의 형태로 그모스와 결합되었다. ʿAštar 자체의 천체 역할은 데르 알라 비문에서 달의 신 샤가르와 함께 언급된 것으로 증명되는데, 이 비문의 주제는 주로 태양 여신 샤마쉬이며, 따라서 태양, 달, 금성의 삼위일체를 형성하여 남아라비아에서 증명된 것과 유사하며, 모압에 남아라비아 종교의 영향을 시사한다.
5. 1. 기능
그모스는 군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그 때문에 모압 왕 메사는 그를 "모압의 적들을 정복하는 자"라고 불렀고, 자신의 군사적 승리를 그모스에게 돌렸다.[1] 또한, 그는 아랍의 금성 신인 𐤏𐤔𐤕𐤓|ʿAštarobm과 동일시되었기 때문에, 그모스는 천체의 측면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5. 2. 인신공양
모압인들은 위급한 상황에서 그모스의 호의를 얻기 위해 인신공양을 바쳤다.[11] 열왕기하 3장에 따르면, 모압 왕 메사는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불리해지자 맏아들을 인신공양했다고 전해진다. 이를 본 이스라엘 군대가 흩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보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인신공양 풍습을 야만적이고 비윤리적인 행위로 비판한다.5. 3. 동물 제사
메사는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것을 두고 "그모스가 그들을 우리 앞으로 끌어내셨다"라고 묘사한다.[11] 열왕기하 3장에는 메사가 이스라엘과의 전투에서 불리해지자 맏아들을 인신공양하였고, 이에 당황한 이스라엘 군대가 흩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메사는 느보를 정복한 후, 이스라엘의 신인 야훼의 성소에 있던 모든 어린 양들을 그모스의 성소로 가져와 그모스에게 제물로 바쳤다.5. 4. 신전
모압에서 그모스의 주요 성소는 케리옷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곳은 현재 철기 시대 I~II 시기의 모압 유적, 토기 조각 등이 발견된 높은 언덕에 위치한 곳이다. 모압 왕 메사의 비문에는 𐤁𐤕 𐤊𐤌𐤔|Bēt Kamōš|그모스의 집(신전)obm의 존재가 언급되어 있다.[1]메사는 자신의 승전비에서 이스라엘과의 군사 작전에서 자신의 승리를 확신시켜준 신에게 감사하기 위해 고지를 모압의 수도인 다이반의 성채에 그모스에게 헌정하여 지었다고 기록했다. 따라서 그모스는 비문에서 𐤊𐤌𐤔 𐤁𐤒𐤓𐤇𐤄|Kamōš b-Qrḥh|성채에 거하는 그모스obm라고 불렸다.
메사는 또한 "고지들의 집"을 의미하는 𐤁𐤕 𐤁𐤌𐤕|Bēt-Bāmōtobm의 유적을 재건했다고 주장했는데, 이 곳은 히브리어 성경과 같은 이스라엘 텍스트에서 바못-바알(바알의 고지)이라고 불리며, 일곱 개의 제단이 있는 성소가 이 장소에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성소의 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모스 숭배가 그곳에서 행해졌는지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모압 왕들은 케모쉬의 호의를 얻은 후 그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성소를 지었다.[2] 메사 석비에는 그가 이스라엘과의 군사 작전에서 승리를 확신시켜준 것에 대해 신에게 감사를 표하기 위해 모압의 수도 다이반의 성채에 케모쉬에게 헌정된 제단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5. 5. 아쉬타르-그모스 (Ashtar-Chemosh)
그모스는 아쉬타르(ʿAštar, 𐤏𐤔𐤕𐤓|ʿAštarobm)와 결합된 형태로 숭배되기도 했다. 𐤏𐤔𐤕𐤓|ʿAštarobm는 북아라비아 신 ʿAṯtar의 모압식 변형으로, 셈족의 금성 신인 ʿAṯtar의 한 형태였다. ʿAṯtar는 𐤏𐤔𐤕𐤓𐤊𐤌𐤔|ʿAštar-Kamōšobm의 형태로 그모스와 결합되었다. ʿAštar 자체의 천체 역할은 데르 알라 비문에서 달의 신 샤가르와 함께 언급된 것으로 증명되는데, 이 비문의 주제는 주로 태양 여신 샤마쉬이며, 따라서 태양, 달, 금성의 삼위일체를 형성하여 남아라비아에서 증명된 것과 유사하며, 모압에 남아라비아 종교의 영향을 시사한다.19세기 말의 초기 학문에서는 아쉬타르-그모스가 그모스와 별개로 존재하는 독립적인 신으로 부정확하게 간주되었으며, 가나안 여신 𐤏𐤔𐤕𐤓𐤕|아쉬타르트phn (아쉬타르트)의 한 형태로 확인되었지만, 신의 이름에 있는 ʿAštar의 남성형은 아쉬타르-그모스가 남성 신이었음을 보여준다.
6. 고고학적 증거
요르단 카라크에서 발견된 모압어 비문에는 모압 왕 메사가 그모스에게 번제를 바쳤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2]
아시리아 문서에도 그모스를 어근으로 하는 모압 왕들의 이름이 나타난다. 센나케립 시대에 기록된 모압 왕 이름으로는 '카미시나답'이 있는데, 여기서 '카미시'는 그모스와 같은 것으로 여겨진다. 아슈르바니팔 시대의 기록에도 그모스에서 따온 왕의 이름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그모스와 같은 것으로 보이는 'חוש'를 어근으로 가진 이름은 여러 인장에서 발견되었다. 아케메네스령 이집트의 아람어 파피루스에서도 '케메시팔트'가 등장하는데, 여기서 '케메시' 역시 그모스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아케메네스 제국 말기의 모압에서 발굴된 아람어 비문에도 여러 차례 나타난다.
7. 도상학
알-발루 석비에는 그모스로 추정되는 신이 모압 왕에게 홀을 건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 시한에서 발견된 모압 석비에도 창을 든 남성 인물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 역시 그모스일 가능성이 있다.[1]
참조
[1]
논문
Ammon, Moab and Edom: Gods and Kingdoms East of the Jorda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16
[2]
논문
Ammon, Moab and Edom: Gods and Kingdoms East of the Jordan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16
[3]
성경
민수기 21:29, 열왕기상 11:7, 예레미야 48:7, 13, 46
[4]
서적
Encyclopaedia Biblica: A Critical Dictionary of the Literary, Political, and Religious History, the Archaeology, Geography, and Natural History of the Bible
https://archive.org/[...]
The Macmillan Company
1901
[5]
서적
Zonderv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2011-05-03
[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Routledge
2013-07-04
[7]
서적
The Secret Origins of the Bible
https://archive.org/[...]
Millennium Press
2002
[8]
서적
Cities of the Biblical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Archaeology, Geography, and History of Biblical Sites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2006
[9]
성경
민 21:29; 렘 48:46
[10]
웹사이트
See Rashi on 1 Kings 11:7
http://www.chabad.or[...]
[11]
웹사이트
Moabite Stone
http://www.jewishenc[...]
Jewish Encyclopedia
1906
[12]
웹사이트
The El-Kerak Inscription
http://www.kchans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