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셈족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셈족 종교는 셈족이 믿었던 다양한 신앙 체계를 포괄하며, 주요 신으로는 하늘 신 엘, 풍요의 여신 아세라, 폭풍의 신 바알 등이 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셈족은 수메르 문명의 영향을 받아 복잡한 신화를 발전시켰으며, 아시리아 제국에서는 아슈르가 숭배의 중심이었다. 가나안 종교는 엘을 창조신으로, 바알을 주신으로 숭배하는 다신교였으며,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쳐, 구약성경의 창조 이야기, 홍수 이야기, 바벨탑 신화 등에 셈족 신화의 요소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셈족 종교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 고대 셈족 종교 - 야훼교
야훼교는 고대 이스라엘 종교에서 시작하여 야훼 신 숭배를 중심으로 발전, 엘을 주신으로 섬기다 유일신 숭배로 나아갔으며, 바빌론 유수 이후 유대교와 사마리아교로 분화되어 의례를 통해 신앙을 유지했다. - 고대 종교 - 종교사학파
종교사학파는 텍스트 뒤의 세계를 탐구하며 기독교의 절대 진리 주장을 거부하고 혼합주의적 기원을 주장하며 성경 역사와 텍스트 분석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다. - 고대 종교 - 로마 신화
로마 신화는 로마인들이 믿었던 신들과 영웅에 대한 이야기로, 그리스 신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로마의 기원, 정치, 도덕 등을 반영하고, 예술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셈족 - 범이슬람주의
범이슬람주의는 인종과 민족을 넘어 전 세계 무슬림의 단결을 추구하는 사상으로, 이슬람의 가르침과 초기 칼리파 시대를 이상으로 삼으며, 역사적으로는 18세기부터 이슬람 부흥 운동의 일환으로 나타나 근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 셈족 - 시온주의
시온주의는 예루살렘의 시온산을 의미하며, 19세기 후반 동유럽 유대인들의 국가 재건 운동을 가리키며, 유대인의 이스라엘 귀환을 지지하는 운동이다.
고대 셈족 종교 | |
---|---|
개요 | |
유형 | 고대 종교 |
지역 | 고대 근동 |
시대 | 청동기 시대 ~ 고대 |
주요 특징 | 다신교, 애니미즘, 조상 숭배, 신화, 의례 |
관련 종교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일부 영향) |
신앙 체계 | |
신 | 최고신: 엘 주요 신: 바알, 아세라, 아스타르테, 아낫 기타 신: 다곤, 모트, 야 |
신화 | 창조 신화 홍수 신화 영웅 신화 신들의 전쟁 |
의례 | 제사 기도 점술 축제 |
종교적 실천 | |
사원 | 신을 숭배하고 제사를 지내는 장소 |
제사장 | 종교 의례를 주관하고 신의 뜻을 전달하는 사람 |
숭배 방식 | 신상 숭배 자연물 숭배 동물 숭배 조상 숭배 |
주요 특징 | |
다신교 | 여러 신을 숭배하는 종교 |
인신론적 신 | 인간의 모습과 감정을 가진 신 |
신화 | 신과 영웅의 이야기를 담은 신화 체계 |
의례 | 신을 숭배하고 기리는 다양한 의례 |
역사 및 영향 | |
기원 | 고대 근동 지역의 청동기 시대 |
발전 | 다양한 도시 국가 및 왕국에서 발전 |
쇠퇴 | 철기 시대 이후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등장으로 쇠퇴 |
영향 |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 일부 영향을 미침 |
우가리트 신화 (참고) | |
주요 신 | 엘: 신들의 아버지 바알: 폭풍과 풍요의 신 아세라: 바알의 배우자, 풍요의 여신 아낫: 전쟁과 사랑의 여신 모트: 죽음과 지하 세계의 신 야리후: 달의 신 샤파슈: 태양의 여신 코샤르-와-하시스: 기술과 지혜의 신 |
주요 신화 | 바알 순환 케레트 서사시 아크하트 서사시 |
특징 | 신들의 갈등과 투쟁 인간과 신의 관계 생명과 죽음의 순환 왕권의 정당성 부여 |
2. 원셈족 판테온
원셈족 판테온은 최고신 일루를 중심으로 다양한 신들로 구성되었다. 일루는 '신'을 뜻하며 하늘의 신이자 판테온의 최고신이었다. 일루의 부인은 아티라투였으며, '여신'을 뜻하는 일라투(Ilatu)라고도 불렸다.
이외에도 풍요의 신 아타루, 풍요의 여신 아타르투, 폭풍의 신 하두/하다두, 태양 여신 삼슈, 달의 신 와리후 등이 있었다.
아세라, 아슈타르트, 아나트, 아슈타르를 비롯하여 Arsay영어, 일, Gupan and Ugar영어, Qudšu-wa-Amrur영어, Gaṯaru영어, Kothar-wa-Khasis영어, Kotharat영어, 샤파슈, Tallay영어, 다간, Nikkal영어, 바알, Pidray영어, Hauron영어, 모트, 얌=나하르, 라샤프, 샤하르, Shalim영어, Yarikh영어 등 다양한 신들이 각자 자연 현상, 인간사, 추상적인 개념 등을 관장하며 원셈족의 신앙 체계를 이루었다.
2. 1. 주요 신
신의 이름 | 표기 | 설명 |
---|---|---|
엘 | 아카드어: Ilu 우가리트어: il 페니키아어: ʼl/Ēlos 히브리어: El/엘로힘 아랍어: Allāh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ʼl | "신"을 의미하며, 하늘의 신이자 판테온의 수장이다. |
아티라투 | 우가리트어: aṯrt 히브리어: Ašērāh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ʼṯrt 아카드어: Ilat 페니키아어: ' 아랍어: Allāt'' | 엘의 아내이다. "여신"을 의미하는 ' |
아타루 | 우가리트어: ʻṯtr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ʻṯtr 게에즈어: ʻAstar | 풍요의 신이자 하늘 신이다. |
아타르투 | 아카드어: Ištar 우가리트어: ʻṯtrt 페니키아어: ʻštrt / Astarte 히브리어: Aštoreṯ | 풍요의 여신이다. |
하두/하다두 | 아카드어: Adad 우가리트어: hd 페니키아어: Adodos | 폭풍의 신이다. "우레를 내는 자"라는 의미를 가지며, 'Ba |
삼슈 | 우가리트어: špš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šmš | "태양"을 의미하는 태양 여신이다. (단, 아카드어 Šamaš는 남신이다.) |
와리후 | 우가리트어: yrḫ 히브리어: Yārēaḥ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wrḫ | "달"을 의미하는 달의 신이다. |
아세라 | 엘의 배우자 신이자 모든 신들의 어머니로, "바다의 귀부인 아세라"라고 불린다. | |
아슈타르트 | 전쟁과 사냥의 여신이자 바알의 충실한 동맹자이다. | |
아나트 | 전쟁의 여신으로 바알의 여동생이며 "처녀"나 "소녀"라고 불린다. | |
아슈타르 | 금성에 기인하는 신이다. | |
Arsay영어 | 대지(지하 세계)의 여신이자 바알의 딸 중 하나이다. | |
일 | 우가리트의 최고신이자 모든 신들의 생명의 근원이며 "창조자"라고 불린다. | |
Gupan and Ugar영어 | 바알을 섬기는 두 명의 전령의 신이다. | |
Qudšu-wa-Amrur영어 | "아세라의 어부"라고 불리는 신이다. | |
Gaṯaru영어 | "강하다"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신이다. | |
Kothar-wa-Khasis영어 | 기술·공예·주술의 신이다. | |
Kotharat영어 | 결혼, 출산 등의 축하 자리에 나타나는 여신들이다. | |
샤파슈 | 태양의 여신이자 신들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 |
Tallay영어 | 비(이슬비)의 여신이자 바알의 딸 중 하나이다. | |
다간 | 곡물의 신으로, "다곤의 아들"이라는 바알의 에피세트에 이름이 나타난다. | |
Nikkal영어 | 야리흐의 배우자 신이다. | |
바알 | 우가리트의 주신으로, 폭풍, 자애로운 비, 번개를 관장하는 천후신이다. | |
Pidray영어 | 바알의 딸 중 하나이다. | |
Hauron영어 | 명계의 신으로, 주술 텍스트에 이름이 나타난다. | |
모트 | 죽음과 명계의 신으로, Baal Cycle영어에서는 바알의 불구대천의 적으로 나타난다. | |
얌=나하르 | 바다와 강의 신으로, 바알 신화에서는 바알의 적 중 한 명으로 나타난다. | |
라샤프 | 싸움과 관련 지어지는 신이다. | |
샤하르 | 새벽의 신이다. | |
Shalim영어 | 황혼의 신이다. | |
Yarikh영어 | 달의 신이자 Nikkal영어의 배우자 신이다. |
셈족은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가면서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다양한 신들을 숭배했다. 셈족 공통의 신과 가나안 지역,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신은 다음과 같다.
3. 셈족의 지역별 판테온
이름 역할 및 설명 지역 비고 엘 (' "신"이라는 뜻으로, 하늘 신이자 판테온의 수장. 셈족 공통 아카드어 Ilu, 우가리트어 il, 페니키아어 ʼl/Ēlos, 히브리어 El/엘로힘, 아랍어 Allāh,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ʼl 아세라 (' 엘의 아내. 이름의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음. ' 셈족 공통 우가리트어 aṯrt, 히브리어 Ašērāh,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ʼṯrt; ' 아타르 (' 풍요의 신 셈족 공통 우가리트어 ʻṯtr,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ʻṯtr, 게에즈어 ʻAstar 하늘 신 아스타르테 (' 풍요의 여신. 이름의 의미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아세라와 관련 없음. 셈족 공통 아카드어 Ištar, 우가리트어 ʻṯtrt, 페니키아어 ʻštrt / Astarte, 히브리어 Aštoreṯ 하다드 (Haddu/Hadadu) 폭풍의 신. "우레를 내는 자"라는 의미로 추정. 'Ba 셈족 공통 아카드어 Adad, 우가리트어 hd, 페니키아어 Adodos; 'Ba 샤마시 (Śamšu) "태양" (태양 여신). 셈족 공통 우가리트어 špš,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šmš (단, 아카드어 Šamaš는 남신) 야리흐 (Wariḫu) "달" (달의 신). 셈족 공통 우가리트어 yrḫ, 히브리어 Yārēaḥ, 고대 남부 아라비아어 wrḫ 아스타르테 전쟁과 사냥의 여신. 바알의 충실한 동맹자. 가나안 아낫 전쟁의 여신. 바알의 여동생이며 "처녀"나 "소녀"라고 칭해짐. 가나안 아타르 금성과 관련된 신. 가나안 Arsay영어 대지(지하 세계)의 여신. 바알의 딸 중 하나. 가나안 Gupan and Ugar영어 바알을 섬기는 두 명의 전령의 신. 가나안 Qudšu-wa-Amrur영어 "아세라의 어부"라고 불리는 신. 가나안 Gaṯaru영어 "강하다"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신. 가나안 Kothar-wa-Khasis영어 기술·공예·주술의 신. 가나안 Kotharat영어 결혼, 출산 등의 축하 자리에 나타나는 여신들. 가나안 샤파슈 태양의 여신. 신들의 중재자 역할을 함. 가나안 Tallay영어 비(이슬비)의 여신. 바알의 딸 중 하나. 가나안 다간 곡물의 신. "다곤의 아들"이라는 바알의 에피세트에 이름이 나타남. 가나안 Nikkal영어 여신. 야리흐의 배우자 신. 가나안 바알 우가리트의 주신. 폭풍, 자애로운 비, 번개를 관장하는 천후신. 가나안 Pidray영어 바알의 딸 중 하나. 가나안 Hauron영어 명계의 신. 주술 텍스트에 이름이 나타남. 가나안 모트 죽음과 명계의 신. 바알의 불구대천의 적으로 나타남. 가나안 얌=나하르 바다와 강의 신. 바알 신화에서 바알의 적 중 한 명으로 나타남. 가나안 라샤프 싸움과 관련 지어지는 신. 가나안 샤하르 새벽의 신. 가나안 Shalim영어 황혼의 신. 가나안 야리흐 달의 신. 니칼의 배우자 신. 가나안
3. 1. 메소포타미아 지역 (아카드,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해, 달, 그리고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다섯 개의 행성은 바빌로니아 판테온의 주요 신들과 연결되어 있었다. 현재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목록은 7개의 행성 그룹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배열한다.[2]
아시리아 제국의 종교 (때로는 아슈르교라고도 불림)는 아슈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아슈르는 아슈르의 수호신이자 니네베의 수호신 이슈타르였다. 아슈르와 다른 아시리아-메소포타미아 신들에 대한 마지막으로 기록된 숭배는 서기 1세기부터 기독교의 적응에 직면하여 서기 3세기에 있었지만, 아시리아인들 사이에서 17세기까지 고립된 숭배의 흔적이 있었다는 증거가 있다.[3][4]
초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22세기경)부터 아슈르의 수도 아슈르의 수호신이었던 아슈르는 이후 등장한 마르두크 (기원전 19세기경부터)와 끊임없이 경쟁 관계에 있었다. 마르두크는 바빌론의 수호신이었다. 아시리아에서 아슈르는 결국 마르두크를 대체했으며, 심지어 이슈타르의 남편이 되기도 했다.
주요 아시리아-바빌로니아-아카드 신들은 다음과 같다.
신 | 설명 |
---|---|
아슈르/안샤르 (ܐܵܫܘܼܪsyc) | 아슈르의 수호신 |
이슈타르 (아스타르테) (ܐܸܣܬܪܵܐsyc) | 사랑과 전쟁의 여신이자 니네베의 수호신 |
나부 (ܢܒ݂ܘܿsyc) | 글쓰기와 서기관의 신 |
네르갈 (ܢܸܪܓܲܠsyc) | 지하 세계의 신 |
닌우르타 | 아시리아의 전쟁과 사냥의 신 |
티아마트 | 바다 여신 |
삼누하[5] | |
쿠바바[6] | |
마르두크 (ܒܹܝܠsyc) | |
엔릴 | |
닌릴 | |
니스로크 | |
한비 | 파주주의 아버지 |
아누 | 하늘의 최고 신 |
에아 (수메르의 엔키) | 공예의 신 |
키샤르 | |
신 / 수엔 (수메르의 난나) (ܣܝܼܢsyc) | 달의 신 |
이슈하라 | |
샤마쉬 (ܫܡܫsyc) | 태양신 |
아다드/하다드[7] | |
다간/다곤 | |
벨 (ܒܹܝܠsyc) | |
탐무즈 (ܬܲܡܘܼܙsyc) |
주요 아시리아-바빌로니아 악마와 영웅은 다음과 같다.
3. 2. 가나안 지역 (우가리트, 페니키아)
가나안 지역의 셈족은 농경과 관련된 신들을 주로 숭배했으며, 이들의 신화는 성경에 일부 반영되어 있다.[10]가나안 종교는 고대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에 걸쳐 고대 레반트 지역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믿었던 종교이다. 1928년 이후 북부 시리아의 도시 우가리트에서 발굴된 청동기 시대 점토판 문서들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가나안 종교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10] 파피루스는 습한 지중해성 기후 때문에 부패하기 쉬워, 성경 기록이 주요 정보원이었다. 그러나 우가리트 문서, 텔 마르디크 아카이브, 레반트 지역의 비문 등을 통해 더 많은 정보가 밝혀졌다.[11][12]
가나안인들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가족들은 조상신을 숭배하면서도 바알, 아낫, 엘과 같은 다른 신들도 인정했다.[13] 왕들은 중요한 종교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신년 축제와 같은 의식에서 신성한 결혼을 통해 신으로 숭배되기도 했다.
우가리트 판테온(신들의 집단)은 '일룸(엘로힘)' 또는 '엘의 자녀들'로 불렸으며, 창조신 엘이 다른 신들의 아버지였다. 그리스 자료에 따르면 엘은 베이루트와 결혼했다. 이러한 신과 도시의 결합은 성경 이야기와 유사성을 보인다. 엘 엘리온은 창세기에서 멜기세덱의 신('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으로 언급된다.
필로 오브 비블로스에 따르면 엘 엘리온과 그의 배우자의 결합으로 우라노스와 가이아(하늘과 땅)가 태어났다고 한다. 이는 창세기 1장의 내용 및 바빌로니아 신화와도 유사하다.
가나안 지역의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역할 및 설명 |
---|---|
엘 | 우가리트의 최고신. 모든 신들의 생명의 근원이며 "창조자"라고 불린다. |
아세라 | 엘의 배우자 신. 모든 신들의 어머니이며 "바다의 귀부인 아세라"라고 칭해진다. |
아스타르테 | 전쟁과 사냥의 여신. 바알의 충실한 동맹자. |
아나트 | 전쟁의 여신으로 바알의 여동생이며 "처녀"나 "소녀"라고 칭해진다. |
아타르 | 금성과 관련된 신. |
Arsay영어 | 대지(지하 세계)의 여신. 바알의 딸 중 하나. |
Gupan and Ugar영어 | 바알을 섬기는 두 명의 전령의 신. |
Qudšu-wa-Amrur영어 | "아세라의 어부"라고 불리는 신. |
Gaṯaru영어 | "강하다"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신. |
Kothar-wa-Khasis영어 | 기술·공예·주술의 신. |
Kotharat영어 | 결혼, 출산 등의 축하 자리에 나타나는 여신들. |
샤파슈 | 태양의 여신. 신들의 중재자 역할을 한다. |
Tallay영어 | 비(이슬비)의 여신. 바알의 딸 중 하나. |
다간 | 곡물의 신. "다곤의 아들"이라는 바알의 에피세트에 이름이 나타난다. |
Nikkal영어 | 여신. 야리흐의 배우자 신. |
바알 | 우가리트의 주신. 폭풍, 자애로운 비, 번개를 관장하는 천후신. |
Pidray영어 | 바알의 딸 중 하나. |
Hauron영어 | 명계의 신. 주술 텍스트에 이름이 나타난다. |
모트 | 죽음과 명계의 신. 에서는 바알의 불구대천의 적으로 나타난다. |
얌=나하르 | 바다와 강의 신. 바알 신화에서는 바알의 적 중 한 명으로 나타난다. |
라샤프 | 싸움과 관련 지어지는 신. |
샤하르 | 새벽의 신. |
Shalim영어 | 황혼의 신. |
야리흐 | 달의 신. 니칼의 배우자 신. |
4. 셈족 종교와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관계
고대 셈족 종교는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아브라함 계통 종교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구약성경에는 셈족 신화의 요소들이 일부 차용되거나 변형되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창세기의 천지창조 이야기는 메소포타미아의 '에누마 엘리쉬'와 유사하며,[14][15][16] 노아의 방주 이야기는 '길가메시 서사시'의 홍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 수메르 신화의 ''엔메르카르와 아라타의 군주'' 또한 창세기의 바벨탑 신화에 영향을 미쳤다.
마소라 본문의 신명기 32장 8절은 다음과 같다.
>지극히 높으신 분('Elyōn)이 민족들에게 그들의 유산을 나누어 주실 때, 그는 아담의 아들(Ādām)을 나누셨고, 이스라엘 아들들의 수에 따라 백성의 경계를 정하셨다.
칠십인역은 "이스라엘의 아들들" 대신 "angelōn theou"(하나님의 천사들)을 제시하며, 일부 판본은 ''huiōn theou'' (하나님의 아들들)을 가지고 있다. 사해 문서 판본은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70명의 아들들이 지구의 70개 민족을 다스리기 위해 보내졌다고 제시한다. 이는 우가릿 텍스트에서도 발견된다.
아르슬란 타쉬 비문은 엘 엘리온의 70명의 아들 각각이 언약에 의해 그들의 백성과 묶여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서적
Canaan and Israel in Antiquity: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8-03-04
[2]
문서
Mackenzie, p. 301.
[3]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Assyrians
http://www.aina.org/[...]
AINA Assyrian International News Agency
2007-08-22
[4]
간행물
Assyrians after Assyria
http://www.nineveh.c[...]
Journal of Assyrian Academic Studies, Vol. XIII No. 2
2007-08-22
[5]
서적
Mari and Karana: Two Old Babylonian Cities
[6]
문서
Dalley (2002)
[7]
서적
Assyrian and Babylonian literature
https://archive.org/[...]
D. Appleton and company
2011-06-27
[8]
서적
The treasures of darkness: a history of Mesopotamian relig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1-06-27
[9]
웹사이트
ETCSLhomepage
http://etcsl.orinst.[...]
Etcssl.orinst.ox.ac.uk
2006-10-24
[10]
문서
'Gray, John, "The Legacy of Canaan the Ras Shamra Texts and Their Relevance to the Old Testament", No. 5. ''Brill Archive'', 1957; for a more recent discussion see Yon, Marguerite, ''The City of Ugarit at Tell Ras Shamra'', Eisenbrauns, 2006.'
[11]
문서
'Smith, Mark S., ''The origins of biblical monotheism: Israel''s polytheistic background and the Ugaritic tex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
문서
'J. Pons, Review of G. Pettinato, A. Alberti, Catalogo dei testi cuneiformi di Tell Mardikh - Ebla, MEE I, Napoli, 1979, in Études théologiques et religieuses 56 (1981) 339—341.'
[13]
웹사이트
Canaanite religion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04-17
[14]
웹사이트
The Enuma Elish: The Babylonian Creation Myth
http://www.crivoice.[...]
Crivoice.org
2011-11-11
[15]
웹사이트
ENUMA ELISH - Babylonian Creation Myth - Theories
http://www.stenudd.c[...]
Stenudd.com
[16]
서적
Lords of the scrolls: literary traditions in the Bible and Gospels
Peter Lang
[17]
서적
Creation and Chaos in the Primeval Era and the Eschaton: Religio-Historical Study of Genesis 1 and Revelation 12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2020-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