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린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린칭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랴오청시에 위치한 현급시이다. 베이징-주룽 철도와 대운하가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며, 면화 재배가 발달하여 "면향"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린칭시는 전한 시대에 청연현으로 시작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이 변경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상업 도시로 번성했다. 현재는 4개의 가도, 8개의 진, 3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리보탑, 청진사, 운하초관 등 역사적 명소가 있다. 린칭시는 과거 린칭 자치 미션이 설치되었던 가톨릭교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오청시의 행정 구역 - 양구현
    양구현은 수나라 시대에 설치된 산둥 성의 현으로, 2012년 기준 3개의 가도, 10개의 진, 5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우 지역에 속하여 뚜렷한 사계절과 함께 연평균 1394.7mm의 강수량을 보인다.
  • 랴오청시의 행정 구역 - 둥창푸구
    둥창푸구는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랴오청시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2012년 기준으로 10개의 가도, 8개의 진, 2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 둥창푸 전구의 중심지였으나 폐지 후 랴오청 전구에 편입되었다.
  • 산둥성의 현급시 - 룽청시
    룽청시는 산둥반도 동쪽 황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로, 해양 산업과 건설업이 발달했으며 한국, 일본과 활발한 교역을 하고, 다양한 관광 명소와 여러 도시와의 자매·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 산둥성의 현급시 - 라이시시
    라이시시는 중국 칭다오시에 속한 현급시로, 추로현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가지며, 철도역을 통해 교통이 연결되고 6개의 가도와 11개의 진을 관할한다.
린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린칭의 대운하
린칭의 "루 운하"와 "남부 운하" 구간의 교차점
공식 명칭린칭 시
다른 이름린칭 (Lintsing, Lin-ch'ing)
별칭해당 없음
위치산둥 성 랴오청 시
좌표36°50′58″N 115°42′22″E
행정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산둥 성
지급시랴오청 시
정부 소재지시 정부
지리
면적950 km²
인구
인구 (2019년)759,100명
시간대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행정 구역 코드
우편 번호252600
지역 번호0635
행정 구역 코드371581
기타 정보
웹사이트린칭 시 정부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린칭시는 산둥성 서부, 황허강 하류의 충적 평야에 위치하며, 지세는 평탄하고 서남에서 동북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해발고도는 29m에서 38m 사이이며, 고대부터 황허강의 홍수 영향을 받아 낮은 언덕과 웅덩이가 교차하는 미지형이 형성되었다.

린칭( LÍN-CH'ĪNG (LINTSING) (성벽 도시)) (육군 지도국, 1953)을 포함한 지도


시는 웨이허대운하가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베이징과 380km 떨어져 있고 징주 철도를 통해 홍콩과 연결된다.

시역 내 주요 하천에는 웨이허강(衛河), 징항 대운하(京杭大運河), 고운하(古運河), 마훠허(馬頬河)가 있다.

교통은 편리하며, 베이징과 홍콩을 잇는 징주 철로와 내륙 수운의 간선인 징항 대운하가 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성급 간선 도로가 동서를 관통한다.

2. 1. 기후

린칭시는 온대 습윤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2.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90.4mm이다.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하며, 겨울철에는 한랭건조하다.[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3.8°C7.3°C15.3°C20.7°C26.9°C31.9°C32.1°C30.3°C26.8°C21°C12.8°C5.6°C
평균 최저 기온 (℃)-6.2°C-3.3°C3°C8.7°C14.9°C19.9°C23°C21.6°C16°C9.1°C2.1°C-4.5°C
월 강수량 (mm)3mm9.6mm9.2mm31mm45.9mm70.3mm138.3mm129.8mm49.1mm31.4mm16.6mm4.1mm

[3][4]

역대 최고 기온은 41.4°C이고, 역대 최저 기온은 -22.1°C이다. 연평균 무상 일수는 205일이며, 연평균 일조 시간은 2661시간이다.

3. 역사

린칭시는 전한 시대에 설치된 청연현을 전신으로 한다. 청연현은 거록군에 속했으며, 후에는 위군에 속했다. 삼국 시대 서진 시기에는 기주양평군에 속했다. 오호 십육국 시대에는 후조가 지배했으며, 330년(건평 원년) 임청현으로 개칭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당나라는 772년(대력 7년) 임청현을 폐지하고 영제현에 통합하여 모주, 영주, 패주 관할이었다. 송나라부터 금나라에 걸쳐 대명부 등에, 원나라에는 중서성(복리) 복주에, 명나라에는 산동성포정사사동창부에 속했으며, 1489년(홍치 2년) 임청현에서 임청주로 승격했다.

수나라가 축조한 대운하는 이곳에 번영을 가져다주었다. 명나라·청나라 시기 임청주는 경항 대운하 연안의 조운 중심지이자 번화한 상업 도시였다. 또한 직물, 벽돌 등 생산 공업 도시였으며, 자금성 등 건설에 사용된 벽돌도 이곳에서 운반되었다. 명나라 시대 임청은 전국 16대 도시 중 하나로 꼽혔다.[9]

중화민국 건국 후, 1912년(민국 원년) 주(州)제 폐지에 따라 임청은 다시 현이 되었고, 제서도, 동림도, 덕림도에 속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당시 임청현 및 임청시는 허베이성한단 관할이었으나, 1952년 11월 행정 구역 변경에 의해 산둥성덕주전구에 속했고, 같은 해 12월 요성전구로 이관되었다. 1958년 임청현과 임청시를 통합하여 새로운 임청시가 되었으나, 1963년 다시 임청현이 되었다. 1983년 현급시 임청시가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역사적 사건

1945년 9월, 중국 공산당이 린칭시를 실효 지배하게 되면서 기남행서 제1전서 아래에 임청현 및 임청시(현 중심부에 분할 설치)가 설치되었다.[9] 이는 진보 세력과 보수 세력 간의 대립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4. 행정 구역

린칭시는 4개의 가도, 8개의 진, 3개의 으로 구성된다.[5]

가도(街道)진(鎭)향(鄕)


4. 1. 가도

린칭시는 4개의 가도, 8개의 진, 3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5] 린칭시의 가도는 다음과 같다.

  • 칭녠루 가도(青年路街道)
  • 신화루 가도(新华路街道)
  • 셴펑루 가도(先锋路街道)
  • 다신좡 가도(大辛庄街道)

4. 2. 진

쑹린진 (松林镇)라오자오좡진 (老赵庄镇)웨이완진 (魏湾镇)류가이자진 (刘垓子镇)
바차루진 (八岔路镇)판좡진 (潘庄镇)옌뎬진 (烟店镇)탕위안진 (唐园镇)

[5]

4. 3. 향

진하오좡_향, 다이완_향, 상뎬_향이 있다.[5]

5. 인구

2000년 기준으로 린칭 시에는 약 143,00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1999년 기준 린칭 시 전체 인구는 709,328명이었다.[6]

6. 경제

린칭시는 명나라청나라 때 직물, 곡물, 벽돌의 주요 유통 중심지였으며, 만리장성자금성 건설에 사용된 기와 생산지로 유명했다. 오늘날 린칭시의 경제는 다양한 경공업 기업들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6. 1. 주요 산업

린칭시의 주요 산업으로는 경방적(輕紡績), 기계 공업, 담배, 제약, 발전, 건자재, 식품, 피혁, 제지, 화학 공업 등이 있다. 시내에는 105만 1,100무의 농지가 있으며, , 옥수수, 면화, 등을 주로 재배한다. 특히 면화 재배 역사가 길어 "면향(棉郷)"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중국의 우질면 생산 기지 중 하나이다.

7. 교통

징주 철도와 징항 대운하가 린칭 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성급 간선 도로가 동서를 관통한다.[3][4]

8. 명소

대운하 외에도 린칭시에는 탑(舍利塔|Shèlì Tǎ중국어), 명나라 시대의 회족 모스크(린칭 북부 모스크, 临清清真北寺|Línqīng Qīngzhēn Běisì중국어, 린칭 동부 모스크, 临清清真东寺|Línqīng Qīngzhēn Dōngsì중국어), 옛 세관(钞关|Chāo Guān중국어), 린칭시 박물관(鳌头矶|Áo Tóu Jī중국어라고 알려진 역사적인 건물 단지에 위치) 등이 있다.[9]

8. 1. 주요 유적지


  • 사리보탑(舍利宝塔): 린칭 전탑(臨清磚塔)이라고도 불린다. 명나라 만력 연간(1611년)에 세워진 높은 불탑으로, 현성 북쪽 대운하 동쪽에 있다. 높이는 61m이며, 팔각 팔면 9층의 벽돌탑으로 탑 내부에는 나무 심주가 관통한다.[9] 대운하 근처의 랜드마크이다.
  • 청진사(清真寺): 명나라 가정 연간에 이미 있었던 이슬람교 모스크이다. 위운하 동쪽에 있으며, 넓은 면적에 수많은 건물이 늘어서 있어 중국 10대 청진사 중 하나로 꼽힌다.[9]
  • 운하초관(運河鈔関): 명나라 선덕 4년(1429년)에 건설된 초관(운하를 통과하는 배에서 세금을 걷기 위한 기관)이다. 중국 8대 초관 중 하나로, 명나라 만력 연간에는 8대 초관 중 수위가 되어 전국 과세액의 4분의 1을 징수했다. 현존하는 유일한 초관으로,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 있다.[9]
  • 오양송(五様松): 동쪽 교외의 진분촌 북쪽에 있는 오래된 소나무와 측백나무 숲이다. 명나라 영락 연간에 심어진 것으로, 잎의 형태가 죽매(竹篾), 쌀알, 나팔, 바늘, 가시의 다섯 가지가 있어 고요마쓰(오양송)라고 불리게 되었다.[9]
  • 용산(龍山): 산둥성 서북쪽 광대한 평원 안에 우뚝 서 있는, 이 지방 유일의 인공 산이다. 명나라 영락 15년(1417년)에 대운하의 일부로 개착된 회통하에서 나온 토사를 쌓아 만들어졌으며, 이후 운하와 강의 준설로 나온 흙도 여기에 쌓였다.[9]

9. 종교

마테오 리치가 방문했던 린칭시는 1927년 6월 24일 지난부 대목구에서 분리된 이후 린칭(Lintsing) 라틴 가톨릭 린칭 자치 미션의 소재지였다.

1931년 4월 5일에는 린칭 교황청 / 린칭(Lintsing) / 린칭겐시스(Lintsingen(sis))(라틴어)(명목 주교의 지위는 없는 교구la 전 단계 관할 구역)으로 승격되었다.

이곳은 면제 구역, 즉 성좌와 선교 로마 인류 복음화 성성에 직접 종속되어 있다. 1981년 세 번째 주교의 사망 이후, 이곳은 교황 대리 없이 공석으로 남아 있다.[7]

;''교황청 지사''


  • 가스파르 후 시우-선()(1931년 3월 30일 – 1940년 은퇴), 1945년 사망
  • 요셉 리 차오-구이()(1940년 11월 22일 – 1948년 사망)
  • 바오로 리 벤-량()(1949년 11월 18일 – 1981년 사망)

10. 인물


  • 셰전 (명나라 시인)
  • 장즈충 (국민혁명군 장군)
  • 지셴린 (인도학자, 언어학자, 고문자학자, 역사학자, 작가)

참조

[1] 웹사이트 最新人口信息 www.hongheiku.com https://www.hongheik[...] hongheiku 2021-01-12
[2] 웹사이트 最新人口信息 www.hongheiku.com https://www.hongheik[...] hongheiku 2021-01-12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12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12
[5] 웹사이트 聊城市-行政区划网 www.xzqh.org http://www.xzqh.org/[...] XZQH 2012-05-24
[6] 간행물 National Population Statistics Materials by County and City - 1999 Period http://www.people.fa[...]
[7] 웹사이트 GCatholic http://www.gcatholic[...]
[8] 간행물 National Population Statistics Materials by County and City - 1999 Period http://www.people.fa[...]
[9] 문서 当時中国全土で活躍した徽商(安徽省籍の商人、[[新安商人]])は次のように全中国の大都市を評価している。「現在でいう都会とは、大きい順から両京(南京と北京)、江蘇・浙江・閩(福建)・広(広東)の省会、次いで蘇・松・淮・揚の諸府、臨清・済寧の諸州、儀真・蕪湖の諸県、瓜州・景徳の諸鎮…。」(萬暦『歙志』巻一より)
[10] 웹인용 中国地面气候标准值月值(1981-2010)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Data Service Center 202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