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미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미인은 기원전 200년대 초, 항우의 아내가 된 여성으로, 해하 전투에서 패배한 항우를 따라 자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 기록에는 그녀의 최후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으나, 후대의 문학 작품에서 항우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해 자결한 것으로 묘사된다. 명나라 소설 『서한통속연의』에서는 항우의 정실 부인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경극 '패왕별희'를 비롯한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사랑과 헌신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현재 중국 안후이성 링비현에는 우미인의 묘로 추정되는 유적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나라 사람 - 범려
    범려는 춘추 시대 월나라의 정치가이자 상인으로, 오나라 멸망에 기여하고 상업 활동으로 부를 축적하여 도주공으로 불리며 숭배받았다.
  • 초나라 사람 - 오자서
    오자서는 춘추 시대 초나라 출신으로 초나라에 복수하기 위해 오나라에서 활약하며, 손무와 함께 오나라의 부국강병을 이끌고 초나라를 공격하여 수도 영을 함락시켰으나, 오왕 부차와의 갈등으로 자결하고 사후에는 물의 신으로 숭배받았다.
  • 기원전 3세기 사망 -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3세기 사모스 출신 천문학자로, 지구 중심설에 기반한 천체 계산법을 제시한 저서와 더불어 태양 중심설을 주장하여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 기원전 3세기 사망 - 에우클레이데스
    에우클레이데스는 기원전 300년경 고대 그리스 수학자로, 《에우클레이데스의 원론》을 통해 유클리드 기하학의 기초를 다지고 유클리드 호제법, 소수의 무한성 증명 등 수론에도 기여하여 서양 수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초한전쟁 관련자 - 장량
    장량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초한쟁패기를 거쳐 전한 초기에 활약한 한나라 귀족 출신 인물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유후에 봉해진 뛰어난 지략가이자 책사이다.
  • 초한전쟁 관련자 - 소하
    소하는 전한 초기의 정치가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공을 세웠으며, 군수 보급, 내정 담당, 한신 천거, 승상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지는 데 헌신한 인물이다.
우미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희원의 백미신영도전의 우희 초상화
안희원의 《백미신영도전(百美新詠圖傳)》에 나오는 우희의 초상화
다른 이름우미인 (虞美人)
인물 정보
배우자항우
형제/자매우자기 (虞子期)
출생지장쑤성
사망일기원전 202년
사망지안후이성 링비현

2. 생애

기원전 209년, 항우와 그의 삼촌 항량진나라에 대항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우미인의 오빠인 우자기(虞子期)는 항량의 군대에서 장군으로 복무하고 있었다. 우미인은 항우를 만나 사랑에 빠져 그의 아내가 되었다. 그 후, 우미인은 항우의 군사 작전에 동행하며, 모든 전투에 그와 함께했다.[1]

기원전 202년, 항우는 유방(한나라의 왕), 한신, 팽월의 연합군에 의해 해하 전투에서 포위되었다. 한군은 항우의 고향인 초나라의 민요를 불러 초나라가 점령되었다는 거짓 인상을 심어주었다. 항우 군대의 사기는 떨어졌고, 많은 병사들이 탈영했다. 절망에 빠진 항우는 술에 취해 "해하가"를 불렀고, 우미인은 검무를 추며 화답했다. 우미인은 항우와 함께 죽을 결심을 보였다. 항우는 결국 해하 전투에서 자결했지만, 역사 기록에는 우미인의 운명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후의 문화 작품에서는 우미인 또한 사랑과 충성심 때문에 자결한 것으로 묘사된다.

안후이성 링비현에는 "우미인 묘"가 있다.

3. 우미인의 노래

항우가 "해하가"를 부른 후 우미인이 불렀다고 전해지는 노래는 다음과 같다.[2] 우미인은 이 시를 부른 후 항우의 칼로 자결했다.[2]



이 노래는 후세에 시의 소재로 많이 다루어졌는데, 당나라 펑다이정의 『우희원』[14], 북송 쑤처의 『호주칠절·우희묘』, 장순민의 『우희답패왕』, 쩡궁의 『우미인초』, 청나라 허푸의 『우미인초』, 위안메이의 『과우구유우희묘』 등의 작품이 남아있다.

4. 최후

기원전 202년, 항우해하 전투에서 유방, 한신, 팽월의 연합군에 포위되었다.[1] 한군은 항우의 고향인 초나라의 민요를 불러 초나라를 점령했다는 잘못된 인상을 심어주었다. 항우 군대의 사기는 떨어졌고, 여러 병사들이 탈영했다. 절망에 빠진 항우는 술에 취해 "해하가"를 불렀고, 우미인은 검무를 추며 화답하며 함께 죽을 의지를 보여주었다.[1]

우미인은 이 시를 부른 후 항우의 칼로 자결했다고 전해진다.[1] 항우는 결국 해하 전투에서 자결했지만, 역사 기록에는 우미인의 운명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다.[1] 이후의 문화 작품에서는 그녀 또한 사랑과 충성심 때문에 자결한 것으로 묘사된다.

우미인과 항우 (『고금백미도』)


안후이성 링비현에는 "우미인 묘"가 있다.

5. 묘소

현재 안후이성 링비현에는 "우미인 묘"가 있다.[12]

사기 주석 「괄지지」에는, 그 지역 노인들의 전언에 따르면 호주 정원현(현재의 안후이성 추저우시 딩위안현) 동쪽 60리에 미인의 묘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소시보주』 권5에 인용된 『태평환우기』에서는 정원현의 "남쪽" 60리에 있는 높이 6장의 묘로, 속칭 "차우둔(우미인의 탄식 묘의 뜻)"이라고 불리고 있다. 『송회요집고』에는 사주 홍현(현재의 안후이성 쑤저우시 쓰현)의 북쪽 경계. 『석호시집 권12』 주석에 따르면 같은 홍현 하마포에서 북쪽으로 37리 떨어진 곳이다. 『시주소시』가 인용한 「구역지」에 따르면 항우가 도주 중에 길을 잃었던 음릉성(중리현 서쪽 60리, 현재의 안후이성 추저우시 딩위안현 융캉진) 부근에 묘소를 세웠다고 한다.

위의 모든 설은 해하 (현재의 안후이성 쑤저우시 링비현)의 북부 또는 남부에 인접한 장소에 해당한다.

우미인의 묘라고 전해지는 유적이 현재 딩위안현의 동쪽 50킬로미터 지점에 있으며, 건물이 건축되어 있다. 사타케 야스히코는 초나라(항우) 정권의 중추를 차지했던 남초 구강군 출신의 호족들의 지배지에 우미인의 묘라고 전해지는 유적이 존재하고 있으며, "항우가 죽은 후에도 항우를 계속 그리워했던 사람들, 항우 신화를 만들어낸 사람들이 사는 지역이므로, 그곳에 우미인의 묘라고 전해지는 유적이 남아 있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13]

6. 평가 및 영향

우미인은 역사적으로 많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희곡,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가 되었다. 항우와 우미인의 로맨스는 베이징 오페라 ''패왕별희''에서 재현되었으며, 이는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영화 ''패왕별희''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1] 소식, 하보, 원매와 같은 시인들도 우미인에 관한 시를 썼다.[1] 천위산, 오메이설, 양공여, 관지림, 유역비 등 여러 배우들이 영화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 우미인 역을 맡았다.[1]

오대십국 시대 염선(閻選)의 『우미인』이나 손광헌의 『우미인』이라는 사(詞)에서는 항우가 죽은 후에도 우미인은 살아남아 사랑하는 항우를 그리워한다고 묘사된다.[9] 반면, 북송 때 편찬된 『태평환우기』에는 패주하는 항우가 우미인을 죽여 종리현(鍾離県)에 매장했다는 기록이 있다.[10]

명나라 시대 통속 소설 『서한통속연의(西漢通俗演義)』 (일본어 번역 『통속한초군담』)에서는 유방의 총애를 받아 살아남도록 권유받지만, 남장을 하고 항우를 따르겠다며 항우에게서 보검을 빌려 "항우에게 받은 은혜를 갚지 못했다"고 말하며 자결한다.

경극패왕별희』에서는 항우를 술로 위로하고 격려하며, 항우를 도망치게 하기 위해 짐이 되지 않도록 자결한다.

청대 『백미신영도전』에서는 중국 역대 최고 미인 백 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자결한 우미인의 전설은 개양귀비에 "우미인초"라는 이명이 붙은 유래가 되었다.[11]

우미인 (『晩笑堂竹荘画伝』)

우미인을 소재로 한 작품

유형작품명비고
경극패왕별희
항우(별명: "미인초")
희곡항우와 유방(나가요시 로)
뮤지컬우미인(다카라즈카 가극단, 나가요시 로의 『항우와 유방』이 원작)
뮤지컬꽃・우미인(2017년, 각본・연출: 오카모토 타카야, 주연: 오우키 카나메)[15]
소설항우와 유방(시바 료타로)
영화항우와 유방/그 사랑과 흥망(1994년, 중국・홍콩, 연: 관지림)
영화항우와 유방/White Vengeance(2011년, 중국, 연: 유역비)
영화초한지: 영웅의 부활(2012년, 중국, 연: 허두쥐안)
텔레비전 드라마유방과 항우(1997년, 중국, 연: 저우루)
텔레비전 드라마대륙풍 〜항우와 유방〜(2004년, 중국, 연: 크리스티 용)
텔레비전 드라마楚漢驕雄|항우와 유방중국어(2004년, 홍콩, 연: 우메이헹)
텔레비전 드라마THE MYTH/신화(2009년, 중국, 연: 알리나 장)
텔레비전 드라마항우와 유방 King's War(2012년, 중국, 연: 리이샤오)
만화요코야마 판 사기(요코야마 미츠테루), 『통속 한초 군담』의 일화 삽입.
만화항우와 유방(요코야마 미츠테루)
만화적룡왕(모토미야 히로시), 아래 작품을 베이스로 함.
만화사기 (항우와 유방)(원작: 쿠보타 센타로 / 작화: 히사마츠 후미오)
게임Fate/Grand Order의 등장 캐릭터
게임진・삼국무쌍 MULTI RAID 2(코에이 성우: 콘노 히로미)


참조

[1] 간행물 The China Journal - Volume 3, Issue 2 - Page 374 Arthur de Carle Sowerby - 1925
[2] 문서 中国語で妻や恋人を意味する。
[3] 위키문헌 漢書/卷031
[4] 위키문헌 史記/卷007
[5] 논문 中国通俗文芸における項羽像と虞姫像の変容について
[6] 서적 『通俗漢楚軍談』
[7] 위키문헌 垓下歌
[8] 서적 『史記』項羽本紀
[9] 서적 『項羽と劉邦 下巻 楚漢激突と“国士”韓信』172頁 歴史群像シリーズ33
[10] 서적 『太平寰宇記』128巻「虞姬塚在縣南六十里高六丈即項羽敗殺姬葬此」
[11] 서적 『堯山堂外紀』巻二「西楚覇王籍」虞姬乃請劍自刎。虞姬葬處,生草能舞,人呼為虞美人草。
[12] 서적 『史記』の引く『括地志』云:「虞姬墓在濠州定遠縣東六十里。長老傳云項羽美人冢也。」。『蘇詩補註』巻五の引く『太平寰宇記』「在定遠縣南六十里高六丈名勝志今俗名嗟虞墩」。『宋会要輯稿』「泗州虹縣北境虞姬墓」。『石湖詩集』巻十二 「虞姬墓〈在虹縣下馬鋪北三十七里〉」。『施註蘇詩』 (四庫全書本)/卷03 「虞姬墓〈九域志陰陵城項羽迷失道於此蓋虞姬死所〉」。
[13] 서적 『項羽』329・330頁
[14] 서적 『全唐詩』卷七百七十三
[15] 뉴스 凰稀かなめ主演ミュージカル「花・虞美人」ユナクと清水良太郎が劉邦と項羽に https://natalie.mu/s[...] 2016-08-25
[16] 서적 《한서》 권31 진승항적전 제1
[17] 서적 《사기》 권7 항우본기 제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