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어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어초(Antirrhinum majus)는 높이 0.5~2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나선형으로 배열되며 꽃은 좌우대칭의 입술 모양을 하고 있다. 야생에서는 분홍색에서 보라색 꽃을 피우며, 재배를 통해 다양한 색상의 꽃을 감상할 수 있다. 씨앗으로 번식하며, 관상용 외에 식용으로도 사용된다. 진딧물, 꽃노랑총채벌레 등 해충과 탄저병, 잿빛곰팡이병 등의 질병에 취약하다. 안토시아닌을 비롯한 다양한 화학 성분을 함유하며, 염증 치료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분류학적으로 4개의 아종이 별도의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프랑스 남부 등지에 자생한다. 재배가 용이하여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었고, 모델 생물로도 활용되어 유전학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일본 아이치현 야토미시의 시화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초 - 국화 (식물)
    국화는 중국에서 약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2만 종에서 3만 종에 달하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꽃의 형태와 색상이 다양하고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나 실내 화분식물로 인기가 높고 경제적 가치가 높아 세계적으로 중요한 화훼 작물이다.
  • 화초 - 월계화
    월계화는 중국 원산의 관목으로 4월에서 9월까지 꽃이 피고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며, 꽃과 열매는 약재, 어린 싹과 꽃 등은 식용으로도 사용된다.
  • 질경이과 - 개불알풀
    개불알풀은 개의 음낭과 비슷한 열매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옅은 분홍색 꽃이 피는 월년초이지만, 귀화 식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환경부 멸종위기 II류로 지정된 식물이다.
  • 질경이과 - 개질경이
    개질경이는 흰 털이 빽빽한 여러해살이풀로, 5~8월에 흰색 꽃이 피며, 습 제거, 해열, 지혈 효능이 있고, 일본과 홋카이도 등지 해안 사지에서 자생하며, 털이 없는 민둥개질경이로도 분류되고, 홋카이도에서 많이 생산되어 '에조오바코'라고도 불린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금어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그리스 타소스에서 자라는 금어초
그리스 타소스의 오래된 벽에서 자라는 금어초
학명Antirrhinum majus
명명자L. (1753년)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
아강 (계급 없음)국화군
상목 (계급 없음)시소군
꿀풀목
질경이과
금어초족
금어초속
금어초

2. 특징



금어초는 그 이름처럼 금붕어와 비슷한 모양의 꽃을 이삭 모양으로 많이 피운다. 꽃의 색깔은 빨강, 분홍, 하양, 주황, 노랑, 복색 등 다양하다.

씨앗은 작지만 강건하여, 땅에 떨어지면 잘 번식한다. 보통 가을에 씨를 뿌리는 한해살이풀이지만, 추운 지역에서는 봄에 씨를 뿌리기도 한다. 원래는 여러해살이풀로, 시간이 지나면서 줄기가 나무처럼 단단해지기도 한다.

관상용 외에도 식용 품종(식용 금어초, 스냅드래곤)이 있다.[23]

2. 1. 생태

금어초는 높이 0.5–1m, 드물게는 2m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나선형으로 배열되며,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는 1–7cm, 너비는 2–2.5cm이다. 윗부분의 선 모양 잎자루는 둥글며, 때로는 중간까지 목질화되기도 한다. 마주보는 잎은 단순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에서 넓은 피침형이며, 때로는 선형이고 일반적으로 칙칙하다. 은 없다.[6]

은 키가 큰 이삭에 맺히며, 각 꽃은 길이가 3.5-4.5cm이고, 꽃받침 대칭은 좌우대칭이다. 두 개의 '입술'이 꽃부리 튜브를 닫고 있으며, 3부분으로 나뉘어 있고 보라색, 빨간색을 띠며 길이는 거의 5cm이다. 야생 식물은 분홍색에서 보라색 꽃을 가지고 있으며, 종종 노란색 입술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8개에서 30개의 짧은 자루가 있는 꽃이 함께 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 축은 선모(腺毛)가 있다. 화관은 25~45mm(드물게 70mm까지) 길이이며 다양한 색상(빨강, 분홍, 주황, 노랑, 흰색)을 띤다. 화관의 "아가리"는 아래 입술의 돌출부로 닫혀 있으며, 여기서는 "마스크"라고 하고, 바닥 부분은 뒤집혀 헐렁하다. 네 개의 수술이 있는 원이 있다. 이 식물은 호박벌에 의해 수분되며, 호박벌은 수꽃을 부드럽고 짧게 열어 어렵지 않게 들어가고 나올 수 있을 만큼 강하며, 이 과정에서 꽃가루를 수집한다. 금어초의 꽃받침은 길이가 최대 8mm이며, 꽃받침 조각은 길이가 같고, 장타원형에서 공간형이다.

씨방은 상위이다. 열매는 해골 모양의 타원형 삭과로 지름 10–14mm이며,[7] 수많은 작은 씨앗을 포함하고 있다.[8]

금어초는 일부 해충과 질병의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곤충은 금어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해충이다.

  • 진딧물: 잎의 끝 부분과 뒷면을 공격하고 섭취한다. 진딧물은 식물 내 액체를 소비하며 잎에 어두워지거나 반점이 생기게 할 수 있다.[12]
  • ''Frankliniella occidentalis'': 튼튼하게 자라고 건강한 금어초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새로 핀 꽃에서 발견된다. 꽃노랑총채벌레는 금어초의 새싹과 꽃봉오리에 작은 병변을 일으키고 수술에서 꽃가루를 제거한다. 이 경우 치료가 어렵지만, 포식성 응애인 ''Neoseiulus''를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1]


금어초는 주로 진균 감염으로 고통받는다.

  • 탄저병: ''Colletotrichum'' 속의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질병은 잎과 줄기를 공격하여 감염된 부위에 황색과 갈색 테두리가 나타난다. 감염된 식물을 제거하고 기존 식물 간의 간격을 더 넓게 유지하는 것이 권장된다.[12]
  • ''보트리티스'': 회색 곰팡이라고도 알려진 이 감염은 금어초의 꽃 아래에서 발생한다. ''보트리티스''는 꽃의 스파이크가 시들게 하고 꽃송이 아래 줄기가 옅은 갈색으로 변색되게 한다.[12] 보트리티스는 금어초의 꽃, 잎, 싹에 빠르게 국소적인 건조와 갈변을 유발한다. 따뜻한 날씨에서는 보트리티스가 더욱 심해진다. 보트리티스 치료에는 감염된 부분을 잘라내고 주변 지역에서 이 식물의 잔해를 제거하는 것이 포함된다.
  • ''피티움'': 식물이 적절한 양의 물을 공급받고 있다면, ''피티움'' 종의 진균 감염으로 인해 식물이 시들 수 있다.[1]
  • 녹병: 금어초가 감수성이 있는 또 다른 진균 질환은 녹병이다. 이는 식물의 줄기나 잎의 아랫면에 옅은 녹색 원으로 처음 나타나며, 결국 갈색으로 변하고 농포를 형성한다.[1] 녹병은 금어초가 조기에 개화하고 작은 꽃을 피우며 더 일찍 분해를 시작하게 할 수 있다.[12]
  • 줄기 썩음병: 진균 감염으로, 토양 근처의 줄기 아랫부분에서 솜털 모양의 성장을 볼 수 있다. 감염된 경우 식물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12]

2. 2. 화학 성분

금어초에서 발견되는 안토시아닌은 안티리니라고 불리며, 시아니딘의 3-루티노사이드이다.[9] 활성 성분으로는 점액질, 갈산, 수지, 펙틴, 쓴맛 등이 있다.

3. 분류



thumb

(재배종)의 털이 있는 꽃봉오리


이전에 4개의 아종은 현재 별도의 종으로 간주된다.[10]

  • Antirrhinum majus|금어초la subsp. cirrhigerumla: 현재 Antirrhinum cirrhigerumla으로 분류됨
  • Antirrhinum majus|금어초la subsp. linkianumla: 현재 Antirrhinum linkianumla으로 분류됨
  • Antirrhinum majus|금어초la subsp. litigiosumla: 현재 Antirrhinum barrelierila와 동의어
  • Antirrhinum majus|금어초la subsp. tortuosumla: 현재 Antirrhinum tortuosumla으로 분류됨

4. 분포 및 서식지

프랑스 남중부, 동부 피레네 산맥에서 스페인 북동부, 발레아레스 제도까지 자생하며 틈새나 벽에서 자주 자란다.[11]

5. 재배

금어초는 어느 정도의 서리와 더 높은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지만 17°C에서 가장 잘 자란다. 밤 기온이 15°C 정도면 정단 분열 조직과 줄기 모두에서 성장을 촉진한다.[1] 씨앗으로 잘 자랄 수 있으며 3~4개월 안에 빠르게 개화한다. 꺾꽂이로도 재배할 수 있다.[13]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특히 겨울을 나지 못할 수 있는 추운 지역에서 두해살이풀 또는 한해살이풀로 종종 재배된다. 라벤더, 오렌지, 분홍, 노랑 또는 흰색 꽃이 있는 식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배 품종이 있으며, 일반적인 꽃차례가 하나의 크고 대칭적인 꽃으로 덮여 있는 기형꽃이 있는 식물도 있다.[8][14] 'Floral Showers Deep Bronze'[15]와 'Montego Pink'[16] 품종은 왕립원예학회의 가든 메리트 상을 받았다.

덩굴성(포복성) 품종은 종종 ''A. majus pendula''(동의어 ''A. pendula'', ''A. repens'')로 불린다.

재배지에서 벗어나 귀화하는 경우가 많으며, 원산지 북쪽의 유럽과 세계의 온대 지역에서 널리 서식한다.[8][2]

6. 모델 생물

금어초는 모델 생물로 실험실에서 사용되며,[18] MADS-box 유전자군에서 "D" 문자를 제공하는 DEFICIENS|디피션스영어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식물 발달에 중요한 유전자군이다. ''Antirrhinum majus''는 거의 한 세기 동안 생화학 및 발생 유전학 분야에서 모델 생물로 사용되어 왔다. ''A. majus''는 이배체 유전, 재배 용이성(약 4개월의 비교적 짧은 세대 시간), 자가 수분 및 교차 수분의 용이함, 그리고 형태 및 개화 색상의 변이 등 여러 가지 특성으로 인해 모델 생물로 적합했다. 또한 일반적인 진정쌍자엽 식물 모델인 ''애기장대''와 구별된다는 점에서도 이점을 얻었으며, 발달 연구에서 ''A. majus''와 비교하는 데 사용되었다.[1]

''A. majus''에 대한 연구는 고온에서 DNA 메틸화가 Tam3 전이인자 억제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것을 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DNA 메틸화가 이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주장되었는데, 이는 전이 활성 및 비활성 시 메틸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였다. 그러나 ''A. majus''의 Tam3 전이인자 과정은 이를 완전히 뒷받침하지 않았다. 15°C에서 전이가 허용되고 25°C 부근의 온도에서 전이가 강하게 억제되는 것은 전이 상태의 억제가 메틸화 상태에 의해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9] 저온 의존적 전이가 이전에 믿었던 것과는 반대로 Tam3의 메틸화/탈메틸화의 원인임이 밝혀졌다. 한 연구에서는 Tam3의 메틸화 감소가 더 낮은 온도에서 여전히 발달하고 있는 조직에서 발견되었지만, 더 높은 온도에서 발달하거나 자란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20]

''Antirrhinum majus''는 꽃가루 매개자와 식물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꽃잎의 원뿔 모양 유두 모양이 진화론적으로 어떤 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며, 이 모양이 꽃의 색상을 강화하고 증폭시키거나 시각 또는 촉각을 통해 꽃가루 매개자를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있었다. ''A. majus''가 가져온 이점은 이 원뿔 모양의 꽃잎 형성을 방지하는 MIXTA 유전자좌의 돌연변이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원뿔 모양의 꽃잎이 있는 식물과 없는 식물을 시험하고, 이 두 그룹 간의 빛 흡수를 비교할 수 있었다. MIXTA 유전자는 원뿔 세포 형성에 필수적이므로, ''Antirrhinum''의 품종 개량에서 이 유전자의 사용은 매우 중요했으며, 많은 식물이 원뿔 모양 유두 표피 세포를 생성하는 이유를 보여주는 시험을 가능하게 했다.[21]

''A. majus''가 꽃가루 매개자와 식물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데 기여한 또 다른 역할은 꽃 향기에 대한 연구였다. ''A. majus''의 두 효소인 페닐프로파노이드와 이소프레노이드는 꽃 향기 생산과 꽃 향기가 꽃가루 매개자를 유인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었다.[1]

7. 문화

아이치현 야토미시의 시화(市花)는 금어초이다.

참조

[1] 학술지 The Genus Antirrhinum (Snapdragon): A Flowering Plant Model for Evolution and Development 2008-10-01
[2] GRIN 2017-12-24
[3] 학술지 Disintegration of the Scrophulariaceae 2001
[4] 서적 Flora of Germany and neighboring countries. A book to identify wild and frequently cultivated vascular plants Quelle & Meyer, Wiebelsheim 2006
[5] 서적 Biologie Spektrum-Verlag Heidelberg-Berlin 2003
[6] 서적 Plant sociology excursion flora for Germany and adjacent areas Eugen Ulmer, Stuttgart (Hohenheim) 2001
[7] 웹사이트 The Dragon's Skull: The Macabre Appearance of Snapdragon Seed Pods http://www.kuriosita[...] 2019-01-26
[8] 서적 Flora of Britain and Northern Europe
[9] 학술지 Natural anthocyanin pigments: The magenta flower pigment of Antirrhinum majus
[10] 웹사이트 Antirrhinum majus L.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powo.science.[...] 2023-09-10
[11] 웹사이트 Antirrhinum majus http://rbg-web2.rbge[...]
[12] 웹사이트 Antirrhinum majus Snapdragon http://edis.ifas.ufl[...] 2015-05-18
[13] 서적 A revision of the tribe Antirrhinea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 Oxford 1988
[14] 서적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15]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ntirrhinum majus 'Floral Showers Deep Bronze' https://www.rhs.org.[...] 2018-01-12
[16]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Antirrhinum majus ' Montego Pink' https://www.rhs.org.[...] 2018-01-13
[17] 서적 Gentianaceae to Compositae; gentian to thistle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1970
[18] 학술지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North American Antirrhinum (Veronicaceae)
[19] 학술지 DNA methylation is not necessary for the inactivation of the Tam3 transposon at non-permissive temperature in Antirrhinum https://eprints.lib.[...] 2005-11-01
[20] 학술지 The Temperature-Dependent Change in Methylation of the Antirrhinum Transposon Tam3 Is Controlled by the Activity of Its Transposase 2017-04-21
[21] 학술지 The role of petal cell shape and pigmentation in pollination success in Antirrhinum majus 1998-06-01
[22] GRIN 2012-08-16
[23] 웹사이트 食用花類 Edible flowers https://www.maff.go.[...] 2022-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