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03년은 남송 가태 3년, 금 태화 3년, 일본 겐닌 3년 등으로,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케레이트의 멸망, 히키 요시카즈의 변,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유폐 등이 있었으며, 칭기즈 칸이 케레이트 부족의 옹 칸을 항복시켰다. 유럽에서는 제4차 십자군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고, 프랑스 왕 필리프 2세가 노르망디를 침공했다. 이 해에는 아부 샤마, 아부 자카리야 야흐야 등 다양한 인물이 태어났으며, 레옹의 마르틴, 아르튀르 1세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교황 인노첸시오 3세가 잉글랜드 왕 존에게 캔터베리 대주교로 스티븐 랭턴을 임명했다.
- 리보니아 검의 형제 기사단이 리보니아 정복을 시작했다.
- 시칠리아 왕국의 윌리엄 3세가 왕위에 올랐다.
- 스코틀랜드의 윌리엄 1세가 잉글랜드의 존에게 앵거스와 메언스를 양도했다.
- 여름 – 아이유브 왕조 술탄 알 아딜 1세의 명령에 따라 무슬림 함대가 키프로스 근해에서 십자군 선박을 공격했다. 아크레에서 온 배들이 아크레 근해에서 무슬림 선박 6척을 나포하면서 보복했다. 예루살렘 왕국의 왕 아모리는 알 아딜과 십자군 간의 휴전을 무효로 선언하고, 팔레스타인 북부의 무슬림 영토를 습격했다. 알 아딜은 군대를 이끌고 아크레 외곽으로 진군하여 대응했지만, 공격을 감행하지 않고 철수했다. 아크레에서 역병이 발생하여 새로 도착한 십자군 군대의 절반이 사망했다.
- 4월 8일 – 제니차 빌리노 폴레 의회: 보스니아 반 쿨린은 공식적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충성을 선언하고 이단을 비난했다.
- 스코틀랜드 귀족 라그날 막 소마이를러는 베네딕토회 수도사들을 초청하여 이오나 수도원을 설립했다.
- 인도 치담바람에 있는 나타라자 사원이 완공되었다.
4. 1. 동아시아
- 초 – 칼라칼지드 사막 전투: 몽골 부족의 칸이자 훗날 칭기즈 칸이 되는 테무진이 케레이트 부족의 칸 토그릴의 군대에게 크게 패배했다.[13]
- 중반 – 테무진과 소수의 동료들이 발주나 호수의 진흙탕 물을 마시며 서로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발주나 서약을 맺었다.[13][14]
- 후반 – 테무진은 케를렌 강 하류의 제제르 고원에서 벌어진 3일간의 전투 끝에 케레이트 부족을 격파했다. 이 전투로 토그릴은 사망하고, 케레이트 부족은 사실상 멸망하여 칭기즈 칸에게 흡수되었다.[13][15]
- 일본에서는 가마쿠라 막부의 권력 다툼인 히키 요시카즈의 변이 일어나 히키 요시카즈가 집권 호조 도키마사에게 패배하고 일족이 멸망했다.
- 이 사건의 결과로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이즈의 슈젠지에 유폐되었고, 그의 동생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3대 쇼군으로 옹립되었다.
4. 2. 유럽
- 4월 20일 – 제4차 십자군 군대가 자다르(Zadar, 당시 자라)에서 철수하여 코르푸 섬으로 항해를 시작했다. 몬페라토의 보니파스와 베네치아 도제 엔리코 단돌로는 비잔티움 제국의 왕자 알렉시오스 앙겔로스를 기다리기 위해 남았다. 함대는 두러스(Durrës, 현 알바니아)에 잠시 들른 후 코르푸에 도착했다. 한편, 첩자를 통해 함대의 접근 소식을 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황제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는 성벽과 요새 강화를 명령했다.[1]
- 5월 ~ 6월 – 십자군 함대는 그리스를 돌아 할키스(Chalkis, 당시 네그로폰테)에 정박했고, 그곳의 지방 당국은 알렉시오스 앙겔로스에게 복종했다. 이에 고무된 십자군 지도자들은 그와 여러 척의 배를 보내 안드로스 인근 섬들에 대한 그의 권위를 확장하도록 했다. 6월 중순, 십자군 함대는 그리스에서 헬레스폰토스의 아비도스로 항해하여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진입했다.[2]
- 6월 23일 – 십자군 함대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시야에 들어와 보스포루스 해협으로 진입했다. 당시 비잔틴 수도는 15,000명의 병사(5,000명의 바랑기안 근위대 포함)와 20척의 갤리선으로 방어되고 있었다. 6월 26일 비잔틴군은 십자군과 교전을 시도했으나, 십자군은 칼케돈과 크리소폴리스(현 위스퀴다르)를 공격하는 데 실패했다.[2][3]
- 7월 2일 – 십자군 지도자들은 젊은 알렉시오스 앙겔로스를 도시 성벽 가까이로 데려가 비잔틴인들에게 그를 지지하도록 호소했다. 그러나 욕설과 투석만 받고 시도는 중단되었다. 십자군 지도부는 우세한 해류와 바람을 이용해 갈라타 북쪽에 상륙하기로 결정했다.[4]
- 7월 5일 – 십자군 함대는 말 수송선을 이용해 상륙했고, 기병대의 돌격으로 비잔틴 수비대를 제압했다. 비잔틴군은 짧은 교전 후 도망쳐 갈라타 탑으로 후퇴하여 요새화했다. 치열한 전투 끝에 십자군은 탑을 점령하고, 항구를 막던 거대한 쇠사슬을 끊어 함대가 골든 혼으로 진입할 수 있게 했다.[5]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1203): 몬페라토의 보니파스가 이끄는 십자군은 폐위된 황제 이사키오스 2세와 그의 아들 알렉시오스 앙겔로스를 복위시킨다는 명분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여 점령했다. 이는 제4차 십자군의 주요 결과 중 하나로 기록된다.
- * 7월 11일 – 십자군은 도시 북서쪽 구석의 블라케르나이 궁전 맞은편에 자리를 잡았다. 첫 번째 공격은 격퇴되었으나, 7월 17일 베네치아군은 약 25개의 탑이 있는 성벽 일부를 점령했다. 그러나 육지 쪽 성벽에서는 바랑기안 근위대가 십자군을 성공적으로 막아내며 큰 피해를 입혔다. 베네치아군은 골든 혼 쪽 성벽 안쪽 건물에 불을 지른 후 점령했던 요새를 포기했다.[6]
- * 7월 17일~18일 – 황제 알렉시오스 3세는 성 로마노스 문을 통해 반격을 시도했지만, 싸우지도 않고 후퇴했다. 당황한 그는 제국의 보물을 챙겨 신하들을 버리고 트라키아의 데벨투스(Develtus, 현 부르가스 만 인근의 요새 도시)로 도주했다. 한편, 비잔틴 귀족들은 감옥에 있던 전 황제 이사키오스 2세를 다시 제위에 앉혔다. 8월 1일 알렉시오스 앙겔로스는 알렉시오스 4세로서 아버지와 함께 공동 황제로 즉위했다.[7]
- 8월 – 알렉시오스 4세는 십자군에게 약속한 막대한 보상금을 지불하기 위해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고, 수 세기 동안 존숭받아 온 비잔틴 성상들을 대량으로 몰수하여 녹였다. 이는 정교회와 시민들의 격렬한 분노를 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폭동이 일어나 비잔틴 주민들이 도시의 이탈리아 상인 거주지를 약탈하고 불태웠다.[8]
- 8월 31일 – 베네치아인들은 병사들을 모아 성벽을 넘어 도시 내 무슬림 거주 구역의 모스크(미타티온 모스크)를 공격했다.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대규모 화재를 일으켰다. 결국, 비잔틴인과 무슬림들이 함께 싸워 베네치아인들을 격퇴했다. 이 화재는 유럽 역사상 가장 큰 도시 화재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약 10만 명의 사람들이 집을 잃었다.[9]
- 8월~10월 – 알렉시오스 4세는 트라키아로 도망친 알렉시오스 3세를 제압하고 중앙 정부의 통제력을 확대하기 위해 십자군 원정대(약 6,000명)를 이끌었다. 십자군 함대는 마르마라 해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트라키아 원정을 지원했다. 십자군은 아드리아노폴리스(현 에디르네)를 포함한 여러 도시를 점령했고, 알렉시오스 3세는 마케도니아로 다시 도망쳤다.[10]
- 봄 – 프랑스의 국왕 필리프 2세가 노르망디를 침공하여 주변 지역의 여러 성을 공격했다.
- 4월 – 잉글랜드의 존 왕은 프랑스 내 봉신들의 지지를 잃고 배신당했다. 필리프 2세는 루앙에 입성했으며, 이는 결국 파리 조약을 통해 노르망디가 프랑스 왕령에 통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루앙에서 잉글랜드 귀족 윌리엄 드 브라오스는 16세의 브르타뉴 공작 아르튀르 1세의 후견인이 되었다. 아르튀르는 잉글랜드 왕위 계승 서열에 있었으나, 4월 이후 행방이 묘연해졌으며, 삼촌인 존 왕의 명령으로 살해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 8월 – 샤토 가이야르 공방전: 필리프 2세 휘하의 프랑스군은 잉글랜드 존 왕의 대륙 영토를 탈환하기 위한 작전의 일환으로 샤토 가이야르 요새 포위를 시작했다.
- 1203년/1204년 겨울 – 제1대 펨브로크 백작 윌리엄 마셜이 이끄는 잉글랜드군은 샤토 가이야르를 구출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 10월 – 헝가리의 임레 국왕은 수년간 계속된 형제간의 권력 다툼 끝에, 세 번째 대결에서 저항 없이 반란을 일으킨 동생 언드라시 2세를 체포했다.[11]
- 12월 6일 – 존 왕은 노르망디 공작으로서 백 년 넘게 소유해 온 노르망디 땅을 사실상 포기하고 잉글랜드로 돌아갔다. 프랑스군에 저항하는 성은 위베르 드 부르가 지키는 시농 성과 로슈 성 단 두 곳만 남게 되었다.
- 에젤인(Oeselians, 현 사레마섬 주민)이 덴마크의 스카니아를 약탈했다. 돌아오는 길에 이 해적들은 고틀란드의 비스뷔 근처에서 리가의 독일 정착민들과 교전했다.
- 잉글랜드의 존 왕이 런던의 템플 기사단으로부터 대출을 받기 시작했다는 최초의 증거가 나타났다. 대출액은 크지 않았지만, 프랑스군에 포로로 잡힌 왕의 군인들을 몸값으로 구출하는 등 중요한 작전에 사용되었다.[16]
5. 탄생
- 1월 10일 – 아부 샤마, 아랍 역사가이자 작가 (1267년 사망)
- 아부 자카리야 야흐야, 하프스 술탄국의 통치자 (1249년 사망)
- 비 비 모나제메 니샤부리, 페르시아 천문학자 (1280년 사망)
- 체칠리아 체사리니, 이탈리아 도미니코회 수녀이자 성녀 (1290년 사망)
- 던카, 스코틀랜드의 마의 통치자(''모르마에르'') (1244년 사망)
- 에바 마셜, 캄브로-노르만 귀족 여성 (1246년 사망)
- 하무로 미츠토시, 일본 ''와카'' 시인 (1276년 사망)
- 호조 토키우지, 일본 귀족이자 호조 야스토키의 장남, 스파이 (1230년 사망)
- 이븐 아비 우사이야, 시리아 의사이자 역사가 (1270년 사망)
- 쿠조 모토이에, 일본 귀족이자 ''와카'' 시인, 가인 (1280년 사망)
- 민도우가스 (또는 멘도그), 리투아니아의 국왕,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공 (1263년 사망)
- 페테르 2세 ("작은 샤를마뉴"), 사보이 백작 (1268년 사망)
- 센가쿠, 일본 불교 승려이자 작가 (1273년 사망)
- 바실코 로마노비치, 키예프 대공, 볼히니아 공, 제3대 할리치-볼히니아 대공 (1269년 사망)
- 쉬에팅 푸유, 중국 선종 불교 주지 (1275년 사망)
- 자카리야 알-카즈위니, 페르시아 천문학자 (1283년 사망)
- 우츠노미야 야스츠나,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가인 (1261년 사망)
- 쿠가 미치히라,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226년 사망)
- 니카이도 유키요시, 가마쿠라 막부 효조슈 (1226년 사망)
- 베아트리스 데 수아비아, 카스티야=레온 왕 페르난도 3세의 첫 번째 왕비 (1235년 사망)
6. 사망
- 1월 – 사이다 주무루드 하툰, 아바스 칼리프의 어머니
- 1월 12일 – 레온의 마르틴, 스페인 성직자 (출생 1130년)
- 1월 21일 – 아그네스 2세, 작센 퀘들린부르크의 수녀원장 (출생 1139년)
- 3월 – 헤드비지, 마이센 변경백 부인 (출생 1140년)
- 4월 - 아르튀르 1세, 브르타뉴 공작 (출생 1187년)
- 4월 6일 – 아벨홀트의 윌리엄, 프랑스 성직자 (출생 1125년)
- 4월 26일 (겐닌 3년 3월 13일) - 세이케 법친왕, 일본의 법친왕 (출생 1164년)
- 5월 – 다피드 압 오와인 기네드, 웨일스 공작
- 7월 12일 – 이사벨 드 와렌, 잉글랜드 귀족 여성
- 7월 21일 – 레옹의 하비 1세, 브르타뉴 귀족 (출생 1153년)
- 8월 1일 (겐닌 3년 6월 23일) - 아노 젠세이, 일본의 승려 (출생 1153년)
- 8월 28일? (겐닌 3년 7월 20일) - 치바 타네마사, 일본의 무장 (출생 1141년)
- 8월 29일 (겐닌 3년 7월 21일) - 분가쿠, 일본의 무장, 진언종 승려 (출생 1139년)
- 9월 11일 – 투르네의 스테판, 프랑스 주교 (출생 1128년)
- 9월 12일 (겐닌 3년 8월 6일) - 초켄, 일본의 덴다이종 승려 (출생 1126년)
- 10월 8일 (겐닌 3년 9월 2일)
- * 히키 요시카즈, 일본의 무장, 귀족, 고케닌 (출생 연도 미상)
- * 이치만, 일본 귀족, 가마쿠라 막부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아들 (출생 1198년)
- * 카스야 아리스에, 일본의 무장, 고케닌 (출생 연도 미상)
- 10월 11일 (겐닌 3년 9월 5일) - 호리 치카이에, 일본의 무장 (출생 연도 미상)
- 10월 12일 (겐닌 3년 9월 6일) - 니다 타다츠네, 일본의 무장 (출생 1167년)
- 11월 4일 – 홀란드의 디르크 7세, 네덜란드 귀족 및 기사
- 11월 20일 (겐닌 3년 10월 15일) - 토시마 아사츠네, 일본의 무장 (출생 연도 미상)
- 11월 30일 – 압드 알 가니 알 마크디시, 아랍 학자 및 법학자 (출생 1146년)
- ''날짜 불명''
- * 압달라 이븐 가니야, 마요르카의 알모라비드 통치자
- * 알렉시오스 팔레올로고스, 비잔틴 제국 황위 계승자
- * 마 백작 길 크리스트, 스코틀랜드 귀족 및 기사
- * 윌리엄 드 스튜테빌, 잉글랜드 귀족
- * 기야스 앗딘 무하마드, 고르 왕조의 군주 (출생 연도 미상)
- * 와카사노츠보네,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측실 (출생 연도 미상)
- ''추정''
- * 몽펠리에의 유도키아 코메네, 비잔틴 귀족 여성
- * 시라즈 알 딘 알 사자완디, 페르시아 학자
- * 토그룰 (온 칸), 케레이트부의 칸, 몽골 지도자 (출생 연도 미상)
참조
[1]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2]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4]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5]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6]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7]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8]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9]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10]
서적
The Fourth Crusade and the sack of Constantinople
[11]
서적
The Realm of St Stephen: A History of Medieval Hungary, 895–1526
I.B. Tauris Publishers
[12]
서적
The Fourth Crusade 1202–04. The betrayal of Byzantium
Osprey
[13]
서적
Genghis Khan: His Life and Legacy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14]
학술지
The Historicity of The Baljuna Covenant
https://www.jstor.or[...]
1955
[15]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Crown
[16]
학술지
The Financial Relations of the Knights Templars to the English Crown
[17]
서적
The Acts of Welsh Rulers, 1120-128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les Press
2010-10-15
[18]
웹사이트
Biodata
http://www.muslimsch[...]
2022-12-17
[19]
서적
Études Prosopographiques
Publications de la Sorbonne
[20]
서적
The Exercise of Power in Medieval Scotland, c.1200-1500
[21]
백과사전
Stuteville, Robert de
[22]
서적
الأعلام - ج 7 : محمد بن قاسم - نافع بن الحارث
https://books.google[...]
IslamKoto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