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영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송 영종(宋寧宗)은 1194년 정신 질환을 앓던 광종이 효종의 상을 치르지 않자 퇴위된 후 옹립된 남송의 제4대 황제이다. 영종은 한탁주의 권력 남용과 경원 당금, 신유학 탄압 등을 겪었으며, 사미원의 전횡 속에서 후계자 문제로 혼란을 겪었다. 그는 제위에 대한 욕심이 없어 사촌 조병을 기왕으로 책봉했으나 조병이 일찍 죽자 조병의 양자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지만, 사미원의 계략으로 조윤(후일의 남송 이종)을 황태자로 세우고 죽음을 맞이했다. 영종은 온순한 성품과 검소한 생활로 알려져 있으나, 정치에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24년 사망 - 호조 요시토키
호조 요시토키는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유력 무장으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거병을 도와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했으며 요리토모 사후 싯켄으로서 막부 정치의 실권을 장악하고 조큐의 난을 진압하며 호조씨의 권력을 확고히 했다. - 1224년 사망 - 금 선종
금 선종은 몽골 침입으로 국력이 쇠퇴한 금나라의 제8대 황제로, 외교 정책 실패와 잦은 천도로 금나라 멸망을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는다. - 1168년 출생 - 이규보
이규보는 고려 후기 문신이자 문장가, 시인으로, 방대한 양의 작품을 남겼으며, 『동국이상국집』, 『백운소설』, 『동명왕편』 등의 대표작을 통해 고려 시대 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최씨 무인 정권 시대에 정치 활동을 했으며, '신의론'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시적 세계를 구축했다. - 1168년 출생 - 유승단
유승단은 고려 명종 때 급제하여 고종의 스승을 지냈으며, 몽골의 침략과 강화 천도에 반대하고 세 차례 과거를 주관하며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한 문신이다.
남송 영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신상 정보 | |
휘 | 조확(趙擴) |
출생일 | 1168년 11월 19일 |
사망일 | 1224년 9월 17일 |
묘호 | 영종(寧宗) |
시호 | 법천비도순덕무공인문철무성예공효황제(法天備道純德茂功仁文哲武聖睿恭孝皇帝) |
능묘 | 영무릉(永茂陵), 현재의 사오싱, 저장성 위치 |
가족 관계 | |
부친 | 광종 |
모친 | 자의황후 |
배우자 | 공숙황후 (1185년 결혼, 1200년 사망) 공성인열황후 (1195년 결혼, 1224년) |
자녀 | 예평공주 |
재위 정보 | |
즉위 | 1194년 7월 24일 |
퇴위 | 1224년 9월 17일 |
선대 황제 | 광종 |
후대 황제 | 이종 |
연호 | 경원(慶元): 1195년 ~ 1200년 가태(嘉泰): 1201년 ~ 1204년 개희(開禧): 1205년 ~ 1207년 가정(嘉定): 1207년 ~ 1224년 |
기타 | |
![]() |
2. 생애
1168년(건도 4년), 광종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178년(순희 5년) 명주 관찰사를 제수받아 영국공에 봉해졌고, 1185년(순희 12년)에 안경군 절도사·평양군왕이 되었다. 광종 즉위 후 소보·무녕군 절도사를 제수받고 가왕으로 진봉되었다. 소희 연간에는 가왕을 황태자로 세우려는 광종과 이에 소극적이었던 효종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어 입장이 미묘해지기도 했다.
영종은 재위 기간 동안 문화적, 지적 업적을 이룩했다. 특히, 주희는 이 시기에 그의 가장 유명한 신유학 저작 중 일부를 저술했다. 그러나 영종은 재상 한탁주의 영향으로 황실에서 신유학 확산을 꺼렸으며,[13] 금나라와의 전쟁 등 정치,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아들이 없어 1197년, 6세의 친척 조순을 양자로 삼았다.[4] 1198년 신유학이 2년간 금지되었다가 1202년 철회되었다.
1220년, 양자 조순이 이질로 사망했다. 사미원은 또 다른 친척인 조굉을 후계자로 결정했지만, 사미원과의 갈등으로 조굉은 태자가 되지 못하고, 미래의 이종인 조윤으로 교체되었다.
2. 1. 즉위 과정
1194년 광종이 정신 질환으로 효종의 상을 치르지 않자, 재상 조여우, 한탁주 등이 광종을 퇴위시키고 조확을 영종으로 옹립했다. 당시 새 황제 후보로는 조확 외에 광종의 조카인 조병(趙抦)이 있었는데, 태황태후 오씨는 영종을 추대하기로 결정하고 조병에게는 나중에 황제가 되라고 말했다.[13]소희 5년, 병약한 부친 광종이 조여우와 태황태후 오씨에 의해 폐위되자 영종이 황제에 즉위했다.
2. 2. 경원의 당금과 신유학 탄압
1194년 재상 조여우, 한탁주 등이 광종을 퇴위시키고 조확을 영종으로 옹립했다. 한탁주는 조카딸을 영종의 황후로 들여보내 이 공적으로 권력을 잡으려 했으나, 조여우 등은 한탁주를 멀리했다. 이에 원한을 품은 한탁주는 1195년(경원 원년) 조여우를 재상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경원 3년에는 조여우 편에 섰던 주필대(周必大), 유정(留正), 왕난(王藺), 주희(朱熹), 팽귀년(彭龜年) 등 59명을 금고(禁錮)에 처했다.[13] 그 다음 해에는 주희의 성리학(性理學, 당시 도학(道學)이라고 불렸다)도 거짓 학문이라 하여 탄압받았다(경원위학의 금(慶元僞學之禁)). 이 일련의 사건을 경원의 당금(慶元之黨禁)이라 불렀다.2. 3. 한탁주의 북벌과 실패
금나라가 자연 재해로 약화되자, 닝종의 재상 한탁주는 약해진 금나라를 공격하며 도발을 계속했다. 1206년 6월 14일, 한탁주는 금나라와의 전쟁을 공식적으로 선포했다.[1] 그러나 이 전쟁은 재앙이었다. 자연 재해로 인한 금나라의 약세에도 불구하고, 금나라는 송나라의 공격을 격퇴하고 반격했다. 설상가상으로 닝종은 전쟁에 관심이 없었고[2] 군사들의 사기는 낮았다. 보급품도 부족했고 많은 군인들이 탈영했다. 1206년 12월, 사천의 도독이었던 오희(사망 1207년)가 금나라에 투항했다.[3] 서부 전선을 담당하고 있던 오희의 투항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으나, 1207년 3월 29일, 송나라 충신들이 오희를 암살했다.[4] 1207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그해 말에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송나라는 방어 태세에 들어갔고, 금나라는 송나라 영토에서 별다른 이득을 얻지 못했다.[5] 한탁주의 강경한 정책 실패는 그의 죽음을 초래했다. 1207년 12월 15일, 한탁주는 황궁 경비병에게 구타당해 죽임을 당했다.1208년 11월 2일,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남송은 금나라에 대한 조공을 재개했다. 남송의 연간 배상금은 은 5만 냥과 비단 5만 필로 증가했다. 이 조약은 또한 남송이 금나라에 전쟁을 시작했다고 비난한 한탁주의 머리를 바쳐야 한다고 규정했다. 한탁주와 소사의 머리는 발굴된 시신에서 잘려 공개적으로 전시된 후 금나라에 전달되어 마침내 전쟁이 종식되었다.
1210년, 금나라의 이전 속국이었던 몽골은 봉신 관계를 끝내고 1211년 금나라를 공격했다. 이러한 사건을 고려하여 송나라 조정은 약화된 금나라에 대한 조공 지불 중단을 논의했지만, 금나라를 자극하는 것을 피하기로 결정했다. 몽골이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금나라는 영토 손실을 겪었고, 줄어드는 영토를 보상하기 위해 1217년 송나라를 공격했다. 금나라는 평화 조약에 동의하고 금나라가 돌아갈 때까지 송나라를 계속 공격했으나, 송나라는 빼앗긴 땅을 되찾지 못했다.
2. 4. 사미원의 전횡과 후계 문제
1194년 재상 조여우, 한탁주 등이 광종을 퇴위시키고 조확을 영종으로 옹립했다. 태황태후 오씨는 영종을 추대하기로 결정했다.[13] 한탁주는 조여우 등을 몰아내기 위한 운동을 시작해 1195년(경원 원년) 조여우는 재상직에서 물러났고, 경원 3년에는 조여우 편에 섰던 주필대(周必大) 등 59명이 금고(禁錮)에 처해졌다. 경원위학의 금(慶元僞學之禁)이라 불리는 사건으로 성리학(性理學)도 탄압받았다.1207년 사미원이 한탁주를 살해하고 권력을 장악하여 26년동안 재상의 지위를 차지했다.
영종은 사촌동생 조병을 기왕(沂王)으로 책봉하고 대접하였지만 조병은 일찍 죽었다.[13] 영종은 조병의 양자 귀화(貴和)의 이름을 조횡(趙竑)으로 고쳐 후계자로 삼았다. 그러나 조횡은 황후 양씨와 결탁하여 횡포를 부리는 사미원을 못마땅하게 여겼고, 사미원은 그를 배제하기 위하여 조귀성(趙貴誠)을 조병의 양자로 들였다.[14] 사미원은 영종 앞에서 조횡의 흠을 들추어 그를 폐하고 조귀성을 태자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5]
1224년 영종의 병세가 위급해지자 사미원은 영종이 조귀성의 이름을 조윤(趙昀)으로 고쳐 황태자로 세웠다는 가짜 성지를 내렸다.[16] 황제로 즉위한 조윤은 조횡을 죽였다.[17]
2. 5. 죽음
1224년 영종는 병으로 사망했다. 영종은 사미원에게 독살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영종은 신체적으로 허약했다는 점도 언급할 가치가 있다. 그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3/Song_Ningzong.jpg 공식 초상화]는 그가 거의 쇠약해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심각한 신체적 질병을 암시한다. 영종의 모든 자녀는 어릴 때 사망했기 때문에, 다른 친척인 조윤이 그의 뒤를 이었다.[13][14][15][16][17]3. 인물
영종은 성품이 온순했으며 학문이나 정치에는 관심이 없어 조회가 있을 때에도 내내 멍하니 있었다.[18] 여색을 탐하지 않아 대신들을 흡족하게 했으나 말수가 적고 금나라의 사신을 접견할 때에는 말을 더듬었다. 이 때문에 사신을 접견할 때에는 말재주가 좋은 환관이 병풍 뒤에서 영종을 도와야 했다.[18] 그는 훌륭한 군주였지만 때때로 병약했고, 이로 인해 그의 아내인 양황후가 30년 가까이 제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기도 하였다.
영종의 성격 및 생활과 관련된 일화는 다음과 같다.
- 고종의 영구를 장례하기 위해 소흥에 갔을 때, 밭에서 고생하며 일하는 농민들을 보고 "궁중에만 살았으니, 어찌 이를 알 수 있었으랴?"라고 탄식했다.[9]
- 검소하고 절제된 성격으로 절제된 생활을 지켰다. 어떤 해의 정월 초하루, 밤중에 촛불을 켜고 앉아 있었는데, 환관이 연회를 열 것을 권하자, 백성들은 먹을 것이 없다고 거절했다. 임안 교외의 화원인 취경원에 행차했다가 환궁하는 도중, 황제의 어용을 구경하기 위해 모인 군중들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하자, 이 불상사를 뉘우친 영종은 황궁 밖으로의 출입을 삼가기 시작했다.[10]
- "토하는 것이 두려우면 술을 적게 마시고, 아픔이 두려우면 찬 것을 적게 먹는다"는 신조를 작은 병풍에 적어 놓고, 두 명의 환관에게 지게 하여 항상 휴대했다. 술을 마셔도 3잔 이상은 마시지 않았다.[11]
- 가태 연간, 서호에 배를 띄워 유람을 즐기려고 했으나, "자이황후의 능묘가 호반에 있습니다. 폐하께서 유행하시면 추도의 의미가 없어집니다"라는 간언을 받자 곧 단념했다.[12]
4. 정치
영종은 재위 기간 동안 문화적, 지적 업적을 남겼다. 특히, 주희는 이 시기에 그의 가장 유명한 신유학 저작 중 일부를 저술했다. 그러나 영종은 재상 한탁주의 영향으로 황실에서 신유학 확산을 꺼렸으며, 정치적으로는 경제를 위협하는 인플레이션 증가와 금나라의 군사적 압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4]
1197년, 영종은 아들이 없어 6세의 친척 조순을 양자로 삼았으나,[4] 1220년 조순이 이질로 29세에 사망했다. 사미원은 조굉을 후계자로 결정했지만, 사미원과의 갈등으로 조굉은 태자가 되지 못하고, 조윤 (이종)으로 교체되었다.
1198년, 신유학은 2년간 금지되었으나, 1202년에 철회되었다.
금나라가 자연 재해로 약화되자, 영종의 재상 한탁주는 금나라를 공격하며 도발했다. 1206년 6월 14일, 한탁주에 의해 금나라와의 전쟁이 공식 선포되었으나, 이는 재앙으로 이어졌다. 금나라는 송나라의 공격을 격퇴하고 반격했으며, 송나라 군대의 사기는 낮았고 보급품도 부족했다. 1206년 12월, 서부 전선을 담당하던 오희(吳曦)가 금나라에 투항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1207년 3월 29일 송나라 충신들이 오희를 암살했다. 1207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그해 말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1207년 12월 15일, 한탁주는 황궁 경비병에게 구타당해 죽임을 당했다.
1208년 11월 2일,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남송은 금나라에 대한 조공을 재개했다. 남송의 연간 배상금은 은 5만 냥과 비단 5만 필로 증가했으며, 남송은 금나라가 전쟁의 원인으로 지목한 한탁주의 머리를 바쳐야 했다. 한탁주의 머리는 발굴된 시신에서 잘려 공개적으로 전시된 후 금나라에 전달되어 전쟁이 종식되었다.
1210년, 금나라의 이전 속국이었던 몽골이 봉신 관계를 끝내고 1211년 금나라를 공격했다. 송나라 조정은 금나라에 대한 조공 중단을 논의했지만, 금나라를 자극하는 것을 피하기로 결정했다. 몽골이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금나라는 영토 손실을 겪었고, 1217년 송나라를 공격했다. 금나라는 평화 조약에 동의하고 돌아갈 때까지 송나라를 계속 공격했지만, 송나라는 빼앗긴 땅을 되찾지 못했다.
영종은 1224년 며칠 만에 사망하기 전에 병에 걸렸다. 영종은 독살되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영종은 신체적으로 약했다는 점도 언급할 가치가 있다. 그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3/Song_Ningzong.jpg 공식 초상화]는 그가 거의 쇠약해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심각한 신체적 질병을 암시한다. 영종의 모든 자녀는 어려서 죽었기 때문에, 다른 친척인 조윤이 그의 뒤를 이었다.
4. 1. 내정
영종은 재위 기간 동안 여러 문화적, 지적 업적을 남겼다. 특히, 주희는 이 시기에 그의 가장 유명한 신유학 저작 중 일부를 저술했다. 그러나 영종은 재상 한탁주의 영향으로 황실에서 신유학의 확산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적으로는 경제를 위협하는 인플레이션 증가와 금나라가 이끄는 북쪽의 여진족의 군사적 진격으로 인해 금-송 전쟁 동안 송나라와 금나라 사이의 전쟁으로 고통받는 정부를 보았다.[4]1198년, 신유학은 2년간 금지되었고, 1202년에 금지가 철회되었다.
영종은 검소하고 절제된 성격으로 절제된 생활을 지켰다고 한다. 다음은 영종의 검소함과 관련된 일화들이다.
- 즉위 전에 고종의 영구를 장례하기 위해 소흥에 갔을 때, 농민들이 밭에서 고생하며 일하는 모습을 보고 "궁중에만 살았으니, 어찌 이를 알 수 있었으랴?"라고 탄식했다.[9]
- 어떤 해의 정월 초하루, 밤중에 촛불을 켜고 앉아 있었는데, 환관이 연회를 열 것을 권하자, 외간의 백성들은 먹을 것이 없다고 거절했다.[10]
- 임안 교외의 화원인 취경원에 행차한 후 환궁하는 도중, 황제의 어용을 구경하기 위해 모인 군중들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이때의 불상사를 뉘우친 영종은 황궁 밖으로의 출입을 삼가기 시작했다.[10]
- "토하는 것이 두려우면 술을 적게 마시고, 아픔이 두려우면 찬 것을 적게 먹는다"는 신조를 작은 병풍에 적어 놓고, 이를 두 명의 환관에게 지게 하며 항상 휴대했다. 술을 마셔도 3잔 이상은 마시지 않았다.[11]
- 가태 연간, 서호에 배를 띄워 유람을 즐기려고 했다. 그러나 "자이황후의 능묘가 호반에 있습니다. 폐하께서 유행하시면 추도의 의미가 없어집니다"라는 간언을 받자, 곧 단념했다.[12]
1197년, 아들이 없어 6세의 친척 조순을 양자로 삼았다.[4]
4. 2. 외교
영종의 재위 기간 동안, 금나라가 이끄는 북쪽의 여진족의 군사적 위협이 계속되었고, 금-송 전쟁이 발발하여 남송과 금나라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4]금나라가 자연 재해로 약화되자, 영종의 재상 한탁주는 약해진 금나라를 공격하며 도발을 계속했다. 1206년 6월 14일, 한탁주에 의해 금나라와의 전쟁이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이 전쟁은 재앙이었다. 금나라는 송나라의 공격을 격퇴하고 반격했으며, 송나라 군대의 사기는 낮았고 보급품도 부족했다. 1206년 12월, 서부 전선을 담당하던 오희(吳曦)가 금나라에 투항하는 심각한 상황이 발생했지만, 1207년 3월 29일 송나라 충신들이 오희를 암살했다.[4]
1207년에도 전투는 계속되었지만, 그해 말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1208년 11월 2일,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남송은 금나라에 대한 조공을 재개했다. 남송의 연간 배상금은 은 50000냥과 비단 5만 필로 증가했으며, 남송은 금나라가 전쟁의 원인으로 지목한 한탁주의 머리를 금나라에 바쳐야 했다. 한탁주의 머리는 발굴된 시신에서 잘려 공개적으로 전시된 후 금나라에 전달되어 전쟁이 종식되었다.[4]
1210년, 금나라의 이전 속국이었던 몽골이 봉신 관계를 끝내고 1211년 금나라를 공격했다. 송나라 조정은 약화된 금나라에 대한 조공 중단을 논의했지만, 금나라를 자극하는 것을 피하기로 결정했다. 몽골이 세력을 확장함에 따라 금나라는 영토 손실을 겪었고, 1217년 송나라를 공격하여 영토를 보상받으려 했다. 금나라는 평화 조약에 동의하고 돌아갈 때까지 송나라를 계속 공격했지만, 송나라는 빼앗긴 땅을 되찾지 못했다.[4]
5. 재상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칭호 | 자(字) | 봉호 | 시호 |
---|---|---|---|---|---|---|
1 | 유정 | 1194년 | 좌승상(左丞相) | 중지(仲至) | 위국공(魏國公) | 충선(忠宣) |
2 | 조여우 | 1194년 ~ 1195년 | 우승상(右丞相) | 자직(子直) | 주왕(周王) | 충정(忠定) |
3 | 여단례 | 1195년 ~ 1196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처공(處恭) | 순국공(郇國公) | 충숙(忠肅) |
4 | 경당 | 1196년 ~ 1200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중원(仲遠) | 기국공(冀國公) | 장정(莊定) |
5 | 사심보 | 1200년 ~ 1203년 | 우승상(右丞相) | 자숙(子肅) | 노왕(魯王) | 혜정(惠正) |
6 | 진자강 | 1203년 ~ 1207년 | 우승상(右丞相) | 면지(勉之) | - | - |
7 | 한탁주 | 1205년 ~ 1207년 | 평장군국사(平章軍國事) | 절부(節夫) | - | - |
8 | 전상조 | 1207년 ~ 1208년 | 우승상(右丞相) ↓ 좌승상(左丞相) | 동백(同伯) | - | - |
9 | 사미원 | 1208년 ~ 1224년 | 우승상(右丞相) | 동숙(同叔) | 위왕(衛王) | 충헌(忠獻) |
6. 가족 관계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1 | 미상(趙?) | 요절 | ||
2 | 조준(趙埈) | 1196년 | 공숙황후 한씨 | 요절, 연충혜왕(兗衝惠王) 추봉 |
3 | 조탄(趙坦) | 1200년 | 공숙황후 한씨 | 요절, 빈왕(邠王) 추봉 |
4 | 조증(趙增) | 1200년 ~ 1201년 | 공성인열황후 양씨 | 요절, 영왕(郢王) 추봉 |
5 | 조경(趙坰) | 1202년 | 공성인열황후 양씨 | 요절, 화왕(華王) 추봉 |
6 | 조기(趙圻) | 1207년 | 부인 종씨 | 요절, 순왕(順王) 추봉 |
7 | 조척(趙墌) | 1208년 | 부인 종씨 | 요절, 신왕(申王) 추봉 |
8 | 조게(趙垍) | 1208년 | 요절, 숙왕(肅王) 추봉 | |
9 | 조지(趙坻) | 1223년 | 요절, 비왕(邳王) 추봉 | |
양자 | 조여원(趙與願) 조순(趙詢) | 1192년 ~ 1220년 | 조희방(趙希傍)의 아들[21][22] | 경헌황태자(景獻皇太子) 추증 |
양자 | 조횡(趙竑) | ? ~ 1225년 | 조희구(趙希瞿)의 아들[23][24] | 사미원에 의해 폐출 및 살해 |
양자 | 조여거(趙與莒) 조윤(趙昀) | 1205년 ~ 1264년 | 조희로(趙希瓐)의 아들 | 남송 제5대 황제 이종[25]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1 | 요절, 기국공주(祁國公主) 추봉 | |||
2 | 미인 조씨 | 옥병공주(玉屛公主) |
7. 평가
영종은 재위 기간 동안 문화적, 지적 업적을 이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주희는 이 시기에 신유학 저작 중 일부를 저술했다. 그러나 영종은 재상 한탁주의 영향으로 황실에서 신유학 확산을 꺼렸다. 정치적으로는 경제를 위협하는 인플레이션 증가와 금나라의 군사적 위협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금-송 전쟁 동안 송나라와 금나라 간의 전쟁은 정부에 큰 부담을 주었다.[4]
영종은 훌륭한 군주였지만 때때로 병약하여, 그의 아내인 양황후가 제국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그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0/03/Song_Ningzong.jpg 공식 초상화]는 그가 쇠약해져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심각한 신체적 질병을 앓았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8. 기타
영종은 재위 기간 동안 문화적, 지적 업적을 이룩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주희는 이 시기에 그의 가장 유명한 신유학 저작 중 일부를 저술했다. 그러나 영종은 재상 한탁주의 영향으로 황실에서 신유학의 확산을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적으로는 경제를 위협하는 인플레이션 증가와 금나라가 이끄는 북쪽 여진족의 군사적 진격으로 인해 금-송 전쟁 동안 송나라와 금나라 사이의 전쟁으로 고통받는 정부를 보았다.[4]
1198년, 신유학은 2년간 금지되었고, 1202년에 금지가 철회되었다.
아들이 없어 1197년, 6세의 친척 조순을 양자로 삼았다.[4]
즉위 전에 고종의 영구를 장례하기 위해 소흥에 갔을 때, 농민들이 밭에서 고생하며 일하는 모습을 보고 "궁중에만 살았으니, 어찌 이를 알 수 있었으랴?"라고 탄식했다.[9]
검소하고 절제된 성격으로 절제된 생활을 지켰다고 한다. 어떤 해의 정월 초하루, 밤중에 촛불을 켜고 앉아 있었는데, 환관이 연회를 열 것을 권하자, 외간의 백성들은 먹을 것이 없다고 거절했다. 또한, 임안 교외의 화원인 취경원에 행차한 후 환궁하는 도중, 황제의 어용을 구경하기 위해 모인 군중들이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었다. 이때의 불상사를 뉘우친 영종은 황궁 밖으로의 출입을 삼가기 시작했다.[10]
"토하는 것이 두려우면 술을 적게 마시고, 아픔이 두려우면 찬 것을 적게 먹는다"는 신조를 작은 병풍에 적어 놓고, 이를 두 명의 환관에게 지게 하며 항상 휴대했다. 술을 마셔도 3잔 이상은 마시지 않았다.[11]
가태 연간, 서호에 배를 띄워 유람을 즐기려고 했다. 그러나 "자이황후의 능묘가 호반에 있습니다. 폐하께서 유행하시면 추도의 의미가 없어집니다"라는 간언을 받자, 곧 단념했다.[12]
참조
[1]
서적
Chinese Emperor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of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Thames & Hudson
2009-01-01
[2]
서적
Telecommunication: Changing Humanities and Smart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Bentham Science Publishers
2017-03-06
[3]
서적
The Shanghai Museum of Art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Inc.
[4]
웹사이트
Troubles in Paradise: the Shrinking Royal Family in Southern Song
https://www.npm.gov.[...]
[5]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04-21
[6]
문서
趙匡胤|太祖の次男。
[7]
문서
太祖の四男で、寧宗はその八世の孫にあたる。
[8]
문서
光宗の次兄である魏王趙愷の次男。
[9]
문서
『宋史全文』巻29上, 宋寧宗一
[10]
문서
『銭塘遺事』巻2, 慶元侍講
[11]
문서
『四朝聞見録 乙集』寧皇二屏
[12]
문서
『四朝聞見録 丙集』寧皇御舟
[13]
서적
중국을 말한다 11
신원문화사
[14]
서적
중국역사이야기 3
일송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문서
신안군부인(新安郡夫人)/숭국부인(崇國夫人)
[20]
문서
평락군부인(平樂郡夫人)/귀비(貴妃)/수명황태후(壽明皇太后)
[21]
문서
위국공(衛國公)/영왕(榮王)
[22]
문서
[[북송 태조|태조]]의 아들 연의왕(燕懿王) 조덕소(趙德昭)의 9대손이자 회양후(淮陽侯) 조수약(趙守約)의 7대손
[23]
문서
기국공(祁國公)/제국공(濟國公)/황태자(皇太子)/제양군왕(濟陽郡王)/제왕(濟王)
[24]
문서
[[북송 태조|태조]]의 아들 진강혜왕(秦康惠王) 조덕방(趙德芳)의 9대손이자 고평군왕(高平郡王) 조유서(趙惟敘)의 8대손. 원래 황태자이나 사미원의 계략으로 인해 군왕으로 격하됨. 도종 때 진왕으로 복원 됨.
[25]
문서
[[북송 태조|태조]]의 아들 연의왕(燕懿王) 조덕소(趙德昭)의 9대손이자 노강후(盧江侯) 조수도(趙守度)의 7대손. 재상 사미원에 의하여 황제로 즉위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