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계 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계 유씨는 신라 아찬 유삼재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본관은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 일대이며, 고려 시대에는 은둔하였으나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90명, 상신 3명, 판서 12명을 배출하며 번성하였다. 주요 인물로는 사육신 유응부, 향약집성방을 저술한 유효통, 정여립의 난을 평정한 유홍, 영의정을 지낸 유척기 등이 있다. 유의신, 유승추, 유진적 계통으로 분파되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139,073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계 유씨 - 유의동
    유의동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제19대부터 제21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경기도 평택시 을 지역구를 대표하며 다양한 정당에서 활동했지만,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낙선했고, 국회의원으로서 주요 상임위 활동과 법률 개정안 발의 및 장관 해임 건의안 제출 등 다양한 의정 활동을 펼쳤지만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기계 유씨 - 유진오
    유진오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과 대한민국 헌법 제정, 교육 및 정치 활동을 거쳤으며, 고려대학교 총장, 국회의원 등을 역임하고 저서 《헌법해의》를 남겼으나,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기계 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기계 유씨
한자 표기杞溪兪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시조유삼재(兪三宰)
중시조유의신(兪義臣)
집성촌함경북도 부령군
경기도 안성시
충청남도 부여군
인물유효통
유응부
유홍
유계
유척기
유언호
유신환
유길준
유기환
유만겸
유각경
유진오
유학성
유병언
유홍준
유한식
유흥식
유기준
유경준
유승희
유은혜
유의동
년도2015
인구139,073명
비고기계유씨 대종회

2. 시조

기계 유씨(杞溪 兪氏)의 시조 유삼재(兪三宰)는 신라 아찬(阿飡)을 역임하였다고 한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미현리에 시조 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후손 유의신(兪義臣)은 신라 멸망 후 고려 왕조에 불복하여 태조 왕건에 의해 기계현(杞溪縣) 호장(戶長)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3. 본관

기계(杞溪)는 경상북도 포항시 기계면 일대의 지명이다. 신라 의창군(義昌郡)의 모혜현(芼兮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기계현(杞溪縣)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년) 경주부(慶州府) 기계현(杞溪縣)이 되었다. 1415년(조선 태종 15년) 경주군(慶州郡) 기계현이 되었다. 1906년 흥해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영일군에 통합되었다. 1995년 경상북도 포항시에 통합되면서 북구 기계면이 되었다.

4. 역사

기계 유씨는 고려시대에는 은둔하였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문과 급제자 90명, 상신 3명, 판서 12명을 배출하는 등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1]

4. 1. 주요 인물

유응부는 무과에 급제하여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로 있을 때 단종 복위를 모의하다가 처형된 후 사육신으로 추앙받았다.[1]

유효통은 세종 때 대사성을 거쳐 집현전직제학을 역임하였고, 『향약집성방』을 저술하였다.[1]

유여림(兪汝霖)은 중종 때 예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유여림의 아들 유강(兪絳)은 호조판서에 이르렀다.[1]

유홍은 정여립의 난을 평정하여 평난공신(平難功臣)으로 기성부원군(杞城府院君)에 봉해졌고, 1594년(선조 27년) 좌의정에 올랐다. 유홍의 손자 유백증(兪伯曾)은 인조반정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기평군(杞平君)에 봉해졌고, 증영의정에 추증되었다.[1]

유강(兪絳)의 증손자 유성증(兪省曾)은 예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유성증의 증손자 유척기는 영조 때 노론의 원로로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유척기의 사촌형 유최기(兪最基)는 우참찬을 역임했다. 유척기의 조카 유언호는 1795년(정조 19년) 좌의정에 이르렀고, 정조묘(正祖廟)에 배향되었다.[1]

유길준은 개화기 선구자로 김홍집 내각의 내부대신을 지냈다.[1]

5. 분파

기계 유씨는 유의신(兪義臣) 계통에서 유여해(兪汝諧)로부터 13파[2], 유승추(兪承樞) 계통의 월성군파(月城君派), 유진적(兪晋迪) 계통의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등 16개 파로 분파되었다.

파명시조
동정공파(同正公派)유형무
전서공파(典書公派)유천경
군기사사공파(軍器寺事公派)유성리(兪成利)
부정공파(副正公派)유성보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유숙
신계공파(新溪公派)유순
단성공파(丹城公派)유호
충목공파(忠穆公派)유홍
진사공파(進士公派)유함
자산공파(慈山公派)유영
학생공파(學生公派)유준
부제학공파(副堤公派)유진
주부공파(主簿公派)유득주
월성군파(月城君派)유승추
장사랑공파(將士郞公派)유진적
석청공파(石淸公派)유여매


6. 항렬자

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
치(致)口진(鎭)口口준(濬)口겸(兼)
口목(穆)
口근(根)
口식(植)
병(炳)口
화(火)변 외자
口재(載)
口재(在)
재(在)口
口선(善)
口조(朝)
口호(鎬)
口연(淵)
口수(洙)
口모(模)
口표(杓)
口섭(燮)
口찬(燦)
口균(均)
口배(培)
口종(鐘)
口현(鉉)
원(源)口
태(泰)口
口동(東)
口영(榮)
형(炯)口
현(炫)口
口규(圭)
口곤(坤)
석(錫)口
용(鏞)口
홍(洪)口
순(淳)口
상(相)口
송(松)口


7. 인물

기계 유씨 문서에는 주어진 섹션 제목 '인물'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작성할 수 없다.

8.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9. 집성촌

지역
함경북도 부령군 삼해면 내포동
함경북도 부령군 관해면 서리동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옥정리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성은리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가사리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신영리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함양리


10. 인구

연도인구
2000년113,430명
2015년139,073명


참조

[1]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73> 기계유씨(杞溪兪氏)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4-05-06
[2]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