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요하라노 노부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요하라노 노부카타는 일본의 국학자이자 유학자로, 1475년에 태어나 1550년에 사망했다. 그는 명경박사 기요하라노 무네카타의 양자로 들어가 유교 경전을 연구하며, 쇼나곤 직을 거쳐 종3위까지 올랐다. 1529년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출가하여 학자로서 활동하며, 각 지역을 돌며 강의를 진행했다. 특히, 기요하라 집안의 학문적 전통을 계승하여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신토와 유교를 융합한 '기요하라 가 신토'를 완성했다. 그의 저술은 후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하야시 라잔은 그의 저술을 바탕으로 하야시 가학을 완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시다가 - 요시다 겐코
요시다 겐코는 1283년경에 태어나 황궁 경비대 장교를 거쳐 승려가 된 일본의 작가로, 수필집 《쓰레즈레구사》를 통해 삶의 덧없음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 기요하라씨 (히로스미류) - 사와가
사와 가는 에도 시대 초기의 사와 타다카즈를 선조로 하며, 막부 말기에는 근왕양이파로 활약했고, 메이지 시대에는 사와 타메카츠 등의 공적으로 백작 가문이 되었다. - 기요하라씨 (히로스미류) - 후세하라가
후세하라가는 고미즈노오 천황의 주선으로 시작되었으며, 명경도를 가업으로 삼고 정2위 소납언, 시종, 명경박사를 최고위 관직으로 하였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자작 작위를 받았다. - 1550년 사망 - 이해 (정민공)
이해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권신 탄핵으로 유배되어 병사한 후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정민의 시호를 받았다. - 1550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하루
아시카가 요시하루는 정치적 격변기에 권력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고 여러 차례 교토에서 쫓겨나는 등 파란만장한 생애를 보낸 무로마치 막부의 제12대 쇼군이다.
| 기요하라노 노부카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시대 | 무로마치 시대 |
| 출생 | 분메이(文明) 7년(1475년) |
| 사망 | 덴분(天文) 19년 7월 12일(양력 1550년 8월 24일) |
| 별명 | 후나하시 대외기(船橋大外記) 노부카타 |
| 개명 | 노부카타→간스이켄 소부(環翠軒宗武, 호) |
| 묘소 | 젠린지(일본 후쿠이 현 후쿠이 시 도쿠오 소재) |
| 관위 | 정3위 시종 |
| 주군 | 고카시와바라 천황 |
| 씨족 | 우라베 씨(卜部氏) 적류 요시다 씨→히로즈미류(廣澄流) 기요하라 씨(淸原氏) |
| 부모 | 아버지: 요시다 가네토모양아버지: 기요하라노 무네카타 |
| 형제 | 요시다 가네무네(吉田兼致), 우라베 가네나가(卜部兼永), 노부카타, 나카미카도 노부히데(中御門宣秀)의 아내, 등 |
| 자녀 | 나리카타(業賢), 요시다 가네미기(吉田兼右), 도키(等貴), 슈세이(周淸), 지쿄인(智慶院) 등 |
![]() | |
2. 경력
분메이 7년(1475년) 요시다 신사(吉田神社)의 사관(祠官)이었던 신도가(神道家) · 요시다 가네토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조정의 명경박사였던 기요하라노 무네카타의 양자로 들어갔다.
기요하라노 노부카타는 주자학(朱子学)을 비롯한 여러 학문을 통합하여 연구하였다. 당시 조정과 막부의 권력 약화로 기요하라 집안은 센고쿠 다이묘(戦国大名)들에게 영지를 침식당했고, 생계를 위해 출장 강의(出稽古)를 다녀야 했다.
주수정(主水正) · 대취두(大炊頭) · 6위 구란도를 거쳐, 메이오 9년(1500년) 종5위하 관위를 받고, 이듬해인 분키(文亀) 원년(1501년) 1월에는 직강(直講)을 겸하여 궁중에 출사해 유교 경전을 강의하게 되었으며, 6월에는 집안의 세습직인 쇼나곤(少納言)으로 임명되었다. 에이쇼(永正) 원년(1504년)에는 승전(昇殿)이 허락되었으며, 1511년 도모히토 친왕(知仁親王)의 시독(侍読)이 되었다.
다이에이(大永) 원년(1521년) 4월 종3위에 올라(이는 양할아버지 기요하라노 나리타다의 예에 따른 것이기도 했다) 구교 반열에 올랐으며, 20년에 걸쳐 맡아 오던 쇼나곤 자리에서 물러났다. 1522년 시종에 임명되고 1526년 11월 정3위 관위에 오른다.
교로쿠(享禄) 2년(1529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교토 다이토쿠지(大徳寺)에서 출가하여 호를 생애 존경했던 양할아버지 기요하라노 나리타다(清原業忠)와 같은 '''간스이켄 소부'''('''環翠軒宗武)'''라 하였으며, 학자로서의 활동에 전념했다.
관직에서 물러난 노부카타는 교토에서의 강의뿐 아니라 지방까지 발을 넓혀 호쿠리쿠(北陸) 지역을 돌아다니며 강의를 행하였는데, 1530년 노토(能登)에서 하타케야마 노부후사(畠山義総)의 저택에서 《중용장구》(中庸章句)를 강의하였으며, 덴분(天文) 원년(1532년)에는 와카사(若狭) 고하마(小浜) 세이운지(栖雲寺)에서 와카사 슈고(守護) 다케다 씨(武田氏)를 위해 《맹자》(孟子)를 강의하기도 했다.
만년에는 에치젠 아사쿠라 씨(越前朝倉氏) 당주 아사쿠라 다카카게의 초청을 받아[1] 그곳에서 《고문효경》(古文孝経)을 강의하였다. 1550년 7월 12일 노부카타가 사망한 곳도 아사쿠라 씨의 초청을 받아 방문한 에치젠 이치조타니(一乗谷)였다. 향년 76세였다.
3. 기요하라노 노부카타의 저술과 초물(抄物)
교토에서 고카시와바라 천황이나 도모히토 친왕, 미치히토 친왕 등 천황과 왕자, 승려들에게 강의했다. 지방에서는 노토, 와카사, 에치젠 등지에서 강의했고, 에치젠 이치조타니의 다카카게 초청도 '출장 강의'의 일환이었다.
기요하라노 노부카타는 한학, 주자학, 《일본서기》 신대기를 바탕으로 하는 신대초(神代抄) 연구에 더해 친아버지 요시다 가네토모의 요시다 신토(吉田神道)에도 통달했다. 그는 신유일치(神儒一致) 사상을 담은 「기요하라 가 신토」(清原家神道)를 완성했다.
3. 1. 주요 저술
기요하라노 노부카타의 저술은 《센켄쇼》(宣賢抄)라고 불리며, 교토 겐린지(建仁寺) 양족원(両足院)에 전해진다. 에도 막부의 대학두였던 하야시 라잔(林羅山)은 《센켄쇼》를 읽고 하야시 가학(林家学)과 리도신치 신토(理当心地神道)를 완성,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家康)에게 강의하여 관학가(官学家)를 열었다. 이는 에도 막부 막번체제(幕藩体制)의 지도 윤리와 교토 조정-에도 막부 관계에 크게 공헌하였다.
일본 유학사에서 기요하라 집안의 경학(経学) 집대성은 큰 의미를 지닌다. 기요하라 가증본(清原家証本) 작성, 주해를 위한 초물(抄物) 작성 및 서사 활동, 왕성한 강연 등이 주목할 만하다. 초물은 무로마치 시대 중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한문 저작에 대한 해설·주석을 담은 서적이다. 여러 주석을 알기 쉽게 정리한 강의록 또는 주석서 형태이며, 구두어적 요소를 살려 가나로 쓴 경우가 많아 중세 후기 일본어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초물은 《모시(毛詩)》, 《주역(周易)》 등 중국 유교 및 도교 경전, 《사기(史記)》, 《한서(漢書)》 등 역사책, 한문으로 된 일본 역사서 및 의례 서적, 《장한가(長恨歌)》, 《고문진보(古文眞寶)》 등 중국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했다. 기요하라노 노부카타는 초물 관련 중요 저술을 많이 남겼다.
기요하라노 노부카타는 유교 경전 초물 작성 시 「오경(五経)」, 「논어(論語)」 등에는 남송 주희 이전 학자들의 주석인 고주(古注)를, 「대학(大学)」, 「중용(中庸)」 등에는 주희의 주석인 주주(朱注)를 사용했다. 《일본서기》, 고세이바이시키모쿠(御成敗式目)에도 주석을 달았다.[2]
노부카타는 일본 신토와 중국 유교를 통합한 「기요하라 가 신토」(清原家神道, 세이케 신토)를 완성했다. 이는 「유가 신토」(儒家神道) 또는 「왕도 신토」(王道神道)라고도 불리며, 신토 신앙과 유교 윤리를 결합한 것이다.
4. 관력
| 날짜 | 내용 |
|---|---|
| 1480년 3월 29일 | 주수정[1] |
| 1484년 9월 5일 | 대취두[1] |
| 1486년 7월 12일 | 6위 구란도[1] |
| 1500년 6월 28일 | 종5위하[1] |
| 1501년 2월 20일 | 직강 |
| 1501년 윤6월 26일 | 소납언, 대취두, 주수정, 직강 겸임[1] |
| 1503년 6월 1일 | 종5위상[1] |
| 1504년 3월 3일 | 승전[1] |
| 1506년 5월 20일 | 정 5위하[1] |
| 1510년 4월 | 종4위하[1] |
| 1513년 정월 14일 | 종 4위상[1] |
| 1516년 12월 19일 | 정 4위 아래[1] |
| 1521년 4월 2일 | 종3위, 쇼나곤 사임[1] |
| 1522년 3월 29일 | 시종[1] |
| 1526년 11월 14일 | 정3위[1] |
| 1529년 2월 11일 | 출가[1] |
| 1550년 7월 12일 | 사망[1] |
5. 계보
- 아버지: 요시다 가네토모
- 양아버지: 기요하라노 무네카타
- 어머니: 미상
- 아내: 미상
- 생모를 알 수 없는 자녀
- * 적남(嫡男): 기요하라노 나리카타 - 후에 요시오(良雄)로 개명하였다.
- * 딸: 지쿄인(智慶院) - 미쓰부치 하루카즈의 후실, 호소카와 유사이의 어머니이다.
- * 아들: 요시다 가네미기
- * 아들: 도키 - 교토 소코쿠지(相国寺) 승려였다가 환속하여 모쿠안(牧庵)이라는 호를 사용하였다. 의술로 이름이 알려졌다. 후손은 하타모토 후나바시 씨이다.
- * 아들: 슈세이 - 승려. 교토 소코쿠지 에린인(恵林院) 난부켄(南豊軒)의 겐슈였다.
- * 아들: 슈코(周康) - 승려. 요시다산 진광원. 조세
- * 아들: 이가와 묘사 - 이카와(飯河)라고도 표기한다. 훗날 조카 호소카와 유사이에 속하여 나가오카(長岡) 성을 칭했다. 휘(諱)는 아키토모(秋共), 호는 이치료사이 묘사(一両斎妙佐), 지부소보. 노가쿠가(能楽家)이자 서예가(후지키 아쓰나오의 스승)
- * 아들: 슈신(寿信) - 승려. 요시다 산(吉田山)의 신온인(神恩院)에 머물렀다. 요절하였다.
무로마치 시대 문헌 《손피빈먀쿠》에 따르면 무로마치 막부 부교닌 세이 사다하루(清貞春, 지쿠고노카미)의 양자 세이 후사마사(清総昌, 세이시로)는 노부카타의 아들이며, 「요시다 후나바시 가보」는 묘사가 이 세이시로 후사마사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인용
人物略歴
https://www.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22-10-29
[2]
웹사이트
기요하라노 노부카타-코토뱅크(일본어)
https://kotobank.jp/[...]
[3]
웹사이트
신토사전(한국어)
https://d-museum.k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