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동한 (191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한은 1919년 대구에서 태어나 1983년 선종한 대한민국의 가톨릭 사제이다. 1951년 해군 군종 장교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군종사제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1970년 해군 중령으로 예편 후 결핵 환자 요양 시설을 설립, 운영했다. 그의 세례명은 가롤로이며, 김수환 추기경의 넷째 형으로, 독실한 가톨릭 신자 집안에서 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유스티노신학교 동문 - 김수환
    김수환은 한국 천주교 최초의 추기경이자 서울대교구장으로, 민주화 운동 참여와 사회 정의 구현에 헌신하며 '시대의 양심'으로 불렸으나, 일부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한민국 해군 중령 - 이국종
    이국종은 아주대학교병원 권역외상센터장 및 외상외과 교수로 재직하며 중증외상 환자 치료에 헌신하고 아덴만 여명 작전의 석해균 선장과 2017년 판문점 조선인민군 병사 귀순 총격 사건의 귀순 병사 수술을 집도하여 널리 알려진 대한민국의 외상외과 의사이다.
  • 대한민국 해군 중령 - 양순직
    해군 중령 예편 후 서울신문 사장을 지낸 양순직은 민주공화당, 통일국민당, 자유민주연합에서 활동하며 제6대, 7대, 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군인 출신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다.
  • 함세웅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은 1974년 결성되어 박정희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사회적 발언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 함세웅 -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
    2008년 대한민국 촛불 시위는 이명박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결정과 교육 정책 변화에 대한 국민적 반발로 시작되어 수십만 명이 참여, 정부 정책 비판 및 퇴진 요구를 펼치며 사회적 논쟁과 갈등을 야기한 대규모 시위 운동이다.
김동한 (191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동한
현지어 표기金東漢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사망지대한민국 부산직할시
출생일1919년 6월 25일
사망일1983년 9월 28일
본관광산(光山)
배우자無(미혼 독신)
종교천주교(세례명: 가롤로)
부모김영석(부), 서중하(모)
친척김필수(형)
김수환(아우)
김보현(친조부)
강말순(친조모)
서용서(외조부)
김병호(조카)
김병기(조카)
김병무(조카)
김정자(조카딸)
별명호(號)는 금파(金波, 錦波)
군 복무
복무대한민국 해군
정당무소속
국적대한민국
복무 기간1951년 3월 ~ 1970년 3월
최종 계급대한민국 해군 중령
주요 참전 전투/전쟁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근무해군 군종사제
지휘군종사제회 부회장
기타 이력
학력1940년 경상북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전문학사 출신
1956년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출신
직업성직자, 천주교 사제, 수필가, 군인
정당 활동신민당 국가보건행정특보위원(1975년)
기타 활동한국가톨릭결핵시설연합회 회장

2. 생애

김동한은 1951년 해군 군종 장교 대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군종사관 사제로 참전하였으며, 1970년 해군 중령으로 예편하였다.[5][6] 1978년부터는 결핵환자 요양시설을 설립, 경영하였다. 세례명은 '''가롤로'''이며, 추기경 김수환의 넷째 형이었다. 본관광산(光山)이며 경상북도 대구 출신으로, 경상북도 금릉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경상북도 군위에서 성장하였다.

2. 1. 가계 배경과 유년 시절

그의 가계는 천주교 순교자 집안이었다. 할아버지 김보현 요한은 1868년 무진박해 때 한성부에서 순교하였다.[1] 그는 옹기장수인 아버지를 여의고 포목행상으로 살림을 꾸리는 어머니 밑에서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자랐다.[1] 이후 경상북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에 들어가 졸업 후 사제가 되었다. 그의 동생 김수환도 그의 영향을 받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로 진학하게 된다.[1]

보통학교에 다닐 때 그와 그의 아우 김수환은 모친으로부터 나중에 신부가 되라는 권유를 받고 사제의 길을 걷게 되었다.[2][3]

2. 2. 사목 활동

1945년 12월 15일 사제 서품을 받았다. 1948년 8월 경상북도 상주군 함창읍 소재 함창동성당에서 본당 사제로 부임하여[4] 1949년 6월까지 사목하였다.

1949년 6월부터 1951년 3월까지 경상남도 창원에서 사목하다가 1951년 해군의 첫 군종사관(군종 신부)로 해군 대위 임관하였다.[5][6] 1953년 4월 진해 및 인근 본당들과 함께 ‘군민 합동 성체대회’를 개최했으며, 이 대회는 진해 지역의 천주교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5] 그 이후 경상북도 대구 계산성당 등에서 사목하였다.

1969년 군종사제회 부회장에 서임되었다. 이때 군내 가톨릭회 총무로 있던 신치구에게 동생 김수환을 소개하기도 하였다.[7] 이후 19년간 해군 군종 사제복무를 마치고 1970년 3월 해군 중령으로 예편하였다.

1983년 부산 범일성당으로 부임하였다.[8]

1978년 ‘한국 가톨릭 결핵 시설 연합회’를 조직하고 초대 회장에 피선되어 결핵환자 요양원을 맡았다.[5][9]

2. 3. 군종 장교 복무

1951년 대한민국 해군 군종 장교로 해군 대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군종사관 사제로 참전하였으며, 군종사제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5][6] 1953년 4월 진해 및 인근 본당들과 함께 ‘군민 합동 성체대회’를 개최했으며, 이 대회는 진해 지역의 천주교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5] 1969년 군종사제회 부회장에 선임되었다. 이때 군내 가톨릭회 총무로 있던 신치구에게 동생 김수환을 소개하기도 하였다.[7] 이후 19년간의 해군 군종 사제 복무를 마치고 1970년 해군 중령으로 예편하였다.

2. 4. 사회 복지 활동

1978년 '한국 가톨릭 결핵 시설 연합회'를 조직하고 초대 회장에 선출되어 결핵환자 요양원을 맡았다.[5][9]

2. 5. 선종과 이후

김수환은 1983년 9월 말 세계 주교대의원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로마에 체류하여 형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 형 김동한 신부의 선종 소식은 당시 로마에 체류 중이던 장익 주교가 직접 전했다.[10] 김수환은 귀국 후 형 김동한이 임종한 곳에서 며칠을 보냈다고 한다.

김수환이 추기경에 임직된 이후 김동한은 동생을 일부러 피했다. 동생에게 누가 될까봐 주교관 출입을 일부러 피했던 것이다.[11]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할아버지김보현 요한1848년 - 1868년1866년 병인사옥 때 순교
할머니강말순1850년 - 1915년
아버지김영석 요셉1866년 - 1930년옹기장수[1]
어머니서중하 마르다나1872년 - 1954년포목행상[1]
둘째 형김필수1917년 - 1993년
동생김수환 스테파노1922년 - 2009년
외조부서용서



김동한의 가계는 천주교 순교자 집안이었다. 할아버지 김보현 요한은 1868년 무진박해 때 체포되어 한성부에서 순교하였다.[1]

참조

[1] 뉴스 우리 곁을 떠난 김수환 추기경은 어떤 분이었나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02-20
[2] 뉴스 “어머니 무릎서 신앙심 키웠다” http://www.donga.com[...] donga.com 2009-02-17
[3] 뉴스 고품격 콘텐츠페이퍼, 헤럴드경제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2009-02-16
[4] 웹사이트 Catholic Image - Catholic Image http://www.catholici[...]
[5] 뉴스 (한국교회사 인물 80) (하) http://www.catholict[...] 가톨릭뉴스
[6] 뉴스 김동환 신부와 함께하는 故 김수환 추기경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7] 뉴스 고품격 콘텐츠페이퍼, 헤럴드경제 http://www.heraldbiz[...] 헤럴드경제
[8] 뉴스 김추기경, 서품前 프러포즈 받아 한때 고민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9-02-19
[9] 뉴스 영남권 대표 인터넷 신문 "매일신문"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10] 뉴스 장익·지학순 주교 일화·사북 탄광체험 등 소개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9-02-19
[11] 뉴스 고뇌와 번민 적지 않았던 인간 김수환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