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식 (195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종식은 대한민국의 행정가이자 정치인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제24회 행정고시에 합격했다. 전라남도 영암군, 신안군 부군수와 목포시 부시장을 역임했으며, 제34·35·36대 완도군수(3선)와 제40대 목포시장을 지냈다. 완도군수 재임 시절에는 관광객 유치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목포시장으로 재임하며 목포의 맛을 알리고 4대 전략산업을 구축했다. 대통령 근정포장, 장보고대상 대통령상 등을 수상했다.
제24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 생활을 시작한 김종식은 전라남도 관광과장, 전남도의회 총무담당관, 의사담당관, 공보관, 도지사 비서실장 등 요직을 거쳤다.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완도군, 영암군, 신안군 부군수를 거쳐 목포시 부시장을 역임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완도군수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후 4회, 5회 지방선거에 연속으로 당선되며 3선 연임하였다.
2. 학력
3. 경력
연도 경력 1980년 제24회 행정고시 합격 1997년 ~ 1998년 전라남도 영암군 부군수 1998년 ~ 2000년 전라남도 신안군 부군수 2001년 전라남도 목포시 부시장 2002년 7월 ~ 2014년 6월 제34·35·36대 전라남도 완도군수 (3선, 민선 3·4·5기)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군수대표 2016년 8월 ~ 2017년 12월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 2018년 7월 ~ 2022년 6월 제40대 전라남도 목포시장 (초선, 민선 7기)
4. 완도군수 재임 시절 (2002년 ~ 2014년)
4. 1. 주요 업적
완도군 군수 재임 시절, 드라마 해신, 식객 등의 촬영을 유치하여 완도에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완도 전복을 브랜드화하여 빚 없는 자치단체로 만드는 데 기여하였다. '건강의 섬 완도'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 외에도 해신 드라마 세트장 유치로 500만 관광객을 유치하고, 한국관광공사 선정 '가보고 싶은 곳' 1위에 올랐으며, '완도 전복'은 소비자가 뽑은 브랜드 대상을 수상했다. 청산도를 세계 제1호 슬로우시티길로 등재하고 완도국제해조류박람회를 유치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4. 2. 평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전라남도 주요 보직, 완도군, 영암군, 신안군 부군수, 목포시 부시장을 역임했다. 3선 완도군수 연임 동안 드라마 해신, 식객 등을 활용, 관광객을 유치하고 완도 전복을 브랜딩하여 완도를 빚 없는 자치단체로 만들었다. 행정 전문가로서 특산품 홍보와 '건강의 섬 완도'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신 드라마 세트장 유치, 한국관광공사 선정 '가보고 싶은 곳' 1위, '완도 전복' 브랜드 대상, 청산도 슬로우시티길 등재, 완도국제해조류박람회 유치 등 업적을 남겼다.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을 거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목포시장으로 당선되었다. 목포의 맛을 전국에 알리고, 대한민국 4대 관광거점도시 및 문화도시 선정(국비 1.2조원 확보), 국내 최초 문학박람회 성공 개최, 수산식품수출단지(국비 1.089조원), 해상풍력 배후단지(국비 1.509조원), 친환경선박 집적단지(국비 1.1조원) 유치 등 업적을 쌓았다. 대한민국 도시대상 2년 연속 수상, 기업하기 좋은 도시 전국 1위, 매니페스토 공약 이행평가 최고 등급, 국비 증가, 대양산단 완판, 공공기관 유치, 부채 감소, 청렴도 향상 등 성과를 거두었다.
5.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 재임 시절 (2016년 ~ 2017년)
박준영 전 전남도지사의 신민당 창준위에서 전남도당 위원장직을 맡았으나 결별했고,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으로 임명되었다. 2017년 12월에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직을 사임했다.
6. 목포시장 재임 시절 (2018년 ~ 2022년)
2017년 12월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직을 사임하고, 2018년 3월 12일 목포 항동시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목포시장 출마를 선언했다. 본선에서 민주평화당 박홍률 후보를 292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완도군수 3선 연임 후, 목포시장에 취임하여, 두 지자체의 장을 지낸 독특한 이력을 가지게 되었다.
민선 7기 목포시장 재임 시절, 목포의 맛을 전국적으로 알리고 목포를 먹여 살릴 4대 전략산업을 구축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도시대상을 2년 연속 수상하고, 기업하기 좋은 도시 전국 1위, 매니페스토 공약 이행평가 전국 최고 등급을 달성하는 등 굵직한 업적을 남겼다.
6. 1. 주요 정책 및 사업
목포시장 재임 시절, 목포의 맛을 전국적으로 알리기 위해 '대한민국 최고 맛의 도시' 선포식을 개최하고, 각종 예능 및 드라마를 통한 미디어 마케팅으로 목포의 맛과 관광 자원을 전국에 알리는 데 힘썼다.또한 목포의 미래를 책임질 4대 전략 산업을 구축하였다.
분야 | 내용 | 국비 확보액 |
---|---|---|
목포를 대한민국 4대 관광거점도시 및 대한민국 문화도시로 선정 | 1.2조원 | ||
국내 최초 문학박람회 성공적 개최 | ||
국내 유일의 수산식품수출단지 조성 | 1.089조원 | ||
국내 최대 해상풍력 배후단지 거점 조성 | 1.509조원 | ||
국내 최초 친환경선박 집적단지 유치 | 1.1조원 |
이 외에도 대한민국 도시대상을 2년 연속 수상하고(중소도시 중 전국 1위), 기업하기 좋은 도시 전국 1위(대한상공회의소), 매니페스토 공약 이행평가 전국 최고(SA) 등급 달성 등 굵직한 성과를 거두었다. 민선 6기 대비 국비 140% 증가(9550억원), 대양산단 완판, 대규모 공모사업 선정, 공공기관 대거 유치(13개), 목포시 통합부채 43% 감소(대양산단 채무 전액 상환), 시 청렴도 향상 등 많은 업적을 통해 목포시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2. 평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 생활을 시작하여 전라남도 주요 보직, 완도군, 영암군, 신안군 부군수, 목포시 부시장을 역임했다. 3선 완도군수 연임 동안 드라마 해신, 식객 등을 활용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전복을 브랜딩하여 완도를 빚 없는 자치단체로 만들었다. 일 잘하는 행정 전문가로서 완도 특산품 홍보와 소득 증진에 기여하고 '건강의 섬 완도'의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해신 드라마 세트장 유치, 한국관광공사 선정 '가보고 싶은 곳' 1위, '완도 전복' 브랜드 대상 수상, 청산도 슬로우시티길 등재, 완도국제해조류박람회 유치 등 업적을 남겼다.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을 거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목포시장에 당선되었다. 목포시장 재임 시절, 목포의 맛을 전국에 알리고, 대한민국 4대 관광거점도시 및 문화도시 선정(국비 12억원 확보), 국내 최초 문학박람회 성공 개최, 수산식품수출단지(국비 10.89억원), 해상풍력 배후단지(국비 15.09억원), 친환경선박 집적단지(국비 11억원) 유치 등 4대 전략산업을 구축했다. 대한민국 도시대상 2년 연속 수상, 기업하기 좋은 도시 전국 1위, 매니페스토 공약 이행평가 전국 최고 등급 달성, 국비 증가, 대양산단 완판, 공공기관 유치, 부채 감소, 청렴도 향상 등 업적을 통해 목포의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7.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2021년 | 전국 공무원 선정 올해의 지방자치 CEO |
2014년 | 국제슬로시티연맹 공로상 |
2011년 | 최우수 지방자치단체장상 |
2011년 | 제4회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 공약이행분야 최우수상 |
2011년 | 올해의 신한국인 대상 정치분야 |
2011년 | 올해의 군수 부부상 |
2009년 | 미래를 여는 혁신인물 선정 |
2008년 | 한국지방자치경영대상 최고경영자상 |
2008년 | 대한민국 최고목민관상 |
2007년 | 대한민국 신뢰경영 CEO 대상 |
2007년 | 존경받는 대한민국 CEO 대상 |
2007년 | 제1회 장보고대상 대통령상 |
2005년 | 전국 최우수 자치단체장상 |
1998년 | 대통령 근정포상 |
8.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2년 | 지방 선거 | 새천년민주당 | 10,958표 (29.54%) | 1위 | 당선 | 초선, 민선 3기 |
2006년 | 지방 선거 | 열린우리당 | 18,163표 (52.78%) | 1위 | 당선 | 재선, 민선 4기 |
2010년 | 지방 선거 | 민주당 | 19,481표 (59.51%) | 1위 | 당선 | 3선, 민선 5기 |
2018년 | 지방 선거 | 더불어민주당 | 56,284표 (47.75%) | 1위 | 당선 | 초선, 민선 7기 |
2022년 | 지방 선거 | 더불어민주당 | 35,554표 (37.67%) | 2위 | 낙선 | 민선 8기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