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창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필리핀 국립행정대학원을 수료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정치학을 연구했으며,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사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민주공화당 창당 발기인으로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이후 4선을 지냈으며, 국제 의회 연맹 한국 대표, 국회 재무위원장,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다. 5·17 쿠데타 이후 정치 활동이 규제되자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고, 제6공화국에서 민족문제연구소 회장과 제33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 출신 - 이만희 (종교인)
이만희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총회장이자 종교 지도자로, 계시록의 새로운 해석을 바탕으로 교리를 전파하며 신천지를 창립하여 선교 활동을 펼쳤으나,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집단 감염 사태와 횡령, 업무방해 혐의 등으로 사회적 비판과 논란의 중심에 섰다. - 경상북도 출신 - 이용태 (기업인)
이용태는 삼보컴퓨터를 설립하여 한국 IT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정보산업연합회 회장과 두루넷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초고속 인터넷 보급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 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 - 이희성 (1924년)
이희성(1924년~2022년)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무직공무원으로,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수사령부 정보참모, 사단장, 국방부 기획국장, 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중앙정보부 부장서리,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등을 지냈으며, 12·12 군사반란 당시 신군부 세력에 협조하여 육군참모총장에 임명되는 등 신군부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한민국의 교통부 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의성 김씨 - 김재춘 (1927년)
김재춘은 경상북도 영일군 출신의 김녕 김씨로, 경상공립중학교를 졸업한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교육자이다. - 의성 김씨 - 김동삼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김동삼은 협동학교 설립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서간도 망명 후 신흥무관학교 설립에 참여, 서로군정서와 정의부 참모장 등을 역임하며 무장 독립운동을 이끌었으며, 1931년 체포 후 복역 중 순국하여 건국훈장이 추서되었다.
김창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김창근 |
한자 표기 | 金昌槿 |
로마자 표기 | Gim Chang-geun |
출생일 | 1930년 10월 2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영주 |
사망일 | 1991년 8월 1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
본관 | 의성 |
직업 | 정치인 |
학력 | |
출신 학교 | 서울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경력 | |
정당 | 민주공화당 |
국회의원 | (경상북도 영주군・봉화군→) (경상북도 영주군→) 경상북도 영양군・영주군・봉화군 |
당선 횟수 | 4회 |
재임 기간 (국회의원) | 1963년 - 1973년 1978년 - 1980년 |
직책 | 제33대 교통부(현 국토교통부)장관 |
재임 기간 (장관)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8일 |
대통령 | 노태우 |
2. 생애
경상북도 영주시 출신으로, 195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60년 필리핀 행정대학원을 수료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 정치학을 공부한 뒤 귀국하여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사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민주공화당 창당 발기인 중 한 명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 당선된 후 IPU 한국 대표를 지냈다. 민주공화당에서 기획부 차장, 당기위원장, 원내총무 겸 대변인, 제8대 국회 재무분과위원회 위원장, 안동문화방송 회장, 정책위원회 의장 등 주요 직책을 맡았다.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 이후 정치 풍토 쇄신을 위한 특별 조치법에 의해 정치 활동이 규제되자, 김영삼과 김대중에게 접근하여 민추협 상임운영위원 및 부의장을 맡아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제6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민족문제연구소 회장을 역임했고, 노태우 정부에서 교통부 장관을 지냈다.
2. 1. 학창 시절 및 교수 활동
1957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1960년 필리핀 행정대학원을 수료했다. 이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 정치학을 공부한 뒤 귀국하여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강사 및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1]2. 2. 민주공화당 활동
민주공화당 창당 발기인 중 한 명으로,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처음 당선된 후 4번 당선되었다. IPU 한국 대표, 국회 재무위원장을 역임했다. 1963년 민주공화당 기획부 차장, 1966년 당기위원장, 1967년 원내총무 겸 대변인, 1971년 제8대 국회 재무분과위원회 위원장, 1973년 안동문화방송 회장, 1979년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2. 3. 5.17 비상계엄과 민주화 운동
5·17 쿠데타로 국회가 강제 해산된 후, 1980년 11월 12일 정치 풍토 쇄신을 위한 특별 조치법에 의해 정치 활동 규제 대상자로 지정되어 정치인으로서 활동할 수 없게 되었다. 1980년대 초 김영삼과 김대중에게 접근하여 1984년 민추협 상임운영위원, 1985년 민추협 부의장이 되어 민주화 운동에 기여했다. 제6공화국 성립 이후에는 민족문제연구소 회장을 역임했다.2. 4. 노태우 정부 시절
노태우 정부에서 1988년 12월 5일부터 1990년 3월 18일까지 제33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1]2. 5. 사망
폐암으로 뉴욕의 병원에서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6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주군·봉화군 | 민주공화당 | 35,360표 | 44.01% | 1위 | 당선 | 초선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7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주군·봉화군 | 민주공화당 | 59,602표 | 59.39% | 1위 | 당선 | 재선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8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주군 | 민주공화당 | 36,673표 | 59.23% | 1위 | 당선 | 3선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10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양군·영주군·봉화군 | 민주공화당 | 59,768표 | 43.47% | 1위 | 당선 | 4선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13대 | 국회의원 | 경북 영주시·영풍군 | 무소속 | 34,367표 | 43.83% | 2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18
[2]
웹사이트
김창근(金昌槿)
http://encykorea.aks[...]
2023-01-18
[3]
웹사이트
휴양도 겸한 대만방문
https://www.joongang[...]
1971-01-18
[4]
웹사이트
새 長官(장관) 15人(인)의 出師表(출사표)
https://newslibrary.[...]
1988-12-06
[5]
웹사이트
前(전)교통부장관 金昌槿(김창근)씨
https://newslibrary.[...]
1991-08-02
[6]
웹인용
前(전)교통부장관 金昌槿(김창근)씨
https://newslibrary.[...]
199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