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일 (192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형일은 1923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학도병으로 일본군 소위로 복무했으며,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제8연대장, 육군본부 정보국장, 제2군단장 등을 역임했다. 육군참모차장으로 재직 중 박정희의 신원조회에 '좌익'이라고 답변하여 박정희와 갈등을 겪었고, 이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4선을 역임했다. 1978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도영
장도영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 출신으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5.16 군사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내각수반, 국방부 장관을 지냈으며, 반혁명 혐의로 기소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교수로 활동하다가 사망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학도병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민정당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 민정당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군사영어학교 동문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군사영어학교 동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김형일 (192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형일 |
한자 표기 | 金炯一 |
출생일 | 1923년 10월 28일 |
사망일 | 1978년 6월 3일 |
출생지 | 경기도 화성시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본관 | 김녕(金寧)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27호 |
군사 경력 | |
소속 | 일본 육군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소위 (일본 육군) 중장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46년 ~ 1962년 |
주요 근무 | 육군본부 국방부 |
주요 지휘 | 육군참모차장 국방부 장관 보좌관 |
기타 | |
서명 | 김형일 |
![]() |
2. 생애
1961년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10월 기소유예되었고, 같은 해 11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4] 이후 2년간 미국 유학을 다녀온 후 귀국,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78년 56세로 사망할 때까지 9대 국회의원을 포함하여 내리 4선을 하였으며, 신민당 원내총무 등을 역임하였다. 6대 국회 때에는 정부전복 음모에 연루돼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17]
2. 1.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923년 경기도 화성시에서 태어났다. 1945년 경성법학전문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학도병으로 일본군 소위로 복무했다.[3]1946년 2월 9일,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군번 10045번)[3] 제8연대 창설에 참여했다.[4] 1948년 8월 8일, 제8연대장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5월 표무원, 강태무 대대의 월북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했다.[4]
1949년 6월 20일, 육군본부 병기감에 임명되었다.[5] 1950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미군 제7사단에서 연수를 받던 중,[6]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귀국했다. 같은 해 8월, 육군본부 부 전황시찰관(소장)에 임명되었고,[7] 10월에는 육군본부 특무부대장이 되었다.[8] 1951년 제7사단장(준장)을 거쳐, 같은 해 10월 육군본부 군수국장을 역임했다. 1952년에는 육군본부 정보국장이 되었다.[9]
1953년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를 졸업하고, 1954년 다시 육군본부 정보국장을 맡았다. 1956년 12월, 합동참모본부장에 임명되었다. 1959년 3월 2일, 육군본부 정보참모부장이 되었고,[10] 같은 해 7월 2일 제2군단장을 역임했다.[11] 1960년 9월 3일 육군참모차장으로 임명되며 중장으로 진급했다.[12] 1961년 3월 2일, 국방부장관 특별보좌관이 되었다.[13]
2. 2. 박정희와의 갈등 및 예편
1960년 민주당 집권 후 이종찬 장군은 장면 국무총리에게 박정희 장군의 중용을 건의했다.[17] 그러나 장면은 확답을 주지 않고 매그루더 사령관과 논의했다.[17] 얼마 후 매그루더는 대한민국 육군본부에 박정희의 신원 조회를 요청했다.[17]당시 육군참모차장이던 김형일은 '박정희는 레프트(좌익)다'라고 답변했다. 이 말을 들은 매그루더는 장면을 찾아 '그런 사람을 어떻게 그런 요직에 앉혀뒀냐'며 항의했다. 당시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이던 박정희는 이 일로 인해 2군 부사령관으로 전출되었다.[17]
이처럼 박정희의 신원을 매그루더에게 좌익으로 지목한 김형일은 이 일로 박정희와 등을 지게 되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군정에 반대하다가 국방부 장관 특별 보좌관 자리에서 해임되었다.
2. 3. 정치 활동
1960년 민주당 집권 후 이종찬 장군이 장면 국무총리에게 박정희 장군의 중용을 건의했으나, 장면은 매그루더 사령관과 논의했다.[17] 매그루더는 대한민국 육군본부에 박정희의 신원조회를 요청했고, 당시 육군참모차장이던 김형일은 '박정희는 좌익'이라고 답했다.[17] 매그루더는 장면에게 항의했고, 박정희는 2군 부사령관으로 전출되었다.[17]이 일로 김형일은 박정희와 등을 지게 되었고, 5.16 군사정변 이후 군정에 반대하다 국방부 장관 특별 보좌관에서 해임되었다.[17] 이후 미국 유학을 다녀와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6대 국회 때 정부전복 음모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렀으며,[17] 9대까지 4선 국회의원을 지내며 신민당 원내총무 등을 역임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전국구, 민정당)으로 당선되어 민정당 당무위원, 경기 제10지역 당위원장을 역임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화성군, 신민당)으로 당선되어 신민당 정무위원, 중앙훈련원 원장을 역임했다. 1970년에는 신민당 정무위원 겸 당기위원이 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화성군, 신민당)으로 당선되어 신민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화성군, 신민당)으로 당선되어 신민당 원내총무를 역임했다.
2. 4. 사망
1978년 6월 3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자택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15]3. 상훈
훈장 | 내용 |
---|---|
을지무공훈장 | 3개 |
충무무공훈장 | 1개 |
화랑무공훈장 | 2개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1957년 7월 31일[16] |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대수 | 직책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선 여부 | 비고 |
---|---|---|---|---|---|---|---|---|---|
1963년 | 총선 | 6대 | 국회의원 | 민정당 | 1,870,976표 (20.1%) | 전국구 7번 | 당선 | 초선 | |
1967년 | 총선 | 7대 | 국회의원 | 경기 화성군 | 신민당 | 36,852표 (48.89%) | 1위 | 당선 | 재선 |
1971년 | 총선 | 8대 | 국회의원 | 경기 화성군 | 신민당 | 42,197표 (58.88%) | 1위 | 당선 | 3선 |
1973년 | 총선 | 9대 | 국회의원 | 경기 수원시·화성군 | 신민당 | 61,150표 (41.74%) | 2위 | 당선 | 4선 |
참조
[1]
웹사이트
(13)김녕 김씨(金寧金氏)-513,015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7-23
[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4]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5]
간행물
호국전몰용사공훈록 제5권(창군기)
http://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8-11-27
[6]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中巻
[7]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下巻
[8]
뉴스
[이상돈의 책을 통해 세상읽기]피로 얼룩진 격동과 혼란의 세월
http://weekly.khan.c[...]
2016-01-31
[9]
서적
군과 나
[10]
뉴스
陸本 情報參謀部長 任命
http://www.busan.com[...]
2019-11-12
[11]
뉴스
陸軍將星級異動
http://www.busan.com[...]
2019-11-12
[12]
뉴스
陸軍參謀次長에 金炯一中將任命
http://www.busan.com[...]
2019-11-12
[13]
뉴스
張昌國中將을 任命 陸軍參謀次長에
http://www.busan.com[...]
2019-11-12
[14]
웹사이트
豫備役編入 金炯一 陸軍中將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2016-01-31
[15]
웹사이트
김형일(金炯一)
https://encykorea.ak[...]
2023-08-15
[16]
웹사이트
Kim Hyung Il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6-01-31
[17]
웹사이트
'박정희 리스트'로 고구마 캐듯 수사 - 김창룡이 '구명'제안, 백선엽이 결심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