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르주나콘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르주나콘다는 인도 텔랑가나주에 위치한 고대 유적지로, 사타바하나 왕조, 안드라 이크슈바쿠 왕조 시대를 거치며 불교와 힌두교 사원이 번성했던 곳이다. 3세기 초 이크슈바쿠 왕조의 수도였으며, 다양한 불교 유적과 비문이 발견되었다. 이곳은 인도-로마 무역의 흔적을 보여주는 유물과 함께, 불교와 힌두교 사원, 그리고 스키타이 전사의 부조 등 다양한 유물을 통해 당시의 문화적 교류를 보여준다. 1960년 나가르주나 사가르 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으나, 유물들은 인공 섬으로 옮겨져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드라프라데시주의 도시 및 마을 - 비지아나가람
비자야나가람은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의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닌 제후국이었으며, 높은 문해율과 철도 및 도로 교통망, 다양한 교육 기관과 문화 행사, 그리고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환경 문제를 가지고 있다. - 안드라프라데시주의 도시 및 마을 - 아난타푸르
아난타푸르는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에 위치한 도시로, 텔루구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반사막 기후를 보이고, 스리 크리슈나데바라야 대학교 등 교육 기관과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고대 인도의 도시 - 바라나시
바라나시는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갠지스 강변에 위치한 힌두교 성지이자 문화 중심지로, 고대 카시 왕국의 수도였으며 종교 관광 중심지이자 전통 공예와 문화 활동이 활발하지만, 도시화와 관광객 증가로 인한 환경 문제와 빈곤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고대 인도의 도시 - 사르나트
사르나트는 부처가 처음 설법한 불교의 중요한 순례지이며, 초기 불교 시대부터 번성하다가 이슬람 세력의 침입으로 파괴되었으나 18세기 이후 재발견되어 고고학적 발굴이 이루어졌다. - 불교 순례지 - 보로부두르
보로부두르는 인도네시아 자와섬 중부에 위치한 9세기 대승불교 유적으로, 샤일렌드라 왕조 시대에 건설된 계단식 피라미드 형태의 만다라 구조물이며, 19세기 재발견 후 복원을 거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불교 순례지 및 관광 명소로 활용된다. - 불교 순례지 - 루앙프라방
루앙프라방은 라오스 북부 메콩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란쌍 왕국의 수도로서 라오스의 문화적,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역사적 건축물과 문화 유산,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도시이자 활발한 관광 산업 도시이다.
나가르주나콘다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마체를라 만달, 팔나두 지구, 안드라프라데시 주, 인도 |
관할 | 인도 고고학 조사국 |
상세 정보 | |
종류 | 역사적 도시 |
건축 양식 | 해당사항 없음 |
제작자 | 해당사항 없음 |
건설 시기 | 해당사항 없음 |
지리 정보 | |
2. 역사
나가르주나콘다는 기원전 3세기경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사타바하나 왕조 시기에 불교가 전파되었다. 사타바하나 왕조 후기 왕들이 발행한 동전과 가우타미푸트라 비자야 사타카르니 통치 6년에 새겨진 비문이 발견되어 이를 뒷받침한다.[7]
3세기 초, 사타바하나 왕조가 쇠퇴한 후 이크슈바쿠 왕조가 이 지역을 통치했다. 이크슈바쿠 왕조의 수도는 비자야푸리였다. 이크슈바쿠 왕조 시대의 유물로는 동전, 비문 등이 있으며, 아비라 왕의 비문도 발견되었다.[7] 이크슈바쿠 왕들은 힌두교 사원을 건설했고, 왕비를 비롯한 불교 신자들은 불교 기념물을 건설했다. 초기에는 30개 이상의 불교 비하라가 있었고, 예술 작품과 비문이 발굴되어 초기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7]
이크슈바쿠 왕조 이후, 나가르주나콘다는 4세기에 팔라바 왕조의 지배를 받으며 쇠퇴했다.[7] 7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는 벵기 찰루키아의 지배 아래 크리슈나 강 계곡에 벽돌 신사가 건설되었다.[7] 이후 카카티야 왕국, 델리 술탄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7]
15세기와 16세기에는 나가르주나콘다가 다시 중요해졌는데, 이 시기 기록과 비문에는 나가르주나콘다 언덕에 요새가 있었다고 언급된다.[7] 이 요새는 레디 통치자들이 콘다비두 요새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한 국경 요새로 추정된다.[7] 이후 가자파티와 비자야나가라의 지배를 받았다.[7]
이후 나가르주나콘다는 쿠트브 샤히 왕조, 무굴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7][3] 최종적으로는 푸슈파기리 마트에 양도되었다.[3]
2. 1. 이크슈바쿠 왕조 시대 (3~4세기)
이크슈바쿠 왕조가 비자야푸리를 수도로 삼으면서 나가르주나콘다는 크게 발전했다. 이크슈바쿠 왕들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후원했으며, 왕실 여성들도 불사리탑 건립 등에 참여했다.[7] 마하상가, 바후슈루티야, 아파라마하비나셀리야, 마히샤사카, 마하비하라바신 등 다양한 불교 종파의 사원과 수도원이 건립되어 국제적인 불교 중심지로 성장했다.[7] 이 시기에는 스리랑카, 중국 등지에서 온 불교 학자들도 나가르주나콘다에서 활동했다.발굴된 부조의 스타일은 아마라바티 탑의 마지막 단계와 거의 구별할 수 없지만, 인물들의 복잡성이 줄어들고 다양한 매너리즘이 나타나며 표면이 평평해지는 등 아마라바티의 성숙한 단계 이후 큰 쇠퇴를 보여준다.[12]
이크슈바쿠 왕조 시대에는 시바와 카르티케야(무루간)를 모시는 힌두교 사원도 건립되었다.

로마 제국과의 교역 흔적(로마 금화, 디오니소스 조각상 등)과 인도-스키타이 양식의 유물도 발견되어 당시 활발했던 국제 교류를 보여준다.[9][14]
2. 2. 이크슈바쿠 왕조 이후
이크슈바쿠 왕조 멸망 후, 나가르주나콘다는 4세기에 팔라바 왕조의 지배를 받으며 쇠퇴했다.[7][8] 7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는 벵기 찰루키아의 지배 아래 크리슈나 강 계곡에 벽돌 신사가 건설되었다.[7] 이후 카카티야 왕국, 델리 술탄국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7]15세기와 16세기에는 나가르주나콘다가 다시 중요해졌는데, 이 시기 기록과 비문에는 나가르주나콘다 언덕에 요새가 있었다고 언급된다.[7] 이 요새는 레디 통치자들이 콘다비두 요새를 보호하기 위해 건설한 국경 요새로 추정된다.[7] 이후 가자파티의 지배를 받았으며, 1491년 비문에는 가자파티 왕 푸루쇼타마의 부하 시리라타라자 싱가라야 마하파트라가 나가르주나콘다 요새를 통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7] 1515년, 비자야나가라 왕 크리슈나데바라야는 가자파티 왕국을 공격하면서 이 요새를 점령했다.[7]
이후 나가르주나콘다는 쿠트브 샤히 왕조, 무굴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7][3] 최종적으로는 푸슈파기리 마트의 폰티프에게 아그라하라로 양도되었다.[3]
3. 고고학 연구
1926년, 지역 교사 수라파라주 벤카타라마이(Suraparaju Venkataramaih)가 고대 기둥을 발견하면서 나가르주나콘다 유적이 세상에 알려졌다. 이 발견은 마드라스 관구 정부에 보고되었고, 스리 사라스바티(Shri Sarasvati)가 현장을 방문하여 고고학 유적지로서의 가치를 인정했다.[7]
1926년 프랑스 고고학자 가브리엘 주보-드브뢰유(Gabriel Jouveau-Dubreuil)가 최초로 유적을 발견했다.[8] 1927년부터 1931년까지 A. H. 롱허스트가 이끄는 영국 고고학 팀이 체계적인 발굴을 진행하여, 여러 불교 스투파와 차이티야 유적, 그리고 다양한 기념물과 조각품들을 발굴했다.[8][7]
1938년 T. N. 라마찬드란(T N Ramachandran)이 추가 발굴을 통해 새로운 기념물들을 발견했다. 1954년 나가르주나 사가르 댐 건설로 유적지가 수몰될 위기에 처하자, R. 수브라마니암(R Subrahmanyam)의 지휘 아래 1960년까지 대규모 발굴 작업이 이루어져 구석기 시대부터 16세기에 이르는 수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7]
발굴된 유적들은 나가르주나콘다 언덕 위에 복원되었고, 1966년 박물관이 건립되었다. 일부 조각품들은 델리, 첸나이, 콜카타, 파리, 뉴욕 등지의 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7]
1960년 크리슈나 강에 관개 댐이 건설되면서 원래 유적지는 저수지에 잠겼지만, 홍수 이전에 대부분의 유물은 나가르주나 언덕 꼭대기와 수몰 지역 동쪽 본토로 안전하게 옮겨졌다.
3. 1. 발굴 유물
나가르주나콘다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16세기에 이르는 다양한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주요 유물은 다음과 같다.종류 | 상세 내용 |
---|---|
불교 유적 | 탑, 사원, 수도원, 조각상, 비문 등. 특히, 3세기 익슈바쿠 공주 참티시리가 개조한 대탑(Mahachaitya)은 아야카 기둥이 세워져 있고, 외부에 난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 [11] 부조는 아마라바티 탑의 양식과 유사하지만, 다소 쇠퇴한 모습을 보인다.[12] |
힌두교 유적 | 시바파 사원이 대부분이며, 카르티케야(무루간)와 바이슈나바교 사원, 데비 조각상도 발견되었다. |
기타 유물 |
발굴된 유물들은 현재 나가르주나콘다 섬의 박물관과 델리, 첸나이, 콜카타, 파리, 뉴욕 등지의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4. 나가르주나 사가르 댐 건설과 유적 보존
1955년에서 1967년 사이에 나가르주나 사가르 댐이 건설되면서 원래 유적지는 수몰되었다. 댐 건설 전에 주요 유물과 유적은 나가르주나콘다 언덕 위로 이전되었다.[32] 1966년, 섬에 박물관이 건립되어 이전된 유물을 보존하고 전시하고 있다.[32] 이 박물관에는 고타마 붓다의 것으로 추정되는 작은 치아와 귀걸이를 포함한 불교 문화와 예술 유물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32] 나가르주나콘다의 주요 스투파인 마하차이티야에는 부처의 성스러운 유물이 들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32] 부분적으로 파괴된 부처의 단일 석상 조각상은 박물관의 주요 볼거리이다. 또한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의 도구, 프리즈, 동전, 보석과 같은 역사적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32][33]
5. 어원
'나가르주나콘다'라는 현대 지명은 불교 학자 나가르주나(용수)와 '언덕'을 뜻하는 텔루구어 단어 ''콘다''(konda)의 결합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지역에서 발견된 3~4세기 비문들은 고대에 이곳이 "비자야푸리"로 알려졌음을 보여준다.[1] "나가르주나콘다"라는 이름은 중세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안드라 익샤바쿠 비문은 예외 없이 그들의 수도 비자야푸리를 스리파르바타 언덕과 연관시켜 ''시리파르바테 비자야푸레''라고 언급하고 있다.[1] 고고학적 증거는 나가르주나가 이 지역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6. 비문
나가르주나콘다 비문은 나가르주나콘다 지역에서 발견된 비문들로, 약 210년부터 325년까지 번성했던 불교 구조물과 안드라 이크슈바쿠의 통치와 관련이 있다.[19]
이 비문들은 프라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 또는 둘의 혼합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브라흐미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19] 나가르주나콘다 비문은 기원후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해당하는 가장 초기의 남인도 산스크리트어 비문으로 추정된다. 이 비문들은 불교와 힌두교의 시바교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 일부는 표준 산스크리트어와 혼성 산스크리트어를 모두 반영한다.
산스크리트어 비문의 남쪽 확산은 서 사트라프의 영향 때문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금석학에서 산스크리트어 사용을 장려했으며 남인도 통치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루드라푸루샤다타 왕 시대의 나가르주나콘다 기념 기둥 비문은 서 크샤트라파와 나가르주나콘다의 익스바쿠 통치자 사이의 혼인 동맹을 증명한다.[22] 한 비문에 따르면, 익스바쿠 왕 비라푸루샤다타(250-275 CE)는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여기에는 우자이니 통치자의 딸인 루드라다라-바타리카(''Uj(e)nika mahara(ja) balika'')가 포함되었으며, 이는 아마도 인도-스키타이 서 크샤트라파 왕 루드라세나 2세일 것이다.[23][24]
나가르주나콘다 비문은 다양한 지역 출신의 불교 승려들을 언급하며, 당시 불교 활동의 세계적인 성격을 강조한다.[19] 한 수도원(38번 유적)의 비문은 그곳의 거주자들을 아차르야와 테라라고 묘사하며, 이들은 비바쟈바다 학파에 속했고, "카슈미르, 간다라, 야바나, 바나바사[20] 및 탐파파미니다파 사람들의 마음을 기쁘게 했다".[19] 이 비문들은 이 다양한 사람들이 불교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21]
7. 관광
나가르주나콘다는 현재 나가르주나 사가르 호수 한가운데 섬으로 남아있다. 본토에서 페리를 통해 섬으로 접근할 수 있으며, 가장 가까운 기차역은 마체를라로 29km 떨어져 있다.[1]
이 지역은 댐 근처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계곡의 탁 트인 전망으로도 유명하다. 에티포탈라 폭포는 22m 높이에서 푸른 석호로 폭포수가 쏟아지는 자연 폭포이며, 악어 번식 센터이기도 하다.[1]
근처의 스리사이람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나가르주나사가르-스리사이람 호랑이 보호구역은 다양한 파충류, 조류 및 동물의 피난처이다.[1] 날라마라 언덕의 크리슈나 강가에 위치한 스리사이람은 12개의 신성한 조티르링가 중 하나인 시바 사원을 포함하여 엄청난 역사적, 종교적 중요성을 지닌 곳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MET museum page
https://www.metmuseu[...]
[2]
웹사이트
The Great Stupa at Nagarjunakonda in Southern India
http://ccbs.ntu.edu.[...]
ntu.edu.tw
1932-10
[3]
웹사이트
Palnadu aspires for separate district status
https://www.thehansi[...]
2017-02-13
[4]
서적
Hindu Art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문서
Rowland, pp. 209-214
[6]
문서
Rowland, 212
[7]
웹사이트
Ancient India
http://www.art-and-a[...]
2019-03-03
[8]
간행물
'The Buddhist Antiquities of Nagarjunakonda, Madras Presidency'
https://doi.org/10.1[...]
1940-06
[9]
서적
Ancient Indian And Indo-Greek Theatre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981
[10]
논문
Dionysiac Aspects of Kushān Art
1968
[11]
웹사이트
Visit Lord Budha – Nagarjunakonda
http://www.visitlord[...]
[12]
문서
Harle, 38
[13]
서적
Roman Coins from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4]
서적
Buddhist Monks and Monasteries of India: Their History and Their Contribution to Indian Culture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88
[15]
웹사이트
National Portal and Digital Repository: Record Details
http://museumsofindi[...]
[16]
서적
Indian Sculpture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1961
[17]
서적
Life and Art of Early Andhradesa
https://books.google[...]
Agam
1982
[18]
서적
The Journal of the Institution of Surveyors (India).
https://books.google[...]
Institution of Surveyors
1967
[19]
서적
The Idea of Ancient India: Essays on Religion, Politics,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India
2016
[20]
서적
The Great Stupa at Nagarjunakonda in Southern India.
http://buddhism.lib.[...]
The Indian Antiquary
1932
[21]
서적
Tribal Roots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02
[22]
서적
Vakataka - Gupta Age Circa 200-550 A.D.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86
[23]
서적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of Andhra Pradesh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ers
1993
[24]
서적
Madhya Pradesh District Gazetteers: Ujjain
https://books.google[...]
Government Central Press
1982
[25]
서적
Travels of Fa-Hien
https://archive.org/[...]
1971
[26]
서적
Viharas In Ancient India
https://archive.org/[...]
1969
[27]
뉴스
Xuan Zang stayed in Vijayawada to study Buddhist scriptures
https://www.thehindu[...]
2021-05-03
[28]
서적
Journal Of The Andhra Historical Research Society,vol.10,pt.1 To 4
https://archive.org/[...]
1937
[29]
서적
Life Of Hiuen Tsiang By The Shaman Hwui Li
https://archive.org/[...]
1911
[30]
논문
Some Remarks on the Narrative of Fâ-hien
https://www.jstor.or[...]
1887
[31]
서적
Iconography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Orissa: Text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2001
[32]
웹사이트
city information of hyderabad, nagarjunasagar, nagarjunakonda, warangal, medak
http://www.jetairtou[...]
2009-05-14
[33]
웹사이트
Tourism of India - Buddha - Excursion
http://www.tourismof[...]
2007-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