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스키타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스키타이는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인도 북서부에 정착한 스키타이계 유목 민족을 지칭한다. 이들은 사카(Saka)라고도 불리며, 흉노의 공격으로 인해 중앙아시아에서 남하하여 박트리아, 드랑기아나(사카스탄) 등에 정착했다. 인도-스키타이는 인도-그리스 왕국을 계승하여 동전을 주조하고, 불교를 지지하며 간다라 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주요 왕으로는 마우에스, 아제스 1세 등이 있으며, 탁실라를 중심으로 왕국을 건설하고 마투라, 사우라슈트라 지역에 사트라프를 두었다. 이후 쿠샨족의 침입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스키타이 - 서사트라프
서사트라프는 기원전 1세기부터 4세기까지 서부 및 중앙 인도를 지배한 사카족 왕조로, 크샤하라타 왕조와 카르다마카 왕조로 나뉘며 쿠샨 제국의 봉신에서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했으나 395년 굽타 제국에 정복당해 멸망했다. - 인도-스키타이 - 마투라 사자 기둥머리
마투라 사자 기둥머리는 고대 인도 마투라 지역에서 발견된 석조 유물로, 석각과 비문을 통해 당시 사회, 정치, 문화적 배경을 보여주며, 인도-스키타이계 통치자, 쿠샨 제국 시대 인물, 불교 용어 등이 등장하고, 브라흐미 문자와 카로슈티 문자가 새겨져 언어 및 문자 연구에 기여하며, 문화적 교류와 융합의 사례를 보여준다. - 아프가니스탄의 고대 민족 - 캄보자
캄보자는 베다 시대 후기 인도아리아어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부족 또는 왕국으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이란어와 언어적 연관성을 갖고 말 사육 기술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고대 민족 - 월지
월지는 기원전 3세기 중반부터 기원후 4세기경까지 중앙아시아에서 활동한 인도유럽 계통의 유목 민족으로, 흉노에 패배 후 서쪽으로 이동하여 박트리아를 멸망시키고 쿠샨 제국을 건국하거나 중국 북부에 정착하기도 했으며, 민족적 기원과 언어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다. - 스키타이 - 스키타이족
스키타이족은 기원전 7세기부터 3세기까지 흑해 북쪽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기마 궁술과 유격전 전술, 흑해 지역 무역 장악 등으로 번성했으나 사르마티아인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그 문화적 영향은 유라시아 대초원과 그리스-로마, 동아시아 지역까지 미쳤다. - 스키타이 - 박트리아
박트리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서부 일대에 해당하는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 동서양 문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양한 종교가 융성했던 곳이다.
인도-스키타이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인도-스키타이 왕국 |
시대 | 고대 |
정치 체제 | 군주제 |
존속 기간 | 기원전 150년경 – 400년 |
선행 국가 |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인도-그리스 왕국 마우리아 제국 |
후행 국가 | 쿠샨 제국 사산 제국 인도-파르티아 파라타라자스 굽타 제국 |
수도 | 우자인/오제네 마투라 탁실라 |
공용어 | 사카어 그리스어 팔리어 (카로슈티 문자)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브라흐미 문자) |
종교 | 힌두교 스키타이 종교 고대 그리스 종교 불교 조로아스터교 |
지도 | |
![]() | |
통치자 | |
왕 | 마우에스: 기원전 85–60년 하자트리아: 10년 |
통계 | |
면적 (추정) | 2,600,000 제곱킬로미터 |
2. 기원
인도-스키타이인의 조상은 일반적으로 이란계 유목민인 사카(스키타이)족으로 여겨진다.
2. 1. 사카
밀워드를 비롯한 다수의 학자들은 인도-스키타이인의 조상을 사카(스키타이)로 생각한다.사카(Saka)는 특정 국가나 민족을 지칭하기보다는, 시베리아와 중앙 유라시아 스텝 지대를 가로지르는 초기 유목민들의 문화적 연속체를 일컫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헤로도토스가 그의 저서 《역사》 4권에서 묘사한 스키타이인들처럼(사카는 그리스어 "스키테스"에 해당하는 이란어 단어이며, 많은 학자들이 이들을 사카-스키타이인으로 함께 지칭한다), 사카는 이란어를 사용하는 기마 유목민으로, 전투에서 전차를 사용하고, 말을 희생시키고, 쿠르간이라고 불리는 고분이나 봉분 무덤에 죽은 자를 매장했다.[94]
서인도 사카족은 사카어를 사용했으며, 이는 타림 분지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호탄어이기도 하다.[95]
기원전 2세기에 몽골 고원의 패자가 된 흉노는 서역 공략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둔황 부근에 있던 월지를 몰아냈다. 월지는 이시크쿨 호 주변까지 도망쳤고, 원래 거기에 있던 새족(사카인)을 몰아내고 그 땅에 자리 잡았다. 쫓겨난 새족은 헌도(파미르 고원, 힌두쿠시 산맥)를 넘어 간다라 지방에 카슈미르국을 세우거나, 도중에 파미르 산중에 휴순국이나 연독국을 세웠다.[80]
2. 2. 아케메네스 왕조 시기 (기원전 6세기~4세기)
아케메네스 군대는 페르시아인 외에도 박트리아인, 사카(스키타이인), 파르티아인, 소그드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기원전 515년경 아케메네스 왕조의 인더스 계곡 정복 당시 사카도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6] 헤로도토스는 사카와 이오니아인(그리스인), 심지어 에티오피아인까지 포함한 아케메네스 군대의 전체 민족 목록을 제공한다.[97] 벡위드는 이 민족들이 모두 아케메네스 제국이 인도를 침공할 때 참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96]마이클 비첼[98]과 크리스토퍼 벡위드[99]를 포함한 일부 학자들은 고타마 붓다의 씨족인 샤캬가 원래 중앙아시아에서 온 스키타이인이었다고 주장한다.[96] 이들은 인도 내 불교에 대한 사카의 강한 지지도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99]
무드라락샤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마가다에서 왕위를 차지하고 마우리아 제국을 세울 때 "사카-야바나-캄보자-파라시카-바흐리카" 동맹을 활용했다고 전한다.[100][102][101] 학자들은 사카는 스키타이인, 야바나는 그리스인, 파라시카는 페르시아인이라고 보고 있다.[102][103]
2. 3. 월지의 확장 (기원전 2세기)
기원전 2세기경, 중앙아시아 부족들 사이에서 유목 민족의 이동이 시작되었다. 한나라의 연대기 및 기타 중국 기록에 따르면, 이 이동은 월지 부족이 흉노에게 패배하여 서쪽으로 도망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른 중앙아시아 부족들이 연쇄적으로 이동하는 도미노 효과가 발생했다.[26]
고대 자료에 따르면, 몽골 흉노 부족의 묵돌 선우는 기련산과 둔황 사이의 월지(동부 타림 분지에 살았던 토하라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를 공격하여 그들의 고향에서 몰아냈다.[27] 대부분의 월지인은 서쪽으로 일리 강 지역으로 이동했고, 그들은 사카족을 몰아냈다. 사카족은 남쪽으로 페르가나와 소그디아나로 이주했다. 중국 역사 연대기(사카족을 "사이(塞)"라고 칭함)에 따르면 "[월지]는 사이족 왕을 공격했고, 사이족은 상당한 거리를 남쪽으로 이동했으며, 월지는 그들의 땅을 점령했다."[28][29]
기원전 155년 이후, 월지는 우손과 흉노의 동맹에 의해 다시 패배했다. 그들은 남쪽으로 이동해야 했고, 다시 스키타이족을 몰아냈다(스키타이족은 박트리아와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으로, 그리고 남서쪽으로 파르티아로 이동).[30]
기원전 2세기에 몽골 고원의 패자가 된 흉노는 서역 공략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둔황 부근에 있던 월지를 몰아냈다. 월지는 이시크쿨 호 주변까지 도망쳤고, 원래 거기에 있던 새족(사카인)을 몰아내고 그 땅에 자리 잡았다. 쫓겨난 새족은 헌도(파미르 고원, 힌두쿠시 산맥)를 넘어 간다라 지방에 카슈미르국을 세우거나, 도중에 파미르 산중에 휴순국이나 연독국을 세웠다.[80]
3. 정착
사카족은 월지(쿠샨족의 전신)의 군사적 압력으로 박트리아에서 헬몬드 호수(또는 하문)로 이동하여 드랑기아나(시갈)에 정착했다. 이들은 이후 인더스 계곡 하류를 통해 인도 북서부와 남서부로 퍼져나갔으며, 소비라 왕국, 구자라트, 라자스탄 등 인도 본토의 왕국으로 확산되었다. 기원전 1세기 카락스의 이시도르는 저서 《파르티아 역참》에서 사카스탄에 사카족이 존재했음을 언급하며, 동쪽으로는 그리스 도시들(코카서스의 알렉산드리아, 아라코시아의 알렉산드리아)과 남쪽으로는 아라코시아와 접해 있었다고 기록했다.
3. 1. 사카스탄
사카족은 남부 아프가니스탄, 서부 파키스탄, 그리고 남부 이란 지역인 드랑기아나에 정착했고, 그 지역은 그들의 이름을 따서 사카스탄 또는 시스탄이라고 불렸다.[108] 아르사크 황제 미트리다테스 2세는 중앙아시아에서 공격적인 군사 정책을 추구하여 파르티아 제국에 많은 지역을 추가했는데,[109] 여기에는 미트리다테스가 인도-스키타이인들로부터 빼앗은 서부 박트리아가 포함되었다.[110] 월지의 군사적 압력에 따라 인도-스키타이인들의 일부는 박트리아에서 하문호로 이주했고,[111] 기원전 1세기 말에 "스카이시안 사카이의 사키스타나"[112]라고 불리게 된 드랑기아나(시갈)에 정착했다. 기원전 1세기에 카락스의 이시도르는 사카스탄에 사카족이 존재했다는 것을 《파르티아의 역》에서 언급했다.[36]
4. 왕국
인도-스키타이족은 탁실라를 중심으로 북서부에 왕국을 세웠고, 동쪽으로는 마투라, 남서쪽으로는 사우라슈트라 (구자라트)에 사트라프를 두었다.[39] 에리트레아해 항해기에는 스키타이 영토, 신투스 강, 시장 도시 바르바리콘, 수도 미나가라에 대한 묘사가 나타난다.[38]
아흐마드 하산 다니와 는 파키스탄 칠라스와 훈자 신성암의 암각화를 근거로, 마우에스가 카라코람 산맥을 넘어 아폴로도투스 2세로부터 탁실라를 점령했다고 추정한다.[37]
4. 1. 간다라와 펀자브
마우에스는 기원전 80년경 현재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간다라와 탁실라를 처음 정복했지만, 그의 사후 왕국은 붕괴되었다.[44] 동쪽에서는 인도 왕 비크라마가 인도-스키타이로부터 우자인을 되찾고, 기원전 58년에 비크라마 시대를 제정하여 자신의 승리를 기념했다. 마우에스 이후 인도-그리스 왕들은 다시 통치하며 번성했는데, 이는 왕 아폴로도투스 2세와 히포스트라토스의 동전에서 알 수 있다. 기원전 55년, 아제스 1세 치하에서 인도-스키타이는 히포스트라토스를 상대로 승리하며 북서부 인도를 장악했다.[44]아제스는 초기 부처의 표현 중 하나인 비마란 함과 관련이 있다. 이 사리함은 아프가니스탄의 잘랄라바드 근처 비마란에 있는 탑 헌납에 사용되었으며, 아제스의 여러 동전과 함께 탑 안에 배치되었다. 이것은 아제스 치세(기원전 60~20년) 동안 또는 그 직후에 일어났을 수 있다. 인도-스키타이인들은 불교와 관련이 있었다.[44]

''유가 푸라나''는 기원전 1세기에 야바나의 퇴각 이후 사케타에서 7명의 왕이 차례로 통치한 후, 스키타이인들의 파탈리푸트라 침공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유가 푸라나''에 따르면, 사카 왕은 인구의 4분의 1을 죽였으며, 이후 칼링가 왕 샤타와 사발라스 무리에 의해 살해당했다.[44]
아제스가 죽은 후, 기원전 1세기 말에 인도-파르티아 통치자 곤도파레스가 등장하면서 북서부 인도에서의 인도-스키타이 통치는 종말을 맞이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일부 소규모 스키타이 지도자들이 느슨한 인도-파르티아 제국의 변방 요새에서 자리를 유지했으며, 일부는 곤도파레스 1세와 그의 후계자들에게 충성을 바쳤다.[30]
인도-파르티아의 통치는 점차적으로 기원후 1세기 말에 박트리아에서 1세기 이상 거주하며 인도까지 세력을 확장한 다섯 유에치 부족 중 하나인 쿠샨족에 의해 대체되었다. 쿠샨족은 서기 75년경에 북서부 인도를, 100년경에는 마투라 지역을 재정복했으며, 이곳에서 수 세기 동안 번성했다.[30]
기원전 2세기에 몽골 고원의 패자가 된 흉노는 서역 공략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둔황 부근에 있던 월지를 몰아냈다. 월지는 이시크쿨 호 주변까지 도망쳤고, 원래 거기에 있던 새족(사카인)을 몰아내고 그 땅에 자리 잡았다. 쫓겨난 새족은 헌도(파미르 고원, 힌두쿠시 산맥)를 넘어 간다라 지방에 카슈미르국을 세우거나, 도중에 파미르 산중에 휴순국이나 연독국을 세웠다.[80] 이들 국가들이 인도-스키타이 왕국인지는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85년 경에는 북방 유목민(광의의 스키타이: 사카)이 서북 인도에 침입하여 인도-그리스 왕조를 멸망시키고 자신들의 왕국을 건설했다.[80]
4. 2. 부네르 부조와 석조 팔레트
간다라 미술에서 군복을 착용한 인도-스키타이 병사들은 때때로 불교 조각상에 묘사되는데, 특히 부네르 부조에서 그러하다. 이들은 헐렁한 튜닉과 바지, 그리고 무겁고 곧은 칼을 착용하고 묘사된다. 뾰족한 후드나 스키타이 모자를 쓰고 있는데, 이는 덥수룩한 머리 위에 간단한 머리띠를 착용했던 인도-파르티아인들과 구별된다.[46] 인도-스키타이 병사들은 오른손으로 악령을 물리치기 위해 ''카라나 무드라''를 취하기도 한다. 간다라에서 이러한 부조들은 불교 탑의 기단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들은 그리스 복장을 한 사람들을 묘사한 다른 부조들과 동시대에 제작되었으며, 이는 인도-스키타이인과 인도-그리스인의 혼합을 암시한다. 또 다른 부조에서는 동일한 유형의 병사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고 있는데, 간다라 미술에서 인도-스키타이인들은 전형적으로 유쾌한 신봉자로 묘사된다.
간다라 지역에서 발견된 다수의 석조 팔레트는 인도-스키타이 예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팔레트들은 그리스와 이란의 영향을 결합한 단순하고 고풍스러운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석조 팔레트는 인도-그리스, 인도-스키타이, 인도-파르티아 통치 시기에 해당하는 고고학적 층에서만 발견되었으며, 그 이전의 마우리아 제국 층이나 그 이후의 쿠샨 제국 층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48]
4. 3. 왕실의 불교 봉헌
아제스 이후 여러 인도-스키타이 왕들이 명문이나 유물함에 자신의 이름으로 불교 봉헌을 한 기록이 있다.- 파티카 쿠술라카(기원전 25년 – 서기 10년): 탁실라 동판에 석가모니 부처의 유물을 불교 사원에 기증한 내용을 언급했다.
- 카라호스테스(기원전 10년 – 서기 10년): 불교 마투라 사자 기둥과 유물함에 언급되어 있다.[50][51] 그의 동전은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초기 부처 이미지가 있는 금 유물함인 비마란 유물함에서도 발견되었다. 그의 일부 동전에는 삼보 문양이 있다.
- 비자야미트라(기원전 12년 - 서기 15년 통치): 불교 유물함을 봉헌했다.[52][53] 그의 일부 동전에는 삼보 문양이 새겨져 있다.
- 인드라바르만: 서기 5-6년에 왕자였을 때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된 바자우르 유물함을 봉헌했다.
인드라바르만이 봉헌한 바자우르 유물함 - 제이오니세스와 아스파바르마: 동전에 삼보를 사용했다.
- 라주불라: 불교 상징을 포함하고 그의 아내가 유물을 탑에 기증한 내용을 담고 있는 마투라 사자 기둥을 세웠다.
4. 4. 부트카라 스투파

이탈리아 고고학 팀이 스와트의 부트카라 스투파에서 발굴한 결과 인도-스키타이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불교 조각품이 발견되었다. 잎사귀 속에 있는 불교 신도의 인도-코린트 양식의 기둥머리가 발견되었는데, 그 기저에는 아제스(Azes)의 유물함과 동전이 묻혀 있어 조각품의 연대를 기원전 20년경으로 추정할 수 있다.[56] 같은 장소에서 그리스식 복장을 한 불교 신도의 기둥이 발견되어, 이 역시 인구의 혼합을 시사한다. 같은 위치의 부조에는 특징적인 튜닉과 뾰족한 후드를 착용한 인도-스키타이인과 서 있는 부처의 부조가 묘사되어 있다.[57]



5. 문화
인도-스키타이 왕국은 인도-그리스 왕조를 따라 많은 동전(은화, 동화)을 주조했다. 동전 앞면에는 그리스 문자/그리스어의 명문과 왕의 기마상이, 뒷면에는 카로슈티 문자/간다라어의 명문과 신의 상이 새겨져 있다.[81]
6. 인도-스키타이의 군주
군주 | 재위 기간 |
---|---|
마우에스 | 기원전 90년 - 기원전 60년 |
보노네스 | 기원전 75년 - 기원전 65년 |
스파라호레스 | 기원전 75년 - 기원전 65년 |
스파리리세스 | 기원전 60년 - 기원전 57년 |
스파라가다메스 | 기원전 50년 |
아제스 1세 | 기원전 57년 - 기원전 35년 |
아질리세스 | 기원전 57년 - 기원전 35년 |
아제스 2세 | 기원전 35년 - 기원전 12년 |
제이오니세스 | 기원전 10년 - 서기 10년 |
카라호스테스 | 기원전 10년 - 서기 10년 |
하자트리아 | |
랴카 쿠술라카 | |
크술라카 파티카 | |
아부히라카 | |
부마카 | |
나하파나 | |
비자야미트라 | |
이투라바스 | |
아스파바르마 |
'''발루치스탄의 파라타라자스'''
군주 | 재위 기간 |
---|---|
쿠브스브메 | |
스파자나 | |
스파자얌 | |
비마주나 | |
요라밀라 (2세기) | |
아르주나 (2세기) | |
칼리야나파 | |
후바라밀라 (2세기) | |
미라바라 (2세기) | |
미라타쿠마 (2세기) | |
하가마샤 (기원전 1세기) | |
하가나 (기원전 1세기) | |
라주브라 (서기 10년경) | |
소다사 | |
카라팟팔라나 (서기 130년경) | |
바나스파라 (서기 130년경) | |
바다야사 | |
마므바디 | |
아르사케스 |
'''서(西) 쿠샤트라파'''
군주 | 재위 기간 |
---|---|
나하파나 | 119년 - 124년 |
차스타나 | 120년경 |
자야다만 | |
루드라다만 1세 | 130년경 - 150년경 |
다마자다스리 1세 | 170년 - 175년 |
지바다만 | 175년 |
루드라심하 1세 | 175년 - 188년 (복위: 191년 - 197년) |
이스바라다타 | 188년 - 191년 |
지바다만 | 197년 - 199년 (복위) |
루드라세나 1세 | 200년 - 222년 |
삼가다만 | 222년 - 223년 |
다마세나 | 223년 - 232년 |
다마자다스리 2세 | 232년 - 239년 |
비라다만 | 234년 - 238년 |
야소다만 1세 | 239년 |
비자야세나 | 239년 - 250년 |
다마자다스리 3세 | 251년 - 255년 |
루드라세나 2세 | 255년 - 277년 |
비스와심하 | 277년 - 282년 |
바라타다르만 | 282년 - 295년 |
비스와세나 | 293년 - 304년 |
루드라심하 2세 | 304년 - 348년 |
야소다만 2세 | 317년 - 332년 |
루드라다만 2세 | 332년 - 348년 |
루드라세나 3세 | 348년 - 380년 |
7. 중앙아시아와의 연관성
M. A. 슈타인에 따르면 중앙아시아 스키타이인들의 일부는 서왕(西王)의 지휘 아래 남쪽으로 이동하여 파미르고원을 지나 스와트 지방의 칸다 계곡 위에 위치한 쉬안두를 건너 치핀이나 키핀으로 들어갔다.[116] 치핀은 펠리오, 바그치, 레이쇼드허리 등이 카슈미르로 비정하였고,[117] 다른 학자들은 치핀을 카피샤(카피르스탄)와 동일시한다.[118] 서왕은 이 지역에 왕국을 건립했다. S. 코노프는 사이왕을 인도 문학의 챠카 무룬다로 해석하며, 무룬다는 왕, 주인, 영주와 동등한 의미를 가진다.[119] 그러나 '스키타이의 왕'이라는 뜻으로 '왕'이라는 말을 받아들인 바그치는 사이 사카족을 무룬다 사카족과 구별한다.[120] 일부 학자들은 모가/마우에스 왕이 서왕의 국가에서 치핀으로 이주한 스키타이인들의 집단에 속했을 수 있다고 본다.[121]
기원전 2세기에 몽골 고원의 패자가 된 흉노는 서역 공략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둔황 부근에 있던 월지를 몰아냈다. 월지는 이시크쿨 호 주변까지 도망쳤고, 원래 거기에 있던 새족(사카인)을 몰아내고 그 땅에 자리 잡았다. 쫓겨난 새족은 헌도(파미르 고원, 힌두쿠시 산맥)를 넘어 간다라 지방에 카슈미르국을 세우거나, 도중에 파미르 산중에 휴순국이나 연독국을 세웠다.[80]
8. 문학에서의 인도-스키타이
발미키 라마야나의 발라 칸다에는 사카, 야바나, 캄보자, 팔라바족 등 전쟁을 하는 밀레크차족에 대한 중요한 언급이 있다. H. C. 레이차드허리는 이 구절들에서 힌두교도들과 북서쪽에서 온 밀레크차 야만인들의 침략군 사이의 투쟁을 엿볼 수 있다고 보았다.[114] 마하바라타의 바나파라바에는 "...사카, 야바나, 캄보자, 발리카스 등의 밀레크차 왕들이 칼리 유가에서 부당하게 땅을 통치할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다.[115]
참조
[1]
서적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Hutchinson's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cations
1953
[2]
백과사전
Indo-Scythian Dynasty
https://iranicaonlin[...]
[3]
학술지
Size and Duration of Empires: Growth-Decline Curves, 600 B.C. to 600 A.D
1979
[4]
서적
A Catalogue of the Indian Coins in the British Museum. Andhras etc.
[5]
서적
Coins of the British Museum
[6]
서적
World history from Early Times to AD 2000
[7]
서적
A Brief History of India
[8]
서적
India in a Globalised World
[9]
서적
Ancient India
[10]
웹사이트
Arrian: Anabasis Alexandri: Book VIII (Indica); Section V
https://sourcebooks.[...]
Fordham University
2019-01-21
[11]
서적
vi, xiii (1932)
[12]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John Wiley & Sons, Ltd
2023-01-28
[13]
학술지
Nomad Migration in Central Asia (in After Alexander: Central Asia before Islam)
https://www.academia[...]
2007
[14]
서적
Greek Art in Central Asia, Afghan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15]
이미지
Also a Saka according to this source
https://i.pinimg.com[...]
[16]
서적
2007
[17]
서적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1948
[18]
서적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19]
서적
VII 65
https://penelope.uch[...]
[20]
서적
Possible Iranian Origins for the Śākyas and Aspects of Buddhism
https://www.academia[...]
[21]
서적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22]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Volume 2: Mauryas and Satavahanas
https://books.google[...]
Orient Longmans
1957
[23]
학술지
The Zoroastrian Period of Indian History
https://zenodo.org/r[...]
[24]
서적
Encyclopaedia Indica: Mauryas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1999
[25]
서적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66
[26]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7]
서적
Shiji
1993
[28]
서적
Han Shu
[29]
학술지
The Yuezhi Migration and Sogdia
http://www.transoxia[...]
October 2003
[30]
서적
Tajikistan in the New Central Asia: Geopolitics, Great Power Rivalry and Radical Islam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6-10-03
[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32]
서적
Justin XL.II.2
[33]
학술지
The early reign of Mithradates II the Great in Parthia
2010
[34]
서적
Isodor of Charax, Sathmoi Parthikoi
[35]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36]
웹사이트
The Parthian Stations
http://www.parthia.c[...]
Parthia.com
2012-03-14
[37]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Volume 2
Motilal Banarsidass Publ.
[38]
웹사이트
Periplus of the Erythraean Sea, 38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2-03-14
[39]
서적
The dynastic art of the Kushans
[40]
문서
Whitehead 259; BMC pp. 86, 141.
[4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42]
서적
Ancient India
[43]
서적
A Catalogue of the Indian Coins in the British Museum. Andhras etc
[44]
웹사이트
A gap in Puranic history
http://www.boloji.co[...]
Boloji.com
2004-03-14
[45]
서적
Gandhara
[46]
서적
Wilcox and McBride
1986
[47]
이미지
http://kunst.zeit.de[...]
[48]
문서
Les palettes du Gandhara
[49]
웹사이트
http://www.met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50]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Unesco
1999
[51]
논문
An Inscribed Silver Buddhist Reliquary of the Time of King Kharaosta and Prince Indravarman
1996-07-09
[52]
서적
Afghanistan, carrefour en l'Est et l'Ouest
[53]
서적
Des Indo-Grecs aux Sassanides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2007
[54]
서적
Butkara I
[55]
서적
Gandhara
[56]
웹사이트
http://www.palazzoma[...]
The Turin City Museum of Ancient Art
[57]
서적
Sculptures from the sacred area of Butkara I
[58]
서적
Sculptures from the sacred area of Butkara I
[59]
논문
Problems of Chronology in Gandharan Art
http://www.carc.ox.a[...]
2017
[60]
서적
Greco-Buddhist Art of Gandhara
https://archive.org/[...]
[6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62]
시
[63]
서적
Serindia, Vol. I
1980
[64]
서적
Early History of North India
[65]
서적
Epigraphia Indiaca
[66]
서적
The Classical Age
[67]
서적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
[68]
서적
India and Central Asia
1955
[69]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70]
서적
Indian Sculpture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1961
[71]
서적
Life and Art of Early Andhradesa
https://books.google[...]
Agam
1982
[72]
서적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People, The Vedic Age
[73]
서적
Intercourse Between India and the Western World
https://books.google[...]
[74]
서적
The Sarmatians
https://books.google[...]
Praeger
[75]
웹아카이브
Indian Institute of Romani Studies
https://archive.toda[...]
2013-01-08
[76]
서적
India & Russia: linguistic & cultural affinity
https://books.google[...]
Roma
[77]
문서
From the dated inscription on the Rukhana reliquary
[78]
저널
An Inscribed Silver Buddhist Reliquary of the Time of King Kharaosta and Prince Indravarman
https://www.jstor.or[...]
1996-07-09
[79]
저널
A Kharosthī Reliquary Inscription of the Time of the Apraca Prince Visnuvarma
http://www.tandfonli[...]
1995
[80]
서적
漢書 西域伝
[81]
웹사이트
二言語併用貨幣の伝播:ギリシア系バクトリア王国からクシャン朝まで
http://www.for.aichi[...]
[82]
서적
The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Hutchinson's Scientific and Technical Publications
1953
[83]
서적
The Decline and Fall of the Hindus: The Book on India's Regeneration
https://books.google[...]
[84]
저널
Size and Duration of Empires: Growth-Decline Curves, 600 B.C. to 600 A.D
1979
[85]
서적
A Catalogue of the Indian Coins in the British Museum. Andhras etc.
[86]
서적
Coins of the British Museum
[87]
서적
World history from early times to A D 2000
[88]
서적
A Brief History of India
[89]
서적
India in a Globalised World
[90]
서적
Ancient India
[91]
웹사이트
Arrian: Anabasis Alexandri: Book VIII (Indica); Section V
https://sourcebooks.[...]
Fordham University
2019-01-21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서적
Alphabet A Key To The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96]
서적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97]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98]
서적
Possible Iranian Origins for the Śākyas and Aspects of Buddhism
https://www.academia[...]
[99]
서적
Greek Buddha: Pyrrho's Encounter with Early Buddhism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100]
서적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66
[101]
저널
The Zoroastrian Period of Indian History
https://zenodo.org/r[...]
[102]
서적
Encyclopaedia Indica: Mauryas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1999
[103]
서적
Chandragupta Maurya and His Tim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966
[104]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05]
서적
Shiji
1993
[106]
서적
한서
[107]
저널
The Yuezhi Migration and Sogdia
http://www.transoxia[...]
2003-10-01
[10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 III: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Part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109]
서적
Justin XL.II.2
[110]
저널
The early reign of Mithradates II the Great in Parthia
2010-01-01
[11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112]
서적
Isodor of Charax, Sathmoi Parthikoi
[113]
웹사이트
Parthian stations
http://www.parthia.c[...]
Parthia.com
2012-03-14
[114]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115]
서적
Mahabharata
[116]
서적
Serindia, Vol I
1980
[117]
서적
Early History of North India
[118]
서적
Epigraphia Indiaca
[119]
서적
Corpus Inscriptionum Indicarum
[120]
서적
India and Central Asia
1955
[121]
서적
Political History of Ancient India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