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카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에서 나타나는 개념으로, 죄를 지은 영혼이 속죄를 위해 가는 고통스러운 영역을 의미한다. 힌두교에서 나라카는 야마가 다스리는 곳으로, 죄의 경중에 따라 다양한 지옥이 존재하며, 속죄 후에는 환생을 통해 다시 세상으로 돌아온다. 불교에서 나라카는 업에 따라 가게 되는 고통의 세계로, 영원하지 않으며 업이 소멸되면 다른 세계로 윤회한다. 자이나교에서는 나라카를 일곱 개의 지면으로 나누어 설명하며, 업의 결과로 나라카에 머물다가 업이 다하면 더 높은 세계로 환생한다. 한국 불교에서도 이 개념을 수용하여 다양한 지옥 묘사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락 - 아비지옥
아비지옥은 불교에서 매우 긴 시간 동안 고통스러운 업을 해소하는 지옥의 한 종류로, 부모 살해 등 다섯 가지 중죄를 지은 자들이 떨어지는 곳으로 여겨지며, 일부에서는 업을 정화하는 과정으로 보기도 한다. - 나락 - 불교의 지옥
불교의 지옥은 업 사상에 따라 생전의 행위에 대한 결과로 나타나는 고통스러운 세계로, 윤회 사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죄업에 의해 형성되는 고통의 공간으로 죄의 경중에 따라 고통의 정도와 기간이 달라지는 곳이다. - 사후 세계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사후 세계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지옥 - 악마
악마는 여러 종교와 문화권에서 악한 초자연적 존재 또는 악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기독교의 사탄, 이슬람교의 이블리스와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뿔, 날개, 꼬리 등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사회적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거나 철학 및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문제를 다루는 데 사용된다. - 지옥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나라카 | |
---|---|
나라카 정보 | |
![]() | |
개요 | |
종류 | 지옥 |
종교 |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 |
다양한 언어 명칭 | |
산스크리트어 | नरक (Naraka) |
팔리어 | Niraya |
티베트어 | དམྱལ་བ (dmyal ba) |
중국어 | 地獄 (Dìyù) |
일본어 | 地獄 (Jigoku) |
한국어 | 지옥 (Jiok) |
태국어 | นรก (Narok) |
버마어 | ငရဲ (Nga-ye) |
베트남어 | Địa ngục |
관련 개념 | |
불교 | 윤회 삼도 |
다른 종교 | 기독교 지옥 이슬람교 지옥 |
힌두교의 나라카 | |
설명 | 힌두교 문헌에 따르면, 나라카는 지구 아래 남쪽에 위치하며, 다르마라자가 죽은 영혼을 심판하는 곳이다. |
특징 | 힌두교에서 나라카는 영원한 저주가 아니라 정화의 장소로, 죄를 씻고 다음 생으로 환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자이나교의 나라카 | |
설명 | 자이나교 문헌에 따르면, 나라카는 지구 아래 7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죄를 지은 영혼들이 환생 전에 고통을 겪는 곳이다. |
특징 | 자이나교에서는 폭력, 분노, 탐욕, 애착 등의 부정적인 행위가 나라카로 이어지는 원인으로 여겨진다. |
불교의 나라카 | |
설명 | 불교 문헌에 따르면, 나라카는 윤회의 여섯 영역 중 가장 고통스러운 곳으로, 악업을 쌓은 자들이 고통을 겪는 곳이다. |
특징 | 불교에서는 나라카에서의 고통은 일시적이며, 업보가 다하면 다른 영역으로 환생할 수 있다고 본다. |
여덟 개의 뜨거운 나라카 | 산지바 (Sañjīva) 칼라스수트라 (Kālasūtra) 상가타 (Saṃghāta) 롤루바 (Raurava) 마하롤루바 (Mahāraurava) 타파나 (Tapana) 프라타파나 (Pratāpana) 아비치 (Avīci) |
차가운 나라카 | 아르부다 (Arbuda) 니라부다 (Nirarbuda) 아타타 (Aṭaṭa) 하하바 (Hahava) 후후바 (Huhuva) 우팔라 ( উৎপল) 파드마 ( পদ্ম) 마하파드마 ( महापদ্ম) |
2. 힌두교
힌두교에서 나라카는 죄를 지은 영혼이 속죄를 위해 가는 곳으로, 다르마샤스트라, 이티하사, 푸라나 등에 언급된다. 힌두교에서 나라카는 영원한 저주의 장소로 여겨지지는 않는다.[12] 비슈누 푸라나에서는 다양한 나라카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14]
죽음의 순간에 죄를 지은 영혼은 야마의 하인인 야마다타스에게 붙잡힐 수 있다. 바가바타 푸라나에 따르면, 야마는 그의 하인들에게 바이슈나바는 내버려두라고 명령한다.[19][20]
2. 1. 힌두교 경전에서의 묘사
나라카는 베다에 나오는 영역으로, 영혼이 죄를 속죄하기 위해 보내지는 곳이다. 주로 다르마샤스트라, 이티하사, 푸라나에 언급되어 있지만, 베다 삼히타,[2][3] 아란야카[4]와 우파니샤드에서도 묘사된다.[5][6][7][8] 일부 우파니샤드는 지옥 대신 '어둠'에 대해 이야기한다.[9] 바가바드 기타와 아디 샹카라의 베단타 수트라 주석에서도 나라카가 언급된다.[10][11]바가바타 푸라나, 가루다 푸라나, 비슈누 푸라나와 같은 푸라나에는 다양한 지옥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있다. 이들은 가르보다카 바다 위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13] 비슈누 푸라나는 다양한 나라카의 이름을 언급한다.[14]
2. 2. 야마와 심판

야마는 죽음과 정의의 신으로, 죽은 자를 심판하고 그에 따른 처벌을 내린다.[15] 브라만을 살해하거나, 금을 훔치거나, 술을 마시는 자는 '슈카라' 지옥에 간다고 한다.[15] 야마의 조수인 치트라굽타는 모든 인간의 행적을 기록하며, 이를 바탕으로 영혼을 스바르가 (천국) 또는 나라카로 보낸다.
일부 베단타 학파에 따르면, 니티야-삼사린 (영원히 윤회하는 자들)은 속죄를 위해 나라카를 경험할 수 있다.[16] 처벌 기간이 끝나면 인간 또는 짐승의 몸으로 지구에 환생한다.[17][18]
경전에 따르면, 좋은 일을 많이 한 사람이라도 사소한 죄를 지었다면 야마 로카에 올 수 있으며, 그 죄에 대한 처벌을 받은 후 지구 또는 천국으로 환생할 수 있다고 한다.
2. 3. 속죄와 환생
일부 베단타 학파에서는 니티야-삼사린(영원히 윤회하는 자들)이 속죄를 위해 나라카를 경험할 수 있다고 본다.[16] 처벌 기간이 끝나면 인간 또는 짐승의 몸으로 지구에 환생하며,[17][18] 따라서 나라카는 영원한 처벌의 장소가 아니다. 스리 바이슈나바는 비슈누다타스에 의해 바이쿤타로, 가우디야 바이슈나바는 골로카로 인도된다고 믿는다.3. 불교
불교에서 나라카는 가장 큰 고통의 세계를 의미하며, 팔리 경전의 ''데바두타 수트라'' 등에서 그 묘사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용어는 종종 "지옥"으로 번역되지만, 아브라함 계열의 지옥과는 달리 나라카는 영원하지 않다. 비록 시간이 언급될 때는 엄청나게 긴 시간으로 제시되지만 말이다. 존재가 나라카에 들어가고 나가는 것은 본질적으로 어떤 신도 관여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불교 우주론의 다른 모든 영역과 마찬가지로, 마음은 자연 법칙, 즉 업의 법칙에 의해 이곳에 이르게 되며, 그들을 그곳으로 데려온 부정적인 업이 소진될 때까지 머물게 된다.
3. 1. 불교 경전에서의 묘사
불교에서 나라카는 가장 큰 고통의 세계를 의미한다. 불교 경전은 나라카의 광대한 고문과 고통의 영역을 묘사하는데, 팔리 경전의 ''데바두타 수트라''가 그 예이다. 묘사는 경전마다 다르며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용어는 종종 "지옥"으로 번역되지만, 아브라함 계열의 지옥과는 달리 나라카는 영원하지 않다. 비록 시간이 언급될 때는 엄청나게 긴 시간으로 제시되지만 말이다. 존재가 나라카에 들어가고 나가는 것을 결정하는 데에는 본질적으로 어떤 신도 관여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불교 우주론의 다른 모든 영역과 마찬가지로, 마음은 자연 법칙, 즉 업의 법칙에 의해 이곳에 이르게 되며, 그들을 그곳으로 데려온 부정적인 업이 소진될 때까지 머물게 된다.3. 2. 업과 윤회
불교에서 나라카는 가장 큰 고통의 세계를 의미한다. 불교 경전은 나라카의 광대한 고문과 고통의 영역을 묘사하는데, 팔리 경전의 ''데바두타 수트라''가 그 예이다. 묘사는 경전마다 다르며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용어는 종종 "지옥"으로 번역되지만, 아브라함 계열의 지옥과는 달리 나라카는 영원하지 않다. 비록 시간이 언급될 때는 엄청나게 긴 시간으로 제시되지만 말이다. 존재가 나라카에 들어가고 나가는 것은 본질적으로 어떤 신도 관여할 필요가 없이, 불교 우주론의 다른 모든 영역과 마찬가지로 마음이 자연 법칙, 즉 업의 법칙에 의해 이곳에 이르게 되며, 그들을 그곳으로 데려온 부정적인 업이 소진될 때까지 머물게 된다.4. 자이나교
자이나교에서 나라카는 큰 고통을 겪는 존재의 영역이다. 나라카에서 존재가 머무는 기간은 영원하지 않지만, 보통 수십억 년으로 측정될 정도로 매우 길다. 영혼은 이전의 업(몸, 말, 마음의 행위)의 결과로 나라카에 태어나며, 업이 소진되면 더 높은 세계로 환생할 수 있다.[1]
4. 1. 일곱 지면
자이나교 경전에서는 우주의 하단 부분에 일곱 개의 지옥 지면이 위치한다고 언급한다. 일곱 지면은 다음과 같다.[1]# 라트나 프라바
# 샤르카라 프라바
# 발루카 프라바
# 팡카 프라바
# 두마 프라바
# 타마하 프라바
# 마하타마하 프라바
4. 2. 업과 환생
영혼은 이전의 업(몸, 말, 마음의 행위)의 결과로 나라카에 태어나며, 업이 소진되면 더 높은 세계로 환생할 수 있다.[1]자이나교 경전에 따르면 지옥은 우주의 하단 부분에 있는 일곱 개의 지면에 위치한다.[1] 일곱 개의 지면은 다음과 같다.[1]
지면 |
---|
라트나 프라바 |
샤르카라 프라바 |
발루카 프라바 |
팡카 프라바 |
두마 프라바 |
타마하 프라바 |
마하타마하 프라바 |
5. 한국 불교의 지옥
한국 불교는 인도 불교의 나라카 개념을 수용하여 발전시켰으며, 다양한 지옥과 그곳에서의 고통을 묘사하는 불화나 설화가 전해진다.[1]
5. 1. 관련 논문
- 박영철, 〈나라카(Naraka)에서 地獄으로: 불교의 번역과 중국 문명〉, 《역사교육》 63, 역사교육연구회, 1997년
참조
[1]
서적
A Sociolinguistic History of Early Identities in Singapore: From Colonialism to Nationalism
Palgrave Macmillan
2012-11-29
[2]
문서
Śukla Yajur Veda 30.5
[3]
문서
Atharva Veda 12.4.36
[4]
문서
Aitareya Āraṇyaka 2.3.2.4,5
[5]
문서
Mahanārāyaṇa Upaniṣad 1.50
[6]
문서
Praśna Upaniṣad 3
[7]
문서
Nirālamba Upaniṣad 2, 17
[8]
문서
Paramahaṃsa Upaniṣad 3
[9]
문서
Īśa Upaniṣad 3
[10]
문서
1.41, 1.43, 16.16, 16.21
[11]
문서
Vedānta sūtra 4.3.14
[12]
서적
Der Hinduismus. Religion und Gesellschaft im heutigen Indien
Hildesheim
1978
[13]
문서
Bhāgavata Purāṇa 5.26.5
[14]
웹사이트
Account of the different hells, or divisions of Naraka [Chapter VI]
https://www.wisdomli[...]
2022-08-08
[15]
웹사이트
Account of the different hells, or divisions of Naraka [Chapter VI]
https://www.wisdomli[...]
2022-08-08
[16]
서적
Bhakti Schools of Vedanta
[17]
문서
Bhāgavata Purāṇa 5.26.37
[18]
문서
Garuḍa Purāṇa 2.10.88–89, 2.46.9–10,28
[19]
문서
Bhāgavata Purāṇa 6.3
[20]
문서
Nṛsiṃha Purāṇa 9.1–2
[21]
웹인용
나락
https://terms.naver.[...]
2021-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