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성혐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성혐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남성에 대한 증오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세기 말부터 사용되었으며, 페미니즘의 동의어로 사용되어 여성혐오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남성 권리 운동에서는 페미니즘이 남성을 위협한다고 보며 남성혐오 개념을 제기하고, 제도적 차별의 예시로 이혼, 징병, 남성 강간 피해자 처우 등을 비판한다. 한편, 사회학자들은 여성혐오와 남성혐오를 동일시하는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며, 인류학자들은 여성혐오가 보편적인 현상인 반면 남성혐오에 해당하는 것은 없다고 주장한다. 급진적 페미니즘의 일부 분파에서는 남성혐오적 경향이 나타나기도 하며, 대중문화와 문학 작품에서도 남성혐오적인 묘사가 나타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편견과 차별 - 성 차별
    성차별은 성별에 기반한 차별, 편견, 고정관념으로, 여성과 소녀에게 주로 나타나지만 모든 성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인권 문제이며, 여성주의는 이를 남성이 비남성을 억압하는 구조로 보고, 개인적, 제도적 수준에서 임금 격차, 정치적 불평등, 폭력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법률 및 제도 개선, 교육 및 사회 의식 개선 등 다양한 노력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 유형별 편견과 차별 - 장애인 차별
    장애인 차별은 신체적, 정신적 능력을 이유로 개인을 차별하는 현상으로, 역사, 유형, 영향, 원인, 국가별 사례를 포함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남성혐오 - 이대남
    이대남은 2010년대 후반부터 대한민국 20대 남성의 정치·사회적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로, 문재인 정부의 페미니즘 정책에 대한 반감과 공정성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보수적인 성향을 띠며, 2022년 대통령 선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우파 및 사회 보수주의 세력의 지지 기반으로 활용된다.
  • 남성혐오 - 대한민국의 여성주의
    대한민국의 여성주의는 1890년대 찬양회 설립을 시작으로 여성 교육과 성차별 철폐를 목표로 전개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참여, 해방 이후 가족법 개정 노력, 2000년대 이후 온라인 중심의 새로운 운동 등장과 함께 여성 혐오에 대한 반발 및 다양한 논쟁과 갈등을 겪으며 경제, 고용, 사회, 정치적 영역에서 여성 차별 해소를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성 차별 - 성노예
    성노예는 한 인간에 대한 소유권 행사로서 강간, 성적 학대, 강제 성행위 등 지속적인 인권 침해 행위를 의미하며,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은 성적 예속을 범죄로 규정하고 인신매매, 강제 결혼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역사적으로 전쟁, 빈곤 등과 연관되어 발생해왔고 국제사회가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성 차별 - 히잡
    히잡은 무슬림 여성들이 머리와 목을 가리는 천 조각으로, 이슬람 율법에서 여성의 신체 가림을 권장하지만 착용 의무와 형태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며, 종교적 신념, 문화적 정체성, 여성 억압의 상징 등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남성혐오

2. 어원 및 역사

남성혐오는 일반적으로 '마초', 즉 "불쾌한 남성적 자세"와 가부장제의 억압적인 남성 역할을 대상으로 한다는 견해가 있다. 인류학자 데이비드 D. 길모어는 이러한 관점에 따라 "남성공포증(viriphobia)"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길모어는 남성혐오가 남자를 남자 자체로서 미워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종류의 혐오는 여성을 여자로서 미워하는 여성혐오에서만 나타난다고 말한다.[21]

페미니스트 블로거들의 남성 혐오 개념에 대한 비판과 패러디는 ''가디언'', ''슬레이트'' 및 ''타임''과 같은 간행물에서 보도되기도 했다.

앨리스 에콜스는 1989년 저서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에서 1968년 앤디 워홀 살인 미수 사건 (I SHOT ANDY WARHOL)으로 알려진 발레리 솔라나스가 다른 급진적 페미니스트에 비해 극단적인 수준의 남성 혐오를 보였다고 언급했다.

캐서린 매키넌은 미인 대회 반대 시위의 시초였던 인물로 알려져 있다. 1977년 포르노 반대파이자 급진적 페미니스트인 앤드리아 드워킨은 페미니스트 잡지 Heresies: A Feminist Publication on Art and Politics|히어시스: 예술과 정치의 페미니스트 출판물영어에서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의 생물학적 결정론을 비판했다. 그녀는 일부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발레리 솔라나스의 "남성은 여성에 비해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며, 폭력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사람들을 이끄는 초인적인 여성의 등장을 위해 성차별에 기반한 대량 학살을 인정해야 한다"는 관점에 동조하는 것을 비판했다.

저자 벨 훅스(필명은 글로리아 진 왓킨스)는 초기 여성 해방 운동 기간 동안의 가부장적 탄압에 대한 반응과 남성과의 좋지 않은 경험을 가진 여성들의 "남성 혐오" 문제에 대해 논했다. 또한 그녀는 "남성은 본질적으로 비도덕적이고 열등하며, 성차별주의자들에 의한 억압의 종식이나 페미니즘의 혜택을 도울 수 없다"고 주장하는 분리주의자 페미니스트를 "반동적"이라고 비판했다.

벨 훅스는 ''Feminism is For Everybody (모든 사람을 위한 페미니즘)''에서 "우리의 이론은 남성을 적으로 악마화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그것은 반남성적인 시각을 가진 여성들을 변화시킬 수 없었다"고 말하며, 여성 해방 운동에서 페미니스트들의 반남성적 편견에 대한 평론이 주요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사실을 안타까워했다. 훅스는 이러한 남성 악마화가 여성 운동과 남성 운동 사이에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한다고 언급했다.

폴 네이선슨과 캐서린 K. 영은 "평등주의적 페미니즘"에 반하는 "페미니즘 사상"이 문화적으로 남성 혐오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2001년 저서 ''Spreading Misandry (남성 혐오의 확산)''에서는 "오래된 유물과 1990년부터 만들어진 대중 문화"를 영화에서 분석하여, 무엇이 남성 혐오에 대한 설득력 있는 메시지가 되는지를 고찰한다. ''Legalizing Misandry (남성 혐오의 합법화)''(2005)에서는 북미의 법률에 유사한 주목을 기울였다.

2. 1. 어원

'남성혐오'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μῖσος|미소스|뜻=미움grc와 ἀνήρ|아네르|grc(속격 ἀνδρός|안드로스|grc, '남자'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10] '남성혐오적인' 또는 '남성혐오주의자'는 이 단어의 형용사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11]

이 단어는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1871년 잡지 ''더 스펙테이터(The Spectator)''에서 사용된 사례가 발견된다.[12] 1952년에는 ''메리엄-웹스터 대학교 사전(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11판)에 등재되었다.[14] 1803년에는 프랑스어 misandrie|미상드리프랑스어를 독일어 Männerhass|메너하스|뜻=남성에 대한 증오de로 번역한 기록이 나타난다.[14]

유사하지만 다른 의미를 가진 용어로 ''남성공포증''이 있는데, 이는 남성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지만 반드시 증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15]

2. 2. 초기 역사

'남성혐오'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나타났다. 정보 정책 학자 앨리스 마윅과 로빈 캐플란에 따르면, 이 용어는 처음부터 페미니즘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남성 혐오와 여성 혐오를 같은 것으로 보았다.[16] 1890년대 신문에서는 때때로 페미니스트 "뉴우먼"을 "남성 혐오자"라고 불렀고, 1928년 ''하퍼스 먼슬리'' 기사에서는 남성 혐오가 "더욱 불평하는 [현대] 페미니스트 주장"을 왜곡한다고 주장했다.

이 용어는 1980년대 남성 권리 관련 글과 구조적 성차별에 대한 학술 문헌에서 다시 나타났다. 적어도 1989년부터 Usenet에서 사용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는 남성 권리 문제에 집중하는 웹사이트와 블로그에서 사용되었다. 마윅과 캐플란은 인터넷 시대에 '남성 혐오'라는 용어의 사용이 여성 혐오와 반페미니즘의 결과라고 본다.[17] 이 용어는 4chan레딧과 같은 웹사이트의 남성 권리 토론 포럼과 같은 매노스피어에서 여성 혐오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비난에 대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6][5][18]

2. 3. 현대의 사용

'남성 혐오'라는 용어는 1980년대 남성 권리 운동 문헌과 학술 문헌에서 다시 나타났다. 이 용어는 적어도 1989년부터 Usenet에서 사용되었고,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는 남성 권리 문제에 전념하는 웹사이트와 블로그에서 사용되었다.[16] 앨리스 마윅과 로빈 캐플란은 인터넷 시대에 '남성 혐오'라는 용어의 사용이 여성 혐오와 반페미니즘의 결과라고 주장한다.[17] 이 용어는 4chan레딧과 같은 웹사이트의 남성 권리 토론 포럼과 같은 매노스피어에서 여성 혐오에 대한 페미니스트의 비난에 반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6][5][18]

3. 남성혐오에 대한 다양한 관점

남성 권리 운동가들은 여성 우위 사회의 진전을 경계하며 남성혐오 개념을 제기한다.[19] 페미니즘이 남성을 위협한다는 생각은 남성우월주의자의 어휘의 핵심이며, 남성 권리 운동 내에서 여성 혐오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난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된다. 페미니즘을 남성혐오 운동으로 보는 생각은 게이머게이트와 같이 페미니스트를 지지하는 사람들에 대한 괴롭힘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었으며, 이는 비디오 게임 산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괴롭힘의 예시이다.

사회학자 마이클 키멜은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를 동일시하는 주장은 "전적으로 편향적"이라고 주장한다.[24] 마크 A. 오울레트는 『남성과 남성성의 국제 백과사전』에서 "남성 혐오에는 여성 혐오의 체계적이고, 초역사적이며, 제도화되고, 법으로 규정된 반감이 부족하다"고 주장하며,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를 평행선상에 놓는 것은 젠더와 권력의 관계를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것이라고 본다.[4] 인류학자 데이비드 길모어는 여성 혐오가 "거의 보편적인 현상"이며 남성에 해당하는 것은 없다고 주장한다.[21] 그는 남성 혐오가 "여성 혐오의 강렬한 ''ad feminam'' 측면과는 다르다"고 말한다.[21]

워렌 파렐은 대중 문화에서 남성을 부재하고, 무감각하며, 학대하는 것으로 묘사하는 것, 이혼 소송이나 가정 폭력 또는 성폭력의 경우 피해자가 남성인 경우에 남성을 차별하는 법적 절차 등이 남성혐오의 예라고 말한다.[22] 종교 연구 교수 폴 네이선슨과 캐서린 영은 남성 혐오를 "북미 사회에서 제도화된 편견과 차별의 한 형태"로 묘사한다.[23] 키멜은 네이선슨과 영이 식별한 남성 혐오의 많은 부분이 실제로는 가부장제의 결과라고 말한다.[24]

마릭과 캐플란은 남성우월주의자들 사이에서 "남성혐오"라는 용어가 페미니스트 언어와 아이디어에 맞서는 무기로서 사용된다고 연구했다. 그들은 남성 권리 운동가들이 이 용어를 여성 혐오에 대한 성별 반전 대응으로 사용하며, 좌파 정체성 정치를 전유한다고 특징지었다. 또한 주류 언론인들의 남성혐오 담론 보도가 여성에 대한 제도화된 성차별을 부인하는 것과 함께 페미니스트 활동을 남성 억압으로 프레이밍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앨리스 에콜스는 1989년 저서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에서 1968년 앤디 워홀 살인 미수 사건 (I SHOT ANDY WARHOL)으로 알려진 발레리 솔라나스가 다른 급진적 페미니스트에 비해 극단적인 수준의 남성 혐오를 보였다고 언급했다.

1977년, 포르노 반대파이자 급진적 페미니스트인 앤드리아 드워킨은 일부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발레리 솔라나스의 "남성은 여성에 비해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며, 폭력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사람들을 이끄는 초인적인 여성의 등장을 위해 성차별에 기반한 대량 학살을 인정해야 한다"는 관점에 동조하는 것을 비판했다.[64]

저자 벨 훅스는 초기 여성 해방 운동 기간 동안 가부장적 탄압에 대한 반응과 남성과의 좋지 않은 경험을 가진 여성들의 "남성 혐오" 문제에 대해 논했다. 또한 "남성은 본질적으로 비도덕적이고 열등하며, 성차별주의자들에 의한 억압의 종식이나 페미니즘의 혜택을 도울 수 없다"고 주장하는 분리주의자 페미니스트를 "반동적"이라고 비판했다.[65][66] ''Feminism is For Everybody (모든 사람을 위한 페미니즘)''에서 "우리의 이론은 남성을 적으로 악마화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그것은 반남성적인 시각을 가진 여성들을 변화시킬 수 없었다"고 말하며, 여성 해방 운동에서 페미니스트들의 반남성적 편견에 대한 평론이 주요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사실을 안타까워했다.[67] 훅스는 이러한 남성 악마화가 여성 운동과 남성 운동 사이에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한다고 언급했다.[68]

폴 네이선슨과 캐서린 K. 영은 "평등주의적 페미니즘"에 반하는 "페미니즘 사상"이 문화적으로 남성 혐오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69]

사회학자 앨런 G. 존슨은 '젠더 매듭: 우리의 가부장적 유산에서 벗어나기'에서 남성혐오(man-hating)에 대한 비난이 페미니스트를 끌어내고 남성 중심 문화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고 말한다. 그는 여성혐오와 남성혐오를 비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며, 그 이유는 주류 문화가 여성혐오와 비교될 정도의 반(反)남성 이데올로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문화 인류학자 데이비드 D. 길모어는 여성혐오가 "거의 보편적인 현상"인 반면, 남성에 대한 사회적인 혐오에 여성혐오와 상당하는 것은 없다고 논한다.[70] 길모어는, 앤드리아 드워킨과 같이 모든 남성을 동일하고 절대적인 악으로 간주하는 급진적인 파벌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일반적으로 미샌드리(misandry)라고 불리는 것은 개인의 남성에 대한 혐오가 아니라, 전통적인 남성의 역할이나 마초이즘에 대한 혐오를 가리킨다고 이론화했다.

3. 1. 남성 권리 운동의 관점

남성 권리 운동가들은 여성 우위 사회의 진전을 경계하며 남성혐오 개념을 제기한다.[19] 이들은 이혼, 가정폭력, 징병, 포경수술(반대자들에게는 "생식기 훼손"으로 알려짐) 등 현대 법률을 제도적 남성혐오의 예로 비판한다.[92][93][94] 또한 남성의 짧은 수명, 높은 자살률, 징병 의무, 미망인에게 제공되는 세금 혜택 부족 등 사회적 문제를 남성혐오의 결과로 간주한다.[20]

운동가 워렌 퍼렐은 '처분가능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역사상 가장 위험한 직업(특히 군인광부)이 남성에 의해 독점적으로 수행되어 오늘날까지 남성들을 소외시킨다고 주장했다. 그는 저서 《남성의 힘에 관한 신화》에서 가부장제 사회가 여성을 희생시켜 남성에게 이익을 주는 규칙을 만들지 않으며, 남성의 평균 수명이 여성보다 낮고 자살률이 높은 "남성의 규칙"으로부터 누가 혜택을 보았는지 공론화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80]

사회 심리학자 로이 바우마이스터(Roy F. Baumeister) 교수는 뉴스 매체가 재난을 보고할 때 "여성과 어린이조차도"라는 문구를 사용하는 것은 남성의 목숨 가치가 덜하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그는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을 예로 들며, 구명정 좌석은 여성들에게 주어졌고 남성들은 가라앉는 배에 남았으며, 가장 부유한 남성(36%)도 가장 가난한 여성(46%)보다 생존 확률이 낮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부유하고 힘있는 남성들을 위해 다른 모든 이들을 희생시킨다는 고전적인 지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여성들이 단순히 여성이라는 이유로 구명보트 좌석을 얻은 반면, 잘 차려입은 신사는 갑판에 서서 그들이 떠나는 것을 지켜보았다고 덧붙였다.[81]

3. 2. 사회심리학적 관점

로이 바우마이스터는 재난 상황에서 '여성과 어린이'를 우선시하는 관행이 남성의 목숨을 경시하는 태도를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뉴스에서 재난을 보도할 때 희생자들 사이에 "여성과 어린이조차도"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남성의 생명이 덜 가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 타이타닉호 침몰 사건을 예로 들면서, 구명정 좌석은 여성들에게 주어졌고 남성들은 가라앉는 배에 남겨졌으며, 가장 부유한 남성(36%)도 가장 가난한 여성(46%)보다 생존 확률이 낮았다는 사실을 언급했다.[81] 이는 사회가 부유하고 힘 있는 남성들을 위해 다른 모든 사람들을 희생시킨다는 일반적인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가부장제'라는 개념이 사회 최하층이 대부분 남성이라는 점을 간과한다고 주장한다.[81]

필립 짐바르도는 젊은 남성과 여성 간의 공감 차이가 남성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그는 젊은 여성이 젊은 남성보다 더 많은 공감과 동정을 받으며, 젊은 남성은 때때로 악마로 묘사되고 수용 가능한 행동에 대한 상충되는 메시지를 받아 높은 자살률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97]

일부 연구에서는 불안정 애착과 남성을 향한 여성의 성차별주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96] 48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밝히지 않은 여성들이 페미니스트라고 밝힌 여성들보다 남성에게 더 공격적인 동시에, 남성에 대해 더 애정적인 시선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95]

3. 3. 여성혐오와의 비대칭성 논쟁

앨런 G. 존슨은 그의 책 《젠더 매듭: 우리의 가부장적 유산에서 탈피하기》(1997)에서 남성 증오(man-hating) 비난이 페미니스트를 폄하하고 남성 중심 문화를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고 주장한다.[98] 그는 여성혐오와 남성혐오를 비교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주류 문화는 여성혐오에 비견될 만한 반(反)남성 이데올로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남성혐오 비난이 페미니즘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는데, 이는 "사람들이 종종 개인으로서의 남자와 지배적이고 특권적인 범주의 사람들로서의 남자를 혼동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98] 또한 "여성 억압과 남성의 특권, 그리고 그 둘을 강제하는 남성들이라는 현실 앞에서 '모든' 여성이 '남성'에 대해 분개하거나 심지어 증오하는 순간을 갖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98]

마르크 A. 우엘레는 《남자와 남자다움에 대한 국제 백과사전》(2007)에서 남성혐오와 여성혐오를 비교하며, 대중문화와 문학에 특정 "인종화된" 남성혐오와 "남성혐오적 충격"이 존재할 가능성은 있지만, "남성혐오에는 여성혐오와 같은 체계적, 초역사적, 제도적, 입법적인 반감이 부족하다"고 주장한다.[99]

인류학자 데이빗 D. 길모어는 여성혐오가 "거의 보편적인 현상"인 반면, 남성에게는 여성혐오에 상응하는 것이 없다고 주장한다.[100] 그는 남성혐오가 "개인으로서의 남자에 대한 증오가 아니라 남성의 전통적인 남성 역할에 대한 증오"를 의미하며, "여성에 대한 여성혐오의 강렬한 '인신공격(ad feminam)' 요소와는 다르다"고 설명한다.[100]

우에노 치즈코는 여성혐오가 "남성 간의 사회적 유대를 의미하는 '호모소셜'(Homosocial), 그리고 동성애 혐오증인 '호모포비아'(Homophobia)'와 함께하는 3종 세트"라고 설명하며, "사회적 자원과 권력이 없는 여성들끼리의 유대로 남성과 같은 유대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불가능하다. 젠더 간 비대칭성과 압도적인 권력 차이를 고려하면 '남성혐오'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요약한다.[101] 윤지영은 자신의 논문에서 남성은 "혐오의 통치 대상이 되기 위한 자책과 공포라는 하위 감정 대신, 자기 연민과 여성에 대한 조롱, 비하, 희화화라는 여성혐오의 감정만이 존재할 뿐이며, 이를 통해 남성혐오의 통치성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102]

4. 급진적 페미니즘과 남성혐오

급진적 페미니즘의 일부 분파에서 남성혐오적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앨리스 에콜스는 1989년 자신의 저서에서 밸러리 솔라나스SCUM 선언서를 통해 극단적인 남성혐오를 보였다고 주장했다.[84]

벨 훅스는 가부장적 억압에 대한 반응으로 여성 해방 운동 초기에 "남성 증오"가 나타났다고 보았다. 또한, 남성이 본질적으로 부도덕하고 열등하며, 성차별을 끝내거나 여성주의에서 이득을 얻을 수 없다는 분리주의적 페미니즘을 비판했다.[86][87] 그녀는 이러한 남성 악마화가 남성 운동과 여성 운동 사이에 불필요한 균열을 초래했다고 보았다.[88]

메리 데일리는 남녀 간의 성평등은 불가능하며, 여성이 뛰어난 능력을 가졌기 때문에 남성을 지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90] 이후 인터뷰에서 "생명이 지구상에서 살아남는다면, 지구의 오염 제거가 되어야 한다. 나는 이것이 남성 인구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올 진화적 과정을 동반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주장했다.[91]

250x250px


페미니즘 반대자들은 페미니즘이 남성혐오적이라고 주장하며, NOW의 공동 양육 반대 등을 예시로 든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남성혐오와 여성혐오 사이의 허위 등가성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앨런 G. 존슨은 남성 혐오 혐의가 페미니스트를 비하하고 남성 중심 문화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한다.[51] 그는 문화가 여성혐오에 필적하는 반남성 이데올로기를 제공하지 않으며, "사람들은 종종 개인으로서의 남성과 지배적이고 특권적인 범주로서의 남성을 혼동한다"고 주장한다.

종교학자 폴 네이선슨과 캐서린 K. 영은 "평등주의적 페미니즘"과 대조적으로 "이념적 페미니즘"이 문화에 남성혐오를 강요했다고 주장한다.[52]

개인주의 페미니스트 캐시 영은 "남성"을 경멸적인 접두사로 사용하는 신조어들이 페미니즘 내의 "현재 남성혐오 주기"의 일부라고 쓰고 있다.[56]

2023년 심리학 쿼터리에 게재된 메타 분석은 페미니스트의 남성에 대한 태도에 대한 고정 관념을 조사한 결과, 페미니스트의 남성에 대한 견해가 비 페미니스트 또는 남성의 남성에 대한 견해와 다르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57]

4. 1. 밸러리 솔라나스

밸러리 솔라나스SCUM 선언서에서 극단적인 남성혐오를 드러냈다.[84] 앨리스 에콜스Alice Echols영어는 솔라나스의 견해가 당시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에게 전형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45] 에콜스는 "솔라나스의 뻔뻔스러운 남성혐오—특히 남성의 생물학적 열등함에 대한 믿음—'독립적 여성'과 '생각없는 도피'로써의 성 해방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그녀의 지지는 전국 대부분의 여성 집단에 만연한 급진적 여성주의의 성격을 위반하였다."라고 언급했다.[84]

4. 2. 앤드리아 드워킨

1977년, 앤드리아 드워킨은 밸러리 솔라나스의 견해, 즉 남성이 여성보다 생물학적으로 열등하고 본질적으로 폭력적이기에 "새로운 초여성(new Übermensch Womon)"이 나타나려면 남성대학살(gendercide)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여성주의자 사회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을 비판하고, 급진적 여성주의 내의 생물학적 결정론자들을 비판하였다.[85]

4. 3. 벨 훅스

벨 훅스는 여성 해방 운동 초기의 "남성 증오" 문제를 가부장적 억압에 대한 반작용이자 페미니즘이 아닌 사회 운동에서 남성에게 좋지 않은 경험을 한 여성들의 반응으로 보았다.[86][87] 그녀는 남성이 본질적으로 부도덕하고 열등하며 성차별적 억압을 종식하거나 페미니즘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없다는 생각을 조장하는 분리주의 페미니즘을 "반동적"이라고 비판했다.[86][87]

2000년 출간된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Feminism is For Everybody)에서 벨 훅스는 초기 여성 운동에서 반남성적 편견을 비판한 페미니스트들이 주류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했고, "남성을 적으로 악마화하는 우리의 이론적 작업이 반남성적이었던 여성들의 관점을 바꾸지 못했다"는 사실을 안타까워했다.[88] 그녀는 이 악마화가 남성 운동과 여성 운동 사이에 불필요한 균열을 초래했다고 보았다.[88]

5. 대중문화와 문학 속 남성혐오

1989년 앨리스 에콜스는 저서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에서 1968년 앤디 워홀 살인 미수 사건으로 알려진 발레리 솔라나스가 다른 급진적 페미니스트에 비해 극단적인 수준의 남성 혐오를 보였다고 언급했다.[63]

포르노 반대파인 캐서린 매키넌은 미인 대회 반대 시위의 시초였다. 1977년, 포르노 반대파이자 급진적 페미니스트인 앤드리아 드워킨은 페미니스트 잡지 Heresies: A Feminist Publication on Art and Politics|히어시스지영어에서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의 생물학적 결정론을 비판했다. 그녀는 일부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발레리 솔라나스의 "남성은 여성에 비해 생물학적으로 열등하며, 폭력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사람들을 이끄는 초인적인 여성의 등장을 위해 성차별에 기반한 대량 학살을 인정해야 한다"는 관점에 동조하는 것을 비판했다.[64]

저자인 벨 훅스(필명은 글로리아 진 왓킨스)는 초기 여성 해방 운동 기간 동안의 가부장적 탄압에 대한 반응과 남성과의 좋지 않은 경험을 가진 여성들의 "남성 혐오" 문제에 대해 논했다. 또한 그녀는 "남성은 본질적으로 비도덕적이고 열등하며, 성차별주의자들에 의한 억압의 종식이나 페미니즘의 혜택을 도울 수 없다"고 주장하는 분리주의자 페미니스트를 "반동적"이라고 비판했다.[65][66]

''Feminism is For Everybody (모든 사람을 위한 페미니즘)''에서 "우리의 이론은 남성을 적으로 악마화하는 것을 비판했지만, 그것은 반남성적인 시각을 가진 여성들을 변화시킬 수 없었다"고 말하며, 여성 해방 운동에서 페미니스트들의 반남성적 편견에 대한 평론이 주요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사실을 안타까워했다.[67] 훅스는 이러한 남성 악마화가 여성 운동과 남성 운동 사이에 불필요한 갈등을 초래한다고 언급했다.[68]

폴 네이선슨과 캐서린 K. 영은 "평등주의적 페미니즘"에 반하는 "페미니즘 사상"이 문화적으로 남성 혐오를 확산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69] 그들의 2001년 저서 ''Spreading Misandry (남성 혐오의 확산)''에서는 "오래된 유물과 1990년부터 만들어진 대중 문화"를 영화에서 분석하여, 무엇이 남성 혐오에 대한 설득력 있는 메시지가 되는지를 고찰한다. ''Legalizing Misandry (남성 혐오의 합법화)''(2005)에서는 북미의 법률에 유사한 주목을 기울였다.

5. 1. 고대 그리스 문학

프로마 자이틀린은 "Patterns of Gender in Aeschylean Drama: Seven against Thebes and the Danaid Trilogy"라는 글에서 에테오클레스의 여성혐오와 다나이데스의 남성혐오가 대응 관계를 가진다고 분석했다.[103][35]

5. 2. 셰익스피어

문학 비평가 해럴드 블룸은 문학에서 남성혐오라는 단어가 비교적 생소하지만, 암묵적이거나 노골적인 남성혐오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주장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언급하며 블룸은 "여성혐오의 사례는 떠올릴 수 없지만, 남성혐오는 강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셰익스피어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낮은 신분과 결혼해야 하고, 남성은 자기애적이며 믿을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전반적으로 그는 인간 여성보다 인간 남성에 대해 더 어두운 시각을 제시한다."라고 주장했다.[36]

5. 3. 현대 문학

앤서니 시노트는 문학에서 남성이 악당으로, 여성이 희생자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메릴린 프렌치의 ''여자의 방''과 앨리스 워커의 ''컬러 퍼플''을 예로 들며 "반남성" 소설 시장은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반여성" 시장은 없다고 말한다. 그는 문학에서 남성을 나치 수용소 경비병에 비유하는 것이 흔하다고 예시를 제시했다.[37]

인종화된 남성혐오는 "고급" 문화와 "저급" 문화, 문학 모두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은 지배적인 문화적 고정관념에 따라 유아적이거나 에로틱하고 과도하게 남성적인 존재로 폄하되어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6. 형사 사법 제도와 남성혐오

여러 연구에서 형사 사법 시스템에 제도적인 남성혐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34] Nathan E. Kruis 외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형사 사법 시스템에서 암묵적, 명시적 남성혐오가 의사 결정자의 의식 속에 존재하며 남성에 대한 체계적인 차별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친밀한 파트너 폭력의 남성 가해자와 남성 피해자 모두 시스템에서 성별 편견을 경험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4]

7. 한국 사회와 남성혐오

(빈 문자열)

참조

[1] 웹사이트 Misandry http://www.oed.com/v[...] 2014-07-25
[2] 웹사이트 Misandry http://www.merriam-w[...]
[3] 서적 Misogyny, Misandry, and Misanthrop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Routledge 2007
[5] 서적 Sex and Gender: A Biopsychological Approach Routledge 2020
[6] 간행물 Online Misogyny: Introduction http://doras.dcu.ie/[...] 2023-01-21
[7] 서적 Online Misogyny as Hate Crime: A Challenge for Legal Regulation? Routledge 2018
[8] 서적 Transforming Scholarship: Why Women's and Gender Studies Students Are Changing Themselves and the World Taylor & Francis 2014
[9] 서적 Online Othering: Exploring Digital Violence and Discrimination on the Web Springer 2019
[10]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http://oxforddiction[...]
[11] 백과사전 Misandry https://www.dictiona[...] 2018-11-04
[12] 뉴스 Review of novel Blanche Seymour The Spectator 1871-04-01
[13] 백과사전 Männerhaß http://en.pons.com/t[...] PONS-Verlag
[14] 백과사전 Männerhass Pauli
[15] 웹사이트 Misandry https://www.scienced[...] 2019-01-25
[16] 서적 The Incel Rebellion: The Rise of the Manosphere and the Virtual War Against Women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21
[17] 간행물 Drinking male tears: language, the manosphere, and networked harassment 2018
[18] 서적 Men's Rights, Gender, and Social Media Rowman & Littlefield 2017
[19] 서적 Encyclopedia of Gender and Society, Volume 2 SAGE Publications 2008
[20] 간행물 Masculinities in cyberspace: An analysis of portrayals of manhood in men’s rights activist websites 2016
[21] 서적 Misogyny: The Male Malad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1
[22] 서적 The Myth of Male Power: Why Men are the Disposable Sex Berkley Books 2001
[23] 서적 Spreading Misandry: The Teaching of Contempt for Men in Popular Cultur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4] 서적 Angry white men : American masculinity at the end of an era 2013-11-05
[25] 간행물 Remembering Tamir Rice and Other Black Boy Victims: Imagining Black PlayCrit Literacies Inside and Outside Urban Literacy Education 2021
[26] 간행물 Killing Boogeymen: Phallicism and the Misandric Mischaracterizations of Black Males in Theory 2018
[27] 간행물 Taking it to the people: Translating empirical findings about Black men and Black families through a Black public philosophy 2018
[28] 간행물 Is Anti-Black Misandry the New Racism? 2022
[29] 간행물 Is Transmisogyny Killing Trans Women of Color? 2017
[30] 간행물 A trans pedagogy of refusal : interrogating cisgenderism, the limits of antinormativity and trans necropolitics 2021
[31] 간행물 The Ambivalence Toward Men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Beliefs About Men 2016
[32] 간행물 Bad but Bol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en Predict Gender Inequality in 16 Nations 2004
[33] 간행물 Are Feminists man Haters? Feminists' and Nonfeminists' Attitudes Toward Men 2009
[34] 간행물 Examining Sex- and Sexuality-Based Bias in Punitive Attitudes Toward Offenders Convicted of Intimate Partner Crimes: A Vignette Experiment 2024
[35] 간행물 Patterns of Gender in Aeschylean Drama: Seven against Thebes and the Danaid Trilogy https://escholarship[...] 2020-10-28
[36] 뉴스 In the Battle Of the Sexes, This Word Is a Weapon https://www.nytimes.[...] 2024-02-28
[37] 서적 Re-Thinking Men: Heroes, Villains and Victims Routledge 2016
[38] 서적 Mommy Queerest: Contemporary Rhetorics of Lesbian Maternal Identit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2
[39] 간행물 To Love and Be Loved: Considering Black Masculinity and the Misandric Impulse in Toni Morrison's "Beloved" http://muse.jhu.edu/[...] 2014-01-05
[40] 서적 Gender and Judaism: The Transformation of Tradition NYU Press 2023-08-24
[41] 뉴스 French book I Hate Men sees sales boom after government adviser calls for ban https://www.theguard[...] 2020-09-10
[42]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Ironic Man-Hater https://slate.com/hu[...] 2022-06-05
[43] 서적 50 Key Concepts in Gender Studies SAGE 2004-03-18
[44] 간행물 Book Review: Anthony Synnott ''Re-thinking Men: Heroes, Villains and Victims'' 2012
[45] 서적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9
[46] 간행물 Biological Superiority: The World's Most Dangerous and Deadly Idea http://heresiesfilmp[...] 2015-05-12
[47] 문서 The myth of the man-hating feminist 2010
[48] 서적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South End Press 1984
[49] 서적 The Will To Change: Men, Masculinity and Love Washington Square Press 2005
[50] 간행물 Re-Thinking Men: Heroes, Villains and Victims https://doi.org/10.1[...] 2011
[51] 서적 The Gender Knot: Unraveling Our Patriarchal Legacy Temple University Press
[52] 서적 Legalizing Misandry: From Public Shame to Systemic Discrimination Against Men McGill-Queen's Press – MQUP
[53] 뉴스 McGill profs to testify against equal marriage https://www.mcgillda[...] 2022-03-07
[54] 웹사이트 Wendy McElroy http://www.independe[...] 2007-12-28
[55] 서적 Sexual Correctness: The Gender-Feminist Attack on Women McFarland & Company
[56] 뉴스 Feminists treat men badly. It's bad for feminism https://www.washingt[...] 2016-10-23
[57] 간행물 The Misandry Myth: An Inaccurate Stereotype About Feminists' Attitudes Toward Men 2023
[58] 웹사이트 Misandry http://www.oed.com/v[...]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ODO) 2014-07-25
[59] 웹사이트 Misand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60] 웹사이트 For Father's Day, give us men who aren't shown as fools and clowns http://theconversati[...] 2015-02-17
[61]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http://oxforddiction[...]
[62] 뉴스 Review of novel "Blanche Seymour" The Spectator 1871-04-01
[63] 서적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9
[64] 간행물 Biological Superiority: The World's Most Dangerous and Deadly Idea http://heresiesfilmp[...] Heresies Collective, Inc. 2015-05-12
[65] 서적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South End Press 1984
[66] 서적 The Will To Change: Men, Masculinity and Love Washington Square Press 2005
[67] 서적 Feminism is for everybody : passionate politics http://worldcat.org/[...] 2020-09-07
[68] 문서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1984
[69] 문서 2001
[70] 서적 Misogyny: The Male Malad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71] 웹사이트 The Rise of the Ironic Man-Hater https://slate.com/hu[...] 2014-08-08
[72] 옥스포드 영어사전 Misandry http://www.oed.com/v[...] 옥스퍼드 영어사전 온라인판 2002-06
[73] 미리엄-웹스터 온라인 Misandry http://www.merriam-w[...]
[74] 웹인용 Definition of misandry https://www.lexico.c[...]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0-26
[75] 웹인용 For Father's Day, give us men who aren't shown as fools and clowns http://theconversati[...] 2014-09-05
[76] 간행물 Review of novel "Blanche Seymour" The Spectator 1871-04-01
[77] 웹인용 Translations for Männerhaß in the German » English dictionary http://en.pons.com/t[...] PONS GmbH, Stuttgart 2014-03-19
[78] 서적 Oekonomische Encyklopädie Pauli
[79] 웹사이트 Oxford Dictionaries http://oxforddiction[...] 2013-09-21
[80] 서적 The Myth of Male Power Simon & Schuster
[81] 서적 Is There Anything Good About Men? How Cultures Flourish By Exploiting Men Oxford University Press
[82] 기타
[83] 서적 Spreading misandry the teaching of contempt for men in popular culture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16-11-11
[84] 서적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85] 저널 Biological Superiority: The World's Most Dangerous and Deadly Idea http://heresiesfilmp[...] Heresies Collective, Inc. 2015-05-12
[86] 서적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South End Press
[87] 서적 The Will To Change: Men, Masculinity and Love Washington Square Press
[88] 서적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https://books.google[...] 문학동네
[89] 서적 Quintessence...Realizing The Archaic Future Beacon Press
[90] 서적 Gyn/Ecology: The Metaethics of Radical Feminism Beacon Press
[91] 간행물 No Man's Land 1999
[92] 기타 Misandry Routledge
[93] 뉴스 When Men Experience Sexism The Atlantic Monthly 2018-11-08
[94] 웹사이트 The Myth Of Misandry Ravishly Media Company 2018-11-08
[95] 저널 Are Feminists Man Haters? Feminists' and Nonfeminists' Attitudes Toward Men http://onlinelibrary[...]
[96] 저널 She Loves Him, She Loves Him Not: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Women's Ambivalent Sexism Towards Men
[97] 뉴스 Young Men and the Empathy Gap: Why we should be guiding, not demonizing our sons 2017-08-15
[98] 서적 The Gender Knot: Unraveling Our Patriarchal Legacy http://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99]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n and Masculinities http://books.google.[...] Routledge 2007-07-18
[100] 서적 Misogyny: The Male Malad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01] 뉴스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저자 "'남성 혐오'는 성립하지 않는다" http://www.huffingto[...] 허핑턴포스트코리아 2016-06-07
[102] 저널 http://www.dbpia.co.[...] 2017-03-15
[103] 기타 Patterns of Gender in Aeschylean Drama: Seven against Thebes and the Danaid Trilogy https://www.nytimes.[...] 1990-04-01
[104] 뉴스 In the Battle Of the Sexes, This Word Is a Weapon https://www.nytimes.[...] 1999-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