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 방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양 방씨는 중국 청하에서 기원한 성씨로, 당나라 때 방현령의 아들 방준이 고구려에 정착하면서 남양 방씨의 시조가 되었다. 고려 개국 공신 방계홍을 중시조로 하며, 7개의 주요 파로 나뉜다. 주요 인물로는 방현령, 방사량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9명, 무과 급제자 9명 등 총 52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의 사계정사, 유천서원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등을 중심으로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다. 2015년에는 약 2만 7천여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 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한국어) | 남양 방씨 |
| 이름 (한자) | 南陽 房氏 |
| 유형 | 씨족 |
| 국가 | 한국 |
| 지역 | 화성시, 경기도 |
| 시조 | 방계홍(房季弘) |
| 원시조 | 방현령(房玄齡) |
| 관련 인물 | 미르 (가수) 고은아 설인아 방시혁 |
| 역사 | |
| 관향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
| 집성촌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용리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가양리 |
| 인구 통계 | |
| 2015년 인구 | 27,454명 |
| 주요 인물 | |
| 인물 | 방사량, 방구행, 방구달, 방옥정, 방귀원, 방귀화, 방귀온, 방응현, 방복령, 방원진, 방원량, 방원정, 방진태, 방례원, 방경원, 방극윤, 방희석, 방극성, 방하남, 방준혁, 방시혁 |
| 기타 정보 | |
| 다음 카페 | 남양방씨 대종회 |
2. 기원
중시조 방계홍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에 올랐다.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청원리의 당성 숭령사에서 향사한다.
남양 방씨는 방계홍(房季弘)을 시조로 하며, 9세 방사량(房士良), 방사인(房士仁), 방사보(房士輔)의 아들 대(代)인 10세를 파조로 하여 크게 7개 파로 나뉜다.
방(房)씨는 중국 청하(淸河)에서 계출된 성씨이다. 요(堯) 임금의 아들 단주(丹朱)가 방후(房侯)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국명을 성으로 삼았다.
당 태종 때 재상인 양공(梁公) 방현령(578년 ~ 648년)의 둘째 아들이며, 당 태종의 부마도위인 방준(房俊)이 643년(정관 17년) 고구려 보장왕의 주청(奏請)으로 당나라 8학사 중 한 사람으로서 고구려에 동래하여 당성(唐城: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정착하면서 남양 방씨(南陽 房氏)의 기원이 되었다.
3. 역사
방계홍의 아들 방의강(房儀康)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서 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으며, 손자 방진유(房珍儒)는 추밀원부사(樞密院府使)로 예부상서(禮部尙書)를 겸하였고, 다른 손자 방정유(房貞儒)는 대광(大匡)을 역임하였다.
4. 분파
4. 1. 주요 분파
남양 방씨는 방계홍(房季弘)을 1세조로 하고, 9세 직제학 방사량(房士良), 장사랑(將仕郞) 방사인(房士仁), 방사보(房士輔)의 아들 대(代)인 10세를 파조로 하여 크게 7개 파로 갈라진다.
| 9세 | 10세 | 분파 |
|---|---|---|
| 방사량(房士良) (직제학) | 방구행(房九行) | 한림공파(翰林公派) |
| 방사량(房士良) (직제학) | 방구달(房九達) | 제학공파(提學公派) |
| 방사량(房士良) (직제학) | 방구성(房九成) | 정산공파(定山公派) |
| 방사인(房士仁) (장사랑) | 방구녕(房九寧) | 판관공파(判官公派) |
| 방사인(房士仁) (장사랑) | 방구련(房九連) | 교위공파(校尉公派) |
| 방사보(房士輔) | 방구형(房九亨) | 참봉공파(參奉公派) |
| 방춘천(房春天) | 방옥심(房玉心) | 학생공파(學生公派) |
정산공파(定山公派)는 14세에서 창평공파(昌平公派), 만호공파(萬戶公派), 봉사공파(奉事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사계공파(沙溪公派), 한성공파(漢城公派), 금서공파(錦西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로 분파된다.
4. 2. 정산공파 분파
방계홍(房季弘)을 시조로 하는 남양 방씨에서, 정산공파(定山公派)는 10세 방구성(房九成)을 파조로 한다. 정산공파는 14세에서 다시 다음과 같이 분파된다.[1]- 창평공파(昌平公派)
- 만호공파(萬戶公派)
- 봉사공파(奉事公派)
- 사직공파(司直公派)
- 사계공파(沙溪公派)
- 한성공파(漢城公派)
- 금서공파(錦西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5. 인물
남양 방씨의 주요 인물로는 당나라 때 능연각공신에 오른 방현령과 고려 시대에 지제생원사를 지낸 방사량이 있다.
이 외의 인물들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5. 1. 주요 인물
| 성함 | 출생 | 신분 | 학력 | 직위 |
|---|---|---|---|---|
| 방구행 | 1831년 | 고위관료 | 문과급제 | 원종공신 |
| 방옥정 | 조선시대 | 고위관료 | 문과급제 | 세자시강원문학 |
| 방귀원 | 1445년 | 고위관료 | 문과급제 | 예문관봉교 |
| 방귀화 | 조선시대 | 고위관료 | 사마시입격 | 영접도감낭청 |
| 방복령 | 1562년 | 고위관료 | 무과급제 | 선무원공신 |
| 방원량 | 조선시대 | 고위정치인 | 문과급제 | 창평현령 |
| 방원정 | 1593년 | 고위관료 | 진사시합격 | 성균관직강 |
5. 2. 현대 인물
| 성함 | 출생 | 신분 | 학력 | 직위 |
|---|---|---|---|---|
| 방례원 | 1918년 | 고위관료 | 고려대학교 법학 학사 | 서울고등법원장 |
| 방경원 | 1926년 | 고위관료 | 연세대학교 경영학 석사 | 병무청장 |
| 방극윤 | 1939년 | 고위관료 |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 서울지방노동청장 |
| 방극성 | 1955년 | 고위관료 |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 광주고등법원장 |
| 방하남 | 1957년 | 고위관료 | 위스콘신 대학교 사회학 박사 | 고용노동부 장관 |
6. 과거 급제자
남양 방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9명, 무과 급제자 9명, 사마시 34명 등 총 52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방연보(房衍寶)와 방중량(房仲良)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6. 1. 과거 급제자 목록
남양 방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 무과 급제자 9명, 사마시 34명 등 과거 급제자 52명을 배출하였다.; 고려 문과
- 방연보(房衍寶)
- 방중량(房仲良)
| 문과 | 무과 | 생원시 | 진사시 |
|---|---|---|---|
7. 항렬자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 口상(相) | 환(煥) | 口규(圭) | 진(鎭) | 口원(源) | 극(極) | 口혁(爀) | 기(基) | 口석(錫) | 치(治) | 口모(模) | 현(炫) | 口곤(坤) | 연(鉛) | 口수(洙) | 환(桓) | 口렬(烈) | 균(均) |
8. 문화유산
- 사계정사(沙溪精舍)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에 있는, 남양 방씨의 선조 방응현(房應賢)이 조선 중기에 처음 세운 정자이다.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6호이다.[1]
- 유천서원(楡川書院) : 1830년(순조 30) 지방 유림들이 창건한 서원으로 방사량, 방귀온, 안탁, 방응현, 안창국 등 5현을 봉안하여 5현사(五賢詞)라고도 부른다.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52호이다.[2]
- 남양방씨 분재기 및 교지․교첩류(8점) : 남원에 세거한 대표적 양반가 남양방씨 문중에는 분재기를 비롯한 교지, 교첩, 소지, 명문, 호적단자 등 100여 점이 넘는 고문서들이 소장되어 있는데, 이 중 8점은 17~18세기 자료들이다. 1619년 분재기는 가선대부 방덕유가 적자 1남 1녀와 서자 1남에게 재산을 분급한 것으로 딸에게도 상당히 많은 재산을 물려주고 있고, 시기적으로 임진왜란 직후로 남녀균등상속에서 적장자 위주의 상속제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분재기이다. 2016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3]
9. 본관
남양(南陽)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당성현(唐城縣)이었다. 신라 757년(경덕왕 16)에 당은군(唐恩郡)으로 고쳤고, 822년(헌덕왕 14)에 수성군(水城郡)에 병합되었으나 829년(흥덕왕 4)에 당성진을 설치하면서 분리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당성군이 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수주(水州)의 관할에 들었고, 후에 인주(仁州)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독립하여 감무를 두었다. 1290년(충렬왕 16)에 강녕도호부(江寧都護府)로 승격되었고, 익주목(益州牧)이 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가 되었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 남양도호부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기도 남양도호부의 토성(土姓)으로 홍(洪), 송(宋), 방(房), 박(朴), 최(崔), 서(徐) 6성이 기록되어 있다.[5]
10. 집성촌
| 지역 | 파 |
|---|---|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 한림공파 |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 정산공파 |
|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전곡리 | 참봉공파 |
| 전라북도 남원시 금지면·대강면 | 창평공파 |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자룡리 | 한림공파 |
| 전라북도 정읍시 내장면 용산리 | 사계공파 |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대흥리 | |
|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가야리 | 사계공파 [4] |
|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 학생공파 |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
11. 인구
| 연도 | 인구 |
|---|---|
| 1985년 | 22,519명 |
| 2000년 | 22,496명 |
| 2015년 | 27,454명 |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남양방씨 南陽房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4]
웹사이트
방씨(房氏) 본관(本貫) 남양(南陽)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5]
문서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기도 남양도호부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