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제곱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제곱수는 정수를 네 번 곱한 수로, 제곱수의 제곱과 같다. 모든 양의 정수는 최대 19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 가능하며, 13792보다 큰 모든 정수는 최대 16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페르마는 네제곱수가 다른 두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음을 증명했고, 오일러는 세 개의 네제곱수 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고 추측했으나 반례가 발견되었다. 사차 방정식은 네제곱수를 포함하며, 아벨-루피니 정리에 의해 근호를 이용한 일반적인 해를 갖는 최고 차수의 방정식이다. 소수의 네제곱수는 5개의 약수를 가지며, 한국의 수 체계에서 만, 억, 조 등은 네제곱수이다. 네제곱수의 합과 역수의 합은 특정 공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으며, 16으로 나눈 나머지는 0 또는 1이다. 십진법에서 네제곱수의 끝 두 자리는 특정 패턴을 보이며, 다른 진법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항 연산 - 1의 보수
    1의 보수는 이진수에서 양수는 일반적인 이진수로, 음수는 양수의 각 비트를 반전시켜 표현하며, 덧셈 시 자리올림수가 발생하면 결과값에 더해야 하고, 0을 중복 표현하는 단점으로 현대에는 2의 보수가 주로 사용된다.
  • 단항 연산 - 제곱근
    제곱근은 x² = a를 만족하는 x 값으로, a가 양수일 때 두 개의 제곱근을 가지며, 수학, 물리학,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이고, 무리수와도 관련되어 행렬이나 연산자에도 확장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네제곱수
정의
수학적 정의어떤 수 n을 네 번 곱한 값 (n⁴ = n³ × n = n × n³ = n² × n² = n × n × n × n)
다른 이름복이차수
테서랙트수
예시
0의 네제곱0⁴ = 0
1의 네제곱1⁴ = 1
2의 네제곱2⁴ = 16
3의 네제곱3⁴ = 81
4의 네제곱4⁴ = 256
5의 네제곱5⁴ = 625
6의 네제곱6⁴ = 1296
7의 네제곱7⁴ = 2401
8의 네제곱8⁴ = 4096
9의 네제곱9⁴ = 6561
10의 네제곱10⁴ = 10000

2. 성질

네제곱수는 제곱수의 제곱이다. (n4 = (n2)2)

모든 양의 정수는 최대 19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13792보다 큰 모든 정수는 최대 16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와링의 문제]]] 참조).[1]

페르마는 네제곱수가 다른 두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음을 증명했다. (\[\[특정 지수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n = 4|''n'' = 4 케이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페르마의 직각삼각형 정리 참조). 오일러는 네제곱수가 세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고 추측했으나, 1986년 엘키스가 반례를 발견하여 이 추측이 틀렸음을 증명했다.[2]

사차 방정식근호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해를 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차수의 방정식이다. (\[\[아벨-루피니 정리]] 참조)

''n''번째까지의 네제곱수의 총합은 다음과 같다.

\sum_{k=1}^{n} k^4 =\frac{1}{30}n(n+1)(2n+1)(3n^2+3n-1)

네제곱수의 역수의 총합은 다음과 같다.

\sum_{n=1}^{\infty} \frac{1}{n^4} = \frac{\pi^4}{90}

사제곱수의 열에서 세 번째 계차수열은 공차가 24인 등차수열이며, 네 번째 계차수열은 상수열 24이다. 따라서 사제곱수의 열은 4계 등차수열이다.

만, 억, 조와 같이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큰 수들은 104''n'' = (10''n'')4 꼴이므로 모두 네제곱수이다.

2. 1. 약수

소수 p에 대해, p4는 1, p, p2, p3, p4의 5개의 약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24의 약수는 1(=20), 2(=21), 4(=22), 8(=23), 16(=24)의 5개이다. 반대로, 약수를 정확히 5개 갖는 자연수는 소수의 네제곱수이다.

2. 2. 잉여류

네제곱수를 16(24)으로 나눈 나머지는 0 또는 1이다. 이는 잉여환 \mathbb{Z}/{p^k \mathbb{Z}}에서 원소의 네제곱을 조사하는 것과 같으며, 추상적으로 \left( \mathbb{Z}/{p^k \mathbb{Z}} \right)^\times의 군 구조를 이용하면 이해하기 쉽다.

  • 32(25)로 나눈 나머지는 0, 1, 16, 17의 4가지이다.
  • 네제곱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는 0 또는 1이다.
  • * 9(32)로 나눈 나머지는 0, 1, 4, 7의 4가지이다. (삼진법으로 표기하면 00, 01, 11, 21)
  • 네제곱수를 5로 나눈 나머지는 0 또는 1이다.
  • * 25(52)로 나눈 나머지는 0, 1, 6, 11, 16, 21의 6가지이다. (오진법으로 표기하면 00, 01, 11, 21, 31, 41)
  • 7 이상의 소수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가능하지만, 제한이 약하다.

2. 3. 진법과 네제곱수

십진법에서 네제곱수의 마지막 자릿수는 0, 1, 5, 6 중 하나이다. 십진법에서 네제곱수의 끝 두 자리 수는 다음 12가지 중 하나이다.[1]

십진법 네제곱수의 끝 두 자리
끝자리가능한 끝 두 자리
000 (특히 끝 네 자리는 0000)
101, 21, 41, 61, 81
525 (특히 끝 네 자리는 0625)
616, 36, 56, 76, 96



16진법에서 네제곱수의 마지막 0이 아닌 자릿수는 항상 1이다.[1]

다른 진법에서 네제곱수의 끝자리 패턴은 다음과 같다.


  • '''육진법''': 끝자리는 0, 1, 3, 4 중 하나이다. 끝 두 자리는 00, 01, 04, 13, 21, 24, 41, 44 중 하나이며, 00과 13은 각각 끝 네 자리가 0000, 1213으로 확정된다.
  • '''십이진법''': 끝자리는 0, 1, 4, 9 중 하나이다. 끝 두 자리는 8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 '''이십진법''': 끝자리는 0, 1, 5, G (십진법의 16) 중 하나이다. 끝 두 자리는 12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 '''육십진법''' (편의상 십진수 두 자리로 표기): 끝자리는 0, 1, 16, 21, 25, 36, 40, 45 중 하나이다. 끝 두 자리는 48가지 경우가 가능하다.

3. 합과 급수

''n''번째까지의 네제곱수의 총합은 ''Sn''=\sum_{k=1}^{n} k^4 =\frac{1}{30}n(n+1)(2n+1)(3n^2+3n-1)이다.

사제곱수의 역수의 총합은

\sum_{n=1}^{\infty} \frac{1}{n^4} = \frac{\pi^4}{90}

이다. 리만 제타 함수의 특수값을 참고할 수 있다.

사제곱수의 열은 4계 계차수열이며, 세 번째 계차수열은 공차가 24인 등차수열이고, 네 번째 계차수열은 상수열 24이다.

4. 한국의 수 체계와 네제곱수

한국어에서 만(104), 억(108), 조(1012) 등의 수사는 104n = (10n)4이므로 모두 네제곱수이다.

5. 관련 정리

와링의 문제에 따르면, 모든 양의 정수는 최대 19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1] 13792보다 큰 모든 정수는 최대 16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오일러는 네제곱수는 세 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쓸 수 없다고 추측했지만, 200년 후인 1986년에 엘키스에 의해 반례가 발견되었다.[2] 엘키스는 지수 4에 대한 무한히 많은 다른 반례가 있음을 보였다.[2]

발견자반례
엘키스206156734 = 187967604 + 153656394 + 26824404
Allan MacLeod28130014 = 27676244 + 13904004 + 6738654
D.J. Bernstein87074814 = 83322084 + 55078804 + 17055754
D.J. Bernstein121974574 = 112890404 + 82825434 + 58700004
D.J. Bernstein160030174 = 141737204 + 125522004 + 44790314
D.J. Bernstein164305134 = 162810094 + 70286004 + 36428404
Roger Frye, 19884224814 = 4145604 + 2175194 + 958004
Allan MacLeod, 19986385232494 = 6306626244 + 2751562404 + 2190764654



사차 방정식은 차수가 네 번째인 다항식을 포함하며, 아벨-루피니 정리에 따르면 근호를 사용한 일반적인 해를 갖는 최고 차수 방정식이다.

5. 1. 와링의 문제

모든 양의 정수는 최대 19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1] 13792보다 큰 모든 정수는 최대 16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5. 2. 오일러의 거듭제곱 합 추측 반례

오일러는 네제곱수는 세 개의 네제곱수의 합으로 쓸 수 없다고 추측했지만, 200년 후인 1986년에 엘키스에 의해 다음 반례가 발견되었다.[2]

: 206156734 = 187967604 + 153656394 + 26824404

엘키스는 지수 4에 대한 무한히 많은 다른 반례가 있음을 보였다.[2]

발견자반례
엘키스206156734 = 187967604 + 153656394 + 26824404
Allan MacLeod28130014 = 27676244 + 13904004 + 6738654
D.J. Bernstein87074814 = 83322084 + 55078804 + 17055754
D.J. Bernstein121974574 = 112890404 + 82825434 + 58700004
D.J. Bernstein160030174 = 141737204 + 125522004 + 44790314
D.J. Bernstein164305134 = 162810094 + 70286004 + 36428404
Roger Frye, 19884224814 = 4145604 + 2175194 + 958004
Allan MacLeod, 19986385232494 = 6306626244 + 2751562404 + 2190764654


5. 3. 아벨-루피니 정리

사차 방정식은 차수가 네 번째인 다항식을 포함하며, 아벨-루피니 정리에 따르면 근호를 사용한 일반적인 해를 갖는 최고 차수 방정식이다.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Computing Minimal Equal Sums Of Like Powers: Best Known Solutions http://euler.free.fr[...] 2001-02-14
[3] 서적 はじめて読む数学の歴史 ベレ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