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진법은 6을 밑으로 하는 기수법으로, 0, 1, 2, 3, 4, 5의 여섯 가지 숫자를 사용한다. 십진법과 비교했을 때 3과 5의 위치가 역전되며, 6의 멱승수는 "2n × 3n = 10n"으로 표현된다. 손가락으로 수를 세는 데 유용하며, 6을 기준으로 수량을 묶는 문화가 존재한다. 6진법의 제곱인 36진법을 사용하여 자릿수를 줄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 - 육각형
    육각형은 여섯 변과 꼭짓점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으로, 특히 모든 변과 각이 같은 정육각형은 평면 테셀레이션이 가능하고 벌집 구조, 건축, 자연 현상, 한국 전통 문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6 - 처녀궁
    처녀궁은 점성술에서 황도대의 여섯 번째 별자리로, 8월 23일부터 9월 22일까지 해당하며, 조디악 기호는 처녀이고, 수성이 주인 행성이며, 분석적이고 꼼꼼한 성향과 관련 있다고 여겨진다.
  • 기수법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기수법 - 구진법
    구진법은 9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며, 3의 배수 표현이 간결하고 3의 역수는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육진법
명칭
진법육진법(六進法)
영어 명칭Senary numeral system
개요
정의밑이 6인 기수법
기수0, 1, 2, 3, 4, 5
활용
최소 자릿수소인수가 2와 3뿐인 수를 나타낼 때 최소 자릿수를 가짐 (예: 1/2, 1/3, 1/4, 1/6, 1/8, 1/9, 1/12, 1/16, 1/18, 1/24, 1/27, 1/32, 1/36, 1/48, 1/54, 1/64, 1/72, 1/81, 1/96, 1/108, ...)
계산손가락을 이용한 계산에 용이 (각 손가락 마디 3개 × 양손 = 6)
예시
10진수 6육진수 10
10진수 12육진수 20
10진수 18육진수 30
10진수 24육진수 40
10진수 30육진수 50
10진수 36육진수 100

2. 기수법

'''육진법'''은 6을 밑으로 하는 기수법이다. 5 다음의 6을 "10"으로, 6분의 1을 "0.1"로 표현한다.

주사위. 6의 면이 "10"이 된다.


육진법012345101112131415202122232425303132
십진법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십이진법0123456789AB101112131415161718
이십진법0123456789ABCDEFGHIJ10



육진법333435404142434445505152535455100101102103104105
십진법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
십이진법191A1B202122232425262728292A2B303132333435
이십진법1112131415161718191A1B1C1D1E1F1G1H1I1J2021



주사위와 같이 6개 세트의 물건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며, 9를 "13"(1×6 + 3), 십진법 10을 "14"(1×6 + 4), 십진법 12을 "20"(2×6)으로 표현한다. 육진법에서는 "10의 절반은 3"이 된다. 수사 (품사) 역시 십이는 "''이육''"(2×6), 십팔은 "''세육''"(3×6)과 같이 표현한다.

정수승멱은 십진법 36 (62)이 100, 십진법 216 (63)가 1000이 된다. 소수 (기수법)는 십진법 36분의 1 (6-2)가 0.01이 된다.

육진법의 사칙 연산의 예를 들면, 십진법 "5 + 5 = 10"는 육진법에서는 "5 + 5 = 14"가 된다.

육진 덧셈
+012345
0012345
11234510
223451011
3345101112
44510111213
551011121314



육진 곱셈표
×012345
0000000
1012345
2024101214
30310132023
40412202432
50514233241



6진법에서 사용하는 표준 집합은 \mathcal{D}_6 = \lbrace 0, 1, 2, 3, 4, 5\rbrace이며, 선형 순서는 0 < 1 < 2 < 3 < 4 < 5이다.

2. 1. 정수

육진법에서는 5 다음의 수인 6을 "10"으로 표기한다. 이는 6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는 방식으로, 십진법에서 10을 한 묶음으로 생각하는 것과 유사하다. 주사위와 같이 6개로 구성된 물건을 셀 때 육진법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예를 들어 십진법의 9는 육진법으로 13 (1×6 + 3)으로 표현된다.

십진법과 육진법의 주요 차이점은 3과 5의 위치이다. 십진법에서는 10이 2 × 5로 표현되어 5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육진법에서는 10이 2 × 3으로 표현되어 3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십진법과 육진법 비교
십진법 표현육진법 표현설명
111
222
333
444
555
66106 = 1×6 + 0
77117 = 1×6 + 1
88128 = 1×6 + 2
99139 = 1×6 + 3
10101410 = 1×6 + 4
11111511 = 1×6 + 5
12122012 = 2×6 + 0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육진법에서는 6의 거듭제곱을 기준으로 자릿값이 결정된다.

2. 1. 1. 정수의 표기

육진법은 5 다음인 6을 "10"으로, 6분의 1을 "0.1"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주사위와 같이 6개 세트로 된 물건을 계산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9는 "13"(1×6 + 3), 십진법10은 "14"(1×6 + 4), 십진법의 12는 "20"(2×6), 십진법의 16은 "24"(2×6 + 4)로 표현한다.

육진법에서는 6이 10이 되므로, "10의 절반은 3"이 된다. 따라서 3의 배수는 1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예를 들어, 십진법의 21은 육진법으로 "33", 3의 세제곱인 십진법 27은 "43"으로 표현된다. 수사 (품사) 역시 십이는 "이육"(2×6), 십팔은 "세육"(3×6), 십오는 "이육삼"(2×6 + 3), 이십일는 "삼육삼"(3×6 + 3), 이십칠은 "사육삼"(4×6 + 3)과 같이 표현한다. 반면, 3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는 은 "육사"(6 + 4), 십육은 "이육사"(2×6 + 4), 이십오는 "사육일"(4×6 + 1)과 같이 1의 자리에 3의 배수가 오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십진법의 "24시간"은 육진법으로 "40시간", 즉 "사육 시간"이 된다.

정수승멱은 십진법의 36 (62)이 100, 십진법의 216 (63)이 1000, 십진법의 1296 (64)이 10000이 된다. 100 (십진법 36) 이후의 숫자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십진법 56 = 132 (1×62 + 3×61 + 2)
  • 십진법 64 = 144 (1×62 + 4×61 + 4)
  • 십진법 81 = 213 (2×62 + 1×61 + 3)
  • 십진법 100 = 244 (2×62 + 4×61 + 4)
  • 십진법 108 = 300 (3×62)
  • 십진법 175 = 451 (4×62 + 5×61 + 1)
  • 십진법 180 = 500 (5×62)
  • 십진법 216 = 1000 (1×63)
  • 십진법 256 = 1104 (1×63 + 1×62 + 0×61 + 4)
  • 십진법 432 = 2000 (2×63)
  • 십진법 625 = 2521 (2×63 + 5×62 + 2×61 + 1)
  • 십진법 729 = 3213 (3×63 + 2×62 + 1×61 + 3)
  • 십진법 1000 = 4344 (4×63 + 3×62 + 4×61 + 4)
  • 십진법 1097 = 5025 (5×63 + 0×62 + 2×61 + 5)
  • 십진법 1296 = 10000 (1×64)
  • 십진법 1944 = 13000 (1×64 + 3×63)
  • 십진법 2000 = 13132 (1×64 + 3×63 + 1×62 + 3×61 + 2)
  • 십진법 5184 = 40000 (4×64)
  • 십진법 6561 = 50213 (5×64 + 0×63 + 2×62 + 1×61 + 3)
  • 십진법 7776 = 100000 (1×65)
  • 십진법 8019 = 101043 (1×65 + 0×64 + 1×63 + 0×62 + 4×61 + 3)
  • 십진법 27216 = 330000 (3×65 + 3×64)


육진법의 덧셈과 곱셈은 다음과 같다.

육진 덧셈
+012345
0012345
11234510
223451011
3345101112
44510111213
551011121314



육진 곱셈표
×012345
0000000
1012345
2024101214
30310132023
40412202432
50514233241



육진법에서 6은 10이므로, "10 ÷ 2 = 3", "10 ÷ 3 = 2"가 된다. 또한, "100 ÷ 3"과 "1000 ÷ 3"도 나눌 수 있으며, 각각 "1000 ÷ 3 = 200", "10000 ÷ 3 = 2000"이 된다.

다음은 육진법에서 거듭제곱을 나눈 예시이다.


  • 멱 지수가 2인 경우
  • * 100 ÷ 2 = 30 (십진법에서는 36 ÷ 2 = 18)
  • * 100 ÷ 3 = 20 (십진법에서는 36 ÷ 3 = 12)
  • * 100 ÷ 4 = 13 (십진법에서는 36 ÷ 4 = 9, 62 ÷ 22 = 32)
  • * 100 ÷ 10 = 10 (십진법에서는 36 ÷ 6 = 6)
  • * 100 ÷ 13 = 4 (십진법에서는 36 ÷ 9 = 4, 62 ÷ 32 = 22)
  • 멱 지수가 3인 경우
  • * 1000 ÷ 2 = 300 (십진법에서는 216 ÷ 2 = 108)
  • * 1000 ÷ 3 = 200 (십진법에서는 216 ÷ 3 = 72)
  • * 1000 ÷ 4 = 130 (십진법에서는 216 ÷ 4 = 54)
  • * 1000 ÷ 10 = 100 (십진법에서는 216 ÷ 6 = 36)
  • * 1000 ÷ 12 = 43 (십진법에서는 216 ÷ 8 = 27, 63 ÷ 23 = 33)
  • * 1000 ÷ 13 = 40 (십진법에서는 216 ÷ 9 = 24)
  • * 1000 ÷ 43 = 12 (십진법에서는 216 ÷ 27 = 8, 63 ÷ 33 = 23)
  • 멱 지수가 4인 경우
  • * 10000 ÷ 2 = 3000 (십진법에서는 1296 ÷ 2 = 648)
  • * 10000 ÷ 3 = 2000 (십진법에서는 1296 ÷ 3 = 432)
  • * 10000 ÷ 4 = 1300 (십진법에서는 1296 ÷ 4 = 324)
  • * 10000 ÷ 10 = 1000 (십진법에서는 1296 ÷ 6 = 216)
  • * 10000 ÷ 12 = 430 (십진법에서는 1296 ÷ 8 = 162)
  • * 10000 ÷ 13 = 400 (십진법에서는 1296 ÷ 9 = 144)
  • * 10000 ÷ 24 = 213 (십진법에서는 1296 ÷ 16 = 81, 64 ÷ 24 = 34)
  • * 10000 ÷ 43 = 120 (십진법에서는 1296 ÷ 27 = 48)
  • * 10000 ÷ 213 = 24 (십진법에서는 1296 ÷ 81 = 16, 64 ÷ 34 = 24)


육진법에서 사용하는 표준 집합은 \mathcal{D}_6 = \lbrace 0, 1, 2, 3, 4, 5\rbrace이며, 선형 순서는 0 < 1 < 2 < 3 < 4 < 5이다.

2. 1. 2. 배수 판정과 소수

육진법에서는 10이 2 × 3 이므로, 2나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많아 배수 판정이 쉽다.

  • 2의 배수: 일의 자리가 0, 2, 4 중 하나이다.
  • 3의 배수: 일의 자리가 0 또는 3이다.
  • 5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다. (십진법의 9의 배수 판정법과 유사)


십진법에서는 10이 2 × 5 이므로 1/5는 나누어 떨어지지만 1/3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반면 육진법에서는 10이 2 × 3 이므로 1/3은 나누어 떨어지지만 1/5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육진법에서 2와 3을 제외한 모든 소수는 마지막 자릿수가 1 또는 5이다. 3보다 큰 모든 소수 ''p''에 대해, ''p'' ≡ 1 또는 5 (mod 6) (즉, 6은 ''p'' − 1 또는 ''p'' − 5를 나눕니다)라는 모듈러 산술 관계가 성립하며, 마지막 자릿수는 1 또는 5이다.

육진법에서 소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된다.

: 2, 3, 5, 11, 15, 21, 25, 31, 35, 45, 51, 101, 105, 111, 115, 125, 135, 141, 151, 155, 201, 211, 215, 225, 241, 245, 251, 255, 301, 305, 331, 335, 345, 351, 405, 411, 421, 431, 435, 445, 455, 501, 515, 521, 525, 531, 551, ...

; 기본적인 배수 판정법

  • 2의 배수: 일의 자리가 2, 4, 0 중 하나이다.
  • 3의 배수: 일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 4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04, 12, 20, 24, 32, 40, 44, 52, 00 중 하나이다. (총 9가지 = 32)
  • 5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다.
  • 10 (6)의 배수: 일의 자리가 0이다.
  • 13 (9)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13, 30, 43, 00 중 하나이다. (총 4가지 = 22)
  • 14 (십진수 1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일의 자리가 2, 4, 0 중 하나이다.
  • 23 (십진수 15)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일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 100 (십진수 36)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00이다.


; 그 외의 숫자의 배수 판정법

  • 11 (7)의 배수: 두 자리 렙디지트.
  • 12 (8)의 배수: 아래 세 자리가 12의 배수 (012, 024, 040 … 532, 544, 000) 중 하나이다. (총 43(6)가지 = 33)
  • 20 (십진수 12)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20, 40, 00 중 하나이다.
  • 30 (십진수 18)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30 또는 00이다.
  • 32 (십진수 2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아래 두 자리가 04, 12, 20, 24, 32, 40, 44, 52, 00 중 하나이다.
  • 41 (십진수 25)의 배수: 일의 자리 이외의 수에서 일의 자리의 4배를 뺀 다음, 그 차이를 41로 나눈 나머지가 0이다.
  • 43 (십진수 27)의 배수: 아래 세 자리가 043, 130, 213, 300, 343, 430, 513, 000 중 하나이다. (총 8가지 = 23)
  • 50 (십진수 3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일의 자리가 0이다.
  • 140 (십진수 6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아래 두 자리가 20, 40, 00 중 하나이다.

2. 2. 소수

육진법에서 소수는 6의 음의 거듭제곱을 사용하여 표현한다. 즉, 6-1, 6-2, 6-3과 같이 6을 밑으로 하는 음의 지수를 이용하여 소수점 이하 자릿값을 나타낸다.

육진법은 십진법과 비교했을 때, 10의 절반이 3이 되므로 3의 배수를 표현하고 계산하기 쉽다. 예를 들어 십진법의 21은 육진법으로 33, 십진법의 27은 육진법으로 43으로 표현된다.

육진법에서 1/6은 0.1, 1/2은 0.3, 1/3은 0.2로 표현된다. 십진법에서는 1/3이 순환소수가 되지만, 육진법에서는 1/3이 유한소수로 표현된다. 이는 육진법의 10이 2와 3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반면, 1/5는 육진법에서 순환소수가 된다.

2. 2. 1. 소수의 자릿수

육진법에서 소수는 십진법 36분의 1 (6-2)이 0.01, 십진법 216분의 1 (6-3)이 0.001, 십진법 1296분의 1 (6-4)이 0.0001이 된다.

  • 십진법 10/36 = 0.14 (1 × 6-1 + 4 × 6-2)
  • 십진법 28/36 (약분하여 7/9) = 0.44 (2×6-1 + 1×6-2 + 3×6-3)
  • 십진법 81/216 (약분하여 3/8) = 0.213 (2×6-1 + 1×6-2 + 3×6-3)
  • 십진법 125/216 = 0.325 (3×6-1 + 2×6-2 + 5×6-3)
  • 십진법 567/1296 (십진법에서 약분하여 7/16) = 0.2343 (2×6-1 + 3×6-2 + 4×6-3 + 3×6-4)
  • 십진법 1024/1296 (십진법에서 약분하여 64/81) = 0.4424 (4×6-1 + 4×6-2 + 2×6-3 + 4×6-4)


육진법에서는 "5 + 1 = 10", "2 × 3 = 10"이므로 2와 3이라는 기본적인 숫자를 이용한 연산이 매우 용이하다. 소수의 자릿수는 0.1이 "6분의 1", 0.01은 "36분의 1", 0.001은 "216분의 1"이 된다.

2. 2. 2. 정수의 나눗셈

육진법에서의 정수 나눗셈은 100(십진법 36)이나 1000(십진법 216)과 같이 자릿수가 올라가는 거듭제곱수도 삼등분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10(육진법 6)의 거듭제곱 지수와 같은 2의 거듭제곱수와 3의 거듭제곱수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은 23과 33 모두로 나눌 수 있으며, 2와 3의 거듭제곱 지수가 같다.

; 100 ÷ 3 = 20

십진법에서는 100을 삼등분하거나 구등분(3-2)할 수 없지만, 육진법에서는 100(십진법 36)을 구등분할 수 있다. "100개의 만두"는 육진법에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이등분:100개 ÷ 2명 = 30개 (십진법 환산: 36개 ÷ 2명 = 18개)
  • 삼등분:100개 ÷ 3명 = 20개 (십진법 환산: 36개 ÷ 3명 = 12개)
  • 사등분:100개 ÷ 4명 = 13개 (십진법 환산: 36개 ÷ 4명 = 9개)
  • 육등분:100개 ÷ 10명 = 10개 (십진법 환산: 36개 ÷ 6명 = 6개)
  • 구등분:100개 ÷ 13명 = 4개 (십진법 환산: 36개 ÷ 9명 = 4개)


; 1000 ÷ 3 = 200

육진법의 "1000명"은 십진법으로 "216명"이다.

  • 이등분:1000명 ÷ 2 = 300명 (십진법 환산: 216명 ÷ 2 = 108명)
  • 삼등분:1000명 ÷ 3 = 200명 (십진법 환산: 216명 ÷ 3 = 72명)
  • 사등분:1000명 ÷ 4 = 130명 (십진법 환산: 216명 ÷ 4 = 54명)
  • 육등분:1000명 ÷ 10 = 100명 (십진법 환산: 216명 ÷ 6 = 36명)
  • 팔등분:1000명 ÷ 12 = 43명 (십진법 환산: 216명 ÷ 8 = 27명)
  • 구등분:1000명 ÷ 13 = 40명 (십진법 환산: 216명 ÷ 9 = 24명)
  • 이십칠등분:1000명 ÷ 43 = 12명 (십진법 환산: 216명 ÷ 27 = 8명)


; 10000 ÷ 3 = 2000

  • 이등분:10000 ÷ 2 = 3000 (십진법 환산: 1296 ÷ 2 = 648)
  • 삼등분:10000 ÷ 3 = 2000 (십진법 환산: 1296 ÷ 3 = 432)
  • 사등분:10000 ÷ 4 = 1300 (십진법 환산: 1296 ÷ 4 = 324)
  • 육등분:10000 ÷ 10 = 1000 (십진법 환산: 1296 ÷ 6 = 216)
  • 팔등분:10000 ÷ 12 = 430 (십진법 환산: 1296 ÷ 8 = 162)
  • 구등분:10000 ÷ 13 = 400 (십진법 환산: 1296 ÷ 9 = 144)
  • 십육등분:10000 ÷ 24 = 213 (십진법 환산: 1296 ÷ 16 = 81)
  • 이십칠등분:10000 ÷ 43 = 120 (십진법 환산: 1296 ÷ 27 = 48)
  • 팔십일등분:10000 ÷ 213 = 24 (십진법 환산: 1296 ÷ 81 = 16)


육진법에서는 다섯으로 나누었을 때 순환소수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2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최소의 수가 6이므로, 3의 거듭제곱수인 아홉(육진법 13)이나 스물일곱(육진법 43)으로 나누어도 순환소수가 되지 않고 나누어 떨어진다.

2. 2. 3. 소수를 포함한 나눗셈

육진법에서는 6분의 1을 "0.1"로 표현한다. 십진법의 9는 육진법으로 13 (1×6 + 3), 십진법 10은 14 (1×6 + 4), 십진법 12는 20 (2×6), 십진법 16은 24 (2×6 + 4)로 나타낸다.

육진법에서 1/2는 "0.3", 1/3는 "0.2"가 된다. 십진법에서는 1/3이 나누어 떨어지지 않지만, 육진법에서는 1/3이 나누어 떨어진다. 육진법의 "10"은 2와 3의 곱이므로 1/3은 나눌 수 있는 반면, 1/5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1/4은 0.13이 되고, 소수점 이하 2자리에서 분자가 9 (= 13)가 된다. 2와 3의 멱지수가 동일하므로, 1/8 (= 1/12)은 0.043, 1/27(10) (= 1/43)은 0.012와 같이, 2n의 역수는 3n이 되고, 3n의 역수는 2n이 된다.

육진법에서는 "10-1 = 5"이므로, 순환마디는 짧다. 52의 역수는 순환마디가 5 (51) 자리이다.

주요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2 = 0.3
  • 1/3 = 0.2
  • 2/3 = 0.4
  • 1/4 = 0.1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9/36)
  • 3/4 = 0.4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7/36)
  • 1/5 = 0.1111…
  • 1/9 = 1/13 = 0.0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4/36)


소수 2자리가 되는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12(10) = 1/20 = 0.0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3/36)
  • 1/18(10) = 1/30 = 0.0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36)


소수 3자리가 되는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8 = 1/12 = 0.043 (2-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7/216)
  • 1/27(10) = 1/43 = 0.012 (3-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8/216)


육진법에서는 100이나 1000과 같이 자릿수가 올라가는 거듭제곱수도 1/3로 나눌 수 있으며, 2의 거듭제곱수와 3의 거듭제곱수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은 23과 33 모두로 나눌 수 있다.

육진법에서 "100개의 만두"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이등분: 100개 ÷ 2명 = 30개 → 십진법 환산값은 "36개 ÷ 2명 = 18개"
  • 삼등분: 100개 ÷ 3명 = 20개 → 십진법 환산값은 "36개 ÷ 3명 = 12개"
  • 사등분: 100개 ÷ 4명 = 13개 → 십진법 환산값은 "36개 ÷ 4명 = 9개"
  • 육등분: 100개 ÷ 10명 = 10개 → 십진법 환산값은 "36개 ÷ 6명 = 6개"
  • 구등분: 100개 ÷ 13명 = 4개 → 십진법 환산값은 "36개 ÷ 9명 = 4개"


육진법에서는 2와 3의 거듭제곱 지수가 같으므로, 16분할(2-4)과 마찬가지로 81분할(3-4)도 용이하다.

2. 2. 4. 소수표

주요 분수
분수육진 소수
1/20.3
1/30.2
2/30.4
1/40.1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9/36)
3/40.4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7/36)
1/50.1111…
2/50.2222…
3/50.3333…
4/50.4444…
1/9 = 1/130.0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4/36)
2/9 = 2/130.1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8/36)
4/9 = 4/130.2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6/36)
5/9 = 5/130.3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0/36)
7/9 = 11/130.4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8/36)
8/9 = 12/130.5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32/36)


2. 3. 사칙 연산

육진법의 사칙 연산은 십진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지만, 자릿값이 6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이 다르다.

  • 십진법 5 + 5 = 10은 육진법에서는 5 + 5 = 14가 된다.
  • 십진법 21 + 9 = 30은 육진법에서는 33 + 13 = 50이 된다.
  • 십진법 1944 + 56 = 2000은 육진법에서는 13000 + 132 = 13132가 된다.
  • 십진법 444 - 12 = 432는 육진법에서는 2020 - 20 = 2000이 된다.
  • 십진법 81 × 16 = 1296은 육진법에서는 213 × 24 = 10000이 된다.
  • 십진법 36 ÷ 4 = 9는 육진법에서는 100 ÷ 4 = 13이 된다.
  • 십진법 100 ÷ 4 = 25는 육진법에서는 244 ÷ 4 = 41이 된다.


육진 덧셈
+012345
0012345
11234510
223451011
3345101112
44510111213
551011121314



육진 곱셈표
×012345
0000000
1012345
2024101214
30310132023
40412202432
50514233241



십진법과 비교했을 때 35의 위치가 역전될 뿐만 아니라 9(=13(6)=32)와 5의 위치도 역전된다. 더 나아가 2와 3의 지수가 같으므로 2의 거듭제곱과 3의 거듭제곱이 동등한 위치를 차지한다.

3. 멱승수

육진법에서 6의 거듭제곱은 십진법의 36, 216, 1296 등과 같이 표현된다. 6의 거듭제곱은 "2n × 3n = 10n"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육진법에서는 10, 100, 1000, 10000과 같이 자릿수가 올라간다.


  • 십진법 36 (62) = 100
  • 십진법 216 (63) = 1000
  • 십진법 1296 (64) = 10000
  • 십진법 7776 (65) = 100000
  • 십진법 46656 (66) = 1000000


육진법과 십진법은 "10이 두 가지 소수의 곱"이라는 공통점이 있어, 멱승수 계산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특히 "십의 3n 제곱 (143n)"과 "육의 4n 제곱 (104n)"은 매우 가까운 값을 가진다.

육의 멱승수
멱 지수육진법십진법십이진법이십진법
110666
210036301G
31,000216160AG
410,0001,29690034G
5100,0007,7764,600J8G
101,000,00046,65623,0005,GCG
1110,000,000279,936116,0001E,JGG
12100,000,0001,679,616690,000A9,J0G
131,000,000,00010,077,6963,460,00032J,E4G
1410,000,000,00060,466,17618,300,000IHI,58G
15100,000,000,000362,797,056A1,600,0005,D79,CCG
201,000,000,000,0002,176,782,336509,000,0001E,04H,FGG
2110,000,000,000,00013,060,694,0162,646,000,000A4,196,F0G
22100,000,000,000,00078,364,164,09613,230,000,000314,8G0,A4G
231,000,000,000,000,000470,184,984,57677,160,000,000I76,CG3,18G
2410,000,000,000,000,0002,821,109,907,456396,900,000,0005,A3J,GGI,8CG
25100,000,000,000,000,00016,926,659,444,7361,A94,600,000,0001D,13J,11A,BGG
301,000,000,000,000,000,000101,559,956,668,416B,483,000,000,0009I,73E,693,B0G



멱승수 표
지수1234510111213141520
2241224521443321104221244241325230544
3313432131043321314043502132310431133213344404315220213
5541325252122245200201140140512212241105510125545151121450232004540120440401


4. 분할 가능성

육진법에서는 2나 3으로 나누어떨어지는 수와 그렇지 않은 수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


  • 2의 배수는 1의 자리가 0, 2, 4 중 하나이다.
  • 3의 배수는 1의 자리가 0 또는 3이다.
  • 4의 배수는 끝에서 두 번째 자릿수가 홀수이고 마지막 자릿수가 2이거나, 끝에서 두 번째 자릿수가 짝수이고 마지막 자릿수가 0 또는 4여야 한다.
  • 5의 배수는 자릿수의 합이 5로 나누어떨어져야 한다. (이는 십진법의 9의 검산법과 유사하다.)
  • 6의 배수는 1의 자리가 0이다.
  • 7의 배수는 자릿수를 번갈아 더하고 뺀 값이 7로 나누어떨어져야 한다. (이는 십진법의 11 나눗셈 조건과 유사하다.)


육진법에서 소수(2와 3을 제외)는 마지막 자릿수가 1 또는 5이다. 이는 3보다 큰 모든 소수 ''p''에 대해 ''p'' ≡ 1 또는 5 (mod 6) 관계가 성립하기 때문이다. 또한, 6을 제외한 모든 짝수 완전수는 육진법으로 표현했을 때 마지막 두 자릿수가 44이다.

육진법은 1과 ''r'' − 1을 제외한 다른 토티브를 갖지 않는 가장 큰 밑수 ''r''이며, 이로 인해 곱셈표가 매우 규칙적이다.

십진법에서는 1/3이 나누어떨어지지 않지만, 육진법에서는 10의 거듭제곱과 2의 거듭제곱 모두를 삼분할 할 수 있다. 반면 육진법에서는 1/5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십이진법이 "자릿수의 절감"과 "4의 이슈"에 중점을 두는 반면, 육진법은 "2와 3을 동등하게 취급"과 "5의 이슈"에 중점을 둔다.

4. 1. 정수

육진법에서는 6을 10으로 표기하므로, 6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면 1의 자리가 0이 된다. 마찬가지로, 2로 나누었을 때는 1의 자리가 0, 2, 4 중 하나가 되고, 3으로 나누었을 때는 1의 자리가 0 또는 3이 된다.

  • 2의 배수: 1의 자리가 0, 2, 4
  • 3의 배수: 1의 자리가 0, 3
  • 6의 배수: 1의 자리가 0


예를 들어 십진법 21은 육진법으로 33, 십진법 27은 육진법으로 43으로 표기되어 3의 배수는 1의 자리가 3 또는 0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8] 십진법 10은 육진법으로 14, 십진법 16은 육진법으로 24, 십진법 25는 육진법으로 41이 되며, 3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는 1의 자리에 3의 배수가 오지 않는다.[9]

4. 2. 소수

육진법에서 소수 (기수법)는 십진법 36분의 1 (6-2)이 0.01, 십진법 216분의 1 (6-3)이 0.001, 십진법 1296분의 1 (6-4)이 0.0001이 된다.

  • 십진법 10/36 = 0.14 (1 × 6-1 + 4 × 6-2)
  • 십진법 28/36 (약분하여 7/9) = 0.44 (2×6-1 + 1×6-2 + 3×6-3)
  • 십진법 81/216 (약분하여 3/8) = 0.213 (2×6-1 + 1×6-2 + 3×6-3)
  • 십진법 125/216 = 0.325 (3×6-1 + 2×6-2 + 5×6-3)
  • 십진법 567/1296 (십진법에서 약분하여 7/16) = 0.2343 (2×6-1 + 3×6-2 + 4×6-3 + 3×6-4)
  • 십진법 1024/1296 (십진법에서 약분하여 64/81) = 0.4424 (4×6-1 + 4×6-2 + 2×6-3 + 4×6-4)


육진법에서는 1/5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5 + 1 = 10", "2×3 = 10"이므로, 2와 3이라는 기본적인 수치에 의한 연산은 매우 용이하다. 십이진법 (3×4 = 10)과 이십진법 (4×5 = 10)이 "자릿수의 절감"과 "4의 이슈"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육진법은 "2와 3을 동등하게 취급"과 "5의 이슈"에 중점을 두고 있다.

나뉘어 떨어지지 않는 소수에 대해서도 십진법에서는 1/3, 1/9, 1/33(= 1/27(10))에서 101(6) = 37(10)의 배수가 나타나는 반면, 육진법에서는 1/5와 1/7 (= 1/11(6))에서 101(6) = 37(10)의 배수가 나타난다.

주요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2 = 0.3
  • 1/3 = 0.2
  • 2/3 = 0.4
  • 1/4 = 0.13 (십진법으로 환산해 9/36)
  • 3/4 = 0.43 (십진법으로 환산해 27/36)
  • 1/5 = 0.1111…
  • 2/5 = 0.2222…
  • 3/5 = 0.3333…
  • 4/5 = 0.4444…
  • 1/9 = 1/13 = 0.04 (십진법으로 환산해 4/36)
  • 2/9 = 2/13 = 0.12 (십진법으로 환산해 8/36)
  • 4/9 = 4/13 = 0.24 (십진법으로 환산해 16/36)
  • 5/9 = 5/13 = 0.32 (십진법으로 환산해 20/36)
  • 7/9 = 11/13 = 0.44 (십진법으로 환산해 28/36)
  • 8/9 = 12/13 = 0.52 (십진법으로 환산해 32/36, 9/10(10) = 13/14 = 0.52222…의 근사치)


소수 2자리가 될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12(10) = 1/20 = 0.03 (십진법으로 환산해 3/36)
  • * 5/12(10) = 5/20 = 0.23 (십진법으로 환산해 15/36)
  • * 7/12(10) = 11/20 = 0.33 (십진법으로 환산해 21/36)
  • * 11/12(10) = 15/20 = 0.53 (십진법으로 환산해 33/36)
  • 1/18(10) = 1/30 = 0.02 (십진법으로 환산해 2/36)
  • * 5/18(10) = 5/30 = 0.14 (십진법으로 환산해 10/36)
  • * 11/18(10) = 15/30 = 0.34 (십진법으로 환산해 22/36)
  • * 13/18(10) = 21/30 = 0.42 (십진법으로 환산해 26/36)


소수 3자리가 될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8 = 1/12 = 0.043 (2-3, 십진법으로 환산해 27/216)
  • * 3/8 = 3/12 = 0.213 (십진법으로 환산해 81/216)
  • * 5/8 = 5/12 = 0.343 (십진법으로 환산해 135/216)
  • * 7/8 = 11/12 = 0.513 (십진법으로 환산해 189/216)
  • 1/27(10) = 1/43 = 0.012 (3-3, 십진법으로 환산해 8/216)
  • * 8/27(10) = 12/43 = 0.144 (십진법으로 환산해 64/216, 3/10(10) = 3/14 = 0.14444…의 근사치)
  • * 11/27(10) = 15/43 = 0.224 (십진법으로 환산해 88/216, 4/10(10) = 2/5 = 0.2222…의 근사치)
  • * 16/27(10) = 24/43 = 0.332 (십진법으로 환산해 128/216, 6/10(10) = 3/5 = 0.3333…의 근사치)
  • * 19/27(10) = 31/43 = 0.412 (십진법으로 환산해 152/216, 7/10(10) = 11/14 = 0.41111…의 근사치)


이 외의 육진법에서의 소수 및 분수 계산 예시는 다음과 같다.

  • 72 ÷ 2
  • * 십진법 : 49 ÷ 2 = 24.5
  • * 육진법 : 121 ÷ 2 = 40.3 {육진법 40. 3 = 십진법으로 환산해 24 + (1/2) }
  • * 육진법 : 121 × 0.3 = 40.3
  • 72 ÷ 4 (제수가 22)
  • * 십진법 : 49 ÷ 4 = 12.25
  • * 육진법 : 121 ÷ 4 = 20.13 {육진법 20.13 = 십진법으로 환산해 12 + (9 / 36) = 12 + (1/4) }
  • * 육진법 : 121 × 0.13 = 20.13
  • 72 ÷ 8 (제수가 23)
  • * 십진법 : 49 ÷ 8 = 6.125
  • * 육진법 : 121 ÷ 12 = 10.043 {육진법 10.043 = 십진법으로 환산해 6 + (27 / 216) = 6 + (1/8) }
  • * 육진법 : 121 × 0.043 = 10.043
  • 의 1/3 (제수가 3)
  • * 십진법 : 100 ÷ 3 = 33.3333…
  • * 육진법 : 244 ÷ 3 = 53.2 {육진법 53.2 = 십진법으로 환산해 33 + (1/3) }
  • * 육진법 : 244 × 0.2 = 53.2
  • 의 1/9 (제수가 32)
  • * 십진법 : 100 ÷ 9 = 11.1111…
  • * 육진법 : 244 ÷ 13 = 15.04 {육진법 53.2 = 십진법으로 환산해 11 + (4/36) = 11 + (1/9) }
  • * 육진법 : 244 × 0.04 = 15.04
  • 의 1/27(10) (제수가 33)
  • * 십진법 : 100 ÷ 27 = 3.703
  • * 육진법 : 244 ÷ 43 = 3.412 {육진법 3.412 = 십진법으로 환산해 3 + (152/216) = 3 + (19/27) }
  • * 육진법 : 244 × 0.012 = 3.412
  • 의 2/3
  • * 십진법 : 1000 × (2/3) = 666.6666…
  • * 육진법 : 4344 × 0.4 = 3030.4 {육진법 3030.4 = 십진법으로 환산해 666 + (4/6) = 666 + (2/3) }
  • 의 4/9
  • * 십진법 : 1000 × (4/9) = 444.4444…
  • * 육진법 : 4344 × (4/13) = 2020.24 {육진법 2020.24 = 십진법으로 환산해 444 + (16/36) = 444 + (4/9) }
  • * 육진법 : 4344 × 0.24 = 2020.24
  • 26 ÷ 3 (육십사의 1/3)
  • * 팔진법 : 100 ÷ 3 = 25.2525…
  • * 십진법 : 64 ÷ 3 = 21.3333…
  • * 육진법 : 144 ÷ 3 = 33.2 {육진법 33.2 = 십진법으로 환산해 21 + (1/3) }
  • 26 ÷ 5 (육십사의 1/5)
  • * 팔진법 : 100 ÷ 5 = 14.6314
  • * 십진법 : 64 ÷ 5 = 12.8
  • * 육진법 : 144 ÷ 5 = 20.4444…
  • 44 ÷ 33 (이백 오십육의 1/27(10))
  • * 십육진법 : 100 ÷ 1B = 9.7B425ED09
  • * 십진법 : 256 ÷ 27 = 9.481
  • * 육진법 : 1104 ÷ 43 = 13.252 {육진법 13.252 = 십진법으로 환산해 9 + (104/216) = 9 + (13/27) }
  • 44 ÷ 52 (이백 오십육의 1/25(10))
  • * 십육진법 : 100 ÷ 19 = A.3D70A
  • * 십진법 : 256 ÷ 25 = 10.24 {십진법 10.24 = 십진법로 환산해 10 + (24/100) = 10 + (6/25) }
  • * 육진법 : 1104 ÷ 41 = 14.12350
  • 93 ÷ 42 (= 36 ÷ 24)
  • * 십진법 : 729 ÷ 16 = 45.5625 {십진법 45 + (5625 / 10000) = 45 + (9/16) }
  • * 육진법 : 3213 ÷ 24 = 113.3213 {육진법 113.3213 = 십진법로 환산해 45 + (729 / 1296) = 45 + (9/16) }
  • 82 ÷ 92 (= 26 ÷ 34)
  • * 십진법 : 64 ÷ 81 = 0.790123456
  • * 육진법 : 144 ÷ 213 = 0.4424 {육진법 0.4424 = 십진법로 환산해 1024 / 1296 = 64 / 81}
  • 십진법 79 %
  • * 십진법 : 79 ÷ 100 = 0.79
  • * 육진법 : 211 ÷ 244 = 0.4423501
  • 육진법 35 "%6" (육진 백분율, 즉 삼십육 분의 몇개)
  • * 십진법 : 23 ÷ 36 = 0.638888…
  • * 육진법 : 35 ÷ 100 = 0.35
  • 52 ÷ 26 (육진법 52 ÷ 210)
  • * 십진법 : 25 ÷ 64 = 0.390625 {십진법 390625 / 1000000 = 25 / 64}
  • * 육진법 : 41 ÷ 144 = 0.220213 {육진법 220213 / 1000000 = 십진법로 환산해 18225 / 46656 = 25 / 64}
  • (53×4) ÷ 36 (육진법 (53×4) ÷ 310)
  • * 십진법 : 500 ÷ 729 = 0.685871056241…
  • * 육진법 : 2152 ÷ 3213 = 0.404052 {육진법 404052 / 1000000 = 십진법로 환산해 32000 / 46656 = 500 / 729 }


육진법과 십진법의 단위 분수는 다음과 같다.

육진법과 십진법의 단위 분수
소인수 분해육진 분수육진 소수십진 소수십진 분수
21/20.30.51/2
31/30.20.3333…1/3
221/40.130.251/4
51/50.1111…0.21/5
2×31/100.10.1666…1/6
111/110.0505…0.1428571/7
231/120.0430.1251/8
321/130.040.1111…1/9
2×51/140.0333…0.11/10
151/150.03134524210.0909…1/11
22×31/200.030.08333…1/12
3×51/230.0222…0.0666…1/15
241/240.02130.06251/16
2×321/300.020.0555…1/18
22×51/320.01444…0.051/20
23×31/400.0130.041666…1/24
521/410.012350.041/25
331/430.0120.0371/27
251/520.010430.031251/32
22×321/1000.010.02777…1/36
23×51/1040.005222…0.0251/40
24×31/1200.00430.0208333…1/48
2×521/1220.0041530.021/50
2×331/1300.0040.01851/54
2101/1440.0032130.0156251/64
23×321/2000.0030.013888…1/72
24×51/2120.0024111…0.01251/80
341/2130.00240.0123456791/81
25×31/2400.002130.01041666…1/96
22×521/2440.00205430.011/100
22×331/3000.0020.009251/108
531/3250.00142112532240433515450310.0081/125
2111/3320.00140430.00781251/128
24×321/4000.00130.0069444…1/144
25×51/4240.00120333…0.006251/160
2×341/4300.00120.00617283951/162
210×31/5200.0010430.005208333…1/192
23×521/5320.001025140.0051/200
23×331/10000.0010.0046291/216



※ 소인수분해는 육진 표기.

육진법은 이분할과 삼분할, 사분할과 구분할(2-2과 3-2), 팔분할(2-3)과 이십칠분할(3-3) 등 2와 3의 거듭제곱으로 나누기가 편리하다.

4. 2. 1. 계산 예

육진법에서의 계산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십진법 "5 + 5 = 10"은 육진법에서 "5 + 5 = 14"이다.
  • 십진법 "21 + 9 = 30"은 육진법에서 "33 + 13 = 50"이다.
  • 십진법 "1944 + 56 = 2000"은 육진법에서 "13000 + 132 = 13132"이다.
  • 십진법 "444 - 12 = 432"는 육진법에서 "2020 - 20 = 2000"이다.
  • 십진법 "81 × 16 = 1296"은 육진법에서 "213 × 24 = 10000"이다.
  • 십진법 "36 ÷ 4 = 9"는 육진법에서 "100 ÷ 4 = 13"이다.
  • 십진법 "100 ÷ 4 = 25"는 육진법에서 "244 ÷ 4 = 41"이다.


육진법에서 1/6은 "0.1"이므로, 1/2은 "0.3"이고 1/3은 "0.2"가 되어, 1/3은 분할 가능한 소수 (기수법)가 된다.

십진법에서 "10"인 소수 (수론) 25의 곱이므로, 1/5은 나누어 떨어지지만, 1/3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육진법의 "10"인 은 소수 2와 3의 곱이므로 1/3은 나눌 수 있지만, 1/5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 "5 + 1 = 10", "2×3 = 10"이므로, 2와 3이라는 기본적인 수치에 의한 연산은 매우 용이하다.

육은 2로는 나누어 떨어지지만 4로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1/4은 0.13이 되고, 소수점 이하 2자리에서 분자가 9 (= 13)가 된다. 마찬가지로, 1/9 (= 1/13)도 0.04가 된다. 2와 3의 멱 지수가 같으므로 1/8 (= 1/12)은 0.043, 1/27(10) (= 1/43)은 0.012와 같이, 2n의 역수는 3n이 되고, 3n의 역수는 2n이 된다.

또한, 육진법은 "10-1 = 5", 십진법은 "10-1 = 32"이므로 양쪽 모두 나눌 수 없는 소수(육진법은 5, 십진법은 3)의 순환 절은 짧다.

육진 덧셈
+012345
0012345
11234510
223451011
3345101112
44510111213
551011121314



육진 곱셈표
×012345
0000000
1012345
2024101214
30310132023
40412202432
50514233241


5. 손가락으로 세는 방법

육진법은 손가락으로 수를 세는 방법이 간단하다. 주먹을 쥔 상태를 0으로 하여 한 손으로 0부터 5까지 여섯 개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자리 수를 계산할 때는 오른손을 "1의 자리", 왼손을 "6의 자리"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왼손으로 "4", 오른손으로 "3"을 표현하면, 육진법으로 '''43'''이 되는데, 이는 십진법의 27(4 × 6 + 3)에 해당한다.[1]

육진법 4
육진법 3


육진법 43 = 십진법 27

이 방법을 사용하면 양손으로 십진법 35(육진법 55)까지 표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손가락셈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십진법 10보다 훨씬 큰 수이다. 또한, 1.1(7/6)이나 1.2(8/6=4/3)와 같은 띠소수와 가분수도 표현할 수 있다. 십진법에서는 10을 3이나 4로 나눌 수 없지만, 육진법에서는 6을 3으로 나눌 수 있고, 양손을 사용하면 36(육진법 100)을 4나 9(육진법 13)로 나눌 수 있다.[1]

육진법 2


육진법 32(6)는 20(10). 32를 "삼육이"로 센다. 소수 0.32는 (20/36)10=(5/9)10을 나타낸다.

NCAA 대학농구에서는 선수들의 유니폼 번호를 최대 두 자릿수의 육진법 숫자로 제한하는데, 심판은 이 손가락셈 시스템을 사용하여 반칙을 한 선수를 알릴 수 있다.[1]

어떤 손을 '6의 자리'로, 어떤 손을 '1의 자리'로 사용할지는 세는 사람의 선호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세는 사람의 관점에서 왼손을 최상위 자릿수로 사용하는 것이 육진법 숫자의 기록된 표현과 일치한다. '6의 자리' 손을 뒤집어서 반대쪽을 보이게 하면 어떤 손이 '6의 자리'이고 어떤 손이 '1의 자리'인지 더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육진법 셈의 단점은 사전에 약속이 없으면 두 사람이 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어떤 손이 6의 자리를 나타내고 어떤 손이 1의 자리를 나타내는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십진법 기반 셈(5를 넘는 숫자는 손바닥을 펴고 추가적인 손가락을 사용하여 표현)은 기본적으로 일의 수 체계이므로, 상대방이 펼친 손가락의 수만 세면 된다.[1]

6. 소수 (수론)와 배수

육진법에서 5 다음의 수는 6이므로 "10"으로 표현되고, 1/6은 "0.1"로 표현된다. 주사위와 같이 6개 세트로 된 물건에 사용되는 계산 방법이며, 9는 "13"(1×6 + 3), 십진법10은 "14"(1×6 + 4), 십진법의 12는 "20"(2×6), 십진법의 16은 "24"(2×6 + 4)로 표현된다.

육진법에서는 6이 10이 되므로, "10의 절반은 3"이 된다. 따라서 3의 배수는 1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십진법의 21은 "33", 십진법의 27은 "43"이 되어 3의 배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십진법에서는 10이 소수 (수론) 25의 곱이므로 1/5는 나누어떨어지지만, 1/3은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육진법에서는 6이 소수 2와 3의 곱이므로 1/3은 나누어떨어지는 반면, 1/5는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십진법과 육진법은 35의 입장이 반대이므로, 육진법에서 11 () 이후의 소수는 1의 자리가 1 또는 5 중 하나가 된다.

육진법은 "2와 3을 동등하게 취급"하고 "5의 이슈"에 중점을 둔다는 특징이 있다.

6. 1. 배수 판정법

육진법에서는 10의 절반이 3이므로, 3의 배수는 1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십진법의 21은 "33", 3의 세제곱인 십진법 27은 "43"으로 표기되어 3의 배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수사 (품사)십이는 "''이육''"(2×6), 십팔은 "''세육''"(3×6), 십오는 "''이육삼''"(2×6 + 3), 이십일은 "''삼육삼''"(3×6 + 3), 이십칠은 "''사육삼''"(4×6 + 3)과 같이 표현된다. 반면 3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인 은 "''육사''"(6 + 4), 십육은 "''이육사''"(2×6 + 4), 이십오는 "''사육일''"(4×6 + 1)처럼 1의 자리에 3의 배수가 오지 않는다.

육진법은 십진법과 비교했을 때, 35의 입장이 반대이다. 육진법에서 11 () 이후의 소수 (수론)는 1의 자리가 1 또는 5 중 하나이다. 1의 자리가 3이면 3의 배수이고, 3을 제외하면 소수가 될 수 없다.

육진법에서는 23의 배수를 쉽게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의 배수 판정도 가능하다. 십진법에서는 5n×3과 5n×32의 배수 판정이 가능한 반면, 육진법에서는 3n이나 3n×5의 배수 판정이 가능하다. 또한, 2n과 2n×5의 배수는 십진법에서는 5n가지이지만, 육진법에서는 3n가지이다.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소수의 경우, 십진법에서는 1/3, 1/9, 1/33(= 1/27(10))에서 101(6) = 37(10)의 배수가 나타나는 반면, 육진법에서는 1/5와 1/7 (= 1/11(6))에서 101(6) = 37(10)의 배수가 나타난다. 실제로 십진법 999 (= 육진법 4343)와 육진법 5555 (= 십진법 1295)는 모두 101(6) = 37(10)의 배수이다.

육진법에서 주요 분수는 다음과 같다.

  • 1/2 = 0.3
  • 1/3 = 0.2
  • 2/3 = 0.4
  • 1/4 = 0.1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9/36)
  • 3/4 = 0.4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7/36)
  • 1/5 = 0.1111…
  • 2/5 = 0.2222…
  • 3/5 = 0.3333…
  • 4/5 = 0.4444…
  • 1/9 = 1/13 = 0.0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4/36)
  • 2/9 = 2/13 = 0.1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8/36)
  • 4/9 = 4/13 = 0.2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6/36)
  • 5/9 = 5/13 = 0.3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0/36)
  • 7/9 = 11/13 = 0.4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8/36)
  • 8/9 = 12/13 = 0.5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32/36, 9/10(10) = 13/14 = 0.52222…의 근사치)
  • 1/12(10) = 1/20 = 0.0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3/36)
  • 5/12(10) = 5/20 = 0.2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5/36)
  • 7/12(10) = 11/20 = 0.3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1/36)
  • 11/12(10) = 15/20 = 0.5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33/36)
  • 1/18(10) = 1/30 = 0.0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36)
  • 5/18(10) = 5/30 = 0.1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0/36)
  • 11/18(10) = 15/30 = 0.3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2/36)
  • 13/18(10) = 21/30 = 0.4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6/36)
  • 1/8 = 1/12 = 0.043 (2-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27/216)
  • 3/8 = 3/12 = 0.21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81/216)
  • 5/8 = 5/12 = 0.34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35/216)
  • 7/8 = 11/12 = 0.51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89/216)
  • 1/27(10) = 1/43 = 0.012 (3-3,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8/216)
  • 8/27(10) = 12/43 = 0.14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64/216, 3/10(10) = 3/14 = 0.14444…의 근사치)
  • 11/27(10) = 15/43 = 0.224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88/216, 4/10(10) = 2/5 = 0.2222…의 근사치)
  • 16/27(10) = 24/43 = 0.33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28/216, 6/10(10) = 3/5 = 0.3333…의 근사치)
  • 19/27(10) = 31/43 = 0.412 (십진법으로 환산하면 152/216, 7/10(10) = 11/14 = 0.41111…의 근사치)

6. 1. 1. 한 자리

육진법에서 수를 나타낼 때, 한 자리 수는 그 수의 배수를 판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0: 2와 3으로 나누어떨어진다. (6의 배수)
  • 1 또는 5: 2와 3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 2 또는 4: 2로는 나누어떨어지지만, 3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는다.
  • 3: 2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지만, 3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로 나타낼 수 있다.

일의 자리로 판정
일의 자리가 02와 3으로 나누어떨어짐(6의 배수)
일의 자리가 1 또는 52와 3으로 모두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일의 자리가 2 또는 42로 나누어떨어지지만, 3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일의 자리가 32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지만, 3으로 나누어떨어짐



육진법에서는 2와 3을 제외한 모든 소수는 마지막 자릿수가 1 또는 5이다. 예를 들어 십진법의 7은 육진법으로 11, 십진법의 11은 육진법으로 15이다.

6. 1. 2. 기본적인 배수 판정법


  • 2의 배수: 일의 자리가 2, 4, 0 중 하나이다.
  • 3의 배수: 일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 4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04, 12, 20, 24, 32, 40, 44, 52, 00 중 하나이다. (총 9가지 = 32가지)
  • 5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다.
  • 10 (6)의 배수: 일의 자리가 0이다.
  • 13 (9)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13, 30, 43, 00 중 하나이다. (총 4가지 = 22가지)
  • 14 (십진수 1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일의 자리가 2, 4, 0 중 하나이다.
  • 23 (십진수 15)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일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 100 (십진수 36)의 배수: 아래 두 자리가 00이다.

6. 1. 3. 그 외의 숫자의 배수 판정법

육진법에서 특정 숫자의 배수를 판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1 (십진법 7)의 배수: 2자리 렙디지트 숫자이거나, 2자리 렙디지트에 0이 여러 개 붙은 수이다. (예: 220 (십진법 84), 3311 (십진법 763))
  • 12 (십진법 8)의 배수: 아래 3자리가 12의 배수인 {012, 024, 040, ..., 532, 544, 000} 중 하나이다. 총 43(6) (십진법 27)가지 경우가 있다. (예: 1224 (십진법 304))
  • 20 (십진법 12)의 배수: 아래 2자리가 20, 40, 00 중 하나이다. (예: 3440 = 580(12) = 816(10))
  • 24 (십진법 16)의 배수: 아래 4자리가 24의 배수이다. 총 213(6) (십진법 81)가지 경우가 있다. (예: 12544 = 1936(10))
  • 30 (십진법 18)의 배수: 아래 2자리가 30 또는 00이다.
  • 32 (십진법 2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아래 2자리가 {04, 12, 20, 24, 32, 40, 44, 52, 00} 중 하나이다. (예: 13204 = 510(20) = 2020(10))
  • 40 (십진법 24)의 배수: 일의 자리가 0이고, 아래 3자리 중 1의 자리와 6의 자리에 해당하는 두 자리 수가 {04, 12, 20, 24, 32, 40, 44, 52, 00} 중 하나이다. (예: 1520 = 408(10))
  • 41 (십진법 25)의 배수: '일의 자리 이외의 수'에서 '일의 자리의 4배'를 뺀 값이 0이거나 41로 나누어 떨어진다. (예: 13051 = 1975(10))
  • 43 (십진법 27)의 배수: 아래 3자리가 {043, 130, 213, 300, 343, 430, 513, 000} 중 하나이다. (예: 1213 = 297(10))
  • 50 (십진법 3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일의 자리가 0이다.
  • 104 (십진법 4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아래 3자리가 12의 배수이다. 총 43(6) (십진법 27)가지 경우가 있다. (예: 2012 = 440(10))
  • 140 (십진법 60)의 배수: 각 자리 숫자의 합이 5의 배수이고, 아래 2자리가 {20, 40, 00} 중 하나이다. (예: 13100 = 1980(10))
  • 213 (십진법 81)의 배수: 아래 4자리가 213의 배수이다. 총 24(6) (십진법 16)가지 경우가 있다. (예: 14043 = 2187(10))
  • 244 (십진법 100)의 배수: '일의 자리 이외의 수'에서 '일의 자리의 4배'를 뺀 값이 0이거나 41로 나누어 떨어지고, 아래 2자리가 4의 배수이다. (예: 3412 = 800(10))

7. 수학적 성질

육진법은 5 다음인 6을 "10"으로, 6분의 1을 "0.1"로 표현하는 기수법이다. 주사위와 같이 6개 세트로 된 물건을 셀 때 유용하게 사용되며, 9는 "13"(1×6 + 3), 십진법10은 "14"(1×6 + 4), 십진법의 12는 "20"(2×6), 십진법의 16은 "24"(2×6 + 4)로 표현한다.

이 10이 되므로, 육진법에서는 "10의 절반은 3"이 된다. 따라서 3의 배수는 의 자리가 3 또는 0이다. 예를 들어 십진법 21은 "33", 3의 3제곱인 십진법 27은 "43"으로 표현되어, 3의 배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수사 (품사) 역시 십이는 "''이육''"(2×6), 십팔은 "''세육''"(3×6), 십오는 "''이육삼''"(2×6 + 3), 이십일는 "''삼육삼''"(3×6 + 3), 이십칠는 "''사육삼''"(4×6 + 3)과 같이 표현된다. 반면 3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 예를 들어 은 "''육사''"(6 + 4), 십육은 "''이육사''"(2×6 + 4), 이십오는 "''사육일''"(4×6 + 1)과 같이 표현되어, 일의 자리에 3의 배수가 오지 않는다.

정수승멱은 십진법 36 (62)이 100, 십진법 216 (63)이 1000, 십진법 1296 (64)이 10000이 된다.


  • 십진법 56 = 132 (1×62 + 3×61 + 2)
  • 십진법 64 = 144 (1×62 + 4×61 + 4)
  • 십진법 81 = 213 (2×62 + 1×61 + 3)
  • 십진법 100 = 244 (2×62 + 4×61 + 4)
  • 십진법 108 = 300 (3×62)
  • 십진법 175 = 451 (4×62 + 5×61 + 1)
  • 십진법 180 = 500 (5×62)
  • 십진법 216 = 1000 (1×63)
  • 십진법 256 = 1104 (1×63 + 1×62 + 0×61 + 4)


소수 (기수법)는 십진법 36분의 1(6-2)이 0.01, 십진법 216분의 1(6-3)이 0.001, 십진법 1296분의 1(6-4)이 0.0001이 된다.

  • 십진법 10/36 = 0.14 (1×6-1 + 4×6-2)
  • 십진법 28/36 (약분하여 7/9) = 0.44 (4×6-1 + 4×6-2)
  • 십진법 81/216 (약분하여 3/8) = 0.213 (2×6-1 + 1×6-2 + 3×6-3)


사칙 연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십진법 "5 + 5 = 10"은 육진법에서는 "5 + 5 = 14"이다.
  • 십진법 "21 + 9 = 30"은 육진법에서는 "33 + 13 = 50"이다.
  • 십진법 "1944 + 56 = 2000"은 육진법에서는 "13000 + 132 = 13132"이다.
  • 십진법 "444 - 12 = 432"는 육진법에서는 "2020 - 20 = 2000"이다.
  • 십진법 "81 × 16 = 1296"는 육진법에서는 "213 × 24 = 10000"이다.
  • 십진법 "36 ÷ 4 = 9"는 육진법에서는 "100 ÷ 4 = 13"이다.
  • 십진법 "100 ÷ 4 = 25"는 육진법에서는 "244 ÷ 4 = 41"이다.


육진 덧셈
+012345
0012345
11234510
223451011
3345101112
44510111213
551011121314



육진 곱셈표
×012345
0000000
1012345
2024101214
30310132023
40412202432
50514233241



육진법으로 표현했을 때, 2와 3을 제외한 모든 소수는 마지막 자릿수가 1 또는 5이다. 즉, 3보다 큰 모든 소수 ''p''에 대해, ''p'' ≡ 1 또는 5 (mod 6) (즉, 6은 ''p'' − 1 또는 ''p'' − 5를 나눈다)라는 모듈러 산술 관계가 성립한다.

또한, 가장 작은 네 개의 소수(2, 3, 5, 7)는 6의 약수이거나 6의 이웃이기 때문에, 육진법은 많은 수에 대한 간단한 나눗셈 조건을 가지고 있다.


  • 어떤 수가 2로 나누어떨어지면, 그 수의 육진법 표현에서 마지막 자릿수는 0, 2 또는 4이다.
  • 어떤 수가 3으로 나누어떨어지면, 그 수의 육진법 표현에서 마지막 자릿수는 0 또는 3이다.
  • 어떤 수가 4로 나누어떨어지려면, 그 수의 육진법 표현에서 마지막에서 두 번째 자릿수가 홀수이고 마지막 자릿수가 2이거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자릿수가 짝수이고 마지막 자릿수가 0 또는 4여야 한다.
  • 어떤 수가 5로 나누어떨어지려면, 그 수의 육진법 자릿수의 합이 5로 나누어떨어져야 한다 (십진법의 9의 검산법과 같다).
  • 어떤 수가 6으로 나누어떨어지면, 그 수의 마지막 자릿수는 0이다.
  • 어떤 수가 7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하려면, 번갈아 자릿수를 더한 후 그 합을 빼면 된다. 결과가 7로 나누어떨어지면, 그 수는 7로 나누어떨어진다 (십진법의 "11" 나눗셈 조건과 유사하다).


게다가 6을 제외한 모든 짝수 완전수는 육진법으로 표현했을 때 마지막 두 자릿수가 44인데, 이는 모든 짝수 완전수가 2''p'' – 1(2''p'' – 1)의 형태를 가지며, 여기서 2''p'' − 1은 소수이기 때문이다.

육진법은 1과 ''r'' − 1을 제외한 다른 토티브를 갖지 않는 가장 큰 밑수 ''r''이며, 이로 인해 크기에 비해 곱셈표가 매우 규칙적이고 암기해야 할 양이 최소화된다.

육진법은 으로는 나누어지지만 로는 나누어지지 않으므로, 5로 나눌 때 순환소수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6은 2와 3으로 나누어지는 가장 작은 수이므로, 3의 거듭제곱인 (육진법 13)나 이십칠(육진법 43)로 나누어도 순환소수가 되지 않고, 소수화했을 때 나누어떨어지지 않는 분수는 상당히 적다.

8. 형식적 정의

6진법에서 사용하는 표준 집합은 \mathcal{D}_6 = \{ 0, 1, 2, 3, 4, 5 \}이며, 선형 순서는 0 < 1 < 2 < 3 < 4 < 5이다. \mathcal{D}_6^*\mathcal{D}_6의 클린 폐포라고 하자. 여기서 a, b \in \mathcal{D}^*에 대해 ab문자열 연결 연산이다. 자연수 \mathcal{N}_6에 대한 6진법 수 체계는 몫집합 \mathcal{D}_6^* / \sim이며, 단어사전 순서를 갖는다. 여기서 동치류 \sim\{ n \in \mathcal{D}_6^*, n \sim 0n \}이다. \mathcal{N}_6는 단어사전 순서를 가지므로, 자연수 \mathbb{N}와 동형이다.

9. 자연어

인도네시아 뉴기니아의 놈어(Ndom language)는 6진법 숫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놈어에서 'Mer'는 6, 'mer an thef'는 12(6 × 2), 'nif'는 36, 'nif thef'는 72(36 × 2)를 뜻한다. 18(3 × 6)은 'tondor'라는 독립적인 수사를 가진다.[10]

육진수십진수놈어
11sas
22thef
33ithin
44thonith
55meregh
106mer
117mer abo sas
128mer abo thef
139mer abo ithin
1410mer abo thonith
1511mer abo meregh
2012mer an thef
2113mer an thef abo sas
3018tondor
3321tondor abo ithin
4327tondor abo mer abo ithin
5232tondor abo mer an thef abo thef
10036nif
12048nif abo mer an thef
20072nif thef
21381nif thef abo mer abo ithin



파푸아뉴기니의 얌어족(Yam languages)에서도 6진법 수 체계를 찾아볼 수 있다. 이 언어들은 셈을 할 때 의례적으로 얌을 계산하는 관습과 관련이 있으며, 6을 기본으로 하여 6의 거듭제곱에 해당하는 단어를 사용한다. 일부 언어에서는 66까지 사용하기도 한다. 콤조어의 경우, ''nibo'' (61), ''fta'' (62 [36]), ''taruba'' (63 [216]), ''damno'' (64 [1296]), ''wärämäkä'' (65 [7776]), ''wi'' (66 [46656])와 같은 숫자가 있다. 응콜름프어(Ngkolmpu) 역시 6진법을 사용하며, 6의 배수나 6의 거듭제곱에 해당하는 고유한 수사가 존재한다. 이러한 언어에서 6이 기수가 된 것은 "다른 한 손은 자릿수 올림으로 6의 자리"라는 지수적 사고방식[12]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육진수십진수응콜름프어
11naempr
22yempoka
33yuow
44eser
55tampui
106traowo
117naempr traowo naempr
128naempr traowo yempoka
139naempr traowo yuow
1410naempr traowo eser
1511naempr traowo tampui
2012yempoka traowo
2113yempoka traowo naempr
3018yuow traowo
4327eser traowo yuow
10036ptae



육진수십진수응콜름프어콤조어(Kómnzo language)
10036ptaeféta
1000216tarumpaotarumba
100001296ntamnaontamno
1000007776ulamaekewärämäkä
100000046656-wi



6을 기준으로 많은 수량을 묶는 문화는 드물지만, 수 체계 발달 과정을 살펴보면 6에서 수량의 한계점(예: "전체", "주먹", "다섯 손가락 너머")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4] 1부터 6까지는 고유한 형태를 가지는 경우가 많고, 그 이후의 숫자는 조합하거나 차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다.[5]

일부 니제르-콩고어족(Niger-Congo languages) 언어는 10진법이나 20진법과 같은 다른 수 체계와 함께 6진법 수 체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원시 우랄어(Proto-Uralic language)에서도 6진법 숫자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7에 대한 숫자가 차용된 것으로 보이고, 8과 9는 10에서 빼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는 증거는 이 가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5]

10. 36진법 (육진법 압축)

6진법은 그 기수가 작아, 자릿수가 커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6진법의 제곱인 36진법(hexatrigesimal)을 사용할 수 있다. 36진법은 6진법과의 변환이 용이하다.

10진수6진수36진수
000
111
222
333
444
555
6106
7117
8128
9139
1014A
1115B
1220C
1321D
1422E
1523F
1624G
1725H
1830I
1931J
2032K
2133L
2234M
2335N
2440O
2541P
2642Q
2743R
2844S
2945T
3050U
3151V
3252W
3353X
3454Y
3555Z



예를 들어 36진수 WIKI36는 6진수 523032306과 같고, 10진수로는 1,517,058이다.

36진법은 0부터 9까지의 아라비아 숫자와 A부터 Z까지의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숫자를 나타낼 수 있어 편리하다. 이러한 특징은 36진법 인코딩 방식의 기반이 된다. 36이 6의 제곱이기 때문에, 36진법을 사용하면 많은 패턴과 표현을 더 짧게 나타낼 수 있다.


  • 1/910 = 0.046 = 0.436
  • 1/1610 = 0.02136 = 0.2936
  • 1/510 = 0.6 = 0.36
  • 1/710 = 0.6 = 0.36

참조

[1] 뉴스 Crunching the Numbers: College Basketball Players Can't Wear 6, 7, 8 or 9 https://www.nytimes.[...] 2022-08-31
[2] 웹사이트 Hand sums: The ancient art of counting with your fingers https://bcm.bc.edu/i[...] 2012-05-12
[3] 웹사이트 Dactylonomy http://www.laputanlo[...] Laputan Logic 2012-05-12
[4] 논문 Origins of Northern Costanoan ʃak:en 'six':A Reconsideration of Senary Counting in Utian 2018-05-03
[5] 논문 Senary summary so far https://ling.sprachw[...] 2022-08-31
[6] 논문 The work of Glendon Lean on the counting systems of Papua New Guinea and Oceania https://link.springe[...] 2022-08-31
[7] 논문 The Work of Glendon Lean on the Counting Systems of Papua New Guinea and Oceania http://www.uog.ac.pg[...] 2001-01-01 # year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가정
[8]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2008-03-12
[9] 논문 The Work of Glendon Lean on the Counting Systems of Papua New Guinea and Oceania http://www.uog.ac.pg[...] 2001-01-01 # year만 제공되어 1월 1일로 가정
[10] 웹사이트 思索の遊び場 ンドム語の数詞 http://www.sf.airnet[...]
[11] 웹사이트 サーレイ大学(英) 「どうやって1296{{sub|(10)}}まで数えるか」 http://morph.surrey.[...]
[12] 웹사이트 コンスタンツ大学(独)「六進法についてのこれまでの総め」 http://ling.uni-k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