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진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진법은 5를 기수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 1, 2, 3, 4의 다섯 개 숫자를 사용한다. 5진법은 주판이나 로마 숫자와 같은 다른 진법 체계 내에서 보조적으로 사용되거나, 마야 문명의 숫자 체계와 같이 독자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5진법은 2진법, 10진법 등 다른 진법과의 비교를 통해 특징을 살펴볼 수 있으며, 5진법의 곱셈표와 분수 표현도 존재한다. 또한 오진법은 한 손의 손가락 개수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구마치어와 같은 언어에서 수사 체계로 사용된다. 2와 5를 하위 기수로 사용하는 십진법 시스템인 이진오진법은 로마 숫자, 주판, 초기 컴퓨터 등에서 응용되었다. 현대에는 일부 계산기 모델에서 5진법 계산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 - 오각형
    다섯 변으로 이루어진 다각형인 오각형은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정오각형을 포함하며, 정오각형은 컴퍼스와 자로 작도할 수 있고 자연에서도 발견된다.
  • 5 - 오계
    오계는 불교 윤리의 기본 강령으로, 불교도가 지켜야 할 살생, 도둑질, 사음, 거짓말, 음주를 금하는 다섯 가지 계율이다.
  • 기수법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기수법 - 구진법
    구진법은 9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며, 3의 배수 표현이 간결하고 3의 역수는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오진법

2. 기수법

오진법은 5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이다. 표기에는 0, 1, 2, 3, 4의 5개 숫자를 사용하며, 5는 (10)5, 6은 (11)5, 7은 (12)5와 같이 표기한다. 오진법에서 한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4이다. 오른쪽 끝 또는 소수점으로 1의 자리를 나타내며, 왼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할 때마다 숫자가 나타내는 값은 5배가 되고,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할 때마다 1/5이 된다. 예를 들어 (14)5라는 표기에서 왼쪽의 "1"은 5를 나타내고, 오른쪽의 "4"는 4를 나타내며, 합쳐서 9를 나타낸다.

오진법 표기의 정수는 다음과 같다.

(20)5 = 10 (2×51)(32)5 = 17 (3×51 + 2)(100)5 = 25 (1×52)
(121)5 = 36 (1×52 + 2×51 + 1)(224)5 = 64 (2×52 + 2×51 + 4)(311)5 = 81 (3×52 + 1×51 + 1)
(400)5 = 100 (4×52)(1000)5 = 125 (1×53)(1331)5 = 216 (1×53 + 3×52 + 3×51 + 1)
(10000)5 = 625 (1×54)(13000)5 = 1000 (1×54 + 3×53)(20141)5 = 1296 (2×54 + 0×53 + 1×52 + 4×51 + 1)
(30234)5 = 1944 (3×54 + 0×53 + 2×52 + 3×51 + 4)



사람 손가락이 5개인 것에서 유래했다. 실제로 오진법이 사용되는 경우는 적지만, 주판이나 로마 숫자와 같이 다른 N진법의 내부에 오진법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로마 숫자는 5와 에서 새로운 숫자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오진법이라고도 한다. 마야 문명숫자이십진법이지만, 오진법을 보조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5진 곱셈표는 다음과 같다.

5진 곱셈표
×1234101112131420
11234101112131420
2241113202224313340
3311142230334144102110
441322314044103112121130
1010203040100110120130140200
1111223344110121132143204220
12122441103120132144211223240
13133144112130143211224242310
141433102121140204223242311330
202040110130200220240310330400


2. 1. 다른 진법과의 비교

5진법, 6진법, 10진법, 2진법 등 다른 진법과의 비교를 통해 각 진법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아래 표는 0부터 25까지의 정수를 5진법, 6진법, 10진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0부터 52까지의 정수
오진법012341011121314202122232430313233344041424344100
육진법0123451011121314152021222324253031323334354041
십진법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표준 5진법으로 표현한 0부터 25까지의 숫자
5진법012341011121314202122232430313233344041424344100
이진수0110111001011101111000100110101011110011011110111110000100011001010011101001010110110101111100011001
10진수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오진법에서 한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수는 4까지이며, 한 자리에 들어갈 수 있는 수가 5까지인 것은 육진법이다. 5가 홀수이므로, 5진법에서 각 자리의 합이 짝수가 되는 수는 모두 짝수이다.

2. 2. 소수와 제산

5진법은 소인수가 5뿐이므로, 5로만 나눌 수 있다. 한 자릿수 정수를 단위분수로 하면 모두 순환소수가 된다. 십분의 일(5진법 표기로 1/20)도 소인수가 2와 5이므로 나누어떨어지지 않고 순환소수가 된다.

단위분수의 소수 환산값
제수의 소인수분해오진분수오진소수십진 소수십진분수
21/20.2222…0.51/2
31/30.1313…0.3333…1/3
221/40.1111…0.251/4
101/100.10.21/5
2×31/110.0404…0.1666…1/6
2×101/200.0222…0.11/10



※ 단위분수와 소인수분해는 5진법 표기.

2. 3. 계산표

덧셈표
+01234
001234
1123410
22341011
334101112
4410111213



곱셈표
×01234
000000
101234
20241113
303111422
404132231


3. 명수법

'''오진 명수법'''은 5를 밑으로 하는 명수법이다.

3. 1. 수사

5진법은 한 손의 손가락 개수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5진법에서 5 이상의 숫자는 6은 "5와 1", 7은 "5와 2"와 같이 "5에 1에서 4를 더한 수"로 표현한다. 10은 "2 곱하기 5", 11은 "2 곱하기 5와 1"과 같이 "M배의 5 + R" 형태로 센다. 25, 125 등 5의 거듭제곱에 새로운 수사를 붙인다.[5]

자연어에서 5진법 수사를 가진 언어는 드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구마치어(Gumatj)가 대표적인 예이다.[6] 구마치어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오진수십진수수사
11wanggany
22marrma
33lurrkun
44dambumiriw
105wanggany rulu
2010marrma rulu
3015lurrkun rulu
4020dambumiriw rulu
10025dambumirri rulu
20050marrma dambumirri rulu
30075lurrkun dambumirri rulu
400100dambumiriw dambumirri rulu
1000125dambumirri dambumirri rulu
10000625dambumirri dambumirri dambumirri rulu



많은 언어[1]가 5진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구마트지어, 능구부유어[2], 쿠른 코판 누트어[3], 루이세뇨어[4], 그리고 사라베카어가 포함된다.

4. 이진오진법

2와 5를 하위 기수로 사용하는 십진법 시스템을 이진오진법(biquinary)이라고 한다. 월로프어(Wolof language)와 크메르어(Khmer language)에서 이러한 체계를 찾아볼 수 있다. 로마 숫자, 주판 등은 이진오진법 체계를 사용한다.

우른필트 문화 숫자(Urnfield culture numerals)와 일부 tally mark 시스템도 이진오진법이다. 통화 단위는 일반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이진오진법인 경우가 많다.

이진오진 부호화 십진법(Bi-quinary coded decimal)은 콜로서스 컴퓨터(Colossus computer)와 IBM 650을 포함한 여러 초기 컴퓨터에서 십진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이진오진법의 변형이다.

4. 1. 로마 숫자

로마 숫자는 1, 5, 10, 50, 100, 500, 1000을 각각 '''I''', '''V''', '''X''', '''L''', '''C''', '''D''', '''M'''으로 나타내는 이진오진법 시스템이다. 7은 '''VII''', 70은 '''LXX'''와 같이 표기한다. 전체 기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로마 숫자IVXLCDM
십진수1510501005001000



이것들은 자릿값 기수법이 아니다. 이론적으로 73과 같은 숫자는 IIIXXL(모호하지 않음) 및 LXXIII로 쓸 수 있다. 로마 숫자를 1,000 이상으로 확장하려면 상선(가로 윗줄)을 추가하여 문자 값에 1,000을 곱했다. 예를 들어, 윗줄이 그어진 '''M̅'''은 백만이다. 0을 나타내는 기호도 없다. 그러나 IV 및 IX와 같은 반전을 도입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에서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순서를 유지해야 했다.

4. 2. 주판

주판의 많은 버전, 예를 들어 수안판(suanpan)과 소로반(soroban)은 윗줄의 구슬이 五|다섯중국어을 나타내고, 아랫줄의 구슬이 一|하나중국어를 나타내는 이진오진법 시스템을 사용하여 계산을 용이하게 한다.

5. 현대적 응용

일부 샤프 계산기 모델(2005년경부터 일부 EL-500W 및 EL-500X 시리즈 포함, '펜탈 시스템'으로 명명됨))과 오픈소스 과학 계산기 WP 34S는 5진법 계산을 지원한다.

참조

[1] 서적 Rethinking Universal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10-03-26
[2] 웹사이트 Facts and fallacies of Aboriginal number system https://web.archive.[...] 1982-12
[3] 서적 Australian aborigines : the languages and customs of several tribes of aborigines in the western district of Victoria, Australia https://archive.org/[...] Canberra City, ACT, Australia : Australian Institute of Aboriginal Studies; Atlantic Highlands, NJ : Humanities Press [distributor]
[4] 서적 Native American Mathematics
[5]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6] 간행물 Facts and fallacies of aboriginal number systems http://www1.aiat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