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가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가이어는 킵차크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지에 분포한다. 카라노가이, 중앙 노가이, 아크노가이의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으며,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역사적으로는 금장 칸국의 민족에서 유래되었으며, 19세기 이후 러시아 제국 내 여러 지역으로 흩어졌다. 1928년 라틴 문자를 사용하다가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다게스탄의 노가이 지구에서 학교 교육 과정에 포함되어 있으며, 터키에서는 사용자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라차이인
카라차이인은 중앙 코카서스 산맥 구릉 지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복잡한 역사를 거쳐 현재는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믿는다.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다게스탄 공화국 - 쿠미크인
쿠미크인은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북카프카스 지역 최대 튀르크계 민족이며, 킵차크어족에 속하는 쿠미크어를 사용하고, 19세기부터 러시아의 재정착 정책과 1944년 강제 이주 등 민족 말살 정책의 피해를 입었다. - 다게스탄 공화국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튀르크어족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튀르크어족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노가이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노가이어 |
고유 이름 | nog(nog) |
고유 이름 (다른 표기) | nog(nog) |
언어 정보 | |
사용 국가 | 러시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
사용 지역 | 캅카스 |
사용자 수 | 85,600명 (2020년) |
민족 | 노가이족 (108,000명, 2020년) |
언어 계통 | 알타이어족 |
어족 | 튀르크어족 |
어군 | 공통 튀르크어군 |
분파 | 킵차크어군 |
하위 분파 | 킵차크-노가이어 |
문자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공용 국가 | 러시아 |
공용 지역 | 다게스탄 공화국 노가이스키 지구 (다게스탄)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노가이스키 지구 (카라차이-체르케스) |
언어 상태 | UNESCO에서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 |
ISO 639-2 | nog |
ISO 639-3 | nog |
Glottolog | noga1249 |
Glottolog 이름 | 노가이어 |
ELP2 | 943 |
ELP2 이름 | 알라부갓 타타르어 |
지도 | |
![]() | |
2. 분류
노가이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의 킵차크-노가이 분파로 분류된다.[4]
세 가지 뚜렷한 방언이 인식된다:[5]
- 카라노가이 또는 카라노가이 ("북부 노가이"): 다게스탄과 체첸에서 사용된다.
- 중앙 노가이 또는 노가이 본토: 스타브로폴에서 사용된다.
- 아크노가이 (백색 또는 서부 노가이): 쿠반강 유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지류, 그리고 미네랄니예 보디 구에서 사용된다. 카라노가이와 노가이 본토는 언어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아크노가이는 더 다르다. 그러나 세 가지 모두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남부 코카서스 이외의 지역에는 방언으로 간주되거나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는 다른 변종이 존재한다.
- 불가리아, 루마니아 및 터키의 노가이어는 오스만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 아스트라한 노가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변종:[6][7]
- 카라가시 (쿤드로프 타타르로도 알려짐)
- 유르트 타타르 또는 유르트 노가이
- 알라부가트 타타르 또는 알라부가트 노가이 (우타르로도 알려짐)
2. 1. 관련 언어
노가이어는 일반적으로 킵차크 튀르크어의 킵차크-노가이 분파로 분류된다.[4] 이 분파에는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어, 우즈베키스탄의 카라칼파크어, 러시아의 시베리아 타타르어도 포함된다.3. 방언
스타브로폴 지방의 노가이 방언,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의 백노가이 방언, 다게스탄의 흑노가이 방언, 중앙노가이 방언 등 3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노가이어는 킵차크 튀르크어 킵차크-노가이 분파로 분류된다.[4] 킵차크-노가이 분파에는 러시아의 시베리아 타타르어, 카자흐스탄의 카자흐어, 우즈베키스탄의 카라칼파크어도 포함된다. 이 세 방언은 서로 잘 통한다.
3. 1. 주요 방언
노가이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5]- '''카라노가이''' (검은 노가이, 북부 노가이): 다게스탄과 체첸에서 사용된다.
- '''중앙 노가이''' (노가이 본토): 스타브로폴에서 사용된다.
- '''아크노가이''' (백색 노가이, 서부 노가이): 쿠반강 유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의 지류, 미네랄니예 보디 구에서 사용된다. 카라노가이와 중앙 노가이는 언어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아크노가이는 더 다르지만 상호 이해는 가능하다.
남부 코카서스 이외 지역에는 방언 또는 별개 언어로 간주되는 변종들이 존재한다.
- 불가리아, 루마니아, 터키의 노가이어는 오스만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았다.
- 아스트라한 노가이에는 다음 세 가지 변종이 있다.[6][7]
- 카라가시 (쿤드로프 타타르)
- 유르트 타타르 (유르트 노가이)
- 알라부가트 타타르 (알라부가트 노가이, 우타르)
3. 2. 기타 방언
불가리아, 루마니아, 터키의 노가이어는 오스만 튀르크어의 영향을 받았다.[6] 아스트라한 노가이에는 카라가시(쿤드로프 타타르로도 알려짐), 유르트 타타르 또는 유르트 노가이, 알라부가트 타타르 또는 알라부가트 노가이(우타르로도 알려짐) 등 세 가지 변종이 있다.[7]4. 역사
노가이인은 금장 칸국의 민족들에서 유래했으며, 13세기 말 다뉴브강 서쪽 유목 민족을 통치한 칭기즈 칸의 손자 노가이 칸의 이름을 따왔다. 그들은 이후 현재 우크라이나의 흑해 해안을 따라 정착했다.
1928년에는 라틴 문자가 도입되었다. 이는 모든 튀르크어족 언어에 채택된 원칙에 따라 노가이 학자 압둘 하미드 셰르셴비예비치 자니베코프가 고안했다.[8] 1938년에는 키릴 문자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라틴 문자에 기반한 정서법은 러시아어를 배우는 데 방해물로 여겨졌다.
4. 1. 명칭 유래
노가이인은 금장 칸국의 민족들에게서 유래했으며, '노가이어'라는 이름은 13세기 말 다뉴브강 서쪽 유목 민족을 통치한 칭기즈 칸의 손자 노가이 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8]4. 2. 언어 사용 지역 변화
역사적으로 노가이어는 구어였다. 글을 쓸 때는 노가이어와 비슷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로 기록된 쿠만어 또는 차가타이어를 사용했다.[8] 19세기에 노가이인이 우크라이나에서 추방되면서 노가이어 사용자는 여러 지역으로 나뉘었다. 일부는 터키와 루마니아로 이주했고, 다른 이들은 러시아 제국 내 북부 다게스탄과 체첸 및 스타브로폴 지방의 인접 지역에 정착했다.4. 3. 현대 노가이어 사용 현황
터키에서 노가이어는 매우 빠르게 사라졌다. 오늘날에는 주로 노년층이 사용하지만, 터키에는 노가이어가 흔한 의사소통 수단인 마을이 있어 젊은 화자도 있다.[8] 소련에서는 학교 교육 언어가 러시아어였기 때문에 화자 수가 감소했다. 최근 추산에 따르면 노가이어 사용자는 총 8만 명 정도이다.[8]1973년에는 두 개의 작은 노가이어 신문이 발행되고 있었는데, 하나는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에서, 다른 하나는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레닌 요리'')에서 발행되었지만, 대부분의 화자는 이 간행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었고 신문은 노가이 마을에 도달하지 못했다.[8]
노가이어는 현재 다게스탄의 노가이 지구에서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학교 교육 과정의 일부이다. 또한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교육 학교와 교육 연구소의 국가 분과에서도 가르친다.[8]
5. 문자
노가이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1928년까지 아랍 문자를 사용했으며, 그 이후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다가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차용하고 있다.
노가이 문자의 역사는 세 단계로 나뉜다.
- 1928년 이전 — 문자가 없었으며, 쿠만어와/또는 차카타이어가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대신 사용되었다.
- 1928-1938년 — 라틴 문자에 기반한 문자
- 1938년 이후 — 키릴 문자에 기반한 문자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노가이 문자는 1938년에 만들어졌다. 여기에는 Ё ё를 제외한 모든 러시아 문자와 더불어 이중 자모 Гъ гъ, Къ къ, Нъ нъ가 포함되었다. 이중 자모 Оь оь, Уь уь는 같은 해에 추가되었다. 1944년에는 이중 자모 Гъ гъ, Къ къ가 문자에서 제외되었다.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언어 및 문학 연구소에서의 논의 결과, 1960년에 문자 Аь аь와 Ё ё가 추가되면서 현재의 노가이 문자가 완성되었다.[10]
А а | Аь аь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
И и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Нъ нъ | О о | Оь оь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Уь уь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5. 1. 아랍 문자
1928년까지 아랍 문자가 표기에 사용되었다. 표준 아랍 문자에 ڮ, ۇ, ۋ, پ, ںُ, چ, ژ , گ 등의 문자가 추가되었다.[10] 그 이후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다가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차용하고 있다.5. 2. 라틴 문자
1928년 압둘-하미드 자니베코프가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노가이 문자를 고안했다.[10] 1930년대에 여러 차례 문자가 수정되었다.1928년에 제작된 라틴 문자 기반 노가이 문자[10]는 다음과 같다.
A a | B в | Ç ç | D d | E e | Ә ә | G g | Ƣ ƣ |
I i | K k | L l | M m | N n | Ꞑ ꞑ | O o | Ө ө |
P p | Q q | R r | S s | Ş ş | T t | U u | Y y |
J j | Ь ь | Z z | V v |
이후 몇 차례의 문자 수정이 있었다.
5. 3. 키릴 문자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차용하고 있다.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노가이 문자는 1938년에 만들어졌는데, '''Ё ё'''를 제외한 모든 러시아 문자와 더불어 이중 자모 '''Гъ гъ, Къ къ, Нъ нъ'''가 포함되었다.[10] 같은 해에 이중 자모 '''Оь оь, Уь уь'''가 추가되었다.[10] 1944년에는 이중 자모 '''Гъ гъ, Къ къ'''가 문자에서 제외되었다.[10]1950년에 현재 사용되는 노가이 문자의 형태가 확립되었다. 현대 노가이 문자는 다음과 같다.
아 | 아ь | 베 | 베 | 게 | 데 | 예 | 요 |
---|---|---|---|---|---|---|---|
제 | 제 | 이 | 이 | 카 | 엘 | 엠 | 엔 |
응 | 오 | 오ь | 페 | 에르 | 에스 | 테 | 우 |
우ь | 에프 | 하 | 체 | 체 | 샤 | 샤 | 트베르디 즈나크 |
이 | 먀흐키 즈나크 | 에 | 유 | 야 |
6. 음운
노가이어는 전형적인 튀르크어족의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괄호 안의 음소는 차용어에 나타나는 소리를 나타낸다.[9]
6. 1. 모음
6. 2. 자음
참조
[1]
웹사이트
türkevi araştırmalar merkezi
http://www.turkevi.o[...]
2024-01-28
[2]
웹사이트
Nogai in Russian Federation
https://en.wal.unesc[...]
2024-07-23
[3]
웹사이트
İlk Nogayca roman kitabı yayınlandı… – türkevi araştırmalar merkezi
http://www.turkevi.o[...]
[4]
웹사이트
Glottolog 4.4 - Nogai
https://glottolog.or[...]
2021-07-25
[5]
서적
Nogaysky yazyk i ego dialekty
Akademii Nauk SSSR
[6]
웹사이트
Yazyki {{!}} Malye yazyki Rossii
https://minlang.ilin[...]
2023-05-11
[7]
간행물
Yazyki Astrakhanskoi oblasti
2017
[8]
웹사이트
Nogaysky yazyk {{!}} Malye yazyki Rossii
https://minlang.ilin[...]
2023-05-11
[9]
서적
The Turkic Languages
[10]
간행물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