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라칼파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라칼파크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주로 우즈베키스탄의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카자흐어, 바시키르어 등과 유사하며, 우즈베크어와 투르크멘어의 영향을 받았다. 모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따른다. 카라칼파크어는 카라칼팍스탄 자치 공화국에서 공식 언어 지위를 가지며, 북동부와 남서부 방언이 존재한다. 문자 표기는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를 거쳐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카자흐스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카자흐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카라칼파크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카라칼파크어
로마자 표기Qaraqalpaq tili
키릴 문자 표기Қарақалпақ тили
아랍 문자 표기قاراقالپاق تىلى
사용 지역중앙아시아
주요 사용 지역카라칼파크스탄
사용자 민족카라칼파크족
사용 국가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아프가니스탄
러시아
언어 계통알타이 제어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
킵차크-노가이어군
문자 체계카라칼파크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
ISO 639-2kaa
ISO 639-3kaa
Glottologkara1467
유네스코 위험 언어 등급취약
인구 정보
화자 수 (2023년)871,970명
화자 수 (1993년)412,000명
화자 수 (2010년)583,410명
언어 코드
ISO 639-2kaa
ISO 639-3kaa

2. 분류

킵차크어군에 속하는 튀르크어족 언어이며, 카자흐어, 바시키르어, 타타르어, 쿠미크어, 카라차이어, 노가이어, 키르기스어 등이 포함된다.[1] 투르크멘어우즈베크어와의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카라칼파크어의 어휘와 문법 일부는 우즈베크어와 투르크멘어의 영향을 받았다.[1] 대부분의 튀르크어와 마찬가지로 카라칼파크어는 모음조화를 가지고 있으며, 교착어이고, 문법적 성이 없다.[1] 어순은 대개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이다.[1]

3. 지리적 분포

카라칼파크어는 주로 우즈베키스탄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에서 사용된다. 아프가니스탄에는 약 2,000명의 카라칼파크어 사용자가 있으며, 러시아, 카자흐스탄, 터키 및 세계 다른 지역에도 소규모 카라칼파크어 사용자 집단이 있다.

3. 1. 공식 지위

카라칼파크어는 카라칼팍스탄 자치공화국에서 공식 언어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3. 2. 방언

에스놀로그》에서는 카라칼파크어의 방언으로 북동부 방언과 남서부 방언 두 가지를 제시한다. 멩게스는 페르가나 계곡에서 사용되는 세 번째 방언이 있을 수 있다고 언급한다. 남서부 방언은 북동부 방언의 /ʃ/ 대신 /tʃ/를 사용한다.

4. 음운

카라칼파크어는 25개의 고유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외래어에서 4개의 비고유 음소를 정기적으로 사용한다. 비고유 음소는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다.

카라칼파크어의 자음과 모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1. 자음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mnŋ
파열음무성음ptkq
유성음bdɡ
마찰음무성음sʃxh
유성음zʒɣ
접근음ljw
R음r



카라칼파크어의 자음은 위 표와 같다. 카라칼파크어는 양순음, 치경음, 후치경음/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을 포함한다. 자음의 종류로는 비음,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R음이 있다.

4. 2. 모음



카라칼파크어에는 8개의 모음이 있다. 모음 조화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2. 1. 모음 조화

카라칼파크어의 모음 조화는 다른 투르크어들과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러시아어나 다른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은 모음 조화 규칙을 따르지 않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규칙이 적용된다.

모음다음에 올 수 있는 모음
aa, ɯ
æe, i
ee, i
ie, i
oa, o, u, ɯ
œe, i, œ, y
ua, o, u
ye, œ, y
ɯa, ɯ


5. 문자

카라칼파크어는 본래 아랍 문자(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다가 1928년 소련 정부에 의해 라틴 문자가 도입되었고, 1940년에 키릴 문자로 변경되었다. 우즈베키스탄 독립 후인 1994년부터 우즈베크어처럼 다시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으나, 아직은 키릴 문자가 널리 쓰이고 있다.[6]

처음에는 우즈베크어처럼 a', n'처럼 역점을 찍어서 부족한 자음과 모음을 표기했으나, 2016년부터 á, ń처럼 위에 어큐트를 찍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초기에는 터키어 문자의 영향을 받아 /ɯ/ 발음을 I/ı로, /i/ 발음을 İ/i로 표기했지만, 전산상의 문제로 2008년 /ɯ/ 발음을 I'/i'로, /i/ 발음을 I/i로 변경했다. 2016년에는 /ɯ/ 발음을 대문자 Í, 소문자 ı로 표기하여 다른 언어와 다르게 Í와 ı가 대소문자 쌍을 이루게 되었다.[13]

5. 1. 문자 체계의 역사

카라칼파크어는 1932년까지 아랍 문자페르시아 문자로 쓰였고, 1928년부터 1940년까지 라틴 문자로 쓰이다가 그 후 키릴 문자가 도입되었다.[6] 1991년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키릴 문자를 버리고 라틴 문자로 돌아가기로 결정되었다.

카라칼파크어 문자 변천 과정
1928년 이전1928년 ~ 1940년1940년 ~ 1991년1991년 이후 (2016년 최종 개정)비고
아랍 문자, 페르시아 문자라틴 문자키릴 문자라틴 문자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라틴 문자 복귀



처음에는 28개의 문자로 구성된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7]

아랍 문자
اarبarپarتarجarچarخar
دarرarزarسarشarغarفar
قarکarگarڭarلarمarنar
ھarەarوarۇarۋarیarيar



1924년 11월 최초의 카라칼파크어 신문인 "자유 카라칼파크"(ٴيركين قاراقالپاق)가 이 문자로 인쇄되기 시작했고, 1925년에는 최초의 교과서가 출판되었다. 작가이자 교육자인 사이풀가빗 마지토프[7]는 알파벳 제작과 최초의 읽기책 발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 알파벳에는 카라칼파크어의 특정 음을 나타내는 문자가 부족했고, 아랍 문자의 세 가지 다른 문자 스타일을 익히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7]

1920년대 소련에서 라틴 문자화 운동이 시작되었고, 1926년 바쿠에서 열린 제1차 투르크 회의에서 소련의 모든 투르크계 민족에게 새로운 알파벳(야날리프)으로 전환할 것을 권장했다. 1928년 K. 아베조프와 S. 마지토프의 지휘 아래 개발된 새로운 라틴 문자 알파벳이 승인되었는데, 여기에는 32개의 문자가 있었고 대문자는 없었다.[7]

1930년대 말, 소련에서 키릴 문자 기반으로 문자를 전환하는 과정이 시작되었다. 1940년 K. 우바이둘라예프, K. 아이엠베토프, N. 다브카라예프가 개발한 키릴 문자 기반의 카라칼파크어 알파벳이 도입되었다.[8] 1957년에는 새로운 알파벳과 철자가 승인되었고, 1960년에 시행되었다. 이 알파벳에는 '''Ә ә, Ё ё, Ң ң, Ө ө, Ү ү, Ў ў''' 문자가 추가되었고, 문자 순서도 변경되었다.[7]

1990년대 초, 독립 우즈베키스탄에서 라틴 문자 기반으로 문자를 전환하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1994년 카라칼파크어의 새 라틴 문자 알파벳이 승인되었으나, 1995년 개정되어 특수 기호가 있는 문자가 제외되고 이중 문자와 아포스트로피가 도입되었다.[10][11] 2009년에는 ts 문자 조합이 c로 대체되는 등 추가 변경이 있었다.[12]

2016년, 아포스트로피가 있는 문자 대신 악센트가 있는 문자가 도입되었다. 이는 1928년 이후 카라칼파크 문자의 일곱 번째 라틴 알파벳 버전이다.[13]

현재 사용되는 라틴 문자, 키릴 문자, 과거에 사용되었었던 아랍 문자는 아래 표와 같다.

키릴 문자라틴 문자Çaŋəlip아랍 문자IPA
А аA aA aاar / ‍ـاar
Ә әÁ áƏ əەar / ـەar
Б бB bВ вبar
В вV vV vۋar
Г гG gG gگar
Ғ ғǴ ǵƢ ƣعar
Д дD dD dدar
Е еE eE eەar / ـەar
Ё ё*yojoیوar
Ж жJ jÇ çجar
З зZ zZ zزar
И иI iI iىar / ىـar
Й йY yJ jيar / يـar
К кK kK kكar
Қ қQ qQ qقar
Л лL lL lلar
М мM mM mمar
Н нN nN nنar
Ң ңŃ ńŊ ŋڭar
О оO oO oوar
Ө өÓ óƟ ɵوar
П пP pP pپar
Р рR rR rرar
С сS sS sسar
Т тT tT tتar
У уU uU uوُar
Ү үÚ úY yوُ‌‌‌ar
Ў ўW wV vۋar
Ф фF fF fفar
Х хX xX xحar
Ҳ ҳH hH hهar / هـar
Ц цC cTs tsتسar
Ч чCh chC cچar
Ш шSh shŞ şشar
Щ щ*Sch schŞş şşششar
Ъ ъ*    
Ы ыÍ ıЬ ьىar / ىـar
Ь ь*    
Э эE eE eەar / ـەar
Ю ю*yujuيوُar
Я я*yajaياar



2006년 3월 누쿠스의 사진 연구소 - 라틴 알파벳을 사용한 카라칼파크어 표지판


2009년 이전에는 C가 TS로, I와 Í가 점이 있는 I와 점이 없는 I로 쓰였고, 아포스트로피가 있는 문자는 악센트가 있는 문자로 쓰인다.[14]

5. 2. 2016년 개정된 라틴 문자

2016년 카라칼파크어 라틴 문자 표기법 개정에서는 이전까지 사용되던 아포스트로피 부호 대신 악센트 부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3] 즉, '''Aʻ aʻ, Oʻ oʻ, Iʻ iʻ, Uʻ uʻ, Gʻ gʻ, Nʻ nʻ''' 대신 '''Á á, Ó ó, Í ı, Ú ú, Ǵ ǵ, Ń ń''' 문자를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14] 이는 1928년 이후 카라칼파크어 문자의 일곱 번째 라틴 알파벳 버전이다.[13]

2016년에 변경된 카라칼파크어 라틴 문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A aÁ áB bD dE eF fG g
Ǵ ǵH hX xÍ ıI iJ jK k
Q qL lM mN nŃ ńO oÓ ó
P pR rS sT tU uÚ úV v
W wY yZ zSh shC cCh ch



2016년 이전에는 Á는 Aʻ, Ǵ는 Gʻ, I는 점이 있는 I, Í는 점이 없는 I, Ń는 Nʻ, Ó는 Oʻ, Ú는 Uʻ로 표기되었고, 2009년 이전에는 C는 TS로 표기되었다.

6. 어휘

카라칼파크어의 어휘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고유어가 많이 존재한다. 인칭 대명사와 숫자는 하위 섹션에 자세히 나와 있다.

6. 1. 인칭 대명사

단수복수
1인칭мен/men ()бизлер/bizler (우리)
2인칭сен/sen ()сизлер/sizler (여러분)
3인칭ол/ol (그/그녀/그것)олар/olar (그들)


6. 2. 숫자

숫자카라칼파크어한국어 발음
1bir비르
2eki에키
3úsh위시
4tórt퇴르트
5bes베스
6altı알트
7jeti제티
8segiz세기즈
9toǵız토그즈
10on
100júz쥐즈
1,000mıń
1,000,000million밀리온


7. 문학

카라칼파크 문학은 아지니야즈, 베르다크 가르가바이 울리, 쿤호자, 이브라이임 유수포프와 같은 작가들을 통해 발전해 왔다.

7. 1. 주요 작가


  • 아지니야즈
  • 베르다크 가르가바이 울리
  • 쿤호자
  • 이브라이임 유수포프

참조

[1] 웹사이트 Karakalpak | Ethnologue Free https://www.ethnolog[...]
[2] 웹사이트 World Atlas of Languages: Karakalpak 2021-03-03
[3] 웹사이트 Karakalpak http://www.ethnologu[...] 2016-03-12
[4] 웹사이트 Karakalpak language and alphabet https://www.omniglot[...] 2023-10-31
[5] 웹사이트 Glottolog 4.8 - Kara-Kalpak https://glottolog.or[...] 2023-10-31
[6] 서적 Language Policy and Language Conflict in Afghanistan and Its Neighbors Brill 2012
[7] 서적 Об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и и унификации алфавита каракалпакского языка (Вопросы 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алфавитов тюркских языков СССР) «Наука»
[8] 서적 Орфография каракалпакского языка (Орфографии тюркских литературных языков СССР) «Наука»
[9] 웹사이트 Қарақалп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Министрлер Кеңеси http://sovminrk.gov.[...] 2012-12-20
[10] 서적 The Karakalpaks and other language minorities under Central Asian state rule https://books.google[...]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11] 서적 Language Policies in Present-Day Central Asia http://unesdoc.unesc[...] UNESCO
[12] 웹사이트 «Lati'n jazi'wi'na tiykarlang'an Qaraqalpaq a'lipbesin yengiziw haqqi'nda»g'i' Qaraqalpaqstan Respublikasi' Ni'zami'na qosi'mshalar ha'm wo'zgerisler kirgiziw haqqi'nda Qaraqalpaqstan Respublikasi'ni'n' Ni'zami' http://sovminrk.gov.[...] 2012-12-20
[13] 웹사이트 Латын жазыўына тийкарланған қарақалпақ әлипбеси https://web.archive.[...] 2018-01-27
[14] 웹사이트 Karakalpak Cyrillic – (Old / New) Latin transliterator http://www.translite[...]
[15] 웹사이트 Karakalpak (Қарақалпақ тили / Qaraqalpaq tili / قاراقالپاق تىلى) https://www.omniglot[...] 2023-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