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녹둔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둔도는 두만강 하구에 위치했던 섬으로, 현재는 러시아 연해주 하산스키 군에 속해 있다. 조선 시대에는 벼, 조, 옥수수 등을 재배하고 어업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세종 대왕 시기 6진 개척 이후 토성과 목책이 설치되었다. 1587년 이순신이 녹둔도 둔전을 관리하기도 했다.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조선 정부는 반환을 요구했으나 무산되었다. 북한과 소련의 국경 협정으로 두만강 주수로를 경계로 합의하면서 현재는 러시아 영토로 인정되었다. 녹둔도 영유권 문제는 한국 역사와 민족 정체성과 관련되어 민간 차원에서 관심이 지속되고 있으며, 영화 한산: 용의 출현에서 녹둔도 전투가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섬 - 이토시마반도
    후쿠오카현 서부에 위치한 이토시마 반도는 겐카이나다에 접한 아름다운 해안선과 역사적 유적, 다양한 산업, 그리고 후쿠오카 도시권과의 근접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이다.
  • 옛 섬 - 데지마
    데지마는 에도 막부가 포르투갈인을 수용하기 위해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 섬으로, 쇄국 정책 하에 서양과의 유일한 교류 창구로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상관이 위치하여 무역과 학문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매립되었고, 현재 나가사키시에서 복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 동해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의 반폐쇄성 해역으로, 깊은 수심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가 접하고 있지만, "일본해" 명칭 분쟁, 환경 문제, 영토 분쟁 등의 현안이 존재한다.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 빅토르 벨렌코
    빅토르 벨렌코는 1976년 소련 공군 조종사로 미그-25 전투기를 몰고 일본으로 귀순하여 미국 망명 후 컨설턴트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러시아-한국 관계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러시아-한국 관계 - 요나라
    요나라는 907년 야율아보기가 건국하여 거란족과 한족을 이원적으로 통치하며 불교, 유교, 도교, 샤머니즘이 융합된 문화를 형성했고, 북송과 대립하다가 금나라에 멸망했다.
녹둔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위치두만강
국가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 대한민국 (주장)
행정 구역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하산스키 군
대한민국 함경북도 (주장)
일반 정보
이름녹둔도 / 록둔도
한자 표기록둔도
로마자 표기Nokdund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Noktundo / Roktundo
러시아어 표기Ноктундо
지리 정보
면적32 km²
유형반도 (과거에는 섬)
역사
역사적 사건녹둔도 전투
기타
록둔도 위치
록둔도 위치

2. 지리

조산동에서 남쪽으로 약 4km 떨어져 있었던 녹둔도는 둘레가 8km 남짓[20] 되고 면적은 약 4km2(여의도 면적의 1.3배)[21][22]였던 것으로 추정된다.[23] 이 섬에서 조선인들은 벼, 조, 옥수수, 보리 등을 재배하였고, 섬 주변에서는 연어, 붕어, 황어, 숭어 등이 주로 잡혔다고 기록되어 있다.

3. 역사

녹둔도는 1430년대 세종대왕이 6진을 개척[24]한 이후 조선의 영토로 관리되기 시작했으며, 섬에는 토성과 목책이 설치되었다. 원래 '사차마도'라 불리던 이 섬은 세조 때 '녹둔도(鹿屯島)'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선조 대에는 군량 확보를 위한 둔전(屯田)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외만주를 차지한 러시아 제국이 연해주에 인접한 녹둔도까지 무단으로 점령하였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조선 정부는 1880년대부터 청나라러시아 제국 양측에 지속적으로 항의하며 녹둔도의 반환을 요구했으나[25][26], 러시아 측은 이를 무시하고 실효 지배를 이어갔다.[23] 이 문제는 이후 소비에트 연방 시대를 거쳐 현재 러시아 연방과의 영토 문제로 남아 있다.

3. 1. 조선 시대

1430년대에 세종대왕이 6진을 개척[24]한 이후 녹둔도에는 토성과 목책이 쌓였다. 이 섬은 원래 '사차마도'라 불렸으나, 세조 때 '녹둔도(鹿屯島)'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1583년(선조 16년)에는 경흥부 현지 군사들의 군량이 부족해지자 녹둔도에 군사용 둔전(屯田)을 설치하게 되었다. 농민들은 배를 타고 섬에 들어가 농사를 지었으며, 소수의 병력이 섬을 방비했다. 1587년(선조 20년)에는 이순신이 조산보 만호(造山堡 萬戶)와 녹도 둔전사(鹿島屯田事)를 겸직하며 녹둔도의 둔전을 관리하였다.

1860년 10월 18일 체결된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외만주 전역을 차지하게 되면서, 연해주에 인접한 녹둔도까지 무단으로 점령하였다. 이후 녹둔도는 소비에트 연방을 거쳐 현재 러시아 연방의 영토가 되었다.

조선 정부는 러시아 제국이 녹둔도를 점령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파악하고, 1880년대에 여러 차례 청나라에 항의하였다.[25] 또한 1884년 러시아 제국과 수교한 이후 10여 차례에 걸쳐 러시아 측에 녹둔도의 반환을 요구했다.[26] 1885년에는 청나라와 러시아에 조선을 포함한 3국이 함께 국경을 정하자는 공동 감계안(勘界案)을 제안했으나, 청나라와 러시아 양측 모두 이를 무시했다.[26] 1890년에는 한성(서울)에 주재하던 러시아 공사를 불러 녹둔도 반환을 다시 요구했지만, 러시아 측은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았다.[23]

3. 2. 러시아 편입과 영유권 분쟁

1860년 10월 18일 베이징 조약으로 외만주를 모두 획득한 러시아 제국은 연해주에 붙어 있던 녹둔도까지 무단으로 점령하였다.[25] 이후 녹둔도는 소비에트 연방을 거쳐 현재 러시아연방의 영토가 되었다.

조선 정부는 러시아 제국이 이 땅을 점령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된 후, 1880년대에 수차례 청나라에 항의하였다.[25] 또한 러시아 제국과 수교한 1884년부터 10여 차례에 걸쳐 러시아 측에 직접 녹둔도의 반환을 요구했다.[26] 1885년에는 청나라와 러시아에 조선, 청, 러시아 3국이 함께 국경을 조사하고 정하자는 공동 감계안(勘界案)을 제의했으나, 청나라와 러시아 양측 모두 이를 무시하였다.[26] 1890년에는 한성(현재의 서울)에 주재하던 러시아 공사를 불러 녹둔도의 반환을 다시 한번 강력히 요구하였으나, 러시아 측은 이에 대해 아무런 회답도 하지 않았다.[23]

3. 3. 북한-소련 국경 협정과 현재 상황

1984년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의 국경 회담에서 녹둔도 문제가 논의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졌다.[23] 그러나 양국은 1985년 국경협정과 1990년 국경설정의정서를 체결하며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데 합의했다.[25] 협상 과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이 녹둔도 문제를 제기하기는 했으나, 최종적으로는 두만강의 주된 물길 중간선을 국경으로 확정했다. 이로 인해 두만강 주수로 동쪽에 위치한 녹둔도에 대한 소련의 영토권을 사실상 인정하게 되었다.[25][27]

한편, 대한민국 학계에서도 녹둔도에 대한 관심이 이어져, 2000년 가을에는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이기석 교수팀이 현지 탐사를 시도했다. 하지만 녹둔도가 군사기밀 지역이라는 이유로 탐사 시간이 3시간으로 제한되었고, 키가 2m에 이르는 갈대가 무성한 현지 상황 때문에 별다른 성과 없이 돌아와야 했다.

4. 영유권 문제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는 녹둔도는 단순한 영토 분쟁의 대상을 넘어, 한국 역사민족 정체성 문제와 깊이 연관되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대한민국 정부는 현재 공식적으로 녹둔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학계 및 민간 단체를 중심으로 녹둔도에 대한 역사적 연고권과 반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는 과거 러시아 제국에 의해 부당하게 점령당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며, 민족사의 아픔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4. 1. 관련 조약 및 협정

1860년 10월 18일 체결된 베이징 조약은 녹둔도 영유권 문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조약을 통해 외만주 전역을 확보한 러시아 제국은 연해주에 인접한 녹둔도까지 무단으로 점령하였다.[25] 이후 녹둔도는 소비에트 연방 시기를 거쳐 현재 러시아연방의 영토로 관리되고 있다.

조선 정부는 러시아 제국이 녹둔도를 점령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파악하고 대응에 나섰다. 1880년대에는 여러 차례 청나라에 이 문제에 대해 항의하였다.[25] 러시아 제국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맺은 1884년 이후로는 10여 차례에 걸쳐 러시아 측에 직접 녹둔도의 반환을 요구하였다.[26] 1885년에는 조선, 청나라, 러시아 3국이 함께 국경을 조사하고 확정하는 공동 감계(勘界)를 제안하였으나, 청나라와 러시아 양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26] 1890년에는 한성(서울)에 주재하던 러시아 공사를 불러 녹둔도 반환 문제를 다시 한번 강력히 제기하였으나, 러시아 측은 이에 대해 어떠한 공식적인 회신도 하지 않았다.[23]

5. 문화적 묘사

6. 같이 보기

참조

[1] 논문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批正)에 관한 연구 http://www.dbpia.co.[...] 2010-06-10
[2] 간행물 우리땅 우리魂 영토분쟁 현장을 가다 10 잊혀진 섬 녹둔도 http://www.donga.com[...] 2010-06-10
[3] 서적 Making Borders in Modern East Asia: The Tumen River Demarcation, 1881–191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07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1-24
[5] 웹사이트 '[Visual History of Korea] Do or die naval battles defined Adm. Yi Sun-sin as hero' https://www.koreaher[...] 2023-11-24
[6] 웹사이트 Key Actors in the Asia Pacific https://nsiteam.com/[...] 2023-11-24
[7] 논문 Прошлое как оружие http://www.globalaff[...] 2010-06-10
[8] 웹사이트 Проблема острова Ноктундо в средствах масс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Южной Кореи http://ru.apircenter[...] ru.apircenter.org 2015-06-30
[9] 뉴스 South Korea fires warning shots at Russian military aircraft https://www.10news.c[...] 2019-01-01
[10] 논문 Russi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the Korean Peninsula: A comparison from a societal viewpoint* https://dspace.spbu.[...] 2023-11-24
[11] 뉴스 영화 '한산 : 용의 출현', 이번엔 거북선과 학익진… 이순신 명승부 펼쳐진다 https://www.100ssd.c[...] 2022-01-01
[12] 웹사이트 '"거북선이 그런 구조였다고요? 세상에, 말도 안됩니다!"' https://www.chosun.c[...] 2023-11-14
[13] 논문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批正)에 관한 연구 http://www.dbpia.co.[...] 2010-06-10
[14] 간행물 우리땅 우리魂 영토분쟁 현장을 가다 10 잊혀진 섬 녹둔도 http://www.donga.com[...] 2010-06-10
[15] 웹사이트 donga.com[Japanese donga]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08-08-08
[16] 웹사이트 잃어버린 우리땅, 녹둔도 아십니까::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http://www.newsis.co[...] NEWSIS 2014-07-29
[17] 논문 Прошлое как оружие (The past as a weapon) http://www.globalaff[...]
[18] 웹사이트 Проблема острова Ноктундо в средствах масс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Южной Кореи) http://ru.apircenter[...] ru.apircenter.org 2015-06-30
[19] 뉴스 북한·소련 국경분쟁에 국내학계 천명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1-23
[20] 문서
[21] 웹인용 못박힌 철조망 앞에서 간도·녹둔도를 기억하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10-05
[22] 문서
[23] 뉴스 북한·소련 두만강 국경회담 배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4-11-15
[24] 문서 http://sillok.histor[...]
[25] 뉴스 <지평선> 녹둔도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08-08-08
[26] 뉴스 영토분쟁 현장을 가다 <10> 잊혀진 섬 녹둔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4-06-10
[27] 웹사이트 함경북도 나선시 행정구역도 http://www.cybernk.n[...]
[28] 문서
[2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