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눠쑤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눠쑤어는 중국 쓰촨성, 윈난성,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눠쑤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Lama (2012), Bradley (1997), Chen (2010) 등에 의해 분류되었다. 이 문자는 고전 이 문자, 현대 이 문자를 사용하며, 음운 체계는 자음, 모음, 성조로 구성된다. 눠쑤어는 분석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족 문화 - 나시어
    나시어는 중국 윈난성, 쓰촨성, 티베트 자치구 등에 거주하는 나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로로-버마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서부와 동부 방언으로 나뉘고, 거바 문자와 프레이저 문자,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을 사용한다.
  • 이족 문화 - 이 문자
    이 문자는 누수 신화에 따라 당나라 시대 아기가 고안한 음절 표기 표의 문자 체계로 알려졌으나, 실제 사용례는 15세기 이후에 나타나며 지역적 차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고, 현대에는 중국 정부 주도로 표준화된 이문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전 이문은 유니코드에 인코딩이 제안되었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눠쑤어
기본 정보
다른 이름북부 이어, 량산 이어, 쓰촨 이어
사용 국가중국
사용 지역쓰촨성 남부, 윈난성 북부
사용자200만 명 (2000년)
민족이족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 티베트버마어파 - 로로버마어군 - 로로어군 - 니소어군 - 북부 로로어군
문자이 문자, 이전에는 이 문자(고대)
표준어량산(량산, 량산) 방언
언어 코드
ISO 639-1ii
ISO 639-2iii
ISO 639-3iii
Glottologsich1238 (Sichuan Yi)

2. 분포

눠쑤어는 주로 중국 남서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에도 사용자가 분포한다. 중국에서는 쓰촨성, 윈난성 등에서 사용되며, 동남아시아에서는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태국 등에서 사용된다. 각 국가별 자세한 분포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2. 1. 중국

쓰촨성 남부(주로 량산)에서 주로 사용된다. 쓰촨성 내에서 눠쑤어 사용자만 있는 곳에서는 단순히 이(Yi)라고도 하며, 다른 쓰촨 이족 언어는 나수이다.[1]

중국 윈난성 북부의 북부 이(눠쑤어)는 주로 윈난성 북부, 쿤밍 및 추슝을 포함한 지역에서 사용된다.[2] 흑이(Black Yi) 또는 백이(White Yi)라고도 한다.[2]

2. 2. 동남아시아

베트남에서 눠쑤어(보통 북부 로로(Northern Lô Lô)로 알려짐)는 하장성라오까이성에서 사용되며, 사용자는 로로족으로 분류된다.[1] 베트남 내 눠쑤어 사용자의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1]

라오스에서 눠쑤어는 퐁살리성의 중국 국경 근처 3개 마을에서 사용된다.[1] 화자들은 롤로(Lolo)로 별도로 분류된다.[1]

미얀마에서 눠쑤어는 샨 주 또는 카친 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북동 이''' 또는 단순히 '''이'''로 알려져 있다.[1] 사용자는 리스족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카친족을 형성한다.[1]

태국에서 눠쑤어(보통 롤로라고 불림)는 치앙라이 주에서 사용된다.[1] 사용자는 리스족의 롤로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1] 태국의 롤로족은 미얀마에서 이주했다.[1]

3. 방언

눠쑤어는 지역별, 사용자 집단별로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Lama (2012)는 눠쑤어 방언을 Qumusu (톈바), Niesu (녜쑤, Adu 포함), Nuosu proper (Muhisu, Yinuo, Shengzha 포함)로 분류했다. 이 중 Qumusu 방언이 가장 분기되었으며, Niesu는 무성 비음 소실과 이중 모음 발달이 특징이다.[3] Adu 방언은 순음-연구개 자음이 특징이며, 쓰촨성 량산 이족 자치주부퉈닝난을 중심으로 사용된다.[4]

Bradley (1997)는 눠쑤어 방언을 북부(톈바, 이눠), 중부(성자), 동남부(손디, 아두르)의 세 가지로 분류했다.[7]

Chen (2010)은 눠쑤어 방언을 눠쑤, 숴디 방언으로 나누고, 각 방언의 하위 방언과 사용 지역을 제시했다.

방언하위 방언사용 지역 (화자 수)
눠쑤어
诺苏方言
센자 (셩자)
圣乍次方言 no̠33 su33|눠쑤yis
시더, 위에시, 간뤄, 진양, 푸거, 레이보, 시창, 더창, 몐닝, 옌위안, 옌볜, 무리, 스몐, 주룽, 루딩, 화핑, 융성, 닝랑, 리장, 젠촨, 융산, 차오자 (120만 명)
이노 (이눠)
义诺 no̠22 su22|이눠yis
메이구, 마볜, 레이보, 어볜, 간뤄, 위에시, 자오쥐에, 진양 (60만 명)
리딤 (톈바)
田坝 no̠33 su33|톈바yis
간뤄, 위에시, 어볜, 한위안 (10만 명)
소디 (숴디)
所地次方言 no̠33 su33|숴디yis
투오셴, 후이리, 후이둥, 닝난, 미이, 더창, 푸거 (60만 명)


3. 1. Lama (2012)의 분류

Lama (2012)는 눠쑤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눠쑤어
  • * ''Qumusu'' (톈바)
  • * Nuosu proper
  • ** Nuosu

''Muhisu''
Nuosu (nɔ³³su³³|눠쑤yiu)
* ''Yinuo''
* ''Shengzha''

  • ** Niesu (nie³³su³³|녜쑤yiu)

''Suondi''
''Adu''

Qumusu (曲木苏, 톈바 田坝) 방언은 가장 분기된 방언이다. 다른 방언들은 Niesu (聂苏, 와 Adu)와 Nuosu proper (Muhisu 米西苏, Yinuo 义诺, Shengzha 圣乍)로 분류된다. Niesu는 무성 비음이 사라지고 이중 모음이 발달했다.[3]

순음-연구개 자음으로 특징지어지는 Adu (阿都话)는 쓰촨성 량산 이족 자치주부퉈닝난에서 사용되며, 푸거, 자오쥐에, 더창, 진양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4]

3. 2. Bradley (1997)의 분류

Bradley (1997)에 따르면,[7] 눠쑤어에는 세 가지 주요 방언이 있으며, 그중 동남 방언(손디)이 가장 다르다.

방언하위 방언
북부
중부
동남부 (손디)


  • 'a.k.a.'는 '~라고도 알려진'으로 번역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원어 발음을 살려 표기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하여 제거했다.
  • '북부 셔프느라', '남부 셔프느라', '수온디(아두)', '이뉘오'는 Bradley (1997)의 분류에 명확히 포함되지 않아 생략했다.
  • 템플릿은 제거했다.

3. 3. Chen (2010)의 분류

Chen (2010)은 눠쑤어의 다음 방언들을 나열하고 있다. 각 방언이 사용되는 현(縣)도 함께 나열되어 있다.

방언하위 방언사용 지역 (화자 수)
눠쑤어
诺苏方言
센자, 셩자
圣乍次方言
no̠33 su33|눠쑤yis
시더, 위에시, 간뤄, 진양, 푸거, 레이보, 시창, 더창, 몐닝, 옌위안, 옌볜, 무리, 스몐, 주룽, 루딩, 화핑, 융성, 닝랑, 리장, 젠촨, 융산, 차오자 (120만 명)
이노, 이눠
义诺 no̠22 su22|이눠yis
메이구, 마볜, 레이보, 어볜, 간뤄, 위에시, 자오쥐에, 진양 (60만 명)
리딤, 톈바
田坝 no̠33 su33|톈바yis
간뤄, 위에시, 어볜, 한위안 (10만 명)
소디, 수어디
所地次方言 no̠33 su33|숴디yis
투오셴, 후이리, 후이둥, 닝난, 미이, 더창, 푸거 (60만 명)


4. 문자 체계

눠쑤어는 전통적으로 표의문자 체계인 고전 이 문자를 사용했다. 1958년 중국 정부는 글래드스턴 포테우스가 로마자로 표기한 것을 기반으로 한 로마자 기반의 문자를 도입했으나[8], 이후 현대 이 문자로 대체되었다.

4. 1. 고전 이 문자

고전 이 문자는 8,000~10,000개의 표의 문자를 사용하는 음절 표어 문자 체계이다. 기능 면에서는 한자와 유사하지만, 글자 형태는 독립적이며 직접적인 관련성을 시사하는 부분은 거의 없다.[8]

4. 2. 현대 이 문자

현대 이 문자(ꆈꌠꁱꂷ|nuosu bburma|nɔ̄sū bʙ̝̄māii)는 1974년 고전 문자를 기반으로 표준화된 음절 문자이다. 1980년 이 언어의 공식 문자로 지정되었다. 량산 방언을 기반으로 한 756개의 기본 글자와 한자 차용어에서만 발견되는 음절을 위한 63개가 더 있다. 중국 정부는 지정된 일부 공공 장소에서 이 문자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9]

5. 음운

눠쑤어는 자음, 모음, 성조 체계를 가지고 있다. 자음은 유성음과 무성음, 유기음과 무기음 등으로 구분되며, 모음은 10개의 기본 모음과 2개의 음절 자음을 가지며 이완음과 긴장음으로 구분된다. 눠쑤어는 고(高), 고-중(高-中), 중(中), 저 강하(低降下)의 4개 성조를 가진다.

5. 1. 자음

눠쑤어는 다양한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유성음과 무성음, 유기음과 무기음 등의 구분이 있다.

눠쑤어 자음
colspan="2" rowspan="2" |입술소리치경음권설음치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평음치찰음
비음유성음
무성음
파열음/
파찰음
선비음화
유성음
무성음
유기음
지속음무성음
유성음


5. 2. 모음

눠쑤어는 10개의 기본 모음과 2개의 음절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이완음(lax)과 긴장음(tense)의 구분이 있다. 밑줄은 긴장된 목구멍을 위한 임시 기호로 사용되며, 음성학적으로 이러한 모음은 후두화되거나 혀 뒤쪽 당김을 보인다. 느슨함과 긴장함은 두 쌍의 음절 자음의 유일한 구분이지만, 성모음에서는 모음 높이 차이로 강화된다.

} y|ii

| v̩ʷ|ii u|ii

|-

! scope="row" | 긴장함

| z̠̩|ii yr|ii

| v̠̩ʷ|ii ur|ii

|-

! scope="row" | 고모음

! scope="row" | 느슨함

| e̝|ii i|ii

| ɤ̝|ii e|ii

| o̝|ii o|ii

|-

!중고모음

! rowspan="2" |긴장함

| ɛ|ii ie|ii

|

| ɔ|ii uo|ii

|-

! scope="row" | 저모음

|

| a|ii a|ii

|

|}

음절 자음 y(r)|ii u(r)|ii는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한자학 모음 ɿ|ii ʮ|ii와 같아서, y|ii는 중국어 四cmncmn "4"의 모음과 동일시될 수 있지만, 다양한 실현을 보인다. Y(r)|ii는 성문을 제외하고 선행 자음에 완전히 동화된다. 예를 들어 ꑮ|ii xyp|ii "결혼하다"와 같이, 순음 비음 뒤에서는 m͡l̩|ii가 된다. 예를 들어 ꂪꌦ|ii hmy sy|ii "천"과 같다. U(r)|ii은 또한 측면 뒤에서 유사하게 동화되어 원순성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ꆭ|ii hlu|ii "볶다"와 같이 순음 비음 뒤에서는 m̩ʷ|ii가 된다. 예를 들어 ꂥ|ii hmu|ii "버섯"과 같으며, 더 나아가 선행 순음 또는 치경 파열음의 순음 떨림 방출을 유도한다. 예를 들어 ꅥ|ii ndup|ii "치다"와 같다.

긴장된 목구멍 음소 ɤ̝|ii는 높은 톤에서 /ɤ̝/|ii의 실현으로 나타난다. 이는 복합어에서 긴장성 조화에 있어서의 행동으로 보아 음소적으로 느슨한 목구멍임을 알 수 있다.

5. 3. 성조

눠쑤어는 4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으며, 고(高), 고-중(高中), 중(中), 저 강하(低降下)로 구분된다.

  • 고(高): ˥|und / V̋|und - '-t'로 표기
  • 고-중(高-中): ˦|und / V́|und 또는 중 강하(中降下) ˧˨|und / V᷆|und - '-x'로 표기 (음절 표기에서 기호 위에 ̑|und 다이아크리틱으로 표기)
  • 중(中): ˧|und / V̄|und - 별도 표기 없음
  • 저 강하(低降下): ˨˩|und / V̂|und - '-p'로 표기


고-중(高-中) 성조는 미미하게 대조를 이룬다. 주요 출처는 성조 변동 규칙으로, 다른 중(中) 성조 앞에서 중(中) 성조가 나타나는 경우와 중(中) 성조 뒤에 저 강하(低降下) 성조가 나타나는 경우의 결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야 할 모든 복합어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ꊈ|ii wo|und "곰" + ꃀ|ii mop|und "어머니"는 규칙적으로 ꊈꂾ|ii wo mox|und "암곰"을 형성하지만, ꃤ|ii vi|und "자칼" + ꃀ|ii mop|und "어머니"는 성조 변동 없이 ꃤꃀ|ii vi mop|und "암 자칼"을 형성한다. 구문은 다른 대조를 만든다. 성조 변동은 목적어와 동사 사이의 경계에서 적용되므로, 주어-목적어-동사 구절인 ꃅꏸꇐꄜꎷ|ii mu jy lu ti shex|und "무지(Mujy)는 루티(Luti)를 찾는다"와 같이 나타나지만, 목적어-주어-동사 구절인 ꃅꏸꇐꄜꎹ|ii mu jy lu ti shep|und "루티(Luti)는 무지(Mujy)를 찾는다"와 같이 나타나지 않는다. ꑞ|ii xix|und "무엇?"과 같은 몇몇 단어는 기저 고-중(高-中) 성조를 가지고 있다.

6. 어휘 및 문법

눠쑤어는 고립어(분석어)이며, 기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다.

6. 1. 어휘

눠쑤어의 어휘는 내용어와 기능어로 나눌 수 있다. 내용어 중 눠쑤어의 명사는 문법적 성, 수, 격에 따른 굴절을 하지 않으며, 명사를 셀 때는 분류사가 필요하다. 동사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 않는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구조 입자와 함께 수식되는 단어 뒤에 위치하며 비교를 위한 굴절을 하지 않는다. 기능어, 특히 문법 조사는 눠쑤어 문장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눠쑤어에는 관사가 없지만 접속사와 후치사가 사용된다.

6. 2. 문법

눠쑤어는 분석어이며, 기본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다. 눠쑤어의 어휘는 내용어와 기능어로 나눌 수 있다. 내용어 중 눠쑤어의 명사는 문법적 성, 수, 격에 따른 굴절을 하지 않으며, 명사를 셀 때는 분류사가 필요하다. 동사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 않는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구조 입자와 함께 수식되는 단어 뒤에 위치하며 비교를 위한 굴절을 하지 않는다. 기능어, 특히 문법 조사는 눠쑤어 문장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눠쑤어에는 관사가 없지만 접속사와 후치사가 사용된다.[1]

6. 3. 수사

명사를 수식할 때는 분류사가 필요하다.[1]

눠쑤어의 모음
rowspan=2 colspan=2|전설후설
비원순원순
음절
자음
느슨함{{lang|ii|z̩|}
0123456789101112
이 문자ꋍ|츠iiꑍ|니iiꌕ|숴iiꇖ|르iiꉬ|응어iiꃘ|푸iiꏃ|스iiꉆ|흐iiꈬ|구iiꊰ|츠iiꊰꋍ|츠 츠iiꊰꑋ|치 니ii
IPAcolspan="12" |
이 핀인cypnyipsuolyngefutshyphxitggucycyp cyci nyip


참조

[1] 서적 Yíyǔ jīchǔ jiàochéng Zhongyang minzu daxue chubanshe 2006
[2] 간행물 Tibeto-Burm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24-10-03
[3] 논문 Subgrouping of Nisoic (Yi) Languages: A Study From the Perspectives of Shared Innovation and Phylogenetic Estim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2012
[4] 학술지 Yíyǔ Ādōuhuà chúnruǎn'è fùfǔyīn shēngmǔ bǐjiào yánjiū 2001
[5] 학술지 Yíyǔ Shuǐtiánhuà gàikuàng 2005
[6] 문서 Main datapoint used in Zhu & Zhang (2005)
[7] 서적 Papers in South East Asian Linguistics No. 14: Tibeto-Burman Languages of the Himalayas Pacific Linguistics 1997
[8] 웹사이트 Yi http://www.worldlang[...] 2021-11-05
[9] 학술지 Nuosu script in the linguistic landscape of Xichang, China: a sociocultural subtext
[10] 학술지 Yīngyǔ hé Yíyǔ de yǔfǎ bǐjiào yánjiū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