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친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친족은 미얀마 북부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으로, 여러 하위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친족이라는 명칭은 여러 유래가 있으며, 그중에는 미국 선교사의 기록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언어적으로는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지만, 공용어는 진포어(카친어)이다. 카친족은 전통적으로 무예, 씨족 사회, 도예 등에 능하며,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는 비율이 높다. 영국 식민지 시대와 버마 독립 과정에서 정치적 갈등을 겪었으며, 카친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다. 1994년 휴전 협정 이후에도 분쟁이 재발하여 인권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 - 코캉
코캉은 미얀마 샨 주 북부에 위치하며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양씨 가문의 통치, 미얀마 민족 민주 동맹군의 장악과 붕괴, 자치구 설치, 삼형제 동맹의 재장악 과정을 거쳤으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 미얀마 - 버마 방면군
버마 방면군은 일본군 남방군 예하 부대로 1943년 창설되어 버마를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나, 보급 부족과 잇따른 전투 패배로 1945년 항복했다.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 인도의 민족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의 민족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카친족 |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징포족 (景颇族) 카친족 (Kachin people) |
한자 표기 | 카친족 (克钦族) |
로마자 표기 | Kachin (영어) Gǎg jīng bū (병음) |
인구 및 분포 | |
주요 거주 지역 | 미얀마 카친주 미얀마 샨주 중국 윈난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인도 아삼주 인도 아루나찰 프라데시주 |
언어 | |
사용 언어 | 징포어 (카친어, 景颇语) 자이와어 (아츠이어, 载瓦语) 롱워어 (마루어, 浪速语) 라시어 (勒期语) 응오창어 라왕어 리스어 (傈僳语) 미얀마어 중국어 아삼어 샨어 |
종교 | |
종교 | 기독교 정령 신앙 |
민족 관계 | |
관련 민족 | 징포족 싱포족 |
2. 명칭
카친족의 이름 유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중 하나는 미국 침례교 선교사 유제니오 킨케이드(Eugenio Kincaid) 박사의 이야기에서 나온다. 그가 미얀마 북부에 도착하여 처음 만난 사람들은 가꺄잉(Gahkyeng) 사람들이었고, 그들에게 누구냐고 묻자 그들은 가꺄잉 마을 사람들이라고 답했다. 킨케이드 박사는 그의 기록에 "Ga hkyeng"이라고 적었다.[5] 유럽 작가들은 1899년까지 카친족을 "카카이엔(Kakhyens)"이라고 불렀다.[5] 1890년에 출판된 "대여왕이 온다(The Great Queen is Coming 1890)"라는 책에는 Ecy Brong 소령이 로마자로 "Kachin"이라는 표기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라고 기술되어 있다.[5] 또한, 하라리어의 "qachin"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 단어는 가늘고, 마르고, 호리호리하거나 좁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6]
카친족은 크게 징포족, 리수족, 누족, 더룽족으로 나뉜다.
3. 하위 분류
3. 1. 징포족 (Jingpo)
윈난 성에서는 윈퐁(Wunpong)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네 개의 민족으로 나뉜다. 중국어 징포족(경포족)(Jingpo)의 정의는 카친힐스(Kachin Hills)의 정의보다 넓으며 카친힐스의 윈퐁(Wunpong)과 비슷하다.[7] 윈난 성의 리수족(Lisu), 아농(Anung)(라왕어(Rawang)), 더룽족(Derung)(타론(Taron)) 사람들은 징포족(경포족)(Jingpo)에 종속되지 않으므로 경포족 외부로 분류된다.
카친족은 언어적으로 다양한 민족이지만, 공용어로는 '''진포어''' (카친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32] 카친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진포어 외에도 자이와어(Zaiwa), 롱워어(Lhaovo), 라왕어(Rawang), 리수어(Lisu) 등이 있다. 민족과 언어의 일대다 대응을 보이는 카친족에게는 다언어 사용이 드물지 않다. 카친족의 공용어인 진포어는 카친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고 있다. 카친족의 공용어인 진포어는 “카친어”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33][34]
3. 2. 리수족 (Lisu)
윈난 성에서는 리수족(리수족)이 경포족 외부로 분류된다.[7] 카친족은 진포어 외에도 자이와어(Zaiwa), 롱워어(Lhaovo), 라왕어(Rawang), 리수어(Lisu) 등을 사용한다.[32]
3. 3. 누족 (Nu)
3. 4. 더룽족 (Derung)
윈난 성에서는 윈퐁(Wunpong)으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네 개의 민족으로 나뉜다. 중국에서 징포족(경포족)(Jingpo)은 카친힐스(Kachin Hills)의 정의보다 넓으며, 카친힐스의 윈퐁(Wunpong)과 비슷하다.[7] 윈난 성의 리수족, 아농(Anung)(라왕(Rawang)), 더룽족(Derung)(타론(Taron)) 사람들은 경포족에 속하지 않으므로 경포족 외부로 분류된다. 더룽족은 아농어(Anung)를 사용하는 아농족과 더룽어(Derung)를 사용하는 아농족으로 나뉜다.[10]
4. 언어
카친족은 언어적으로 다양한 민족이지만, 공용어로는 '''진포어''' (카친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32] 카친족이 사용하는 언어는 진포어 외에도 자이와어(Zaiwa), 롱워어(Lhaovo), 라왕어(Rawang), 리수어(Lisu) 등이 있다. 민족과 언어의 일대다 대응을 보이는 카친족에게는 다언어 사용이 드물지 않다. 카친족의 공용어인 진포어는 카친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카친어”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33][34]
5. 지리 및 분포
카친족이 주로 거주하는 카친주는 미얀마 최북단 주이다. 카친주의 주도인 미치나(Myitkyina)와 제2의 도시인 바모(Bhamo)를 비롯하여 모가웅(Mogaung), 모닌(Mohnyin), 푸타오(Putao) 등이 주요 도시이다. 미얀마 철도의 종착역은 미치나역이다. 히말라야 빙하에서 발원하는 말리강(Mali River)과 남마이강(N'Mai River)은 카친주 중부에서 합류하여(밋손이라 불림) 미얀마 최대의 강인 이라와디강(Irrawaddy River)이 된다. 카친주 서부에 위치한 후콩 계곡(Hukawng Valley)에서는 타나이쿠하강, 타비에강, 타완강, 타롱강이 합류하여 이라와디강 최대 지류인 친드윈강(Chindwin River)의 발원지가 된다. 카친주 남부에 위치한 인도지 호(Indawgyi Lake)는 미얀마 최대의 호수이다. 카친주 최북단에 위치하고 히말라야 산맥의 남단을 이루는 카카보라지 산(Hkakabo Razi)은 해발 5881m로 동남아시아 최고봉이다. 1996년 일본의 尾崎隆(오자키 타카시)와 미얀마의 냐마 갈젠이 초등정했다.[35] 후콩 계곡에는 호랑이 야생동물 보호구역(Hukawng Valley Tiger Reserve)이 있다. 카친주 서부의 파칸(Hpakant)은 세계적인 히수이 산지로 알려져 있다.[36] 미얀마의 화석이 포함된 호박의 대부분은 카친주 서부 후콩 계곡에서 나오며, 2016년에는 백악기 후기에 멸종한 조류의 분류인 에난티오르니스류의 날개가 이곳에서 나온 호박에서 발견되었다.[37] 카친족은 샨주 북부에도 거주하며, 라쇼(Lashio), 꾸까이(Kutkai), 무세(Muse) 등의 도시가 있다.
6. 역사
카친족은 친족과 같이 기독교 비율이 높으며, 미얀마 중앙정부와 마찰로 인해 분리독립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무예, 무사, 씨족사회, 도예, 약초 치료, 정글 생활 등에 특화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현지 무당의 관습이 개신교 신앙으로 포섭되는 경향을 보인다.[45] 과거 애니미즘에 기반한 마나오 축제 등은 현재 전통 계승의 의미로 재해석되고 있다.[46]
6. 1. 영국 식민 통치와 버마 독립
영국령 버마 지배는 1824년 제1차 영-버마 전쟁 이후 시작되었다. 그러나 카친 주의 오지와 험준한 지형 때문에 카친족은 영국 지배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 미국 선교사들이 카친족과 가장 먼저 깊이 교류했으며, 많은 카친족을 토착 신앙에서 기독교로 개종시켰다.[11]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반, 영국은 군대에서 버마인을 카친족, 친족, 카렌족 병사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영국군에서 버마인을 배제하는 이 정책은 1925년 소수 민족만 군에 입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공식적으로 채택되면서 확립되었다. 군대 구성의 이러한 변화로 인해 많은 버마인들은 소수 민족을 영국의 억압과 연관짓기 시작했다.[12]1942년 일본의 버마 침공 이후 많은 버마인 병사들이 버마 독립군(BIA)을 결성하여 일본군과 함께 영국에 맞서 싸웠다. 그러나 카친족은 전쟁 후 자치를 약속받고 영국과 미국에 의해 일본군에 맞서 싸우도록 모집되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과 이 지역에 대한 영국의 지배가 끝난 후, 카친족은 1947년 팡롱 회의에서 버마 연방에 가입하는 데 동의했다. 이 회의에는 당시 버마 지도자인 아웅산과 함께 카친족, 친족, 샨족 지도자들이 모였다. 그들은 함께 팡롱 협정에 서명하여 소수 민족 거주 지역에 지역 행정 자치권과 국가의 평등한 대우를 부여했다.[14] 그러나 아웅산의 암살은 정부의 협정 지지 감소로 이어졌고, 카친족에게 배신감을 불러일으켰다.[13]
6. 2. 카친 독립 운동
카친족은 친족과 같이 기독교의 비율이 높다. 미얀마 중앙정부와 마찰이 있어 분리독립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카친 독립기구(Kachin Independence Organisation, KIO)는 1960년 10월 25일 카친족의 권리를 옹호하고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5] 설립 1년 후, KIO의 무장 조직인 카친 독립군(Kachin Independence Army, KIA)이 창설되었다. KIA는 초기에는 100명으로 시작했지만, 현재 KIA 사령관들의 보고에 따르면 정규군 1만 명과 예비군 1만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16] KIO와 KIA는 모두 중국과의 옥, 목재 및 기타 원자재 무역으로 활동 자금을 조달한다.[17]
6. 3. 1994년 휴전 협정과 그 이후
33년간의 반란 끝에, 카친 독립군(KIO)은 국가법질서회복평의회(SLORC)와 휴전 협정을 체결하여, 미얀마군(Tatmadaw)과 KIO 양측이 주도한 모든 군사 작전을 종식시켰다. 이 휴전은 주로 군사 활동을 종식시켰지만, 미얀마 정부가 카친주에 개발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한다는 조항도 포함되었다. 협정 당시 KIO는 미얀마군으로부터 군사적 압력이 증가하고 있었고, 국가를 상대로 전쟁을 계속할 외국 세력의 지원은 감소하고 있었다.[18]2010년 선거 이전에, 타마다우(Tatmadaw, 미얀마군)는 정부 관리들에게 다른 소수민족 반군 단체들과 함께 카친 독립군(KIA)을 타마다우의 관할 아래 민병대로 전환시키라고 촉구했다.[19] 이 명령은 모든 무장 세력이 무기를 넘겨주고 타마다우의 중앙 권한 아래 복속되며 국경수비대(Border Guard Forces, BGF)로 개칭해야 한다는, 군부가 작성한 2008년 헌법에서 비롯되었다.[20] 카친 독립군(KIO)은 BGF로 전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카친 지역 경비대(Kachin Regional Guard Force, KRGF)로 개칭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새로운 조직은 카친족의 인종적 평등을 위해 노력할 것이었지만, 타마다우는 이러한 노력을 거절했다.
1994년 휴전 이후, 국가법치회복평의회(SLORC)와 국가평화발전평의회(SPDC)는 카친주 전역에서 토지 탈취를 자행했다. 미흡한 토지 관리 정책을 이용하여 SLORC와 SPDC는 외국 사업자들을 초청하여 카친족이 전통적으로 소유해 온 토지에 광산 개발, 벌목, 댐 건설 등 여러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하도록 했다. 게다가 카친주는 특히 비취를 비롯한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두고 타마다우(미얀마군)와 카친 독립군(KIO)이 서로 통제권을 다투고 있다.[19] 190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타마다우는 상업 개발 지역에 군사력을 배치하여 KIO의 통제하에 있던 토지에 대한 지배력을 약화시켰다.[21]
6. 4. 2011년 내전 재발과 인권 문제
테인 세인이 미얀마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여러 소수민족 무장단체(EAO)와 추가적인 휴전 협정이 체결되어 화해의 신호를 보였다.[19] 그러나 2011년 6월 9일, 타트마다우(미얀마군)는 17년간 지속된 휴전을 깨고 수력발전소 인근 타핑 강을 따라 KIO(카친 독립군)에 대한 무력 공세를 개시했다.[22] 공격 중 타트마다우는 KIO의 창잉 상병을 납치하여 며칠 후 고문당한 시체를 돌려보냈다. 이러한 행위는 KIO의 보복을 불러왔고, 양측 간에 일련의 치명적인 충돌이 시작되었다.[23] 2012년까지 카친주 전역에서 KIA(카친 독립군)와 타트마다우 간의 전투가 확대되었다. 여러 차례의 논의 끝에 테인 세인 대통령은 현장 지휘관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3년 5월 일시적인 휴전을 선포했다.[24] 2년간의 분쟁이 끝날 무렵, 약 10만 명의 카친족이 난민이 된 것으로 추산된다.[25]카친족은 특히 타마다우에 의해 지속적으로 자행되는 수많은 인권 침해와 공동체에 대한 범죄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사례들은 계속 기록되고 있다. 타마다우의 침해 행위에는 강간과 성폭행, 사법 외 살인, 강제 노역, 고문, 신체적 학대 및 기타 여러 형태의 차별이나 노골적인 폭력이 포함된다. 2014년 한 해 동안만 미얀마 여성 연맹(Women's League of Burma)은 카친주에서 100건 이상의 강간 사건을 기록했다. 또 다른 사건에서는 카친 민간인이 고문을 당한 후 타마다우 군인들이 전투 지역을 통과하도록 안내하도록 강요받았다.[30]
카친 독립군(KIA)과 타마다우 간의 갈등으로 10만 명이 넘는 카친 사람들이 난민이 되는 대규모 난민 위기가 발생했다. 이러한 국내 실향민(IDP)들은 종종 국경을 넘어 중국으로 피하려 한다. 그러나 2011년 카친 국내 실향민들은 중국 정부에 의해 미얀마로 강제 송환되었고 난민 지위를 거부당했다.[31] 난민이나 망명 신청자로 인정받지 못함으로써 많은 카친 사람들은 미얀마에 대규모 국내 실향민 캠프를 형성해야 했다. 그러나 타마다우가 통제하는 지역에 있는 국내 실향민 캠프에만 유엔 차량과 국제 원조가 제공된다. 미얀마 정부는 안보를 이유로 카친 독립군(KIA)이 통제하는 지역에 원조를 제공하려는 국제 행위자들의 접근을 종종 거부한다.[30]
7. 문화 및 전통
카친족은 전통적으로 무예, 무사, 씨족 사회, 도예, 약초 치료, 정글 생활 등에 특화되어 있다. 최근까지도 현지 무당의 관습이 널리 행해지고 있지만, 이러한 부분은 개신교 신앙으로 포섭되는 양상이다.[45]
과거 애니미즘에 입각한 마나오 축제 등 여러 행사는 현재 전통을 계승하는 의미로 재해석되고 있다.[46] 친족과 마찬가지로 기독교 비율이 높다. 한 자료에 따르면 카친족의 약 3분의 2가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확인한다고 하며,[26] 다른 자료는 그 수치를 90~95%로 제시한다.[27]
미치나에서 매년 열리는 마나우 축제와 같은 많은 종교 의식과 상징물은 민속 전통으로 기념된다.[28][29] 비단, 화전 농업, 밭벼 재배, 노래 담(歌垣), 된장[38][39][40], 찹쌀밥, 누룩술 등이 알려져 있다.[41][42] 매년 1월 카친 주 기념일에 맞춰 카친족 최대 축제인 마나우 축제(Manau)가 미치나의 마나우 광장(Kachin National Manau Park)에서 개최된다.
8. 민속
친족과 같이 기독교의 비율이 높다. 미얀마 중앙정부와 마찰이 있어 분리독립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
카친족은 전통적으로 무예와 무사, 씨족사회, 도예, 약초치료, 정글 생활 등이 특화되어 있다. 최근까지도 현지 무당의 관습이 널리 행해지고 있지만 이러한 부분은 개신교의 신앙으로 포섭되는 양상이다.[45]
과거 애니미즘에 입각한 여러 행사인 마나오 축제 등은 현재 전통을 계승하는 의미로 재해석되고 있다.[46]
카친족은 전통적으로 엄격한 전투 기술, 복잡한 씨족 간의 관계, 장인 기술, 약초 치료 및 정글 생존 기술로 유명하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애니미즘과 불교 신앙이 쇠퇴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지역에서 기독교를 받아들이고 있다. 한 자료에 따르면 카친족의 약 3분의 2가 자신을 기독교인으로 확인한다고 한다.[26] 반면 다른 자료는 그 수치를 90~95%로 제시한다.[27] 미치나에서 매년 열리는 마나우 축제와 같은 많은 종교 의식과 상징물은 민속 전통으로 기념된다.[28][29]
참조
[1]
웹사이트
Jingpho - Ethnologue.com
https://www.ethnolog[...]
2017-04-15
[2]
서적
TRANSLATING GUMLAU:HISTORY, THE 'KACHIN' AND EDMUND LEACH
Brill
[3]
문서
Kachin National Museum, Myitkyina
[4]
서적
Political Systems of Highland Burma: a study of Kachin social structure
Beacon Press
[5]
간행물
Mungkan hta grin nga ai Jinghpaw mabyin (4) hte Kachin Mabyin (4) hpe chye na ai lam
[6]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Harari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7]
웹사이트
The Jingpo people is divided into 5 subgroups: Jingpo, Zaiwa, Leqi, Lang'e (Langsu) and Bola.
http://www.kepu.net.[...]
[8]
웹사이트
景颇族高日支系考释
http://www.chinanews[...]
[9]
웹사이트
Jingpo - Orientation
http://www.everycult[...]
[10]
웹사이트
The Rouruo people form a sub-division of the Nu ethnic minority, which also has the sub-division of Anong people.
http://www.china.org[...]
[11]
웹사이트
The Long War Pt. 4; The Kachin Independence Army (KIA)
https://militarymatt[...]
2021-03-29
[12]
논문
Ethnicity, Conflict, and History in Burma: The Myths of Panglong
https://online.ucpre[...]
2008-11-12
[13]
서적
Kachin history, perceptions, and beliefs: contextual elements
http://books.openedi[...]
Institut de recherche sur l'Asie du Sud-Est contemporaine
2021-03-29
[14]
논문
Ethnic Nationalities and the Peace Process in Myanmar
https://muse.jhu.edu[...]
[15]
서적
Myanmar : state, society, and ethnicity
http://worldcat.org/[...]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6]
뉴스
Burma's Kachin army prepares for civil war
http://news.bbc.co.u[...]
2021-03-29
[17]
서적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Kachin conflict
http://worldcat.org/[...]
[18]
논문
Why Do Some Insurgent Groups Agree to Cease-Fires While Others Do Not? A Within-Case Analysis of Burma/Myanmar, 1948–2011
https://doi.org/10.1[...]
2015-10-03
[19]
논문
Protecting civilians in the Kachin borderlands, Myanmar: key threats and local responses.
https://cdn.odi.org/[...]
2018-12-01
[20]
웹사이트
Border guard plan could fuel ethnic conflict
https://www.thenewhu[...]
2021-03-29
[21]
서적
Managing Conflicts in a Globalizing ASEAN
http://dx.doi.org/10[...]
[22]
뉴스
More war than peace in Myanmar
2012-12-18
[23]
서적
Debating Democratization in Myanmar: Chapter 14 State Terrorism and International Compliance: The Kachin Armed Struggle for Political Self-Determination
ISEAS–Yusof Ishak Institute
[24]
논문
Cooperation, Contestation, Conflict: Ethnic Political Interests in Myanmar Today
http://dx.doi.org/10[...]
2014-06-01
[25]
논문
The Situation of Kachin Women during the Current Political Crisis
http://dx.doi.org/10[...]
[26]
웹사이트
Kachin
http://www.joshuapro[...]
2019-07-12
[27]
논문
Buddhist Nationalism and Burmese Christianity
[28]
웹사이트
Manao Festival
https://www.lonelypl[...]
2017-04-15
[29]
웹사이트
Manao Festival description
http://myanmartravel[...]
2017-04-15
[30]
웹사이트
Myanmar's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Violations in Kachin State and its Duty to Investigate, Prosecute, and Provide Victims with Remedies
http://hrn.or.jp/eng[...]
2021-04-17
[31]
논문
Mobilising affinity ties: Kachin internal displacement and the geographies of humanitarianism at the China–Myanmar border
https://rgs-ibg.onli[...]
[32]
서적
The Sino-Tibetan Languages
Routledge
[33]
서적
A Grammar of the Kachin Language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34]
서적
A Dictionary of the Kachin Language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35]
서적
幻の山、カカボラジ―冒険家族、ミャンマーの最高峰初登頂
山と溪谷社
[36]
서적
Land of Jade: A Journey from India through Northern Burma to China
Orchid Press
[37]
뉴스
恐竜時代の鳥の翼、琥珀の中でありのまま保存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
2016-07-01
[38]
서적
料理の起源
吉川弘文館
[39]
서적
納豆の起源 (NHKブックス)
NHK出版
[40]
서적
謎のアジア納豆: そして帰ってきた
新潮社
[41]
서적
照葉樹林文化の道 ブータン・雲南から日本へ (NHKブックス )
日本放送出版協会
[42]
서적
照葉樹林文化とは何か
中央公論社
[43]
서적
The Kachins: Their Customs and Traditions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44]
간행물
ジンポー語の2 つの民話資料と文法注釈
[45]
웹사이트
Joshua Project analysis
http://www.joshuapro[...]
[46]
웹인용
Manao Festival description
http://myanmartravel[...]
2014-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