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우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우에어는 니우에 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약 8,000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다. 쿡 제도, 뉴질랜드, 통가 등지에서도 사용되며, 니우에 주민의 대다수는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 니우에어는 모투와 타피티의 두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 체계는 12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으로 구성된다.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VSO 어순을 가지는 언어이다. 대명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구분되며,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언어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뉴질랜드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폴리네시아어군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폴리네시아어군 - 마오리어
    마오리어는 뉴질랜드 원주민 마오리족의 언어로, 뉴질랜드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고, 영어의 영향으로 쇠퇴했으나 부흥 운동을 통해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뉴질랜드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VSO형 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VSO형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니우에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니우에어
고유 이름ko e vagahau Niuē
사용 국가니우에
쿡 제도
뉴질랜드
통가
사용자 수 (니우에)1,340명 (2018년)
사용자 수 (뉴질랜드)4,550명 (2013년)
언어 계통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통가어군
문자라틴 문자
ISO 639-2niu
ISO 639-3niu
글롯로그niue1239
글롯로그 명칭니우에어
언어 위험도위험
언어학 정보
음성학IPA 표기법

2. 쓰임새

1991년 기준 니우에 섬 주민의 97.4%가 니우에어를 사용하며, 전체 화자 수는 약 8,000명이다.[3] 쿡 제도, 뉴질랜드, 통가 등지에도 화자가 있어 니우에 섬 외부의 화자 수가 더 많다. 니우에 주민 대다수는 영어를 제2언어로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3] 1990년대 초에는 니우에어 화자의 70%가 뉴질랜드에 거주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

2. 1. 화자

1991년 기준 니우에 섬 주민의 97.4%가 니우에어를 사용하며, 전체 화자 수는 약 8,000명이다.[3] 쿡 제도, 뉴질랜드, 통가 등지에도 화자가 있어 니우에 섬 외부의 화자 수가 더 많다. 니우에 주민 대다수는 영어를 제2언어로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3] 1990년대 초에는 니우에어 화자의 70%가 뉴질랜드에 거주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3]

2. 2. 방언

니우에어는 크게 두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 섬 북쪽에서 사용되는 오래된 방언인 모투(Motu)와 섬 남쪽에서 사용되는 타피티(Tafiti)이다. '모투'는 섬사람, '타피티'는 타지 사람을 뜻한다. 두 방언의 차이는 주로 어휘와 일부 단어 형태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긁다, 긁개'는 타피티 방언으로 volu, 모투 방언으로 matā이며, '구아바'는 타피티 방언으로 lala, 모투 방언으로 kautoga이다. hafule / afule, aloka / haloka, nai / nei, ikiiki / likiliki, malona / maona 등과 같이 형태가 조금씩 다른 단어들도 있다.

3. 음운

니우에어의 음운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며, 자음과 모음의 수가 적다.

== 자음 ==

니우에어에는 12개의 자음 음소가 있다.



와 은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주변 음소이며, 일부 화자는 각각 와 로 발음하기도 한다. 는 가 전설 모음(, ) 앞에서 구개음화된 이음이다.

== 모음 ==

니우에어에는 5개의 단모음(, , , , )과 5개의 장모음(, , , , )이 있다. 모음의 장단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설중설후설



두 모음이 연속될 경우 재발음되는 모음으로 실현되어 장모음과 구별된다.

모든 단모음은 서로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형성할 수 있다.

rowspan="2"; colspan="2" |첫 번째 요소
/a//e//i//o//u/
rowspan="6"
/a/-
-
/i/-
/o/-
/u/-



== 음절 구조 ==

니우에어 음절의 기본 구조는 (C)V(V)이다. 모든 음절은 모음이나 이중 모음으로 끝나며, 최대 한 개의 자음으로 시작할 수 있다. 차용어의 자음 군집은 삽입모음으로 분리되는데, 예를 들어 영어의 'tractor'는 툴레케타/tuleketāniu가 된다.

== 강세 ==

니우에어 단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하지만 장모음으로 끝나는 다음절 이상의 단어는 주 강세가 마지막 장모음에, 부 강세가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다른 위치의 장모음 또한 부 강세를 끌어들인다.

== 성문 폐쇄음 ==

니우에어에는 가장 가까운 친족어인 통가어에 있는 성문 폐쇄음이 없다. 이 때문에 일부 단어들이 합쳐졌다. 예를 들어, 통가어 taʻu통가어('해')와 tau통가어('싸움')은 니우에어에서 tauniu('해; 싸움')으로 합쳐졌다.

3. 1. 자음

니우에어에는 12개의 자음 음소가 있다.



/s/와 /r/은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주변 음소이며, 일부 화자는 각각 /t/와 /l/로 발음하기도 한다. /s/는 /t/가 전설 모음(/i/, /e/) 앞에서 구개음화된 이음이다.

3. 2. 모음

니우에어에는 5개의 단모음(/i/, /e/, /a/, /o/, /u/)과 5개의 장모음(/iː/, /eː/, /aː/, /oː/, /uː/)이 있다. 모음의 장단은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설중설후설



두 모음이 연속될 경우 재발음되는 모음으로 실현되어 장모음과 구별된다.

모든 단모음은 서로 결합하여 이중모음을 형성할 수 있다.

rowspan="2"; colspan="2" |첫 번째 요소
/a//e//i//o//u/
rowspan="6"
/a/-
-
/i/-
/o/-
/u/-


3. 3. 음절 구조

니우에어 음절의 기본 구조는 (C)V(V)이다. 모든 음절은 모음이나 이중 모음으로 끝나며, 최대 한 개의 자음으로 시작할 수 있다. 차용어의 자음 군집은 삽입모음으로 분리되는데, 예를 들어 영어의 'tractor'는 툴레케타/tuleketāniu가 된다.

3. 4. 강세

니우에어 단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하지만 장모음으로 끝나는 다음절 이상의 단어는 주 강세가 마지막 장모음에, 부 강세가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다른 위치의 장모음 또한 부 강세를 끌어들인다.

3. 5. 성문 폐쇄음

니우에어에는 가장 가까운 친족어인 통가어에 있는 성문 폐쇄음이 없다. 이 때문에 일부 단어들이 합쳐졌다. 예를 들어, 통가어 taʻu통가어('해')와 tau통가어('싸움')은 니우에어에서 tauniu('해; 싸움')으로 합쳐졌다.

4. 문자

니우에어는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니우에의 철자법은 굉장히 음소적이어서, 한 글자에는 한 발음만이 해당되며 반대로 한 발음을 표기할 땐 한 글자만 사용된다. 모음의 장단을 표시할 때에는 장음 기호(ㅡ)를 문자 위에 올려 표기하지만, 꼭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니우에어는 알파벳으로 표기하는데, 예로부터 쓰여온 알파벳 문자 나열법대로 표기하자면 ā, ē, ī, ō, ū, fā, gā, hā, kā, lā, mō, nū, pī, tī, vī, rō, sā의 순이다. 영어의 알파벳순과는 달리 'rō'와 'sā'가 맨 끝에 온다.

스펄리치 (1997)는 니우에어 사전을 내면서 이 나열법을 영어 알파벳순에 맞춰놓았는데, a, ā, e, ē, f, g, h, i, ī, k, l, m, n, o, ō, p, s, t, u, ū, v의 순이다 ('r' 글자는 r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었기에 빠졌다). 여기서 자음을 발음할 때에는 ā를 붙여서 'fā, gā, hā, kā, lā, mā, nā, pā, tā, vā, rā, sā' 하는 식으로 읽는 것을 추천하기도 했다.

한편 니우에어는 기독교 선교사들이 사모아 제도에 와서 주민들을 가르칠 때 문자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 때문에 사모아어에는 철자와 문법에서 이때의 영향을 받았음이 뚜렷하게 드러나는데, 예컨대 /ŋ///ŋ/사모아어 발음은 통가어나 여타 폴리네시아어에서는 'ng'라고 표기했을 것을 사모아어에서는 'g'로 표기한다. 1970년 맥퀸이 집필한 사전에서는 ng 표기를 썼지만 당장 니우에어 성경에서 쓰던 철자법과 충돌했기 때문에 널리 쓰이지 못했다.

4. 1. 알파벳

니우에어는 알파벳으로 표기하는데, 전통적인 알파벳 순서는 ā, ē, ī, ō, ū, fā, gā, hā, kā, lā, mō, nū, pī, tī, vī, rō, sā이다. 'rō'와 'sā'는 나중에 도입된 글자로, 순서상 끝에 위치한다.

현대 사전에서는 영어 알파벳 순서를 따르는 경우도 있는데, a, ā, e, ē, f, g, h, i, ī, k, l, m, n, o, ō, p, s, t, u, ū, v 순이다 ('r'은 이 글자로 시작하는 단어가 없기 때문에 제외됨). 자음을 발음할 때에는 ā를 붙여서 'fā, gā, hā, kā, lā, mā, nā, pā, tā, vā, rā, sā' 하는 식으로 읽는 것을 추천하기도 했다.

니우에의 철자법은 굉장히 음소적이어서, 한 글자에는 한 발음만이 해당되며 반대로 한 발음을 표기할 땐 한 글자만 사용된다. 모음의 장단을 표시할 때에는 장음 기호(ㅡ)를 문자 위에 올려 표기하지만, 꼭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4. 2. 역사

니우에어 문자는 사모아 제도에서 교육받은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도입되었다. 이로 인해 형태론과 문법에 일부 사모아어의 영향이 나타나고, 철자에도 눈에 띄는 영향이 나타났다. 사모아어와 마찬가지로, /ŋ///ŋ/사모아어 음은 통가어 및 이 음을 사용하는 다른 폴리네시아어에서와 같이 'ng'가 아닌 'g'로 표기된다.

니우에의 철자법은 굉장히 음소적이어서, 한 글자에는 한 발음만이 해당되며 반대로 한 발음을 표기할 땐 한 글자만 사용된다. 모음의 장단을 표시할 때에는 장음 기호 (ㅡ)를 문자 위에 올려 표기하지만, 꼭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니우에는 알파벳으로 표기하는데, 예로부터 쓰여온 알파벳 문자 나열법대로 표기하자면 ā, ē, ī, ō, ū, fā, gā, hā, kā, lā, mō, nū, pī, tī, vī, rō, sā의 순이다. 영어의 알파벳순과는 달리 'rō'와 'sā'가 맨 끝에 온다.

스펄리치 (1997)는 니우에어 사전을 내면서 이 나열법을 영어 알파벳순에 맞춰놓았는데, a, ā, e, ē, f, g, h, i, ī, k, l, m, n, o, ō, p, s, t, u, ū, v의 순이다 ('r' 글자는 r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었기에 빠졌다). 여기서 자음을 발음할 때에는 ā를 붙여서 'fā, gā, hā, kā, lā, mā, nā, pā, tā, vā, rā, sā' 하는 식으로 읽는 것을 추천하기도 했다.

1970년 맥퀸이 집필한 사전에서는 'ng' 표기를 썼지만 당장 니우에어 성경에서 쓰던 철자법과 충돌했기 때문에 널리 쓰이지 못했다.

5. 문법

5. 1. 유형론

니우에어는 VSO 언어로 분석될 수 있다. 그러나 능격 용어를 사용하는 분석에서는 동사-작용자-대상어 어순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니우에어의 타동사 구문은 비표시격이 절대격이기 때문에 직역하면 수동태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Kua kitia e ia e kalahimu."는 "게는 그에게 보였다"로 해석될 수 있는데, 이는 "그가 게를 보았다"라는 주격-목적격 구문으로도 번역 가능하다.

5. 2. 대명사

니우에어 대명사인칭에 따라 구분된다. 1인칭 비단수(즉, 이중수복수) 대명사는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포괄적''' 형태와 듣는 사람을 제외하는 '''배타적''' 형태로 구분된다. 하지만, 성이나 격에 따라 구분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ia'''는 '그', '그녀', '그를', '그녀를'을 모두 의미하며 (무생물 ['것']은 대명사화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명사
colspan="2" |단수이중수복수
1인칭포괄적autauatautolu
배타적mauamautolu
2인칭koemuamutolu
3인칭ialaualautolu



이중수와 복수 형태의 어미는 숫자 2와 3, '''ua'''와 '''tolu'''와 유사하다.

5. 3. 수사

니우에어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1taha10hogofulu100taha e teau1000taha e afe
2ua20u উনিfulu200ua (e) teau2000ua (e) afe
3tolu30tolugofulu300tolu (e) teau3000tolu (e) afe
4fa*40fagofulu
5lima50limagofulu
6ono
7fitu
8valu
9hiva



(*참고: McEwen (1970)과 Sperlich (1997)은 4를 '''fā'''로 제시하지만, Kaulima & Beaumont (1994)는 짧은 모음으로 '''fa'''로 제시한다.)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는 '''ma'''로 결합한다. 예를 들어, '''hogofulu ma taha'''는 11이고, '''tolugofulu ma ono'''는 36이다.

1부터 9까지의 숫자(그리고 때때로 더 큰 숫자)는 사람을 셀 때 접두사 '''toko-'''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okolima'''는 '다섯 명(사람을 세는 경우)'이다.

숫자는 동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Ne taha e fufua moa i loto he kato.niu'''
  • : "바구니에 계란이 하나 있었습니다."; 문자 그대로는 "하나의 계란이 바구니 안에 있었습니다."

  • '''Tolu e tama fuata ne oatu ke takafaga.niu'''
  • : "세 명의 젊은이들이 사냥을 나갔습니다."; 문자 그대로는 "세 명의 젊은이들이 사냥하러 나갔습니다."

  • '''Ko e tau maaga ne fa.niu'''
  • : "마을이 네 개 있었습니다(있습니다)."; 문자 그대로는 "네 개였던 마을들이 있었습니다."

5. 4. 형태론

형태론은 단어가 더 작고 의미 있는 하위 단위로부터 어떻게 구성되는지, 또는 어떤 상황에서 단어가 어떻게 형태를 바꾸는지를 다룬다. 니우에어는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적인 특징을 보인다.

==== 보충법 ====

일부 단어(주로 명사나 동사의 단수/복수 형태)는 매우 다른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단수 주어와 함께 사용되는 '''fano''' '가다'와 복수 주어와 함께 사용되는 '''ō''' '가다'가 있다. 이는 영어의 'go'와 'went'와 비교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같은 동사의 형태이지만 형태가 다르다.

==== 중첩 ====

중복은 니우에어 형태론에서 다양한 명사를 파생시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 중복은 전체 형태소 또는 때로는 처음이나 마지막 음절 하나 또는 두 개를 취하여 반복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된다.

  • 단수 동사에서 복수 동사를 형성하는 것(즉, 주어가 복수일 때 사용되는 동사 형태와 주어가 단수일 때 사용되는 형태에 반대되는 것)
  • 동사의 반복적 형태를 형성하는 것(여러 번 수행되는 행위)


복수 동사를 나타내는 전체 형태소 중복의 예는 '''molemole''' ''지나가다, 없어지다''이며, '''mole''' ''지나가다, 없어지다''에서 파생된다. 반복적 동사를 나타내는 전체 형태소 중복의 예는 '''molomolo''' ''계속 짜다''이며, '''molo''' ''짜다, 압축하다''에서 파생된다.

부분 형태소 중복의 예는 '''gagau''' ''물다''(음절의 첫 부분이 중복됨)이며, '''gau''' ''씹다''에서 파생되고, '''gegele''' ''울음소리를 내다''(첫 음절이 중복됨)이며, '''gele''' ''(아기가) 울기 시작하다''에서 파생되고, '''molūlū''' ''매우 부드럽다, 매우 약하다''(마지막 음절이 중복됨)이며, '''molū''' ''부드럽다, 약하다''에서 파생된다.

중복은 접사와 함께 자주 사용된다.

==== 접사 ====

접사(접두사와 접미사)는 다양한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또한, 상호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둘레접사 '''fe- -aki'''(때로는 '''fe- -naki''' 또는 '''fe- -taki''')가 있다.

흔한 접미사는 명사화 접미사인 '''-aga'''이다. 이것은 동사로부터 명사를 만든다.

흔한 접두사 '''faka-'''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지만, 가장 흔한 의미는 사동 접두사이다(예: '''ako''' " 배우다", '''fakaako''' "가르치다").

단어는 '''fakamalipilipi''' "부수다"(복수 목적어와 함께 사용됨)처럼 하나 이상의 접두사 또는 접미사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faka-''', '''ma-''', 그리고 중복된 '''lipi''' "부수다"에서 유래한다.

==== 복합어 ====

많은 단어들은 다른 단어들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vakalele'''(비행기)는 '''vaka'''(카누)와 '''lele'''(날다)에서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는 '나는 카누'를 의미한다. 다이앤 매섬은 의사 명사 통합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복합어를 광범위하게 연구했는데, 이는 일종의 명사 통합이다.

5. 4. 1. 보충법

일부 단어(주로 명사나 동사의 단수/복수 형태)는 매우 다른 형태를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단수 주어와 함께 사용되는 '''fano''' '가다'와 복수 주어와 함께 사용되는 '''ō''' '가다'가 있다. 이는 영어의 'go'와 'went'와 비교할 수 있는데, 이들은 같은 동사의 형태이지만 형태가 다르다.

5. 4. 2. 중첩

중복은 니우에어 형태론에서 다양한 명사를 파생시키는 데 자주 사용된다. 중복은 전체 형태소 또는 때로는 처음이나 마지막 음절 하나 또는 두 개를 취하여 반복하는 과정이다.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 여러 목적으로 사용된다.

  • 단수 동사에서 복수 동사를 형성하는 것(즉, 주어가 복수일 때 사용되는 동사 형태와 주어가 단수일 때 사용되는 형태에 반대되는 것)
  • 동사의 반복적 형태를 형성하는 것(여러 번 수행되는 행위)


복수 동사를 나타내는 전체 형태소 중복의 예는 '''molemole''' ''지나가다, 없어지다''이며, '''mole''' ''지나가다, 없어지다''에서 파생된다. 반복적 동사를 나타내는 전체 형태소 중복의 예는 '''molomolo''' ''계속 짜다''이며, '''molo''' ''짜다, 압축하다''에서 파생된다.

부분 형태소 중복의 예는 '''gagau''' ''물다''(음절의 첫 부분이 중복됨)이며, '''gau''' ''씹다''에서 파생되고, '''gegele''' ''울음소리를 내다''(첫 음절이 중복됨)이며, '''gele''' ''(아기가) 울기 시작하다''에서 파생되고, '''molūlū''' ''매우 부드럽다, 매우 약하다''(마지막 음절이 중복됨)이며, '''molū''' ''부드럽다, 약하다''에서 파생된다.

중복은 접사와 함께 자주 사용된다.

5. 4. 3. 접사

접사(접두사와 접미사)는 다양한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또한, 상호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둘레접사 '''fe- -aki'''(때로는 '''fe- -naki''' 또는 '''fe- -taki''')가 있다.

흔한 접미사는 명사화 접미사인 '''-aga'''이다. 이것은 동사로부터 명사를 만든다.

흔한 접두사 '''faka-'''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지만, 가장 흔한 의미는 사동 접두사이다(예: '''ako''' " 배우다", '''fakaako''' "가르치다").

단어는 '''fakamalipilipi''' "부수다"(복수 목적어와 함께 사용됨)처럼 하나 이상의 접두사 또는 접미사를 가질 수도 있다. 이는 '''faka-''', '''ma-''', 그리고 중복된 '''lipi''' "부수다"에서 유래한다.

5. 4. 4. 복합어

많은 단어들은 다른 단어들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vakalele'''(비행기)는 '''vaka'''(카누)와 '''lele'''(날다)에서 유래했는데, 문자 그대로는 '나는 카누'를 의미한다. 다이앤 매섬은 의사 명사 통합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복합어를 광범위하게 연구했는데, 이는 일종의 명사 통합이다.

참조

[1]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2]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Routelage 1994
[3]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Routelage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