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할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할리어는 인도에서 사용되는 고립된 언어이다. 프란시스쿠스 카이퍼는 니할리어가 다른 인도 언어들과 관련이 없으며, 주변 언어와 달리 일종의 은어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주장했다. 니할리어는 음운, 문법, 어휘 등 언어학적 특징을 가지며, 특히 어휘는 코르쿠어, 힌디어, 드라비다어족 등 주변 언어와 명확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 단어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립어 (비교언어학)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고립어 (비교언어학) - 마푸체어
    마푸체어는 남아메리카 마푸체족이 사용하는 고립어 또는 미분류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포합어 및 교착어적 문법 특징을 가지며, 라틴 문자로 표기하고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니할리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니할리어
다른 이름니할리어 (Nihali)
화자 수2,000명 미만 (2024년 기준)
사용 지역인도 마하라슈트라 주 불다나 현 Jalgaon Jamod tehsil 및 마디아프라데시 주 부르한푸르
언어 계통고립어
ISO 639-3nll
Glottologniha1238
언어 상태
위협 정도심각하게 위협받는 언어 (Critically Endangered)
설명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아틀라스에 등재됨

2. 언어 현황

니할리어는 주변 언어들과 계통적 관계가 불분명하여 고립어로 분류된다. 프란시스쿠스 카이퍼는 니할리어가 코르쿠어, 드라비다어를 제외한 핵심 어휘가 인도 초기 인구 집단의 잔재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니할리어가 도둑 은어와 같은 기능을 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10] 이는 인도 내 억압받는 집단들이 비밀 언어를 사용한 사례들을 근거로 한다.[14]

언어학자 노먼 자이드(Norman Zide)는 니할리어의 차용어 비율이 알바니아어보다 훨씬 높으며, 서유럽 로마니어의 혼합 방언과 유사하다고 보았다.[15] 그는 19세기 초 니할리족 학살 사건 이후 니할리족이 외부와의 교류를 줄이고 비밀 언어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15]

일부 코르쿠어 화자들은 니할리족을 별개의 집단으로 인정하지 않고, 코르쿠 사회의 혼란으로 인해 니할리족이 발생했다고 주장한다.[14] 니할리족은 칼토족과 생활 방식이 유사하여 칼토어와 니할리어가 혼동되기도 한다.

2. 1. 언어학적 특징

니할리어는 코르쿠어 및 다른 문다어파 언어들에 비해 형태 통사론이 매우 단순하며, 문다어의 형태 통사론과는 관련이 없다.[15]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이다.

2. 1. 1. 음운

니할리어는 모음의 장단을 구별하며, 비음화는 드물게 나타난다. 자음은 33개로, 무기 파열음이 유기 파열음보다 더 자주 나타난다.[4]

니할리어의 모음 음소
rowspan="2" |전설후설
폐쇄iu
중설eo
a



모음의 장단은 음소적이다. 모음 [e]와 [o]는 형태소의 끝에서 더 낮은 변이를 보인다. 비음화는 드물며 차용어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니할리어의 자음 음소
colspan="2" |순음치/치경음권설경구개연구개
비음mnɳɲ
파열음/파찰음무성ptʈk
유기ʈʰtʃʰ
유성bdɖɡ
거친ɖʱdʒʱɡʱ
마찰음sʂʃh
설전음rɽ
접근음ʋlj


2. 1. 2. 어휘

니할리어 어휘의 상당 부분은 코르쿠어, 힌디어, 마라티어, 드라비다어족 등에서 차용되었다.[3] 그러나 기본 어휘 중 일부는 외부 언어와의 유사성이 발견되지 않는다. 다음은 나가라자(2014)의 부록에 나열된, 코르쿠어, 힌디어, 마라티어, 드라비다어 등 외부 언어와 명확한 유사점이 없는 니할리어 기본 어휘 단어이다.

;신체 부위

머리pe(ː)ñ
머리카락kuguso
jikit
cigam
coːn
menge
kaggo
bakko
어깨ṭ/tagli
bhaːwri
창자koṭor
배꼽bumli
gadri
corṭo
paːkṭo
피부ṭoːl (< 드라비다어)



;동물과 식물

poe; pyu
kalen
koːgo
물고기caːn
이 (몸)keːpe
모기kaːn
파리(곤충)eḍ(u)go
나무aːḍḍo



;자연 현상

joppo
maːnḍo
caːgo, caːrgo
소금coːpo (< 드라비다어)



;물질 문화, 친족

길, 경로ḍãːy, ḍa(ː)y
aːwaːr
이름jumu, jyumu



;동사

(니할리어에서는 많은 동사가 -''be''로 접미됩니다.)

먹다ṭ/tyeː-
마시다ḍelen-
물다haru-
불다bigi-, bhigi-
죽다betto-, beṭṭo-
죽이다paḍa-
웃다haːgo-
울다, 통곡하다aːpa-
가다eːr-, eṛe
오다paːṭo, pya
주다beː-
보다ara-
듣다cakni


2. 1. 3. 대명사와 지시사

니할리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1]

단수이중수복수
1인칭jotye:koingi
2인칭nena:kola
3인칭eṭeyhiṭkeleṭla < eṭey + la



나가라자(Nagaraja)는 니할리어의 지시 대명사 체계가 코르쿠어와 다르다고 언급한다.[2]

니할리어코르쿠어
'무엇'nanco:(ch)
'누구'nanije
'왜'naway, nawa:sanco:- ~ co:ch
‘언제’meran ~ miranco:-la
‘어디’mingayṭone ~ ṭongan '어디에'
‘얼마나’m(i)yanco-ṭo
‘어떻게’naw-kico-phar
‘누구의’nan-inje-konṭe ‘누구의 아이’
‘어떤 (책)’nu-san(pustak) ṭone-bukko ‘어떤 (책)’


참조

[1] 간행물 Language Documentation and Endangerment in Afric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5-10-09
[2] 웹사이트 Did you know Nihali is threatened? http://www.endangere[...] 2016-05-04
[3] 간행물 Nahali: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N.V. Noord-Hollandsche Uitg. Mij., 1962
[4] 서적 The Nihali Languag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5] 서적 The Nihali Languag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6] 서적 The Nihali Languag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7] 문서 "Munda and non-Munda Austroasiatic languages" In ''Current Trends in Linguistics'' 5: Linguistics in South Asia
[8] 서적 The Munda Languages Routledge
[9] 문서 Ethnologue第18版より。
[10] 간행물 Nahali: a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N.V. Noord-Hollandsche Uitg. Mij., 1962
[11] 서적 The Nihali Languag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12] 서적 The Nihali Languag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13] 서적 The Nihali Languag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14] 서적 The Munda Languages https://archive.org/[...] Routledge
[15] 문서 "Munda and non-Munda Austroasiatic languages" In ''Current Trends in Linguistics'' 5: Linguistics in South As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