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네티컷 식민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네티컷 식민지는 1614년 네덜란드 탐험가 아드리안 블록에 의해 처음 유럽인에 의해 탐험되었고, 1630년대 영국인들이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1630년대 하트퍼드를 포함한 여러 마을이 건설되었고, 1637년 윈저, 하트퍼드, 웨더스필드는 자치 정부를 수립했다. 1638년 코네티컷 기본 조례를 제정하여 정부의 원칙을 정립했고, 1662년 왕실 칙허를 받아 왕실령 식민지가 되었으며 뉴헤이븐 식민지를 병합했다. 코네티컷은 뉴잉글랜드 연합에 참여하고 피쿼트 전쟁에서 승리했으며, 미국 독립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경제적으로는 자급자족 농업에서 시작하여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종교적으로는 청교도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회중교회가 국교로 자리 잡았으나 1818년 정교 분리가 이루어졌다. 주요 인물로는 토머스 후커, 존 윈스럽 주니어, 로저 루드로, 조너선 트럼불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식민지 시대 코네티컷주 - 필립왕 전쟁
    필립왕 전쟁은 1675년부터 1678년까지 뉴잉글랜드 식민지 정착민과 메타코메트(필립왕)가 이끄는 원주민 부족 간의 충돌로, 식민지 확장에 대한 저항이 식민지 민병대에 의해 진압되어 큰 피해와 원주민 사회 붕괴를 가져왔다.
  • 식민지 시대 코네티컷주 - 코네티컷 기본 조례
    코네티컷 기본 조례는 코네티컷 정착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제정한 법률로, 개인의 권리 보장, 시민의 치안 판사 선출 참여, 비밀 투표 등을 규정하여 최초의 문서화된 헌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코네티컷주 설립 이전의 역사 - 조지 호수 전투
    조지 호수 전투는 1755년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영국군과 프랑스군 간의 전투로, 영국군의 승리로 끝났지만 양측 모두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며, 영국군은 윌리엄 헨리 요새를 건설했다.
  • 코네티컷주 설립 이전의 역사 - 웨스트모얼랜드군 (코네티컷주)
    웨스트모얼랜드군은 1776년 코네티컷주가 펜실베이니아 와이오밍 계곡을 점령하여 설치했으나, 미국 독립 전쟁 후 펜실베이니아에 귀속되어 1784년 해체된 코네티컷주의 옛 군이다.
  • 잉글랜드의 아메리카 식민화 - 뉴잉글랜드
    뉴잉글랜드는 미국 북동부에 위치한 6개 주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독립 이후 미국의 핵심 지역으로 자리 잡았으며, 첨단 기술, 금융, 교육, 관광 분야가 주요 산업이다.
  • 잉글랜드의 아메리카 식민화 - 버뮤다
    버뮤다는 북대서양 사르가소 해의 영국 해외 영토인 화산섬 군도로, 1503년 발견 후 영국 식민지가 되었고 해군 기지로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점하며 관광업과 금융 서비스업 중심으로 높은 1인당 GDP를 기록하고 있다.
코네티컷 식민지 - [전쟁]에 관한 문서
식민지 정보
공식 명칭코네티컷 식민지
일반 명칭코네티컷
지위잉글랜드의 식민지 (1636년-1707년)
그레이트브리튼의 식민지 (1707년-1776년)
정부 형태자치 식민지
시작 사건설립
시작 날짜1636년 3월 3일
종료 날짜1776년
주요 사건코네티컷 기본 법전 채택 (1639년 1월 14일)
주요 사건왕실 헌장 부여 (1662년 10월 9일)
주요 사건뉴잉글랜드 자치령의 일부 (1686년-1689년)
종료 사건독립
종료 날짜1776년 7월 4일
이전 국가세이브룩 식민지
이전 국가뉴헤이븐 식민지
다음 국가코네티컷주
현재 국가
 
코네티컷, 뉴헤이븐, 세이브룩 식민지 지도
코네티컷, 뉴헤이븐, 세이브룩 식민지 지도
정치
수도하트퍼드 (1636년–1776년)
뉴헤이븐 (하트퍼드와 공동 수도, 1701년–1776년)
대표존 헤인스 (초대)
임기1639년-1640년
대표조나단 트럼불 (마지막)
임기1769년-1776년
직책총독
입법부총회
언어 및 종교
공용어영어, 모히건-피쿼트어, 퀴리피어
종교회중교회 (국교)
통화
통화코네티컷 파운드

2. 역사

1614년 네덜란드의 탐험가 아드리안 블록이 코네티컷 강을 탐험하면서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지역에 발을 들였다.[2] 이때 이 지역에 살고 있던 피쿼트 족과 만나게 되었다. 네덜란드인들은 모피 무역 기지를 설립하고 현재 하트퍼드 지역에 '희망의 집'(House of Good Hope영어, Huys de Goede Hoopnl)을 건설했다.[3][4]

1630년잉글랜드인들이 뉴잉글랜드 지역에 여러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코네티컷 강 유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플리머스 식민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등에서 온 잉글랜드인들은 윈저, 웨더스필드, 하트퍼드 등지에 정착촌을 건설했다.[5] 1636년 토머스 후커 목사가 이끄는 청교도 집단이 하트퍼드를 설립했다.[9] 1637년 피쿼트 전쟁에 대비하여 윈저, 하트퍼드, 웨더스필드가 공동 정부를 수립했고, 개척자들은 교회 중심의 사회를 만들어 자신들의 규칙과 규정에 따라 살고자 했다. 역사가 헨리 S. 콘에 따르면[49], "그들은 민중에게서 선출되지 않은 집정관의 권력에 불만을 품었다. 그러나 그들은 각각의 소유지를 넓히고 싶어했다."

1638년 여름, 세 마을은 코네티컷 기본 조례를 작성하여 정부의 원칙, 권력, 구조를 결정했다. 1639년 1월 14일 코네티컷 위원회에서 채택된 이 조례는 토머스 웰스에 의해 공식 기록으로 남겨졌다. 1662년 코네티컷은 왕실 칙허를 받아 공식적인 왕실령 식민지가 되었다.

뉴헤이븐 식민지는 별도의 식민지였지만, 1662년 칙허에 따라 코네티컷에 합병되었다. 뉴헤이븐은 잉글랜드 왕 찰스 1세를 처형한 판사들을 숨겨주었기 때문에 잉글랜드로부터 압력을 받아 코네티컷과 합병되었다.

1641년 레나페족과의 협정으로 델라웨어 강 동서 양안을 소유하게 된 뉴헤이븐 식민지는 필라델피아 지역에 개척을 시도했으나, 뉴스웨덴과 뉴암스테르담 주민들에 의해 좌절되었다. 그러나 이 협정은 코네티컷이 "바다에서 바다까지" 영유권을 주장하는 근거가 되었다.

1686년 제임스 2세뉴잉글랜드 자치령을 설치하고 에드먼드 앤드로스 경을 총독으로 임명했다. 앤드로스는 코네티컷에 헌장 반납을 요구했으나, 로버트 트리트 주지사는 이를 지연시켰다. 1687년 앤드로스가 직접 헌장을 회수하러 왔을 때, 헌장이 감쪽같이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헌장은 오크 나무에 숨겨졌고, 이 나무는 헌장 오크로 알려지며 코네티컷의 상징이 되었다.[33] 명예 혁명 이후 1689년 보스턴 봉기를 통해 자치령이 전복되면서 코네티컷은 다시 헌장을 되찾았다.[34]

코네티컷은 미국 독립 혁명을 적극 지지했으며, 조너선 트럼불 주지사는 애국자를 지지한 유일한 식민지 주지사였다. 네이선 헤일은 이 식민지 출신의 최초 미국 스파이였다.[37]

2. 1. 초기 탐험과 정착

1614년 네덜란드의 탐험가 아드리안 블록이 코네티컷 강을 탐험하면서 유럽인으로는 처음으로 이 지역에 발을 들였다.[2] 네덜란드인들은 모피 무역 기지를 설립하고 현재 하트퍼드 지역에 '희망의 집'(House of Good Hope영어, Huys de Goede Hoopnl)을 건설했다.[3][4]

1630년잉글랜드인들이 뉴잉글랜드 지역에 여러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코네티컷 강 유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플리머스 식민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등에서 온 잉글랜드인들은 윈저, 웨더스필드, 하트퍼드 등지에 정착촌을 건설했다.[5] 1636년 토머스 후커 목사가 이끄는 청교도 집단이 하트퍼드를 설립했다.[9]

2. 2. 코네티컷 식민지 성립

이 지역에 들어온 최초의 유럽인은 1614년 롱아일랜드 만을 지나 코네티컷 강을 거슬러 오늘날의 하트퍼드까지 간 네덜란드 탐험가 아드리안 블록의 원정대였다. 이때 이 지역에 살고 있던 피쿼트 족을 만났다. 1620년대까지, 뉴암스테르담에서 온 네덜란드 상인들이 코네티컷 강을 따라 모피 무역 기지를 설립했는데, 그 중에서도 유명한 곳은 현재 하트퍼드 내의 파크 강이 코네티컷 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세워진 "희망의 집"(영어: House of Good Hope, 네덜란드어: Huys de Goede Hoop)이었다.

1630년까지, 북아메리카에서 네덜란드의 강력한 경쟁 상대였던 영국이 뉴잉글랜드의 동해안에 몇 개의 개척지를 건설했다. 1620년플리머스 식민지, 1623년뉴햄프셔 식민지, 1630년의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등이 있었다. 잉글랜드 왕 제임스 1세는 뉴잉글랜드 평의회 의장 제2대 워릭 백작 로버트 리치에게 나라갠셋 만에서 서쪽의 태평양 연안까지의 지역에 대한 입식권을 인가했다. 1631년, 워릭 백작은 이 인가를 북아메리카의 도피처가 될 수 있는 곳으로 잉글랜드에 있는 15명의 퓨리턴 영주들에게 양도했다. 이 특허를 받은 사람들 중에는 초대 세이-앤드-실 자작 윌리엄 파인스, 브룩 경, 조지 펜윅 대령 등이 있었다. 1635년, 특허를 받은 사람들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총독의 아들 존 윈throp 주니어를 "강의 식민지 지사"로 임명했다.

윈throp은 1635년 10월 보스턴에 도착하여 네덜란드가 코네티컷 강 하구의 "파스베쇼케"(알곤킨 어족으로 하구라는 뜻)라고 불리는 곳을 점령할 계획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 네덜란드에 대항하기 위해 윈throp은 에드워드 기번스 중위와 사이먼 윌라드 하사의 지휘 아래 20명의 대장장이와 다른 작업자들을 작은 배에 태워 코네티컷 강 하구로 파견했다. 이 원정대는 11월 24일에 하구 근처의 서안, 오늘날의 올드 세이브룩에 상륙하여 네덜란드 문장이 새겨진 나무를 특정했다. 그들은 그 문장을 벗겨내고 방패를 그려넣고 웃는 얼굴을 그렸다. 포대를 쌓고 대포를 설치하여 작은 요새를 만들었다. 윈throp은 이 지점을 파인스(세이 자작)와 브룩 경을 기려 "포인트 세이브룩"으로 개명했다. 며칠 후에 돌아온 네덜란드 배는 대포와 영국 배를 보고 철수했다.

1630년대에는 영국인 개척자들이 뉴잉글랜드의 다른 식민지에서 코네티컷 강 계곡으로 이주해 왔다. 1633년, 윌리엄 홈즈는 한 무리의 개척자들을 이끌고 플리머스 식민지에서 코네티컷 강 계곡으로 들어가 네덜란드 무역 기지에서 북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윈저를 설립했다. 1634년, 존 올덤과 몇몇 매사추세츠 가족들이 네덜란드 무역 기지에서 남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웨더스필드의 지역에 임시 거처를 세웠다. 2년 후, 30가족이 올덤의 추종자들과 합류하기 위해 매사추세츠의 워터타운에서 웨더스필드로 이주했고, 1636년에 이 지역의 영국인 인구가 팽창했다.

목사 토머스 후커는 리처드 리슬리를 포함한 100명의 개척자와 130마리의 소를 이끌고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뉴타운(오늘날의 케임브리지)에서 코네티컷 강을 따라 양쪽 강가로 들어가 파크 강을 사이에 두고 오래된 네덜란드 요새의 맞은편에 '''하트퍼드'''를 설립했다. 1637년, 피쿼트 전쟁에 대비하여 코네티컷 강을 따라 있는 세 개의 마을, 윈저, 하트퍼드 및 웨더스필드가 공통 정부를 수립했고, 개척자들은 새로운 교회 중심의 사회를 수립하여 자신들의 규칙과 규정에 따라 살고 싶어했다. 역사가 헨리 S. 콘에 따르면[49], "그들은 민중에게서 선출되지 않은 집정관의 권력에 불만을 품었다. 그러나 그들은 각각의 소유지를 넓히고 싶어했다."

1638년 여름, 세 개의 마을에서는 코네티컷 기본 조례를 작성하여 정부의 원칙, 권력 및 구조를 결정했다. 이것들은 1639년 1월 14일에 코네티컷 위원회에 채택되었고, 토머스 웰스에 의해 공식 기록에 베껴졌다. 코네티컷은 1662년에 왕실 칙허를 받아 공식적인 왕실령 식민지가 되었다.

뉴헤이븐 식민지는 다른 정체였지만, 1662년의 칙허 하에 코네티컷에 병합되었다. 뉴헤이븐은 잉글랜드 왕 찰스 1세를 고발하여 1649년에 죽음에 이르게 한 판사 중 3명을 숨겨(보호)두었기 때문에, 잉글랜드로부터 큰 압력을 받았기 때문에 코네티컷과 합병되었다. 이 칙허가 나중에 압류될 뻔했을 때, 한 시민이 떡갈나무 줄기에 그것을 숨겼다.

thumb]]

뉴헤이븐 식민지는 1641년의 레나페족과의 협정에 의해 델라웨어 강의 동서 양쪽 강 전체를 소유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이 식민지는 현재의 필라델피아에서 먼저 어떤 형태로든 개척이 시작되었지만, 지역에 이미 살고 있던 뉴스웨덴이나 뉴암스테르담 주민이 그 개척지를 불태웠고, 그 땅은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에 의해 영국 측이 아니라고 부인되었다. 뉴헤이븐 식민지 개척은 델라웨어 강을 따라 입식에서 철수했지만, 그 레나페족과의 협정이야말로 델라웨어의 동서에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모든 땅, 이른바 "바다에서 바다까지"라는 코네티컷의 영유권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2. 3. 피쿼트 전쟁 (1636-1638)

1630년대 뉴잉글랜드에서 네덜란드와 경쟁하던 영국은 플리머스 식민지, 뉴햄프셔 식민지, 매사추세츠만 식민지 등 여러 개척지를 건설했다. 1631년 워릭 백작은 잉글랜드의 퓨리턴 영주 15명에게 북아메리카에 도피처를 만들 수 있도록 특허를 양도했고, 1635년 이들은 존 윈스럽 주니어를 '강의 식민지 지사'로 임명했다. 윈스럽은 네덜란드가 코네티컷 강 하구 '파스베쇼케'(알곤킨어로 하구)를 점령하려 하자, 병력을 파견해 네덜란드 문장을 제거하고 요새를 건설했다.

1633년 윌리엄 홈즈가 윈저를, 1634년 존 올덤이 웨더스필드를 설립하는 등 영국인 개척자들은 코네티컷 강 계곡으로 이주했다. 1636년 토머스 후커 목사가 하트퍼드를 설립하면서 영국인 인구가 크게 늘었다.

네덜란드인들은 포트 굿 호프 건설 당시 피쿼트족과 맺은 조약에서 모든 부족에게 교역소를 개방해야 했으나, 피쿼트족은 이를 무시하고 경쟁 부족을 공격했다. 네덜란드인들은 피쿼트족 사켐 타토벰을 납치해 몸값을 요구했고, 피쿼트족이 몸값을 지불했음에도 타토벰의 시체를 돌려주었다. 이에 피쿼트족은 영국 배를 네덜란드 배로 오인해 공격, 선장 존 스톤과 선원들을 살해했다.[14] 피쿼트 사절단은 매사추세츠에 오해를 설명했지만, 살인범 인도는 거부했다. 존 갤럽은 롱아일랜드에서 존 올덤의 배를 발견하고 공격해 승리했는데, 식민지인들은 이를 내러개싯족의 소행으로 의심했다. 내러개싯 지도자들은 범인들이 피쿼트족에 숨어 있다고 해명했다.[16]



존 엔디콧 대위와 존 언더힐 등이 이끄는 90명의 병력이 매사추세츠에서 피쿼트족 영토로 파견되어 살인범 인도를 요구했다. 이들은 블록 아일랜드의 빈 마을을 불태우고 피쿼트족 영토를 공격했다. 피쿼트족은 사서커스가 살인을 저질렀으며, 네덜란드인과 영국인을 구별할 수 없었다고 주장했다. 엔디콧은 이를 믿지 않고 공격했고, 피쿼트족은 세이부룩을 포위하고 웨더스필드를 공격해 9명을 죽이고 2명을 인질로 잡았다.[17]

코네티컷은 존 메이슨이 이끄는 90명의 병력을 파견, 언커스가 이끄는 60명의 모히칸족과 합류했다. 1637년 5월 26일, 이들은 미스틱 강의 요새화된 피쿼트족 마을을 기습 공격(미스틱 학살)했다. 영국군은 마을에 불을 지르고 도망치는 사람들을 죽였으며, 인디언 동맹군은 탈출하는 사람들을 잡았다. 수백 명의 피쿼트족이 사망했다.

사기가 꺾인 피쿼트족은 서쪽으로 도망쳤고, 메이슨은 이스라엘 스토턴과 함께 이들을 추격해 페어필드 근처 늪에서 대량 학살했다. 사서커스는 모호크족에게 도망쳤으나 살해당했다.[18] 피쿼트족 정복 후 하트퍼드 조약이 체결되어 코네티컷 정착민들에게 이전 피쿼트족 땅에 대한 독점적 권한이 부여되었고, 피쿼트족은 정치적, 문화적 실체로서 해체되었으며, 생존자들은 다른 부족에 동화되었다.[19]

2. 4. 뉴잉글랜드 자치령 시기 (1686-1689)

요크 공작제임스 2세이자 제임스 7세로 왕위에 올랐다. 그는 즉위 후 웨스트저지에서 메인에 이르는 잉글랜드 식민지를 뉴잉글랜드 자치령으로 통합하고, 에드먼드 앤드로스 경을 총독으로 임명했다. 앤드로스는 코네티컷에 더 이상 별도의 식민지가 아니므로 헌장을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32] 로버트 트리트 주지사는 헌장 제출을 수개월 동안 지연시키려 했지만, 1687년 10월 31일 앤드로스는 직접 헌장을 회수하기 위해 하트퍼드로 왔다. 트리트는 헌장의 중요성에 대해 저녁 늦게까지 연설을 이어갔다. 갑자기 문 틈으로 강한 돌풍이 들어와 촛불이 꺼졌고, 촛불을 다시 켰을 때 헌장은 사라져 있었다. 헌장은 근처의 오크 나무에 안전하게 숨겨졌다.[32] 헌장 오크로 알려진 이 나무는 여러 세대에 걸쳐 코네티컷의 상징이 되었다.[33] 앤드로스는 청교도 관료를 성공회 신자로 교체하고 과도한 세금을 부과했는데, 그의 연봉 1200GBP는 매사추세츠의 이전 정부 연간 지출 총액을 초과했다. 제임스 2세가 명예 혁명으로 폐위되자 앤드로스는 처음에는 이 소식을 은폐하려 했다. 하지만 소문이 퍼져나가자 식민지 주민들은 1689년 보스턴 봉기를 통해 자치령을 전복시켰고, 자치령 정부를 제임스 2세의 비밀 가톨릭 지지자로, 자신들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새로운 개신교 군주에 충성하는 세력으로 규정했다. 중앙 집권 정부에 대한 자치령의 짧은 실험은 끝나고 코네티컷은 다른 모든 식민지와 함께 헌장을 되찾았다.[34]

2. 5. 미국 독립 혁명과 코네티컷

코네티컷은 미국 독립 혁명을 강력히 지지하여, 주 남성 인구의 5분의 1이 전쟁에 참전했다.[37] 조너선 트럼불은 애국자를 지지한 유일한 식민지 주지사였다. 네이선 헤일은 이 식민지 출신의 최초 미국 스파이였다.[37]

3. 경제

17세기 코네티컷의 경제는 자급자족적인 농업으로 시작되었다. 점차 농업 생산물의 다양화가 이루어졌고, 특히 카리브해의 영국 식민지를 대상으로 하는 무역이 확대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해 영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중단되자, 코네티컷에서는 제조업 부문이 활성화되었다. 이는 사람들의 기업가 정신과 기계 기술을 적극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다.[43]

18세기 후반에는 좋은 농지가 부족해지고, 주기적인 통화 문제와 수출 시장의 가격 하락 압력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농업에서는 곡물 재배에서 축산물 생산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43] 코네티컷 식민지 정부는 경제를 부양하고 영국과의 무역 수지를 개선하기 위해 삼, 탄산 칼륨[51], 목재와 같은 다양한 상품을 수출 품목으로 장려하려고 했다.[44]

4. 종교

코네티컷 식민지 초기 청교도들은 회중 교회를 설립했으며, 이는 미국 독립 전쟁 당시까지 식민지의 국교였다.[39] 회중교회 신자들은 칼뱅주의 신앙을 가졌으며, 영국 청교도와 유사했지만, 영국 국교회와는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18세기 중반, 대각성운동이 코네티컷 식민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회중 교회는 '뉴라이트'(New Light)와 '올드라이트'(Old Light)로 분열되었다. '뉴라이트'는 기존의 예배 방식에 불만을 품고 새로운 종교 단체나 교회를 설립하려 했고, '올드라이트'는 이에 반대했다. '올드라이트'는 식민지 의회를 설득하여 순회법을 제정, 순회 목사가 마을 목사의 초대 없이 코네티컷 마을에서 설교하는 것을 금지했다.

미국 독립 전쟁 동안, 코네티컷의 잉글랜드 국교회 신도들 중 다수는 로열리스트로 남았다.

1818년 코네티컷 헌법 채택으로 회중 교회는 국교회 지위를 잃었고, 코네티컷에는 정교 분리의 원칙이 확립되었다.[39]

5. 주요 인물

토머스 후커|토머스 후커영어는 저명한 청교도 목사로, 존 헤인스와 함께 1636년 100명의 사람들을 이끌고 하트퍼드로 이주했는데, 이는 코네티컷 식민지 창설의 계기로 여겨진다. 후커는 1638년 5월 31일 신도들에게 정부의 원칙에 대해 설교했고, 이에 감명받은 사람들은 그해 후반에 코네티컷 기본 조례를 발표했다. 이 조례의 초안 작성자는 로저 루드로일 가능성이 높다. 그는 1630년대 코네티컷에서 훈련받은 유일한 변호사였다.

뉴헤이븐 식민지의 창설자는 존 데이븐포트 (목사)|존 데이븐포트영어 목사와 상인 테오필루스 이튼|테오필루스 이튼영어으로 여겨진다. 이 식민지는 1660년대에 코네티컷 식민지에 흡수되었다.

식민지 초기에는 총독의 연임이 허용되지 않아, 20년 동안 존 헤인스와 에드워드 홉킨스가 번갈아 가며 총독을 역임했다. 1640년대와 1650년대에는 조지 와일리, 토머스 웰스, 존 웹스터가 각각 짧은 기간 동안 총독 자리에 앉았다.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 창설자의 아들인 존 윈스럽 주니어(뉴런던 출신)는 흩어져 있던 개척지를 단일 식민지로 통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1659년부터 1675년까지 코네티컷 총독을 역임했으며, 1662년에 칙허 취득을 제안하여 뉴헤이븐 식민지를 코네티컷에 병합했다. 그의 아들인 피츠 존 윈throp|피츠 존 윈throp영어도 1698년부터 10년 동안 총독직을 맡았다.

로저 루드로|로저 루드로영어는 옥스퍼드에서 변호사 교육을 받았고,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의 부총독이었다. 그는 이 지역을 개척할 권리를 고등 법원에 청원했고, 마르치 위원회를 재상했으며, 지권에 관한 논쟁을 종식시켰다. 후커, 윈스럽 등의 도움으로 1650년의 "코네티컷 기본법"의 초안자로 여겨졌고, 코네티컷의 초대 부총독이 되었다.

초기 개척지 윈저와 세이블루크 및 노리치의 창설자로 이름이 남아 있는 존 메이슨 (코네티컷)|존 메이슨영어은 윈스럽의 오른팔이자 부총독이었다. 메이슨은 식민지 개척 초기에 군부를 이끌었으며, 피쿼트 전쟁|피쿼트 전쟁영어에 참전했다. 치안 판사이기도 했다.

구 뉴헤이븐 식민지의 윌리엄 리트|윌리엄 리트영어는 이 지역과 코네티컷의 식민지 병합을 목격했고, 2대 윈스럽이 1675년 사망 후 후임 총독도 역임했다. 유일하게 양쪽 식민지의 총독을 역임한 인물이다.

밀퍼드 출신인 로버트 트리트|로버트 트리트영어는 코네티컷이 에드먼드 앤드로스 경에 의해 뉴잉글랜드 왕령에 병합되기 전부터 총독직에 있었고, 그 후에도 재선되었다. 그의 아버지인 리처드 트리트는 코네티컷 식민지 초기에 특허를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었다.

18세기에는 여러 명의 강력한 총독들이 매년 재선되었고, 전임자의 사망으로 교체되었다. 피츠 존 윈throp(3대)의 사망 후, 가든 소턴스톨 목사가 총독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성직자로서 이 식민지 총독으로 선출된 유일한 목사이다. 그의 사후에는 조셉 탈코트 부총독(하트퍼드 출신)이 총독이 되었고, 차기 총독은 같은 고향 출신인 조나단 로 부총독, 그 다음 계승자는 역시 부총독을 역임한 윈저의 로저 월콧|로저 월콧영어이다(재임 1751년-1754년). 그는 미국 독립 전쟁 기간에 코네티컷 의용군의 소장으로 조지 워싱턴을 보좌했고, 1754년 스페인 선박 사건에서 수행한 역할 때문에 낙선했다. 그의 아들은 미국 독립 선언 서명자인 올리버 월콧이다.

월콧의 후임인 토머스 피치는 노워크 출신으로, 7년 전쟁 동안 식민지를 지도했다. 1766년 인지법 거부에 강력하게 대처하지 못했기 때문에 낙선했다. 당선된 윌리엄 피트킨(하트퍼드)은 자유의 아들들의 지지자였으며, 월콧 전 총독의 사촌이기도 했다. 1769년에 사망한 피트킨의 직책은 상인 출신인 조나단 트럼불 부총독(레바논 출신)이 계승했다. 트럼불 또한 자유의 아들들의 지지자였으며, 독립 전쟁 기간에도 총독으로 계속 선출되었고, 1784년에 은퇴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arly History https://portal.ct.go[...]
[2] 웹사이트 Adriaen Block https://www.colonial[...] General Society of Colonial Wars
[3] 웹사이트 History of Old Saybrook https://saybrookhist[...] Old Saybrook Historical Society
[4] 웹사이트 'House of Hope | A Tour of New Netherland' http://www.newnether[...]
[5] 서적 1962
[6] 서적 Records of the Church of Christ at Cambridge in New England, 1632-1830 https://archive.org/[...] Boston, E. Putnam 1906
[7] 간행물 Sir Arthur Hesilrige and the Saybrook Colony https://www.jstor.or[...] 1973
[8] 서적 The history of ancient Wethersfield, Connecticut https://archive.org/[...] Grafton Press 1904
[9] 웹사이트 History of Early Hartford https://www.founders[...]
[10] 간행물 Thomas Hooker and His May 1638 Sermon http://www.jstor.org[...] 2012
[11] 웹사이트 The Fundamental Orders of Connecticut https://connecticuth[...] CTHUmanities 2023
[12] 웹사이트 John Haynes https://museumofcthi[...] 1999
[13] 간행물 John Cotton and the New Haven Colony https://doi.org/10.2[...] 1930
[14] 서적 History of the Indians of Connecticut : from the earliest known period to 1850 https://archive.org/[...] W. J. Hamersley 1851
[15] 간행물 Who Killed John Stone? A Note on the Origins of the Pequot War https://www.jstor.or[...] 1992
[16] 간행물 Pequots and Puritans: The Causes of the War of 1637 https://www.jstor.or[...] 1962
[17] 서적 History of the colony of New Haven to its absorption into Connecticut https://archive.org/[...] 1902
[18] 간행물 The Long Wake of the Pequot War https://www.jstor.or[...] 2011
[19] 간행물 The Treaty of Hartford (1638): Reconsidering Jurisdiction in Southern New England https://www.jstor.or[...] 2015
[20] 웹사이트 Saybrook at the mouth of the Connecticut; the first one hundred years https://archive.org/[...] '[Orange], [New Haven], [Press of the Wilson H. Lee Co.]' 1935
[21] 웹사이트
[22] 웹사이트 Avalon Project – the Articles of Confederation of the United Colonies of New England; May 19, 1643 https://avalon.law.y[...]
[23] 서적 The United Colonies of New England—1643-90 https://archive.org/[...] Vantage Press 1961
[24] 서적 History of New England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and Company (New York) 1858
[25] 웹사이트 1675 — King Philip's War https://www.colonial[...] General Society of Colonial Wars
[26] 서적 History of New Netherland Bartlett and Welford
[27] 간행물 The Navigation Act of 1651, the First Dutch War, and the London Merchant Community https://www.jstor.or[...] 1964
[28] 서적 The History of North America, Volume IV https://books.google[...] George Barrie & Sons 1904
[29] 웹사이트 October 31: Connecticut's Greatest Legend Happened Today.... or Did It? https://todayincthis[...] 2018-10-31
[30] 간행물 John Winthrop, Jr., Connecticut Expansionist: The Failure of His Designs on Long Island, 1663-1675 https://www.jstor.or[...] 1956
[31] 서적 History of the Colony of New Haven to Its Absorption into Connecticut https://archive.org/[...] author
[32] 웹사이트 Robert Treat https://museumofcthi[...] 2015-08-14
[33] 웹사이트 The Legend (and Souvernirs) of the Charter Oak https://newenglandhi[...] 2014-04-23
[34] 서적 American Colonies Viking Press 2001
[35]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Yale https://guides.libra[...] Yale University
[36] 웹사이트 Older Than The Nation https://www.courant.[...] Hartford Courant 2013-12-29
[37] 웹사이트 Connecticut in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www.american[...] Society of the Cincinnati 2002-01-01
[38] 논문
[39] 웹사이트 Connecticut 1818: From Theocracy to Toleration Connecticut 1818: From Theocracy to Toleration https://digitalcommo[...] 2021-01-01
[40] 서적 Colonial America to 1763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41] 서적 Revolutionary America 1763 to 1800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42] 웹사이트 Colonial and Pre-Federal Statistics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서적 Colonial America to 1763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47] 서적 Revolutionary America 1763 to 1800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48] 서적 Colonial and Pre-Federal Statistics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49] 서적 Connecticut Colonial History 1636-1776 Connecticut State Library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