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몽 항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몽 항쟁은 13세기 고려가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약 30년간 벌인 저항 전쟁이다. 몽골과의 초기 접촉은 거란족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231년 몽골의 1차 침입으로 본격적인 전쟁이 시작되었다. 강화도 천도 후 최씨 무신정권은 항전을 이어갔으나, 내부 갈등과 재정 악화로 인해 무너졌다. 이후 원종과 몽골 간 강화가 성립되었지만, 삼별초가 개경 환도에 반대하며 항쟁을 이어갔다. 대몽 항쟁은 고려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었으나 몽골의 간섭을 초래했고, 무신정권의 몰락과 새로운 정치 세력의 등장을 가져왔다.

2. 고려와 몽골의 초기 접촉

고려가 몽골과 최초의 접촉을 가지게 된 것은 몽골에게 쫓겨 오는 거란족(후요)을 협공하던 때부터이다. 거란족은 (金)이 망할 무렵 독립하여 후요를 세웠으나, 다시 몽골군에게 쫓겨 고려의 강동성에 내려와 서북 지방에서 약탈을 감행했다. 고려는 몽골과 합세하여, 조충·김취려 등을 보내어 이를 함락시켰다. 몽골은 이후 고려에 대해 매년 공물(貢物)을 요구함으로써 양국 사이는 소원해져 갔다.

2. 1. 강동성 전투

고려가 몽골과 최초로 접촉한 것은 몽골에 쫓겨 온 거란족을 협공하면서부터이다. 거란족은 이 망할 무렵 독립하여 후요를 세웠으나, 다시 몽골군에게 쫓겨 고려의 강동성에 내려와 서북 지방에서 약탈을 감행했다. 고려는 몽골과 합세하여, 조충·김취려 등을 보내어 이를 함락시켰다. 몽골은 이후 고려에 대해 매년 공물(貢物)을 요구함으로써 양국 사이는 소원해져 갔다.

3. 고려-몽골 전쟁의 발발

1231년(고종 18년), 몽골은 저고여가 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고려를 제1차 침입하였다. 몽골은 남송일본 정벌을 위한 기지를 고려에서 확보하고자 하였다. 살리타가 이끄는 몽골군은 귀주에서 박서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수도 개경에 임박하였다. 고려가 강화를 요청하자 몽골은 서북면에 다루가치를 두고 군사를 철수하였다.

1232년(고종 19년) 최우는 항복을 주장하는 자들을 참수하고 독단으로 강화도 천도를 강행했다. 이에 몽골은 2차 침입을 감행하였다. 고려의 반적 홍복원의 인도로 개경을 거쳐 한강 이남까지 내려온 몽골군은 처인성에서 김윤후에게 살리타가 사살되자 곧 후퇴하였다.

몽골군은 이후에도 고려 황제의 친조와 항복을 요구하며 약 30년간 7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나, 고려는 강화도에서 항전을 계속했다.

3. 1. 몽골의 1차 침입

1231년(고종 18년), 몽골은 저고여가 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고려를 제1차 침입하였다. 몽골은 남송일본 정벌을 위한 기지를 고려에서 확보하고자 하였다. 살리타가 이끄는 몽골군은 귀주에서 박서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수도 개경에 임박하였다. 고려가 강화를 요청하자 몽골은 서북면에 다루가치를 두고 군사를 철수하였다.

3. 2. 몽골의 2차 침입과 이후 침입

몽골은 저고여 피살 사건을 계기로 1231년(고종 18년)에 1차 침입을 했다. 살리타가 이끄는 몽골군은 귀주에서 박서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혔으나 수도 개경에 임박하였다. 고려가 강화를 요청하자 몽골은 몽골인 감독관을 서북면에 두고 군사를 철수하였다.

1232년(고종 19년) 최우는 항복을 주장하는 자들을 참수하고 독단으로 강화도 천도를 강행했다. 이에 몽골은 2차 침입을 감행하였다. 고려의 반적 홍복원의 인도로 개경을 거쳐 한강 이남까지 내려온 몽골군은 처인성에서 김윤후에게 살리타가 사살되자 곧 후퇴하였다.

몽골군은 이후에도 고려 황제의 친조와 항복을 요구하며 약 30년간 7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나, 고려는 강화도에서 항전을 계속했다. 최씨 무인정권은 몽골에 대한 대항은 자신들의 수하를 시켜 서북방면의 다루가치를 제거하려는 것이 전부였고 이마저도 거의 대부분 실패했고 몽골의 잔인한 보복을 두려워한 농민들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항전은 농민들에 의해서 수행되었다. 1차 침입 때는 관악산의 초적들이 항복하여 몽골군과의 전투에 참가하였고, 지광수 등이 지휘한 충주 노예군의 항쟁은 특히 유명하였다. 농민들도 몽골군에 완강히 저항하자 몽골군은 곡식을 불태우고 잔인한 살육을 감행하여 농촌은 황폐해지고 인구가 감소했다. 황룡사 9층 목탑과 부인사 소장의 대장경이 불타는 등 문화재 소실도 발생했다.

최씨 무인정권은 불력에 의존하여 난국을 타개하고자 팔만대장경을 조판했다.

4. 무신정권의 항전과 분열

항몽전이 장기화되자 무신정권은 재정이 악화되고, 통솔력 유지가 점차 어려워졌다. 최우의 아들 최항은 집권 8년 만에 병사하였고(1257년), 그 뒤를 이은 최의는 다음해인 1258년(고종 45년)에 그 수하 김준에게 제거됨으로써 최씨 정권은 막을 내렸다.

한편 농민은 무신정권에 점차 반항심을 갖게 되었고, 점차 대두한 문신들은 왕을 중심으로 몽골과 강화(講和)할 것을 주장했다. 문신들은 외세와 결탁하여 주전파(主戰派)인 무인정권을 타도하려 했다. 1258년(고종 45년) 무신 유경(柳璥)과 김준 등이 최의를 살해하자 정권은 일단 왕에게 돌아가고 대몽 강화가 결정되었다. 다음해인 1259년 태자 전이 몽골에 입조(入朝)하여 항복의 뜻을 표하고 강도(江都)의 성곽을 파괴하였다.

무신정권은 여전히 대몽 강화를 좋아하지 않았다. 김준은 비록 대세에 끌려 적극적으로 강화를 거부하지는 못하였으나 강화 정책에 불만이 없지도 않았다. 김준을 죽이고 대신 정권을 쥔 임연은 친몽 정책을 수행하는 원종을 폐하는 등 노골적으로 강화를 반대했다. 그러나 국내 결속의 해이(解弛)와 강화 정책의 진전으로 몽골의 압력은 더해져 원종이 복위되고 또 몽골병이 출동하였다.

4. 1. 농민과 노비의 저항

몽골의 침입에 맞서 관군뿐만 아니라 농민, 노비 등 일반 백성들도 자발적으로 저항하였다. 지광수 등이 지휘한 충주 노예군의 항쟁은 특히 유명하다. 몽골군은 곡식을 불태우고 잔인한 살육을 자행하여 농촌은 황폐해지고 인구는 감소했다. 또한 황룡사의 구층탑과 부인사 소장의 대장경이 불타는 등 많은 문화재가 소실되었다.

4. 2. 문화재 소실과 팔만대장경 조판

몽골군의 침입으로 황룡사 9층 목탑과 부인사 소장의 대장경을 비롯한 수많은 문화재가 소실되었다. 최씨 무인정권은 부처의 힘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팔만대장경을 조판하였다.

4. 3. 무신정권의 내부 갈등

항몽전이 장기화되자 무신정권은 재정이 악화되고, 통솔력 유지가 점차 어려워졌다. 최우의 아들 최항은 집권 8년 만에 병사하였고(1257년), 그 뒤를 이은 최의는 다음해인 1258년(고종 45년)에 그 수하 김준에게 제거됨으로써 최씨 정권은 막을 내렸다.

한편 농민은 무신정권에 점차 반항심을 갖게 되었고, 점차 대두한 문신들은 왕을 중심으로 몽골과 강화(講和)할 것을 주장했다. 문신들은 외세와 결탁하여 주전파(主戰派)인 무인정권을 타도하려 했다. 1258년(고종 45년) 무신 유경(柳璥)과 김준 등이 최의를 살해하자 정권은 일단 왕에게 돌아가고 대몽 강화가 결정되었다. 다음해인 1259년 태자 전이 몽골에 입조(入朝)하여 항복의 뜻을 표하고 강도(江都)의 성곽을 파괴하였다.

김준을 죽이고 대신 정권을 쥔 임연은 친몽 정책을 수행하는 원종을 폐하는 등 노골적으로 강화를 반대했다. 그러나 국내 결속의 해이(解弛)와 강화 정책의 진전으로 몽골의 압력은 더해져 원종이 복위되고 또 몽골병이 출동하였다.

5. 강화 성립과 무신정권의 종말

1257년(고종 44년) 몽골에서 강화 교섭의 요구 조건을 양보해 오고, 고려에서도 다음해에 대몽 항쟁을 주도해온 최씨정권이 무너짐으로써 강화 교섭은 직전을 보게 되었으니, 1259년(고종 46년)에 파견된 고려 태자는 몽골의 몽케 칸이 죽은 직후 아우 쿠빌라이(원 세조)를 만나 강화를 성립시켰다. 제위 계승을 놓고 형제간에 무력 충돌을 하게 된 쿠빌라이는 그토록 완강한 항전을 벌여온 고려가 자신에게 화의를 요청해온 것에 큰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였고, 고려에 대해 전과 다른 호의를 보였다. 그는 고려 측에서 강화 조건으로 제시한 고려 왕국의 존속 보장과 몽골군의 즉각적인 철수 등과 관련된 여섯 개 조항의 요구를 모두 수락하였다.

5. 1. 원종의 복위와 몽골의 간섭

원종과 몽골 간 강화가 성립되었으나, 1264년(원종 5년) 몽골에서 친조를 요구하자 무신들을 중심으로 반몽 여론이 다시 일어났다. 몽골이 일본 원정을 위해 군대와 물자를 지원해 줄 것을 고려에 요구하면서 반몽 여론이 크게 고조되었고, 원종을 중심으로 한 강화론과 충돌하게 되었다. 이 사이에 새로운 무신 김준이 살해되고 임연이 집권했으며, 1269년(원종 10년)에는 임연이 독단으로 원종을 폐위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몽골에 가 있던 세자(뒤의 충렬왕)가 몽골에 요청하여 지원을 받음으로써 원종은 복위되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몽골이 고려의 내정에 깊이 간섭하게 만든 사건이 되었다.

복위 직후 몽골에 간 원종은 태자와 몽골 공주의 혼인을 제의하고, 무신정권의 제거를 위해 병력 지원을 요청하였다. 1270년(원종 11년) 음력 2월 궁지에 몰린 임연이 원종의 귀국 직전에 병사하였으나 그의 아들 임유무가 무인집정이 되어 반몽 노선을 고수하였다.

5. 2. 무신정권의 몰락

임연(林衍)이 1269년(원종 10년) 독단으로 원종을 폐위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몽골에 가 있던 세자(뒤의 충렬왕)가 몽골에 요청하여 지원을 받음으로써 원종은 복위되었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몽골이 고려의 내정에 깊이 간섭하게 만든 사건이 되었다.

복위 직후 몽골에 간 원종은 태자와 몽골 공주의 혼인을 제의하고, 무신정권의 제거를 위해 병력 지원을 요청하였다. 1270년(원종 11년) 음력 2월 궁지에 몰린 임연이 원종의 귀국 직전에 병사하였으나 그의 아들 임유무(林惟茂)가 무인 집정이 되어 반몽 노선을 고수하였다. 임유무는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하라는 원종의 명령에 반대하다가 살해되었다.(1270년) 이로써 무신정권은 막을 내리고 왕정 복고가 이루어졌으며, 개경으로 환도가 결정되었다.

6. 삼별초의 항쟁

배중손이 이끌었던 삼별초는 개경 환도에 반대하여 반기를 들고, 승화후 온을 황제로 옹립했다. 삼별초는 진도로 거점을 옮겨 남부를 지배하며 항몽전을 전개했다. 그러나 조정의 진압군과 몽골 연합군에게 진도가 함락되자(1271년), 김통정을 중심으로 한 일부 세력이 제주도로 옮겨 저항하다가 1273년에 모두 평정되었다.

7. 대몽항쟁에 대한 평가

대몽 항쟁은 고려가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30여 년간 벌인 저항 전쟁이다.

대몽 항쟁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대몽항쟁 평가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대몽 항쟁은 고려가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벌인 항쟁이었으나, 결과적으로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신정권이 몰락하고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하는 등 고려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최씨 정권에 협력했던 이들은 민족 반역자로, 반대로 몽골군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운 이들은 민족 영웅으로 평가할 수 있다.

7. 1. 긍정적 평가

대몽 항쟁은 고려가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30여 년간 벌인 저항 전쟁이다.

7. 2. 부정적 평가

대몽 항쟁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대몽항쟁 평가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7. 3. 종합적 평가

대몽 항쟁은 고려가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벌인 항쟁이었으나, 결과적으로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무신정권이 몰락하고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하는 등 고려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최씨 정권에 협력했던 이들은 민족 반역자로, 반대로 몽골군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운 이들은 민족 영웅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